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주선용 고온 절연체의 표면 코팅 재료 개발

        김영채,문세기 한국결정성장학회 1995 한국결정성장학회지 Vol.5 No.4

        우주 항공 기술의 첨단인 Space Shuttle Orbiter(SSO)의 두 coating material 인 Reaction Cured Glass(RCG)와 Spinel(C742)을 제조하여, 표면 위에 부딪히는 원자들의 재결합 가능성 $\gamma$를 확산반응기에서 측정하였다. SSO의 재진입 온도인 약 1000K에서 C742의 산소 원자들의 재결합 가능성 $\gamma$는 $3 {\times} 10^{-2}$으로 RCG에서의 $4 {\times} 10^{-4}$ 보다는 더 큰 값을 갖는다. C742에서 $\gamma$값이 더 높다는 것은 RCG에서 보다 더 많은 활성점을 갖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낮은 온도에서 활성점에 있는 원자의 탈착을 유도함으로써 보다 활성이 낮은 표면 코팅 재료를 개발할 수 있다. The recombination of oxygen and nitrogen atoms on the surfaces of two coating m materials of the Space Shuttle Orbiter (SSO), a reaction cured glass (RCG) and a spinel (C742), was investigated. The recombination probability, $\gamma$, i.e., the probability that atoms im p pinging on the surface will recombine, was measured in a diffusion reactor. Value of $\gamma$ for oxy g gen atom on C742 ($3 {\times} 10^{-2}$) was much higher than that on RCG ($4 {\times} 10^{-4}$) at the tempera t ture of SSO re-entry (ca. 1000K). The higher value of $\gamma$ on C742 indicates a higher number d density of active sites than RCG. I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designing less active surfaces by i inducing the desorption at lower temperature.

      • KCI등재후보

        HCl(g)과 NH_3(g)를 이용한 ‘기체 확산 속도’에 관한 실험의 분석 및 개선 연구 -고등학교 화학 Ⅱ 단원에서-

        김영채,성숙경,정대홍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11 현장과학교육 Vol.5 No.1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observed in the experiment on ‘diffusion rate of gases’ in high school Chemistry Ⅱ text books and investigate the reason followed by suggestion of an improved experimental method. As typically introduced in textbooks, a few drops of HCl(aq) and NH_3(aq) were dropped at both ends of a glass tube, and then the position of ammonium chloride white ring created by the reaction with HCl(g) and NH_3(g) was measured. The position of the white ring changed with tim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ason of such change, the experiment was repeated using HCl and NH_3 gases, and the position of white ring did not changed with time. Meanwhile, the relative diffusion distance did not match with the theoretical expectation of the Graham's diffusion experiment but did with that of the Loschmidt's diffusion experiment. Based on this result experimental condition allowing equal partial pressure of HCl and NH_3 gases in hydrochloric acid and aqueous ammonia solution, respectively was found, and under the obtained condition the position of white ring did not change and was consistent with the theoretical expectation. This study is anticipated to help learners to understand the scientific concept of diffusion through the improved experiment. 본 연구는 고등학교 화학 Ⅱ 교과서에 제시되는 ‘기체의 확산속도 실험’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원인을 실험과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이해함 과 더불어 개선된 실험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과서에 제시된 확산속도 측정에 관한 전형적인 실험으로 유리관 양 끝에 염산과 암모니아수를 떨어뜨리고 여기서 발생한 염화수소 기체와 암모니아 기체가 확산하여 만나는 지점에서 나타나는 염화암모늄 흰 띠의 위치를 측정하였다. 생성된 흰 띠의 위치가 시간에 따라 일정하지 않고 이동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에 대한 원인을 찾기 위해서 순수한 기체 HCl과 NH_3를 사용하여 확산 실험을 수행하였고, 생성된 염화암모늄 흰 띠가 시간에 따라 이동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고 두 기체의 상대적 확산 거리는 Graham의 확산이론과 차이가 나고 Loschmidt의 확산이론과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염산과 암모니아수의 농도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두 용액에서 HCl과 NH_3 기체의 분압이 같아지는 조건을 찾을 수 있었고 이 조건에서 생성된 흰 띠의 위치가 변하지 않았고 그 위치는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선된 실험은 학습자의 실험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과학적 개념 도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맛지마 니까야의 공(空)수행 고찰

        김영채 한국선학회 2022 한국선학 Vol.- No.61

        공(空)에 대해 논할 때, 불교에서 처음 공의 개념을 도입한 세존의 견해보다 대승공관을 정립한 나가르주나가 정립하고 후세인이 발전시킨 공관에 기초해 이해하고 해석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세존은 『맛지마 니까야』에서 공을 한 품으로 설정하고 여러 경전에서 공을 수행과 연관 지어 설명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논고에서는 공을 수행관점에 기초해 구체적인 수행기술을 사용하여 마음공간에 존재하는 탐·진·치와 같은 마음오염원을 제거하고, 마음공간을 비우고, 존재의 실재를 있는 그대로 통찰해서, 존재의 속박에서 벗어나 자유롭고 행복하게 살 수 있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공수행과 연관 지어 마음현상을 물리적인 공간이 아니라 심리적인 공간으로 이해한다. 차원의 문제이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우주공간에는 절대진공은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이 상식이다. 마음공간에 존재하는 마음오염원을 비우고 공의 상태로 만든다는 것은 뭔가 다른 존재로 채운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수행으로 마음공간에 존재하는 마음오염원을 제거하고 마음공간을 비우는 공수행 기술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마음공간을 비우는 공수행은 깨달음뿐만 아니라 마음관련 분야에서 스트레스나 마음관리 프로그램으로 활용하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concept of Sunna (emptiness meditation) was introduced by Nagarjuna. The concept of sunna (e.m.) has been found in several places of Mahayana scriptures and later on, it was developed by others. The concept of sunna (e.m) is also found in the Majjima-nikaya connected with meditation practice as mentioned in Buddhist scriptures. The practice of sunna (e.m.) is used as several meditation skills and also as a tool to control the mind, three poisions like greed (raga), hatred (dosa) and delusion (moha) helping to remove mind pollutions and make emptying mind space, insighting the reality of existence as our life feel happy and free. The sunna (e.m.) is related with the mind phenomena, understood as spatial. The Sunna (e.m.) is not a physical railing but it is psychological space. it is matter of dimension but it is common sense that can never be vacuum in outer space. The sunna meditation, is a technic of removing the circle of mind and erasing the space of mind such as three poisions existing in the mind space. Learning mind space is not useful only for the enlightenment but also for stress and mind management programme in the field of mind related to the consciousness.

      • 전진적 결말추론의 발달

        김영채,문창현,윤정륜 대한사고개발학회 1995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reativity & Problem Vol.5 No.2

        Four target passages including distractive other eight passages were read to subjects ranging from the second grade to the university student population. And memory test having items asking fact and anothers, needing forward consequence inferening was given immediately after study as well as at one week delay. Fact item was derived from the explicit information given in the respective passage and the forward consequence inference item required Ss to make successful forard consequences on the basis of information given. . The forward consequence inferencing was spontaneous in nature and no strategies or cues were suggested to use. To summarize, first, the ability to make forward consequence inference seems to begin from the age of 7 (third grade) and fully develop at the age of 9 ( fifth grade ) . To be specific, subjects from the age of 9 were able to make successful forward consequence inference even after one week delay, though third graders failed at the delayed test. Second, the ability to make forward consequence inference seems to develop to a certain constant level (not incrementally through grades). This may suggest the natural forward consequence inferencing studied might be spontaneous one which is contrasted with the plan or strategy intending to remember. Third, to speak generally, subjects were able to remember the inferential semantic content better than the factual information given in the passages. And, finally, gender-bias subjectively reported was not correlated with either factual or inferential memory.

      • KCI등재후보

        창의적인 수업: 글재료의 이해와 창의력 개발

        김영채 대한사고개발학회 2009 사고개발 Vol.5 No.2

        학교교육의 핵심은 교과수업에 있고, 교과수업에서는 글재료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교과수업에서 교과목의 내용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지식을 습득토록 하는 교과내용목표와 창의적 사고기능과 태도를 개발해야하는 창의력 교육 목표가 자전거의 두 바퀴처럼 하나의 전체적인 과정으로 통합되지 못한다면 교과수업은 물론이고 창의력 교육은 여전히 미흡하고 부족하다고 말할 수밖에 없다. 본고에서는 교과수업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글재료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을 가르치는 것(교과내용의 수업목표)과 창의적 사고기능과 태도를 개발하는 노력(창의적 사고목표)이 전체적인 하나의 수업과정 속에서 어떻게 통합될 수 있는지를 논구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본고는 먼저 창의력과 창의력 수업을 간단하게 정의해 보았다. 창의력이란 창의적인 문제해결 능력이며 특히 수업과 관련하여 보면 발산적 사고의 창의력 교육에서 발산적-수렴적 창의력 교육으로 그리고 다시 창의적 문제해결의 창의력 교육에 이르는 3개의 위계적 수준으로 접근할 수 있다. 이해의 수준으로는 내용 이해(뼈대이해), 비판적 이해, 및 창의적인 이해(종합, 조합의 독서)의 세가지로 나누어 위계적이면서 동시에 교행적인 것으로 접근하였다. 아울러 글재료의 성질, 구조 및 글재료 이해의 세 가지 수준에 대하여 음미해 보았다. 글재료는 응집적이고 구조적이며 그리고 메시지 전달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그런 다음 글재료를 글의 일차적이 목표에 따라 이야기 글 (서사문)과 논설문으로 나눈 다음 각기의 이해의 수준에서 요구되는 창의적 사고기능들을 분석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교과내용의 습득과 창의력 개발은 떨어져 별개인 수업목표가 아님을 보여줄 수 있는 수업전략 몇 가지를 같이 제시해 보았다. This paper addressed how the creativity development/teaching could be feasible and accessible in teaching of curricular contents. In other words, it explored how the teaching/understanding of reading materials (curricular purpose) and the development of creative thinking and disposition (creativity development purpose) could be integrated within the whole process of instruc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it examined foremost the definition of creativity and creativity instruction and, then, nature and structure of text - the reading materials - and levels of text understanding. And then, thinking processes needed to understand deeply at different levels of content understanding, critical understanding and synthetic understanding were analyzed and discussed with narrative and expository texts separately. Finally, based on the discussions, specific teaching tips for the integration of text understanding and creativity development had been specifically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