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업권 회계에 관한 연구

        김태용,정준수 한국수산경영학회 1980 수산경영론집 Vol.11 No.1

        Nowadays managers of fisheries enterprises and users of accounting information have a considerable interest in the fishery right. The fishery right, which is given by administrative quarters, is referred to exclusive fishing right in a certain coastal fishing ground, and it has been one of the property rights since the turn of the centur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improved accounting method of the fishery right from the side of accounting. To achieve this purpose, legal nature of the fishery right should be understood in the first place, for the fishery right, an intangible asset, is a sort of property right guaranteed by the fisheries laws. According to the basic law in the fisheries "Fisheries Law," the fishery right is broken down largely into three categories; culture fishing right, set fishing right and common fishing right.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these fishery rights are as followings: 1. The fishery right is a private right. 2. The fishery right is a property right. 3. The fishery right is a right in rem, and legal provisions pertaining to land are applied to the fishery right with necessary modifications. In addition to the above fishery rights, the Fisheries Law provides some provisions on the so-called entrance right, and those who obtained the right are authorized to access to a certain common fishing right fishing ground where they have been traditionally fishing. In the inland fisheries, the fishery right system similar to that of the coastal fisheries discussed above is adopted in conformity with the Inland Fisheries Developing and Expediting Law. Viewing from an angle of accounting, there are two kinds of additional fishing rights which are dealt as assets. These fishery rights dealt as asset include the license of entry in the so-called permitted fishing which is also called as fishery right in plain language, and the entrance right obtained abroad. Although these two kinds of rights are not the fishery right from a viewpoint of law, they are regarded as fishing rights in accounting which intends to provide a useful economic information. In accounting, therefore, a certain standard of cognizance should be established to sum up the expenditures on acquiring various fishery rights as intangible assets. In this study, the author attempts to establish some standards. They are as follows: 1. The fishery right should be limmitted to the fisheries. 2. There must exist some prospective benefits or service potentials on acquiring the fishery right. 3. Prospective benefits of the fishery right must be extended to a long period. 4. The fishery right must accrue to a specific individual or firm. 5. There must be a legally enforceable claim for losing the fishery right. 6. The amount of the expenditures on acquiring the fishery right must be important, or the fishery right must be a transferable right. If these standards are adopted, the fishing right created in the permitted fishing will be one of the intangible assets. In choosing this right as an account title, however, there are two theories run counter to each other; one theory insists that the right should be reported as "fishery right," and the other one insists that it should be reported as "goodwill. " Although these controversies may still be open to dispute, the author supports the latter on the ground of following reasons: 1. The right is not a legal right expressly provided for in the law, but an economic right based on the economic activities. 2. Since the value of the right is totally created from profitability, there is no ess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right and the goodwill. 3. It is useful in providing the users of financial statements with the accounting information to make a sharp distinction between the economic right and the legal right. The evaluation of the fishery right is needed in case of transferring the right. As regards the evaluating method, Applicability of the evaluating methods of the goodwill to those of the fishery right is examined, and it is found that two of them, namely the method of years' purchase of average excess earnings and the capitalization method, may be applicable. Since, however, it seems to the author that the value of the fishery right is combined one of the legal value and the value of profitability, the author suggests that a compromised method of the two methods, that is, evaluating the legal value on the cost basis and evaluating the value of profitability by the capitalization method, is a rational method. In amortizing the fishery right, it should be amortized by the fixed installment method during the available period of the fishery right provided in the fisheries laws, and the value of amortization should be reported by the direct method, for the fishery right is a limitted asset because of its limitted terms of validity. Finally, in reporting the fishery right on the financial statements, classification of fisheries(e. g., "Set fishing right") shold be shown when the amount of aquiring value is of significant importance, because it is helpful for the users of financial statements to identify the complicated various kinds of fisheries.

      • KCI등재

        기업결산보고서의 공시행태에 관한 연구

        김태용,서윤경 한국자료분석학회 2005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7 No.6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market effect associated with sequential annual earnings announcements and to review announcement behaviors for the different announcement dates. The sequential annual earnings announcement days include ① the reporting date of auditor's opinion (Event 1), ② the date of a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Event 2), and ③ the date when a daily newspaper announces balance sheets (Event 3). The results of abnormal return analysis show that, while the first annual earning announcement brings significantly positive response to stock price on and for 20 days after the Event 1, there are no reactions on and after the Event 2 and 3. For two/three days' CARs around the event dates, the CARs for Event 1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zero and also significantly larger than those for Events 2 and 3. The study concludes that the Event 1 is a timely and reliable disclosure for the annual earnings announcemen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announcement behaviors show that there is 32 calendar days between the Event 1 and 2, on average, while there is 3.2 calendar days between the Event 2 and 3. 본 연구의 목적은 결산공시의 시장반응을 각 공시일별로 검정하고, 공시일간의 소요기간과 각 공시일의 요일별 분포 등 공시행태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실증분석결과, 결산공시의 시장반응은 감사보고서일 직전부터 정기주주총회개최일 2-3일 전까지 4주간에 걸쳐 나타났고, 정기주주총회개최일과 일간지공시일 전후에는 시장반응이 없었다. 누적초과수익률의 차이를 검정한 결과, 감사보고서일과 정기주주총회일간의 차이가 유의하여, 감사보고서일 전후에 시장반응이 크게 나타났다. 횡단면 회귀분석결과, 감사보고서일을 사건일로 했을 때만 이익반응계수가 양(+)의 유의한 값이 나타났다. 한편, 공시행태의 분석결과, 감사보고서 제출일로부터 평균 30일 후에 정기주주총회가 개최되고, 이후 평균 3일이 경과된 후 일간지 공시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일별 분포를 보면, 감사보고서는 주로 주말(금요일과 토요일)에 집중적(48%)으로 제출되며, 정기주주총회개최는 80% 이상이 금요일에 집중되었고, 일간지공시는 50% 이상이 토요일에 이루어지고 있었다.

      • KCI등재

        편의점 방범인증제에 대한 경찰관들의 인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태용,조준택,박현호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5 경찰학논총 Vol.10 No.1

        국내에서 편의점을 대상으로 한 범죄가 증가함에 따라 경찰청에서는 편의점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2013년 ‘편 의점 방범인증제’를 시행하였다. 편의점 방범인증제는 업체의 자율적인 환경개선을 유도하고 일정한 자격을 갖춘 편의점에 대해 방범시설 우수 인증마크를 부여한다. 이 제도는 범죄로부터의 안전을 경찰 등 국가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업체 스스로의 자구노력을 촉진하도 록 하고 경찰청에서 공식적으로 인증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어 협력치안을 통한 범죄예방 측면에서 중요한 의 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이와 관련하여 국내에서 수행된 연구는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주민과 편의점 직원 등에 대한 조사연구는 일부 수행된 반면, 치안정책의 중요한 참여자인 경찰관들에 대 한 조사연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향후 효과적인 제도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경찰관들을 대상으로 편의점 방범인증제도의 필요성, 효과성, 평가기준의 적절성 등에 대한 설 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경찰관들은 전반적으로 제도의 필요성과 효과성, 평가기준의 적절성 측면에서는 긍정적으로 인식 하고 있지만, 제도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한 인지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심각성이 더해가는 편의점 범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일부 평가기준의 보완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 해 평가기준의 개선, 전담경찰관의 확보, 대내외 홍보 강화, 편의점 업계의 참여 활성화 등 편의점 방범인증제 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향후 제도의 개선을 위해 체계적으로 반영될 필요가 있다. As crimes against convenience stores increase in Korea, the National police Agency initiated the convenience store security certification system in order to prevent crimes in convenience stores in 2013. This system leads stores to improve working environment autonomously and assign a certification mark to a convenience store which gained an accreditation from the police by having secure facilities over a certain level. The system has a considerable significance in crime prevention through cooperative policing since the stores do not depend solely on the public policing but propel self-efforts for their store security, and the police certify the store formally. But, it is quite surprising that few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bout the convenience store security certification system. So far a couple of researches upon local residents and employees of stores have been conducted, but a research targeting police officers in Korea has not been carried out. So, we conducted a survey study on the police officers in Police Training Institute about the necessity, effectiveness of convenience store security certification system and the adequacy of the assessment criteria to gain th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Finding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Police officers generally have positive perceptions about the necessity, effectiveness, assessment criteria of the system. However, they are ill-informed about the detailed contents of the system and consider some parts of criteria should be upgraded to respond to the worsening crime targeting the convenience stores. Based on this results, we can provid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First, the assessment criteria of the certification requirements need to be improved. And resources need to be allocated appropriately so that particular personnel with proper expertise can be in charge of the certification program. In addition specific measures to reduce the workloads of the officers must be implemented as well. Also, the publicity activities of the system for police officers and store owners have to be reinforced and particular incentives should be offered for store owners to employ and apply for the certification. Finally, opinions and feedback of the convenience store industry must be taken into account in operating the system to revitalize the system.

      • KCI등재

        도교의 생명윤리

        한국도교문화학회 2008 道敎文化硏究 Vol.28 No.-

        <P>이 글은 도교의 생명윤리에 관한 연구이다. 동아시아 전통사상 가운데 생명의 개념을 가장 포괄적이고 농도 짙게 발전시킨 것은 도교이다. 생명중심의 종교인 도교철학은 ‘勸善成仙’을 주제로 한다. 생명의 존재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도교의 ‘勸善成仙’적 윤리학의 출발점이 된다. 도교의 생명문제에 대한 해결은 신선이 되는 것이다. 도교는 인간의 노력으로 ‘죽음’을 극복하고 ‘불사’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생명을 수련하거나 혹은 내단 혹은 외단을 단련하는 것 이외에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도덕적으로 선을 행하고 공덕을 세워 자신의 죄악을 씻어 버리는 것이다. 이처럼 생명철학과 윤리학이 접합이 되어 또 다른 성격의 생명윤리학을 형성한다.</P><P> 도교의 생명윤리이론을 응용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도교생명윤리의 원칙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자율성 존중의 원칙이다. 도교에서 인간은 자신의 생명을 타율적 자연의 흐름에 맡기는 것이 아니라, 자기의식 아래 자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주체적 능동적 존재이다. 자신의 夭와 壽는 하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개체자아의 의지에 따라 결정된다. 둘째, 선행원칙이다. 도교는 순박진실하고 선행이 실천되는 도덕적 이상사회를 지향한다. 이러한 도덕이상은 타인을 이롭게 하고 돕는 것을 인생의 즐거움으로 여기며 죄인도 관용과 柔和함으로 대해서 죄를 씻고 선행을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이러한 선행은 바로 불로장생으로 이어진다. 셋째, 악행금지의 원칙이다. 도교에서 재물이 있는 자나 도가 있는 자는 빈궁한 자나 부덕한 자를 구제하고 교화해야 한다. 만약 빈궁한 자의 재산을 빼앗거나 부덕한 자를 기만하는 악행을 한다면 죄를 얻고 요절하게 된다. 넷째, 생명존중의 원칙이다. 도교의 궁극적 목적은 생명의 영원한 보존에 있다. 만물가운데 인간의 생명이 가장 중요한 것이고 선 가운데 장수가 가장 으뜸이다. 그러므로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명은 그 무엇보다 존중한다.</P><P> 도교에서 자율성 존중 원칙은 생명 존중 원칙이라는 큰 틀 안에 갇힌다. 왜냐하면 도교라는 종교는 생명의 현세 지속성을 최고 가치로 여기기 때문이다. 도교는 개체 생명의 보호와 양육을 중시하고 장생불사를 인생에서 추구할 최고목적으로 여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전제가 필요하다. 그것은 바로 모든 인간은 타율적 존재가 아니라 자율적 존재로서 자신의 삶을 스스로 주재할 수 있다는 신념이다. 이 신념이 ‘我命在我’ 즉 인간 자율성 존중의 원칙인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도교의 자율성 존중 원칙은 생명의 존엄성을 지키기 위한 하나의 방법론적 원칙에 불과하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교의 생명윤리이론은 기타 원리보다 생명 존중 원리를 상위개념으로 놓고 윤리적 해답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보편적인 도덕이론을 구체적인 도덕문제에 적용시키는 하향적 접근법이다.</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