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디어 노출이 청소년의 도박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비합리적 도박신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찬미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 노출이 청소년의 도박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비합리적 도박신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의 ‘도박문제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에 따른 청소년 도박예방 모델 개발’ 원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청소년 1,512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미디어 노출과 청소년의 도박행동 관계에서 비합리적 도박신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과 Hayes의 PROCESS Macro Model 4를 사용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도박행동 수준을 살펴본 결과, 비문제 수준(Green) 94.3%, 위험 수준(Yellow) 3.5%, 문제 수준(Red) 2.2%로, 위험수준과 문제수준을 포함한 도박문제 위험집단 비율은 5.7%(86명)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청소년의 도박경험 유무를 분석한 결과 성별과 한 달 용돈 수준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청소년의 도박행동 수준을 분석한 결과 성별과 재학 여부, 한 달 용돈에 따라 청소년의 도박행동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비합리적 도박신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과 한 달 용돈, 아르바이트 여부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마지막으로 미디어 노출과 도박행동 간의 관계에서 비합리적 도박신념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의 미디어 노출이 높아지면 비합리적 도박신념 또한 높아져 도박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도박문제 예방과 개입을 위한 예방프로그램의 개발 및 각 유관기관과 관계부처의 협력체계 마련과 적절한 개입 등에 대한 실천적·정책적 측면의 사회복지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edia exposure on the gambling behavior of adolescents an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irrational gambling belief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raw data from 'Development of gambling prevention model for adolescents based on protective and risk factors of gambling problems' conducted by the Korea Center On Gambling Problems were used (N=1,512).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irrational gambling belief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exposure and gambling behavior of adolescents, the study used regression analysis and Hayes' PROCESS Macro Model 4.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evel of gambling behavior of adolescents, 94.3% of no problem levels(Green), 3.5% of risk levels(Yellow), and 2.2% of problem levels(Red) were found, and the ratio of gambling problem risk groups including risk levels and problem levels was 5.7% (n=86).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gambling experiences of adolescent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 and monthly allowance level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evels of gambling behavior of adolescent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difference in gambling behavior of adolesce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gender, enrollment, and monthly allowance.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irrational gambling belief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difference in gender, monthly allowance levels and part-time job statu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it was found that irrational gambling beliefs were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exposure and gambling behavior. In other words, as adolescents' media exposure increases, irrational gambling beliefs also increase, which in turn, increase gambling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ocial welfare implications of the policy and the development of prevention programs for youth gambling problems and the establishment of a cooperative system among related agencies and related ministries were discussed.

      • 이타적행동과 행복의 관계에 관한 연구 : simultaneous equation model을 이용한 분석

        김찬미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이타적행동과 행복의 관계에 대해 규명하였다. 그동안 이타적행동은 개인차원을 넘어, 집단 또는 사회 전체의 안녕과 행복을 결정하는 중요 요인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특히 이타적행동과 행복의 관계에 대해서도 다수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일방향적 관계만 분석해온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일방향적 검증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이타적행동과 행복의 쌍방적 관계를 연립방정식 모형(Simultaneous Equation Model)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아름다운재단에서 일반시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0 기빙코리아> 자료이다. 분석 결과 이타적행동과 행복의 쌍방적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밝혀졌다. 아울러 이타적행동과 행복을 설명하는 다양한 인구사회학적 요인 및 심리적 요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이타적행동 방정식에서 이타적가치(+), 교육수준(+), 비영리단체에 대한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의 경우 연령은 U자 형태의 관계, 월평균가구소득(+), 배우자유무(+), 사회적신뢰(+), 삶의 자율성에 대한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일방적 분석방식의 제한점을 극복하고 연립방정식 모형(Simultaneous Equation Model)을 사용하여 이타적행동과 행복의 쌍방향적 관계를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이타적행동과 행복은 쌍방적 관계로 해석될 수 있으나, 행복이 이타적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행복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조망 및 연구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이타적행동과 행복을 이끌어내는 요인에 대하여 이해를 제고하였다. 마지막으로, 일상에서 행할 수 있는 이타적행동 즉 비영리단체의 기부나 자원봉사 외에도 헌혈, 타인에 대한 도움행동을 다루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ltruistic behaviors and happiness. Altruistic behaviors have been studied a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well-being and happiness of groups or whole societies. However, many of these studies have only analyzed one-way relationships.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two-way relationship between altruistic behavior and happiness using a simultaneous equation model.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data taken from the results of the Giving Korea 2020 survey, which was conducted by the Beautiful Foundation in 2020 and sampled the general population. The analysis revealed th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bilateral relationship existed between altruistic behavior and happiness.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various 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altruistic values, education level, and awareness of non-profit organization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truistic behavior. Ag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U-shaped relationship with happiness.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presence of a spouse, social trust, and awareness of autonomy in lif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happiness. This study was significant in the following ways. First, it overcame the limitations of previous unilateral analyses by using the simultaneous equation model to reveal the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altruistic behavior and happiness. Second, it showed that, although altruistic behavior and happiness were mutually influential, happiness had a stronger influence on altruistic behavior than altruistic behavior had on happiness. This result suggests that further studies on happiness should be conducted. Third, it increased the understanding of altruistic behavior and factors that affect happiness. Fourth, it examined altruistic behaviors that can be done in daily life, such as donating blood, helping others, donating goods or money, and volunteering.

      • 해금 정악곡의 시김새에 관한 연구 : 현악영산회상, 평조회상, 관악영산회상을 중심으로

        김찬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39

        The Sigimsae of the expressive technique is the characteristic expression of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and plays the critical role in making the flow of melody flexible by connecting motion between notes to each other with the various method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appearances of Chuseong, Toeseong, Yoseong, and Jeonseong out of the Sigimsae expressed in Hyunakyoungsanhoesang, Pyeongjohoesang, and Gwanakyoungsanhoesang based on the Haegeumjeongak of Kisoo Kim, and Sajoon Kang in the traditional classical music (jeongakgok) of Korean music system. For this, it examined the appearances of the Sigimsae in the expressive technique by music, found notes that the Sigimsae is used, and checked their progresses if those notes are connected to what notes. The result is as in below: The form of the Sigimsae in the expressive technique of Youngsanhoesang is as follows: The total number of the Sigimsae which appeared in Youngsanhoesang is 61 times and it appears in Jungryeongsan most. Reviewing the type of the Sigimsae in music, it appears in Yoseong in the largest number and is used in order of Jeongseong, Chuseong, and Toeseong. It is not used in Toechuseong. It has been found that the notes that the Sigimsae is most shown from Sangryeongsan to Taryeong is Mu (nothing:無) and it is most shown in Hwang (Yellow:黃) in military music. Motion of notes that the Sigimsae appears has found that Chuseong, Toeseong, and Yoseong are mostly shown in descending motion, but Jeonseong is mostly done in ascending motion. The form of the Sigimsae in the expressive technique of Pyeongjohoesang is as follows: The total number of the Sigimsae which appeared in Pyeongjohoesang is 115 times and it appears in military music most. Reviewing the type of the Sigimsae in music, it appears in Chuseong in the largest number and is used in order of Yoseong, Jeongseong, Toeseong, and Toechuseong. It has been found that the notes that the Sigimsae is most shown from Sangryeongsan to Taryeong is Jung (Middle:仲) and it is most shown in Lim (Forrest:林) in military music. Motion of notes that the Sigimsae appears has found that Chuseong, toeseong, and Yoseong are mostly shown in descending motion, but Jeongseong is mostly done in ascending motion. The form of Sigimsae in the expressive technique of Gwanakyoungsanhoesang is as follows: The total number of Sigimsae which appeared in Gwanakyoungsanhoesang is 212 times and it appears in Yeombuldodeuri most. Reviewing the type of Sigimsae in music, it appears in Chuseong mostly and is used in order of Toeseong, Jeongseong, Yoseong, and Toechuseong. It has found that the notes that Sigimsae is most shown in Sangryeongsan to Taryeong is Hwang (Yellow:黃) and is most shown in Mu(nothing:無) from Jungryeongsan to Taryeong, and in Lim (Forrest:林) in military music. Motion of notes that Sigimsae appears has found that Chuseong, Toeseong, and Toechuseong are mostly shown in descending motion, but Yoseong and Jeongseong is mostly done in ascending motion. The result which I studied the Sigimsae of three musics has found that the notes that it appears and their motions are a little bit different from each other, because their scales by music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it is considered that there are many cases that the Sigimsae shown in music is not exactly marked. So close supplementation of music is necessary because there are many cases that the Sigimsae is used when musical instruments are played. 본 논문에서는 해금 정악곡 중 김기수·강사준 편 『해금정악』의 현악영산회상, 평조회상, 관악영산회상에서 나타나는 시김새 중 추성·퇴성·요성·전성의 출현모습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각 악곡별로 시김새의 출현음과 선율진행을 알아 보았다. 현악영산회상의 표현기법 시김새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현악영산회상에서 시김새가 가장 많이 기보된 곡은 중령산이고, 전체 현악영산회상에서 요성이 가장 많이 나타난다. 상령산부터 타령에서 시김새가 제일 많이 나타나는 음은 無이고, 군악은 黃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다. 시김새의 선율진행을 보면 추성은 하행진행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다. 상행진행의 선율진행 유형은 無→潢, 林→潢으로 나타나고, 하행진행은 黃→남, 無→林 등으로 나타난다. 퇴성은 하행진행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며, 선율진행 유형은 無→林, 林→仲으로 나타난다. 요성은 대부분 상행진행에서 나타난다. 상행진행의 선율진행 유형은 無→潢,黃→林 등으로 나타나고, 하행진행은 無→林, 太→黃 등으로 나타난다. 동음진행은 無→無로 나타난다. 전성은 대부분 상행진행에서 나타나며, 선율진행 유형은 無→潢, 仲→林 등으로 나타난다. 평조회상의 표현기법 시김새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평조회상에서 시김새가 가장 많이 기보된 곡은 군악이고, 전체 평조회상에서 추성이 가장 많이 나타난다. 상령산부터 타령까지 시김새가 제일 많이 나타나는 음은 仲이고, 군악은 林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다. 시김새의 선율진행을 보면 추성은 하행진행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다. 상행진행의 선율진행 유형은 黃→太, 仲→林으로 나타나고, 하행진행은 林→姑, 潢→南 등의 순으로 나타난다. 동음진행은 仲→仲으로 나타난다. 퇴성은 대부분 하행진행에서 나타나며, 선율진행 유형은 太→黃, 林→姑 등으로 나타난다. 퇴추성은 주로 하행진행에서 나타나고, 선율진행 유형은 潢→南, 南→林 등으로 나타난다. 요성은 하행진행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다. 상행진행의 선율진행 유형은 仲→林 등으로 나타나고, 하행진행은 仲→太, 林→黃 등으로 나타난다. 전성은 대부분 상행진행에서 나타난다. 상행진행의 선율진행 유형은 仲→林, 黃→太 등으로 나타나고, 하행진행은 林→仲으로 나타난다. 관악영산회상의 표현기법 시김새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관악영산회상에서 시김새가 가장 많이 기보된 곡은 염불도드리이고, 전체 관악영산회상에서 추성이 가장 많이 나타난다. 상령산부터 타령까지 제일 많이 나타나는 음은 無이고, 군악은 林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다. 시김새의 선율진행을 보면 추성은 대부분 하행진행에서 나타난다. 상행진행은 仲→林, 仲→潢 등으로 나타나고, 하행진행의 선율진행 유형은 林→姑, 無→太 등으로 나타난다. 동음진행은 無→無, 仲→仲으로 나타난다. 퇴성은 대부분 하행진행에서 나타난다. 상행진행의 선율진행 유형은 仲→林으로 나타나고, 하행진행은 林→仲, 無→林 등의 순으로 나타난다. 퇴추성은 대부분 하행진행에서 나타나며, 선율진행 유형은 潢→남, 林→仲 등으로 나타난다. 요성은 대부분 하행진행에서 나타난다. 상행진행의 선율진행 유형은 南→潢, 黃→仲 등으로 나타나고, 하행진행은 南→林, 南→仲 등의 순으로 나타난다. 전성은 대부분 상행진행에서 나타난다. 상행진행의 선율진행 유형은 仲→林 無→潢 등으로 나타나고, 하행진행은 林→仲, 潢→林 등으로 나타난다. 동음진행은 黃→黃으로 나타난다.

      • 회복적 정의의 적용을 통한 학교폭력 문제의 대안 모색 : 회복적 대화모임의 과정과 결과에 대한 이해

        김찬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39

        최근 학교폭력 문제가 이슈화되면서 가해학생을 엄하게 처벌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자는 목소리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한 처벌의 이유로는 크게 공리주의적 설명과 응보주의적 설명이 있는데, 그 두 가지 모두 효과적이지도 않고, 교육적으로 옳지도 않다. 우선 공리주의적 처벌은 가해학생이 처벌받음으로 인해 자신의 행위를 반성하고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 그런 학생은 많지 않고, 다른 학생들에 대한 억지 효과도 항상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또한 공리주의적 처벌에서 중요한 것은 ‘사회 전체의 선의 증가’이지 ‘정의’가 아니기 때문에 공동체 전체적으로 이익이 증진된다면 가해학생뿐만 아니라 피해학생을 처벌할 수도 있다. 한편 응보주의적 처벌은 유죄 확정에만 몰두하여 재발방지대책 모색에 관심을 덜 갖는다. 따라서 가해학생은 유죄라는 부담을 회피하기 위해 합리화를 하거나 자신의 무죄를 계속해서 주장할 수 있다. 또한 응보주의적 처벌은 가해학생의 사회경제적 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그 맥락에서 분리되어 단지 가해학생의 행위에 따른 응분의 처벌을 하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 이러한 가해자 중심적 처벌 이론에 대항하여 나온 피해자 중심적 처벌 이론도 있지만, 이들에도 한계가 있다. 우선 보상 이론은 피해자에게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가해자 중심적 처벌 이론보다 진일보하기는 했지만 또 다른 형태의 응보주의적 처벌일 뿐이다. 피해자 중심의 윤리는 공동체를 전제하고 있다는 점에서 보상 이론에 비해 나아진 점이 있지만 이 역시 가해자와 피해자를 나눈 상태에서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범죄의 영향을 받은 사람들이 모두 문제 해결과정에 참여하여, 피해자는 보상을 받고, 가해자는 낙인 없이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돌아오며, 그로 인해 공동체가 안전한 곳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회복적 정의’를 대안으로 제시한다. 그리고 이것을 구현하는 모델인 ‘회복적 대화모임’의 과정과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기린중학교(가칭)의 무지개반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과 이론적 검토를 통해 도출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복적 대화모임을 통해 학생들 간의 갈등이 어떻게 해결되는가? 둘째, 회복적 대화모임을 통해 학생들은 무엇을 경험하고 배우는가? 연구 문제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사례인 회복적 대화모임의 과정을 관찰한 결과, 대화모임 이전에는 무지개반의 남학생들과 여학생들이 서로에 대한 인격적 무시와 가치폄하로 관계가 악화되어 있었다.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게 하는 것은 ‘꼽주기’, 의도적으로 한 학생을 육체적·지적·사회적 수준에서 열등한 존재로 만드는 것이었고, 남학생들이 여학생들에게 하는 것은 ‘욕하기’, 특히 육체적·성적 욕을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화모임을 진행했는데, ‘반영하는 말’이라는 대화규칙 속에서 자신의 이야기를 하고 상대의 이야기를 반복해주면서 오해가 풀리며 인지적 공감과 의사소통적 공감이 일어났다. 그리고 서로의 ‘욕구를 드러내는’ 과정에서 모두가 ‘예전처럼’ 돌아가고 싶은 마음이 있다는 것에 정서적으로 공감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공감을 통해서 학급 공동체 내에서 서로의 존재를 부정하지 않고, 이 문제를 함께 해결하자는 공동체 의식이 회복되었다. 이들은 상호존중하기 위해서 소극적으로는 욕하지 말고 꼽주지 말자는 것, 적극적으로는 칭찬하는 것과 농담을 받아주는 것을 약속했고, 실제로 그 약속을 이행했다. 그로 인해 대화모임 후 학생들이 상호 존중하고 그것을 통해 화목한 학급이 이루어진 것을 사후 서클 관찰과 참여자들의 인터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 안에서 나타난 진행자 요인은 공감, 존중, 중립, 제3자 참여, 힘의 균형으로 압축할 수 있다. 또한 회복적 대화모임의 시행 결과와 관련해서는 우선 인지적 측면에서 학생들이 육체적․언어적 폭력과 응보적인 복수가 아닌 대화로 갈등을 해결하는 것이 그들에게 더 좋은 결과를 가져다준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고, 그러한 대화를 통한 갈등 해결이 근본적인 갈등 해결로 의미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태도적 측면에서는 갈등의 사건을 자기중심적으로 해석하던 태도에서 상대의 입장을 인지하고 제3자의 관점에서 사건을 바라보는 객관화된 태도로, 또 자체적으로 갈등을 대화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자발적 태도로 변화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렇게 학생들이 갈등을 폭력이 아닌 대화를 통한 관계 회복으로 해결하는 것이 좋다고 인지하고 자발적으로 행동으로 옮길 수 있었던 이유는 그들이 회복적 대화모임을 경험함으로써 갈등 해결과 관련하여 ‘실제적 학습’을 했기 때문이다. 이것은 경험을 통해 얻은 체화된 지식, 인격적 앎이기 때문에 스스로 친구들 간의 갈등을 해결하려는 자발성이 나올 수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회복적 대화모임은 사회과의 갈등 해결 교육을 ‘실제적으로’ 하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 돌하르방의 이미지를 이용한 도자조형 연구

        김찬미 강원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39

        The culture of Jeju Island was formed by overcoming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and natural conditions, and it contained the emotions and wisdom of the people there. Because Jeju Island is a volcanic island and is surrounded by the sea, communication with other regions was not easy. As a result of these environmental reasons, basalt-based stone culture naturally developed. The stone culture was created on the basis of Jeju Island, and a key condition for understanding the Island is the close connection with the people's lives. Among them, Dolhareubang is a representative symbol of Jeju's stone culture and cultural heritage. Dolhareubang plays the role of chief gatekeeper, incantation·religious meaning, locator, and boundary line. Despite the Jeju Free International City's leap forward and its development as a tourism industry,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souvenirs and sculptures suggests that the changes have been minimal. Dolhareubang, which encompasses Jeju Island's unique emotions and has a different personality of production, has been standardized due to mass industrialization. This study objectively analyzed Dolhareubang and reinterpreted it in the formative language of the researcher to produce it as ceramic sculpture. While protecting the Dolhareubang made of basalt, the parts that couldn't be expressed by rocks were maximiz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eramic molding by using the plasticity of clay and the contingency of glaze, thereby highlighting aesthetics and diversity. Recognizing the limitations in expressing the natural texture of vesicular basalt, I focused on expressing realistic and sophisticated textures in combination with modern patterns. Dolhareubang's ears, eyes, mouth, and nose maintained individuality and friendliness, and the form was made into a dynamic stance rather than a uniform attitude, adding humor. The personification of Dolhareubang focused on the appearance of living together as the subject of culture. The image of Dolhareubang (grandfather) was enlarged and interpreted as Dolhalmang (grandmother) to express the joy and pleasure of Jeju citizens. The combination of Dolhareubang and the symbol of Jeju Island was established to serve as a cultural product that reminds Jeju Island of the residents of other regions and intended to enhance the self-esteem and subjectivity of Jeju residents by reconstructing the local culture. I focused on grasping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Dolhareubang through historical considerations, and an objective image was established through an exploration of the purpose and function of production. The ranges were established by formatively analyzing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Jeju Eupseong, Jungui Hyeonseong, and Daejeong Hyeonseong, the top three town walls of Jeju Island. Baekjohapto, which is suitable for figuration expression, was used because it has excellent strength, texture, and viscosity. In addition, it was molded by a coiling technique that is easy for dynamic shape produ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ape, the primary firing was 900°C, the secondary firing was 1250°C, and the tertiary firing was 1000°C as the decorative firing to increase the strength and aesthetics of the work. The spraying method and brush type were appropriately used according to the glazing method. Iron sulfate and cobalt sulfate were used in the second firing to express the black color of basalt. Also, in order to express various colors and textures of glass, the third glass was fired using colored glass and Duncan glaze to improve the completeness of the work. Reinterpreting the image of Dolhareubang, the emphasis was placed on expressing form, texture, and color in the formative language, and focused on establishing Jeju's unique formative culture through the study of ceramic objects that combine decorativeness and formativeness. 제주도의 문화는 지리적 환경과 제한된 자연조건을 극복해 나아가면서 형성되었으며 제주도 사람들의 정서와 지혜가 함유되어 있다.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사면이 바다이기 때문에 다른 지역과 소통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못했고, 이러한 환경적인 원인으로 자연스럽게 현무암 계열의 돌 문화가 발전하게 되었다. 돌 문화는 제주도를 토대로 생성된 것으로 제주도민들의 삶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어 제주도를 이해하는 핵심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그중 돌하르방은 제주도의 돌 문화를 상징하는 조형물이기도 하면서 제주도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으로 수문장의 역할, 주술·종교적 의미, 위치표시 및 경계의 기능을 수행해왔다. 제주도는 국제자유도시로의 도약과 관광산업의 발전에도 기념품이나 조형물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하여 변화에 미진했다고 볼 수 있다. 제주도의 독특한 정서를 포괄하면서도 제각기 다른 개성의 드러내던 돌하르방은 산업화에 따른 대량화 때문에 획일화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돌하르방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연구자의 조형언어로 재해석하여 도자 조형물로 제작하였다. 돌하르방의 재료인 현무암을 보호하면서 암석으로 표현할 수 없었던 부분을 점토의 가소성과 유약의 우연성을 이용한 도자조형만의 특징으로 극대화하여 심미성과 다양성을 부각하였다. 다공질 현무암의 자연적 질감을 표현하기에 한계를 인식하여 현대적인 패턴과 조합해 사실적이면서도 세련된 질감표현에 매진하였다. 돌하르방의 이목구비를 활용하여 개성과 친근감은 유지했으며, 형태는 획일화된 정자세에서 벗어나 역동적인 동세로 표현해 해학성을 부각시켰으며, 돌하르방을 의인화하여 문화의 주체로 삶을 함께 살아가는 모습에 중점을 두었다. 돌하르방(할아버지)이라는 이미지를 확대해석하여 돌할망(할머니)으로도 제작해 제주도민의 희로애락을 표현하였다. 돌하르방과 제주도의 상징물을 결합하여 다른 지역민들에게는 제주도를 기억할 수 있는 문화상품의 역할로 나아가고, 제주도민에게는 지역의 문화를 재구성하여 자긍심과 주체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제주도의 3 읍성인 제주읍성, 정의현성, 대정현성의 형태변화를 조형적으로 분석하여 범위를 설정하고, 역사적 고찰을 통해 돌하르방의 기원과 전개를 파악하는 데 주력하였으며, 제작목적 및 기능을 탐구하여 객관적 이미지를 정립하고자 하였다. 작품제작에 사용된 소지는 강도와 질감, 점력이 뛰어나 성형표현에 적합한 백조합토를 이용했으며, 역동적인 형태제작에 용이한 코일링 기법으로 성형하였다. 형태의 복잡한 구조를 고려하여 초벌온도를 높여 900°C로 1차 소성하였고, 2차 소성은 1250°C, 3차 소성은 장식 소성으로 1000°C로 소성하여 작품의 강도와 심미성을 높였다. 시유방법은 유약에 따라 스프레이 시유와 붓 시유를 적절하게 사용하였으며, 현무암의 검은 색상을 표현하기 위해 2차 소성에서는 황산철과 황산코발트를 활용하였고, 다양한 색감과 유리질의 질감표현을 위해서는 색유리와 던컨유약을 이용하여 3차 소성으로 작품의 완성도를 높였다. 돌하르방의 이미지를 재해석하여 형태, 질감, 색상의 조형언어로 표현하는 데 집중하였고, 장식성과 조형성이 융합된 도자오브제의 연구로 제주도의 독특한 조형문화를 정립하고자 하였다.

      • 만 2세 사랑반의 미술활동 개선을 위한 실행연구

        김찬미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희망 어린이집 사랑반 담임교사인 연구자가 만 2세반 영아를 대상으로 한 미술활동에 대한 실행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만 2세 사랑반 미술활동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미술활동을 계획하고 실행하여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사와 영아의 변화과정을 통해 만 2세 학급의 미술활동 운영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만 2세 사랑반 미술활동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2. 만 2세 사랑반 미술활동의 실행과정은 어떠한가? 3. 만 2세 사랑반 미술활동에서 나타난 영아의 변화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희망 어린이집 만 2세 사랑반의 미술활동에 대해 연구자인 교사가 인식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 수행한 실행연구이다. 2016년 5월 16일부터 2016년 9월 19일까지 18주 동안 계획과 실행 및 평가를 거듭하면서 만 2세 영아를 대상으로 한 미술활동을 개선해 나갔다. 1단계는 문제점 파악 및 실행방안 모색, 2단계는 1차 실행 및 평가. 3단계는 2차 실행 및 평가로 진행하였으며 매주 연구자는 저널을 기록하여 실행된 미술활동을 분석하고 진행 될 미술활동을 계획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만 2세 사랑반 영아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미술활동을 관찰, 비디오 녹화, 저널 작성, 사진촬영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만 2세 사랑반 영아들의 미술활동의 문제점으로는 영아가 미술활동에 대해 소극적으로 참여했다는 점, 미술영역에 대한 영아의 흥미가 낮다는 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1차 실행에서는 친숙한 재료를 통한 감각적 탐색활동 및 자료제공과, 미술활동이 이루어지는 환경을 재구성하였다. 영아들은 친숙한 미술재료를 탐색하며 호기심을 보이기 시작했고, 미술활동을 경험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자 보다 적극적으로 미술활동에 호기심을 보이는 모습이었다. 2차 실행은 환경을 지속적으로 재구성하였으며 여러 가지 재료를 활용한 미술활동과 입체 표현활동 및 감상활동을 진행하였다. 진행되는 미술활동의 특성과 영아들의 반응을 고려하여 환경을 재구성하였다. 영아들은 변화하는 환경에 호기심을 보이며 미술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또한 다양한 재료를 자발적으로 탐색하였고 또래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촉진되었다. 셋째, 사랑반 미술활동 개선과정에서 나타난 영아들의 변화는 재료에 대한 관심을 보이고, 선생님과 함께 표현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아는 자발적으로 표현하는 모습이 나타났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확대되었다.

      • 온맘부모교육 코칭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불안, 갈등대처방식 및 기본심리 욕구만족에 미치는 효과

        김찬미 경성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how the On-mom parents education coaching program effects on anxiety, conflict coping method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of mothers with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On-mom parents education coaching program was reconstructed and conducted for mothers with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livi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All twenty mothers with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wish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were selected and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consent of participants after explanation on the contents and process of the program. The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parts of ten members each;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program, which consists of a total 8 sessions, 180 minutes per session, and two session per weeks has been conduc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y treatments were not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during same period of time. The scales used to investigate the hypothesis testing were the Anxiety Scale, the Conflict coping method Scale and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Scale.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applied to the selected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order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SPSS/WIN 21.0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process of the results and the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ith statistical methods was calculated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e study. In addition, the content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group members based on experience reports and program evaluations of the participants was performed in parallel to complement the quantitative research of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nxiety for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On-mom parents education coaching program has been changed positively after the program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Second, the conflict coping method for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On-mom parents education coaching program has been changed positively after the program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Third,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for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On-mom parents education coaching program has been changed positively after the program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rogram is effective in lowering of anxiety and increasing of conflict coping method and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satisfaction Limitation to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한국군 전장훈련체계 발전방향

        김찬미 충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39

        첨단기술 발전을 통해 진화하고 있는 디지털트윈 시스템 기반의 사물인터넷, VR, AI 기술이 민간영역을 넘어 국방정책에 유용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군 전장훈련체계에 디지털트윈을 도입하여 전략적 효용성과 실용성이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았고, 사이버위협 조기탐지 및 통합분석, 훈련공간 및 훈련콘텐츠 공유, 군사무기체계 및 전술차량 실시간 관리·점검, 시설·장비 고장 및 수명주기 예측과 같은 첨단 IT 기술을 한국군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전장훈련체계에 디지털트윈 기술을 활용한 전략·전술개념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급변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군비증강과 전장훈련체계의 발전은 전 세계적으로 주요 관심사항이며 정예화·첨단화된 군사력을 건설하기 위해 주요 선진국들은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기술도입에 매진하고 있다. 그중 디지털트윈은 군사력 건설과 군사전략 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기술로 인정되고 있으며 4차산업 혁명의 대표 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트윈 기반의 전장훈련체계가 군에 성공적으로 구현되기 위해 본 연구는 디지털트윈의 배경과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현재 운용 및 개발 중인 국방 M&S(Modeling And Simulation) 체계와 디지털트윈 기술에 적용되는 첨단 IT 기술을 설명하였다. 또한 현재 개발 및 구축계획 중인 디지털트윈 전장훈련체계에 대하여 기동분야와 항공분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고, 현 체계에 대한 한계점을 평가하며 디지털트윈 전장훈련체계의 구축배경, 구축목적, 구축방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어 디지털트윈 기반의 국방 전장훈련체계에 대해 국내외 기술 도입현황 및 운용환경, 운용절차 등을 설명하였고, 국내에서 한·미연합훈련, 아미타이거 4.0, 교육훈련을 통해 개발 및 진행되고 있는 M&S 체계를 살펴보았으며, 미국, 이스라엘의 디지털트윈 전장운영체계의 추진 및 운용과 사례분석을 통해 한국군의 디지털트윈 기술 구현 방법과 구현에 필요한 핵심기술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끝으로 한국군 전장훈련체계 발전방향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향후 디지털트윈 기술 적용분야로 훈련시설분야, 훈련내용분야로 구분하여 작성하였고, 발전방향으로 3군 통합전장훈련체계 수립과 민·군 협력을 통한 전문인력 양성을 제언했다. 관련 내용은 디지털트윈 기술 적용을 위한 개념과 방향 그리고 전망에 대해 작성하였으며 디지털트윈 기반의 핵심기술인 센서 및 감지, 증강현실 구축에 대한 기대효과를 언급하였다. 디지털트윈 기술은 향후 일어날 수 있는 미래전과 사이버전에 대비하여 전장훈련체계 발전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본 연구는 한국군 전장훈련체계에 디지털트윈 기술을 도입하여 얻을 수 있는 전략적·전술적 가치를 발견하고 군에디지털트윈 시스템을 지원 또는 기술의 도입에 관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고자 한다. The digital twin system-based Internet of Things, VR, and AI technologies, which are evolving through the development of high-tech technologies, are being useful in defense policies beyond the private sector.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strategic utility and practicality of the Korean military's battlefield training system and emphasizes the need for strategies and tactics to provide the Korean military with advanced IT technologies such as cyber threat early detection and integration analysis, training space and training contents sharing, real-time management and inspection of military vehicles. Amid the rapidly changing international situation, the development of the military build-up and battlefield training system is a major concern around the world, and major advanced countries are striving to continue technology development and technology introduction to build elite and advanced military forces. Among them, digital twin is recognized as a core technology for building military power and achieving military strategic goals, and is evaluated as a representativ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order for this digital twin-based battlefield training system to be successfully implemented in the military, this study aims to learn the background and concept of digital twin and explain the advanced IT technologies applied to the defense M&S (Modeling and Simulation) system and digital twin technologies currently being operated and developed. In addition, the digital twin field training system currently being developed and constructed was divided into maneuver and aviation fields, and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ystem were evaluated, and the background, purpose, and direction of the digital twin field training system were investigated. The digital twin-based defense battlefield training system was explained, and the M&S system developed and conducted through Korea-U.S. joint training, Army Tiger 4.0, and education training in Korea was examined. Finally,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Korean military battlefield training system was investigated, and it was written by dividing it into training facilities and training contents as digital twi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suggested establishing an integrated battlefield training system and fostering professionals through civil-military cooperation. Related contents were written about the concept, direction, and prospect for the application of digital twin technology, and mentioned the expected effects of sensor and detection, and augmented reality construction, which are core technologies based on digital twin. It is expected that digital twin technology can be used to present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battlefield training system in preparation for future wars and cyber warfare, and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strategic and tactical value of digital twin technology in the Korean military.

      • 보육교사의 자연친화적 교수태도와 과학교수불안이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찬미 인천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child care teacher 's eco - friendly teaching attitude, science teaching anxiety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ee how child care teachers’eco-friendly teaching attitude, science teaching anxiety,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were associated with one another and how child care teachers’eco-friendly teaching attitude and science teaching anxiety affected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For this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Research questions 1. What difference is there among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 science teaching anxiety,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child care teachers’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search questions 2. What relationship is there among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 science teaching anxiety,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interaction in child care teachers? Research questions 3. What is the influences of child care teachers’eco-friendly teaching attitude and science teaching anxiety on science teaching efficacy?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300 day care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281 questionnaires were used as the data of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 of daycare teachers using the tools developed by Kang Byung-jae and Kim Kyung-su(2015), Spieberger(1970) developed an anxiety test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order to measure teachers' anxiety about science instruction, used the S-STAI(Science-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modified by Westerback(1984) for the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to a scientific situation and translated by Bae Mi-yang (2001). also,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TEBI(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developed by Enochs and Riggs(1990) was translated and revised by Cho Bu-Kyung and Seo So-Young(2001).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 the science teaching anxiety, and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child care teachers,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of the child care teachers, the higher the attitude of eco-friendly teaching, Teachers with experience in training have higher attitudes toward eco-friendly teaching than those who have not. The higher the teacher's age, education, and teaching experience, the lower the anxiety of science professors. The less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of eco-friendly education and the science education for infants and children, In addition, the higher the teacher's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the higher the scientific teaching efficacy, the higher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the nursery teachers than the teacher in charge of the infant lessons, and the teachers with experience in nature - friendly education or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Teaching efficacy was high.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 care teacher's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 science teaching anxiety,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Science-teaching anxiety, science-teaching anxiety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were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Third, it was shown that the child care teacher's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 and science teaching anxiety affect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teaching anxiety is more influential than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 The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 and science teaching anxiet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cience professors' personal efficacy among sub-factors of science teaching efficacy. On the other hand, the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xpectation of scientific teaching efficacy among the sub-factors of science teaching efficacy, but science teaching anxiety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Also, it showed that the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 and sub-factors of science teaching anxie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cience teaching efficacy.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factors affecting science teaching efficacy was found to be the greatest in 'characteristic anxiety'. In the sub-factor of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 'preparation for class', 'attitude toward nature' Affecting teaching efficacy.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he child care teacher's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 and science teaching anxiety affect scientific teaching efficacy. In particular, the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 suggests that systematic and continuous teacher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because it is a factor that can be sufficiently improved through in-service teacher training and education. In the subsequent study, it is expected that analysis and research based on in-depth data will be made. In addition, continuous education for teachers should be carried out by organizing various kinds of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eco-friendly education for child care teachers and science education for infants and toddlers.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연친화적 교수태도, 과학교수불안, 과학교수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고, 보육교사의 자연친화적 교수태도, 과학교수불안, 과학교수효능감이 서로 어떤 관계가 있는지 또한 보육교사의 자연친화적 교수태도와 과학교수불안은 과학교수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연친화적 교수태도, 과학교수불안, 과학교수효능감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보육교사의 자연친화적 교수태도, 과학교수불안, 과학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보육교사의 자연친화적 교수태도와 과학교수불안이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목적을 실행하기 위하여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중 281부의 설문지를 본 연구의 자료로 사용하였다. 보육교사의 자연친화적 교수태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강병재와 김경수(2015)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보육교사의 과학교수불안을 알아보기 위하여 Spieberger(1970)가 초등교사들의 과학 지도에 대한 불안 경향성을 측정하기 위해 제작하고, Westerback(1984)이 예비초등교사를 대상으로 과학적 상황으로 수정한 S-STAI(Science-State Trait Anxiety Inventory)를 배미양(2001)이 영유아 교사에 맞게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또한 보육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한 도구로는 Enochs와 Riggs(1990)에 의해 개발된 과학교수효능감 측정 도구 STEBI(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를 조부경과 서소영(2001)이 번역・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연친화적 교수태도, 과학교수불안, 과학교수효능감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보육교사의 학력이 높을수록 자연친화적 교수태도가 높았고, 자연친화교육 또는 영유아과학교육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가 연수 경험이 없는 교사보다 자연친화적 교수태도가 높았다. 교사의 연령, 학력, 교징경력이 높을수록 과학교수불안이 낮았고, 자연친화교육 및 영유아과학교육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가 연수 경험이 없는 교사에 비해 과학교수불안이 낮았다. 또한 교사의 연령, 학력이 높을수록 과학교수효능감이 높았고, 영아반 담당 교사보다 유아반 담당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이 높았으며, 자연친화교육 또는 영유아과학교육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가 연수 경험이 없는 교사보다 과학교수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자연친화적 교수태도, 과학교수불안, 과학교수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다. 자연친화적 교수태도와 과학교수불안, 과학교수불안과 과학교수효능감은 유의한 부적 관계가 나타났으며, 자연친화적 교수태도와 과학교수효능감은 유의한 정적 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자연친화적 교수태도 및 과학교수불안은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연친화적 교수태도보다 과학교수불안이 더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친화적 교수태도와 과학교수불안은 과학교수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과학교수 개인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다. 한편 자연친화적 교수태도는 과학교수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과학교수 결과기대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과학교수불안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자연친화적 교수태도와 과학교수불안의 하위요인이 과학교수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특성불안’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연친화적 교수태도의 하위요인에서는 ‘수업준비’, ‘자연에 대한 태도’, ‘유아발달’이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보육교사의 자연친화적 교수태도와 과학교수불안은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자연친화적 교수태도는 현직교사 연수와 교육을 통해 충분히 향상될 수 있는 요소이므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사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후속연구에서도 심도 있는 자료를 토대로 한 분석과 조사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하며, 보육교사를 위한 자연친화교육과 영유아과학교육 관련 연수와 교육프로그램을 다양하게 편성하여 지속적인 교사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