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수직 이동 자동사 연구(7)-(동반 이동〉을 중심으로

        金應模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1 牛岩斯黎 Vol.1 No.-

        이 연구는 현대 국어에 있어서 수직이동 자동사의 개개의 낱말 들이 하나의 낱말밭(Wortfeld)Ⅱ 속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치 가치(Stellenwert)를 우리 언어 공동체(Sprachgemeinschaft)의 세계관과 관련하여 해명해 보려고 시도된 것이다. 국어의 낱말들은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질서속에 다른 낱말들과 밀접하게 서로 어울려 상호협력·의존하는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Wallace, L, Chafe, 1973 : 82) 즉, 일련의 어휘는 아무렇게나 모여진 것이 아니라 의미상 어떤 관련성을 가지고 일종의 연상군(聯想群)을 형성하고 있다.(金應模, 1989: 1) 이 연구에서는 수직 이동 자동사 중에서〈동반이동〉을 의미 요소로 가지는 낱말들을 중심으로 사전에서(이희승, 1986) 발견되는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논의의 편의를 위하여 어휘적 포착의 방향성 가운데 관용적인 용법에 해당하는 낱말과 방언 및 고어는 제외하였으며, 우리 언어 공동체의 언어 생활과 관련이 깊다고 생각되는 서구외래어는 연구의 대상에 포함시켰다.(김응모, 1987 : 710) 이동 동사는 크게 평행 이동(전진이동, 후진이동, 전후진, 이동)과 수직 이동(상승이동, 하강이동, 상하 이동)으로 분류하여 고찰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수직 이동 가운데〈동반이동〉의 의미요소를 가진 77개의 낱말들을 대상으로 하여, 개개의 낱말들이 다른 낱말과 변별되는 특정을 규명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동반이동(同伴移動)을 의미 성분으로 가지는 자동사는 이동할 때 동시에 이동하는 하나 이상의 이동체를 전제로 한다. 이러한 경우의 이동체는 방향에 따라 상승 이동과 하강 이동 및 상하 이동이 있으며, 이동의 상호 위치에 따라 선행 이동, 후행 이동, 동행 이동이 있다. 그리고, 둘 이상의 이동체로 집단 이동이 있게 마련이다. 따라서, 분절 특성은〈동시 동반 수직 이동성〉을 공유하고 있으며, 내용에 따라〈선행성, 후행성, 동행성, 집단 이동성〉을 가지고 분절한다. 논의의 방법으로는 상승 이동, 하강 이동, 상하 이동의 순으로 하였으며, 먼저 원렉셈(Archilexem)을 중심으로 하여, 대영역(Gro-ssfeld)의 공통 특성을 논의한 후, 여기에서 분절되어 나온 부분 영역(Teilfeld)의 공통 특성을 논의하고, 개별 낱말의 고유 특성을 부가하는 형식을 취함으로써 논의의 중복을 줄였다. 우리는 이동 동사의 분절성을 해명함으로써 이동에 대한 객관세계가 우리 민족의 정신적 중간 세계(die geistige Zwischenwelt)에서 어떻게 분절되어 있는가를 조명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며, 이동 동사의 어휘 체계 수립이 가능해질 것이다.

      • 분노 자동사의 내용 연구(Ⅰ)

        응모 釜山外國語大學校 比較文化硏究所 2002 比較文化硏究 Vol.13 No.-

        This paper is aimed at studying the relative standings(Stellnwert) of a anger related intransitive verbs of Korean in the wordfield(Wortfeld) in relation to Korean people's perspectives on the outside world. Prior emphasis is given to semantic differentiation of the intransitive verbs related to anger. The archilexems will frist be set up by referring to the semantic contents(Inhalt) of thoes verbs related to a anger. Then, an attempt will. be made to present a proper classification of sub-fields of the wordfield with the help of the archilexems. We will start with explaining the common semantic factor of the big field(Grossfeld) of words, then go down to the small field(Teilfeld) for further elaboration of common characteristicts of articulated sub-fields. Finally, the idiosyncratic propertes of individual words are discussed so as to minimize redundance in explanation. This study, by surveying and artvulating a anger related words, sheds light upon how their semantic factor are definded and classified in the spiritual realm(die geistige Zwischenwelt) of Korean people and make possible the well formulated stracture of personality related vocabulary. As such this paper serves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inward spritual world as well as establising word structure that reveals the relationship of individual words. 지금까지 분노 자동사 1267ß 에 대하여 개별적인 분절성 을 논의하였다. 이제 이것을 바탕으로 하여 전체적인 분절구조 를 고찰하려 한다. (1) 분노 자동사의 내용을 많이 분포된 순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걸핏하면 성내어 말하는 내용이 32개(25.4%)로 가장 많고,막연히 분노를 표출하는 내용이26개 (20.63%)로 다음으로 많으며 분노가 울컥 치미는 내용이 137ß <10.32%)로 세 번째로 많다. 그리고 사소한 일에 화내는 내용이 10개 (7.94%) 이고 걸핏하면 화내는 내용이 8개 (6.35%)이며,일이 여의치 않아 성미부리는 내용이 7개 (5.56%) 이다. 분노로 상심 하는 내용과 불쾌하여 벌컥 화내는 내용이 각각 5개 (3.97%) 이고, 불만이나 원망으로 화내는 내용과 분노로 성미 가 삐뚤어진 내용이 각각 4개 (3.17%) 이며, 심중에 분노가 축적되는 내용이 3개 (2.38%) 이다. 그리고 소가지내는 내용과 툴툴거리며 불평하는 내용이 각각 2개<1 .59%) 이고,분노를 참지 못하는 내용,함부로 방자 하게 화내는 내용,무분별하게 성미부리는 내용,화가 나서 폭언하는 내용,노기를 띠고 말하는 내용이 각각 1개 (0.79%) 이다.

      • KCI등재
      • KCI등재

        변심 자동사의 내용 연구

        응모(Eung Mo Kim) 한국어학회 2001 한국어학 Vol.14 No.-

        This paper is aimed at studying the relative standings(Stellnwert) of a change of mind related intransitive verbs of Korean in the wordfield(Wortfeld) in relation to Korean people’s perspectives on the outside world. Prior emphasis is given to semantic differentiation of the intransitive verbs related to a change of mind. The archilexems will frist be set up by referring to the semantic contents(Inhalt) of thoes verbs related to a change of mind. Then, an attempt will be made to present a proper classification of sub-fields of the wordfield with the help of the archilexems. We will start with explaining the common semantic factor of the big field(Groβfeld) of words, then go down to the small field(Teilfeld) for further elaboration of common characteristicts of articulated sub-fields. Finally, the idiosyncratic properties of individual words are discussed so as to minimize redundance in explanation. This study, by surveying and artculating a change of mind related words, sheds light upon how their semantic factor are definded and classified in the spiritual realm(die geistige Zwischenwelt) of Korean people and make possible the well formulated structure of change of mind related vocabulary. As such this paper serves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inward spiritual world as well as establishing word structure that reveals the relationship of individual words.

      • 喪禮에 관련된 自動詞의 낱말밭 硏究

        金應模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4 牛岩斯黎 Vol.4 No.-

        어휘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개방 집합이며, 한 언어의 어휘를 구성하 는 어휘소의 수는 대단히 방대하다. 그러나 어휘의 집합이 아무리 방 대하다 하더라도 그것이 단지 산만하고 무질서하기만 한 집합이 아니 라 적절한 기준을 가지고 처리하면 그것의 면모가 질서 있는 모습으로 파악될 수 있다는 생각에서부터 어휘의 체계에 관한 연구는 시작된다. 따라서 어휘체계의 연구는 주로 그 방대한 어휘 집합을 적절한 기준에 의하여 분류해 내는 일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어떤 과학에서든지 그 연구의 대상이 되는 事象을 분류 정리하는 일은 그 분야의 가장 기초 적인 연구가 된다. 특히 어휘론에서는 수많은 어휘소들이 연구의 대상 이 되므로 이들 상호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근거하여 적절히 구분하 고 분류하는 작업을 통하여 정리 배열함으로써 수많은 어휘소들은 서 로 식별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을 거쳐서 비로소 어휘체계가 수럽된다 (金光海, 1993 : 107-108). 이 연구는 트리어(J.Trier), 바이스게르버( L.Weisgerber), 포르지히 (W.Porzig) 등의 낱말밭(Wortfeld) 이론에 근거하여, 현대 국어 중 상례에 관련된 자동사가 지니고 있는 개개의 낱말(word) 들이 하나의 낱말밭 속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치가치(Stellenwert)를 우리 민족의 세계관과 관련하여 고찰해 보려고 시도된 것이다.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동방예의지국, 백의민족’이라 불리어 왔다. 이것은 우리 민족이 예를 특히 중시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우리 민족은 반만년을 면면히 이어온 역사 속에서 우리만의 고유한 미풍양속을 가지고 있다. 이것이 바로 우리 민족의 개성이고 특징이다. 때로는 변화해서 그 시대에 맞게 간소화되기도 하고, 혹은 변질되면서 면면히 민족혼을 상징하는 행사로 이어져 왔다. 혼례, 상례, 제례, 수연 등 우리의 생활과 밀접한 격식들은 오늘날의 첨단 문명사회 속에서도 끈기 있게 그 맥을 이어오고 있다(兪悳善, 1993: 1). 사람은 한 번 세상에 태어나면 누구든지 반드시 죽게 마련이다. 사 람이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른 의례가 상례(喪禮) 이다. 喪이란 원래死亡을 뜻하여, 哀를 뜻하므로 사람의 죽음에 대하여 애도의 뜻이 담겨있다. 喪은 조상숭배에 기인한 체제의 일종으로 祭와 함께 선인에 대한 의례이니, 상례를 凶禮, 제례를 吉禮라고도 한다. 이 중 상례는 유교적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영역으로 그 절차와 형식은 오늘날도 거의 변화가 없다(李柱鉉 外二人, 1988: 90). 이러한 어휘에 대한 의미를 분석 연구하고, 어휘체계를 수립하며 나아가 상례에 대한 우리 민족의 세계관을 고찰하는 것은 뜻있는 일이라고 생각된다. 이 연구는 상례에 관련된 255개의 자동사를 대상으로 하여, 개개의 낱말들이 다른 낱말과 변별되는 특성을 해명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 다. 논의의 방법은 낱말의 내용(inhalt)에 따라 원어휘소(Archilexem) 를 중심으로 하여 상례가 진행되는 순서에 따라 부분밭(sub-field)으 로 분류하고, 먼저 대영역(Grossfeld)의 공통 특성을 논의한 후 여 기에서 분절되어 나온 작은 영역(Teilfeld)의 공통 특성을 부가하였다. 그리고 개별 낱말의 변별적 특성을 추가하는 형식을 취함으로써 논의 의 중복을 줄였다. 우리는 상례에 관련된 자동사의 분절성(Articulation)을 고찰함으로 써 상례에 관련된 의미요소가 우리 민족의 정신적 중간세계(die geis- tige Zwischenwelt)에서 어떻게 분절되어 있는가를 조명하게 되며, 자 동사의 어휘체계를 수립하게 된다. 이러한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안으 로는 우리 민족의 정신세계를 이해하고, 밖으로는 어휘체계를 수립하는 데 있다.

      • 출전·대적·공격 자동사의 내용 연구

        응모 釜山外國語大學校 比較文化硏究所 1998 比較文化硏究 Vol.9 No.-

        This paper is aimed at studying the relative standings(Stellnwert) of going to war, arch enemy, attack related intransitive verbs of Korean in the wordfield(Wortfeld) in relation to Korean people's perspectives on the outside world. Prior emphasis is given to semantic differentiation of the intransitive verbs related to going to war, arch enemy, attack. The archilexems will frist be set up by referring to the semantic ontents(Inhalt) of thoes verbs related to going to war, arch enemt, attack. Then, an attempt will be made to present a proper classification of sub-fields of the wordfield with the help of the archilexems. We will start with explaining the common semantic factor of the big field(Grossfeld) of words, then go down to the small field(Teilfeld) for further elaboration of common characteristicts of articulated sub-fields. Finally, the idiosyncratic propertes of individual words are discussed so as to minimize redundance in explanation. This syudy, by surveying and artel-dating a going to war, arch enemy, attack related words, sheds light upon how their semantic factor are definded and classified in the spiritual realm(die geistige Zwischenwelt) of Korean people and make possible the well formulated stracture of going to war, arch enemy, attack related vocabulary. As such this paper serves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inward spiritual world as well as establishing word structure that reveals the relationship of individual wo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