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자 생성 텍스트를 활용한 문법 수업이 중학생의 문법 태도에 미치는 영향- 문장 성분 단원을 중심으로

        김수정,신현석 배달말학회 2022 배달말 Vol.71 No.-

        본 연구는 학습자 생성 텍스트를 활용한 문법 수업이 중학생들의 문법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문장 성분 단원 수업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2022년 6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 ○○중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여덟 학급의 184명 학생이 연구 대상으로 참여하였다. 통제 집단은 교과서 예문을 활용하여 문장 성분 단원을 학습한 중학교 3학년 네 학급 94명이고, 실험 집단은 학습자 생성 텍스트를 활용하여 문장 성분 단원을 학습한 중학교 3학년 네 학급 90명이었다. 문법 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김수정(2017)의 문법 태도 측정 설문지의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심층 면담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학습자 생성 텍스트를 활용한 문법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과 사후의 문법 태도 차이를 조사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184명의 학생 가운데 사전과 사후 조사에 모두 참여한 170명의 자료만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다. 설문지 분석 방법으로는 대응 표본 t-test를 활용하였으며, 심층 면담의 경우 귀납적 범주 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실험 집단 학생들의 문법 태도가 신장되는 것으로 나타나, 학습자 생성 텍스트를 활용한 수업이 학습자의 바람직한 문법 태도 신장에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은 실제 언어생활이 반영된 문법 수업을 통해 문법 태도 요인 중 ‘습관’과 관련하여 유의미한 변화를 보여주었다.

      • 초등학교 교사의 우리 민속춤 수업 운영에 대한 인식

        김수정,임영무 한국교원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12 학교체육연구소지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teaching Korean folk-dance in elementary schools. For this purpose, four teachers conducting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were interviewed on three topics; the general perceptions on Ko

      • KCI등재

        예술치료사가 지각한 직무스트레스와 치료적 동맹 관계분석

        김수정,최세민,오선미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10 놀이치료연구 Vol.14 No.3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rts therapist's job stress and therapeutic alliance perceived by arts Therapist. The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97 arts therapists who specialized in arts therapy at a graduate school, a learned society, association, and others and had arts therapy qualification level 2. To know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or a method of analyzing data, frequency analysis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rts therapists' job stress and therapeutic alliance,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therapeutic allianc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job stress by gender, workplace and work type. The arts therapists who are unmarried and in lower age has a higher job stress. Besides, the arts therapists who have a low education background and a shorter therapy career had a higher job stress. The arts therapist who have a shorter working hour in a week, a lower monthly income and do not participate in job related education and training had the higher jon stress. Secon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of the arts therapists and therapeutic alliance. In particular, a job related factor among sub-factors of job stress had a high negative correlation with factors of therapeutic alliance such as bonds, goal agreement and task consent. 본 연구는 예술치료사가 지각한 직무스트레스와 치료적 동맹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대학원이나 학회 또는 협회 등을 통하여 예술치료를 전공하고, 예술치료관련 2급이상 자격증을 취득 한 예술치료사 97명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분석을 하였으며 직무스트레스가 예술치료사의 치료적 동맹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성별, 주당 사례 수, 근무형태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연령변인, 결혼여부, 학력수준, 치료경력, 주당 근무시간, 수입, 직무관련 교육 및 연수 등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술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치료적 동맹은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특히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에서 직무관련요인이 치료적 동맹의 하위 요인인 유대감, 목표합의, 과제동의에 있어 부적상관이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고학력화"는 빈곤을 감소시켰는가? 1985년~2006년 도시가계조사 분석

        김수정 한국사회정책학회 2009 한국사회정책 Vol.15 No.2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education and poverty in South Korea. Special attention is given to the impact of rapid expansion of school attainment ("rush to higher education) on the poverty status for the last 20 years (1985-2006) using the Urban Household Expenditure Survey. Dividing the research period into two economically different times, I analyse the distribution effects and inequality effects of the expansion of school education each period.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poverty rates of all educational strata reduced in the first period but increased steeply after the economic crisis in the second period. The economic crisis at the end of 1990s enlarges the poverty gap between the education groups. Secondly, higher edu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escaping from poverty by changing the distributive effect of education. However, in the second period even the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continues, poverty risk of all groups tend to increase, making relatively low-educated people more vulnerable. Inequality effects overwhelmed positive effects of the distribution changes. Thirdly, after the economic crisis, economic status of high school graduates are downfallen, converted them into the vulnerable ("Degradation of the high school education"). As for the university graduates, the distribution change hasn't impact much but their relative advantage has been shrunk by the strong impact of the increasing economic insecurity. 이 연구는 1985년에서 2006년 동안 한국사회의 고학력화가 빈곤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시기별, 교육수준별 빈곤율 분해를 통해 살펴보았다. 빈곤에 대한 교육의 효과는 ‘분포효과’(고학력화로 인한 분포 변화 효과)와 ‘불평등효과’(학력별 빈곤위험의 증가)로 분해했으며 자료는 도시가계조사를 이용하였다. 주요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수준별 빈곤율은 1990년대 중반까지 모든 집단에서 서서히 줄어들다가 이후 모든 집단에서 증가추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경제위기 이후 교육집단별로 빈곤의 기울기가 눈에 띠게 달라지고 간격도 벌어지면서 집단별 빈곤격차가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지난 20년 동안 교육 분포는 지속적으로 빈곤율을 감소시키는 힘으로 작동하였지만, 위기 이후 대졸자를 포함한 모든 학력에서 빈곤위험이 증가했고 이는 빈곤율을 크게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동했다(강력한 불평등효과). 1995년 이전에는 분포효과가 크고 불평등효과가 작았지만 경제위기 이후에는 이 관계가 역전된다. 1995년을 기점으로 분포효과의 유리함을 거대한 경제적 불안정성 증가가 상쇄함으로써 하위집단별 빈곤이 큰 비율로 증가했다. 셋째, 경제위기 전후 빈곤율 급증에서 두드러진 특징은 고졸자의 경제적 지위가 크게 하락하고 빈곤위험이 증가한 것이다. 고학력화는 저학력 집단의 비중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중등학력의 저학력화”를 낳았다. 대졸자의 경우, 분포효과에서는 큰 변화가 없으나, 불평등 효과는 1995년 대비 2006년 4배 이상 증가했다. 경제위기는 대졸자의 유리함을 감소시켰고 이들 역시 빈곤위험에 노출시켰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덕 윤리와 의학전문직업성의 관련성

        김수정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1 생명윤리정책연구 Vol.5 No.2

        The goal of medical education depends on the end of the medicine. The end of medicine is to found in the process in which medical doctors seek for their identity. On the one hand, medical community accepts what their society asks for them and acts as one in order to protect its interest. One the other hand, it punishes those who violates moral code and insult the status of doctor in order to keep its integrity. This paper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professionalism and virtue ethics. First, it finds moral characteristics which are expected from medical profession. Second, it discusses on the purpose of medical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professionalism and virtue ethics. In order to discuss on virtues of medical professionalism, it is necessary to know its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primary activity. Virtues helps the medical profession to realize and accomplish its end whereas vices deter the realization of its end.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professionalism and virtue is defined through three characteristics. First, virtue ethics emphasizes the process in the moral agent interprets moral principles, choose the primary values, and makes good judgments. Second, deontology and utilitarianism overlooks the possibility of extraordinarily good actions. But, altruism and compassion toward the sick is somewhat built in medical profession. Virtue ethics is proper to explain moral characteristics of medical profession. Third, virtue ethics promotes moral sensitivity and helps to built moral habits among future medical professionals. Good doctors who built moral characteristics easily identify what is morally good action and what is not.

      • KCI등재

        의료행위에 대한 동의에서 환자 보호자의 법적 지위와 역할- 대행결정권과 공동의사결정을 중심으로-

        김수정 대한의료법학회 2019 의료법학 Vol.20 No.2

        In Korea surrogate medical decision makings happen without legal ground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search the issues in preparing policies for decisionmaking on behalf of unrepresented patients. As aspects of comparative law, there are two approaches. One of them is to regulate default surrogate list. If no agent or guardian has been appointed, some legislatures provide that members of patient's family who is reasonably available, in descending order of priority of not, may act as surrogate: (1) the spouse, unless legally separated; (2) an adult child; (3) a parent; or (4) an adult brother or sister. If none of them is eligible to act as surrogate, some legislatures allow close friends to make health-care decisions for adult individuals who lack capacity. On the other hand there are other legislatures which provide no surrogate decision maker list but oblige the responsible authority to determine with advice of family members or friends of the patient. In the end the first approach can not guarantee that the surrogate decision maker like family members or friends will determine in the best interest of the patient. 치료행위 등 의료적 침습행위가 이루어지는 경우 환자의 자기결정권이 보장될 수 있도록 설명에 의한 동의가 요구된다. 그런데 우리 의료 실무에서는 환자의 소위 ‘보호자’에게 의료행위에 대해 설명하고 동의를 받는 일이 매우 빈번하다. 보호자 개념은 의료법에서 여러 번 등장하지만, 정작 보호자의 자격이나 범위는 명확하게 규정하지 않으며, 병원에서 사용하는 수술동의서 등에서도 어느 범위의 사람을 보호자로 포섭할 것인지는 정의하고 있지 않다. 보호자가 문제된 사건들로부터, 환자의 법률상 배우자나 친족관계에 있는 사람을 의료기관이 보호자로 인정하고 있음은 짐작할 수 있으나, 설령 그렇다 하더라도 환자의 가족이 당연히 그를 위한 법정대리인이 되는 것은 아니다. 이 논문에서는, 환자의 소위 보호자가 환자의 의료행위 결정에 관여하는 경우, 환자에게 동의능력이 없는 경우와 있는 경우를 나누어 보호자에게 어떤 법적 지위를 부여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환자 스스로 동의능력이 없어 의료행위에 대해 동의 여부를 결정할 능력이 결여되어 있는 경우, 비교법적으로 다양한 해결책이 제시되고 있지만 크게 환자와 일정한 관계에 있는 사람을 법정 의료행위 대행결정권자로 규정하는 방법과 의료행위 대행결정권자를 규정하지 않고 의사가 의료행위 여부를 결정하되 환자의 가족이나 친구와 상담을 하거나 그에게 설명하는 방법이 있다. 본 글에서는 전자의 해법을 택하는 경우의 문제점을 논증하고, 후자의 접근에서는 주치의가 단독으로 결정함으로써 우려되는 권한 남용이나 경솔한 결정의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주치의 외의 다른 의사나 위원회의 동의를 얻는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 환자가 스스로 의료행위에 대해 동의 여부를 결정할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가족에게 환자의 상태를 설명하는 일도 실무에서 자주 일어난다. 환자와 가족 모두에게 설명하고 그로부터 동의를 받는 경우는 환자의 가족이 심리적으로 약해진 환자의 이해능력을 보충해주고 그의 결정을 심리적으로 지지해주는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되지만, 반대로 가족 본인의 이익을 위해 환자에게 불리한 결정을 하도록 연약한 상태의 환자를 조종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후자의 위험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가족과 환자가 분리된 상태에서 환자의 의료행위에 대한 동의 여부를 다시 한 번 확인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환자와 환자의 가족 사이의 공동의사결정에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실질적 보장 문제는 법학계에서는 다소 생소한 주제이기는 하나, 우리 사회처럼 의료행위 동의여부 결정에 가족의 관여도가 높은 사회에서는 앞으로도 계속 고민해야 할 주제일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