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성인지 예산제도화 방안 연구(Ⅳ)

        김영옥,김영옥,마경희,김영숙,이선행,김효선,차인숙,김안나,주소현,강미선,이상신,윤자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0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0 No.2

        Ⅰ. 연구개요 -이 보고서는 2006년 제정된 국가재정법에서 성인지 예?결산서의 작성을 의무한 이래 국내 재정운용시스템에 부합하는 성인지 예산 제도화의 실현을 목표로 2007년도부터 수행되어 온 성인지 예산 제도화 방안 연구를 마무리짓는 4차년도 연구의 내용을 담음. -성인지 예산 제도화 방안 연구(Ⅳ): 성인지 예산제도 모니터링 및 국가재정운용계획 개선방안??이라는 보고서 제목에서 나타나듯이 단기적 지평을 갖는 현재 제도 시행과정에 대한 모니터링과 중기적 전망을 갖는 재정운용계획이 올해 연구의 중점대상임. 각 주제를 제1부와 제2부로 나눴고 결론과 정책대안 역시 각 부별로 제시함으로써 독자적인 구성을 갖도록 함. -제1부는 2009년도에 수행한 ???2010년도 성인지 예산서? 작성 모니터링??연구의 2차년도 연구임. 일정상 2009년도에 포괄할 수 없었던 ?2010년도 성인지 예산서?에 대한 국회 심사(Ⅱ장) 및 행정부의 ?2011년도 성인지 예산서? 작성 과정을 모니터링(Ⅲ장)했음. 올해가 지난 4개년도 연구를 마무리하는 해인 점을 고려하여 성인지 예산제도 발전을 위한 국회관계자(11명), 담당 공무원(36명), 해외전문가(3명) 등에 대한 다양한 인터뷰를 통해 각 계의 의견을 수렴하고, 성인지 예산 제도 시행의 쟁점과 정책을 제언함(Ⅳ장). -제2부에서는 우리나라 예산이 중기재정 전망 하에서 수립?집행되므로 여성의 역량 강화 및 성평등을 목표로 한 중장기 재정운용을 어떻게 할 것인지, 여성부문을 탑재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국가재정운용계획 틀을 어떻게 바꿀 것인지가 그 중심을 이룸. 국가재정운용계획(2009∼2013년)의 분야별, 분야간 재원배분계획을 분석한 후 개선방안을 도출하고(Ⅴ장), 올해 수행한 성인지 예산분석 사례들로부터 중장기 재정투자 과제를 이끌어낼 것임(Ⅵ장). -성인지 예산 제도화 방안 연구가 시작된 2007년만 해도 성인지 예산이라는 용어도 낯설었음. “정부는 예산이 여성과 남성에게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정부의 예산편성에 반영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제16조 5호)와 “정부는 예산이 여성과 남성에게 미칠 영향을 미리 분석한 보고서(성인지예산서)를 작성하여야 한다”(제26조)라는 국가재정법의 관련 조항 이외에 다른 방향이 없었으므로 성인지 예산제도화 방안을 개발하기 위해, 성인지 예산서 작성을 위한 개념정립에서부터 성인지 예산서 양식과 작성 지침, 국가재정운용체계로의 탑재 방안에 이르기까지 탐색과 개발의 연속이었음. -다년간에 걸친 본 연구에 기초하여 ?2010년도 성인지 예산서? 및 ?2011년도 성인지 예산서가 국회로 제출되었고, 행정부의 성인지 예산서 작성과정 뿐 아니라 국회에서의 성인지 예산서 심사과정에 대한 분석까지 본 연구보고서에 담고 있으므로 이제 성인지 예산제도의 안착에 필요한 요소와 과제를 두루 점검하는 성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함.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Finance Law that made both the statement of gender budgeting and the settlement of accounts compulsory, various research to help institutionalize the gender budgeting in accordance with the domestic finance operating system has been constantly conducted. The following research report is the 4th since 2007 and completes the series of studies on ways of institutionalizing gender budgeting. As the title ?Ways to institutionalize gender budgeting(Ⅳ): monitoring gender budgeting initiatives and improving the Mid-term Finance Operating Plans? suggests, the report places great emphasis on monitoring current policy implementation as well as thoroughly examining long-term finance operating plans. The report is divided into two parts covering the two main topics, with each having its own conclusion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The first part is mainly about monitoring gender budgeting initiatives, including the National Assembly's examinations on ?2010 Gender Budgeting Statement? (Chapter Ⅱ) and the whole process of the ?2011 Gender Budgeting Statement? (Chapter Ⅲ). Considering that this year is the final year completing the last 4 years' researches, the major issue points and policy proposals in gender budgeting initiatives are discussed in more detail. Particularly, Chapter Ⅳ contains a collection of extensive opinions on the nation's gender budgeting from different bodies relevant to gender budgeting. They includ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public officers, and gender budgeting experts abroad. In the Focus Group Interviews, th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agree that the selection of target projects for gender budgeting should be based on the projects' relevance to current issues of gender equality. Prioritizing policies that are more closely related to current gender issues or which need immediate reaction is more important than merely increasing the number of target projects. The participants of the interviews also point out that some ways to vitalize examination of gender budgeting statements should be developed. They provide some ideas such as creating a special committee in the National Assembly to examine the results of gender budgeting statements. Unlike the current evaluation process that has been done by only a few members of the assembly who are personally interested in gender equality, making a comprehensive evaluation compulsory is expected to be more effective in its implementation. Another opinion is that training and workshops for gender budgeting are needed for those who are involved in budget evaluation across the board. In order for those people to become interested in gender budgeting and understand it properly, specially designed programmes are required. The members also argue that it is crucial to get the civic groups more actively involved in lobbying parliamentary members during the period of budget examination. The government employees who are responsible for target projects for gender budgeting believe that clear criteria in selecting target projects are necessary. They argue that the decision on criteria should be preceded by preliminary investigation and analysis. This is considered a better way of persuading government employees to be more active in gender budgeting and ensuring the high quality of their gender budgeting statements. In the focus group interviews, the government employees suggest various ideas on how to run gender budgeting which include introducing incentives or disincentives, operating training programmes, promotion activities, as well as providing blueprints on what direction the gender budgeting will take. Lastly, gender budgeting experts from abroad provide valuable guidance on Korea's gender budgeting. The specialists interviewed all concur with each other in the significance of gender information in the gender budgeting statement. However, they also agree that gender-segregated information is only a starting

      • KCI등재후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연구:광주·전남지역 유치원을 중심으로

        김영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5 유아교육학논집 Vol.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광주․전남지역 유아들이 성, 연령, 지역, 설립유형, 부모의 직업, 출생순위, 재원기간에 따라 친사회적 행동이 어떻게 다른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김영옥(2003)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척도(Prosocial Behavior Scale for Young Children:PBSYC)를 사용하여 만 3,4,5세 542명의 유아를 관찰하여 평정하였다. 연구결과 광주․전남지역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성별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 연령과 거주지역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또한 설립유형, 부모의 직업, 출생순위 및 재원기간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의 실태를 파악하여 지역사회 차원의 기초자료를 마련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증진시키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후속연구에 근거를 제공한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conditions of prosocial behaviors for the children in Gwangju and the Chonnam area according to gender, age, living area, foundation type, parents' occupations, birth rank, and period of attendance. To this end, the prosocial behaviors of 542 children aged 3, 4, and 5 years were determined using ‘A Rating Scale of Children’s Prosoical Behaviors (PBSYC, Kim Young Ok, 2003).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were no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Second, from all the subfields of prosocial behaviors, there were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between ages and living areas statistically.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rosocial behaviors depending on foundation type, parents' occupations, birth rank, and period of attend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