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K-REITs주가지수 및 수익률에 관한 연구

        김은실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39

        간접투자제도인 REITs의 도입으로 부동산투자의 방법이 다양화되고 있다. 또한 자본시장통합법에서 파생상품의 투자범위를 포괄적으로 변경하여 주식과 채권 이외의 REITs의 주식과 같은 실물에 투자하는 간접투자상품을 이용한 파생상품 개발도 가능하게 되었다. REITs가 우리나라에 소개된지 10년이 지났으며, 최근 부동산 투자의 새로운 투자수단으로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시장을 투명하게 설명해 줄 수 있는 지표의 부족으로 제도에 대한 시장의 신뢰가 부족하여 REITs라는 훌륭한 제도가 충분히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가지수와 같은 방법은로 우리나라 REITs시장의 지수를 구축하여 월별 수익률을 추정했다. 아직 전체 시장의 규모가 크지 않아 REITs의 상장과 폐쇄로 지수의 변동성이 높아 t 검정을 통하여 REITs의 상장에 따른 지수 변동성을 설명하였다. 또한, Value at Risk 측정을 통하여 우리나라 REITs 투자를 통한 위험을 측정하였다. 아직 우리나라 전체 REITs의 규모가 작아 한 개의 REITs의 영향성이 크며, 외국과 같은 일반적인 간접투자제도의 성격보다는 기업구조조정 REITs 와 최근의 개발REITs로 주로 이루어져 있어 일관성 있는 지수가 구축되지 못한 한계점이 있었다.

      • 식생활 교육 환경변인이 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계획된 행위이론의 통합모델을 중심으로

        김은실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839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educational effect of dietary education by dividing them into environmental variables, surrounding environmental variables, and personal variables so that children can help children's nutritional intake and growth development and lead a safe and healthy sustainable die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Hypothesis 1, it was found that the order of behavioral awareness and affective aware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norms, but cognitive awarene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ubjective norms. As a result of Hypothesis 2, it was found that cognitive awareness, affective awareness, and behavioral aware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attitude. As a result of Hypothesis 3, it was found that the order of affective awareness and cognitive aware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but behavioral awarene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It can be seen that the degree of influence by knowledg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education of affective awareness and cognitive awareness in self-efficacy. As a result of Hypothesis 4, cognitive awareness and behavioral awarenes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onsciousness, but affective awarene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nsciousness. As a result of Hypothesis 5, it was found that cognitive awareness, affective awareness, and behavioral aware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ducational effect in the order. As a result of hypotheses 6, 7, and 8, it was found that subjective norms and self-efficacy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and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consciousness. As a result of hypotheses 9, 10, 11, and 12, attitud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ducational effect, whereas subjective norms, self-efficacy, and consciousne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it was found that subjective norms, attitudes, and self-efficacy play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awareness and educational effect. And it was found that consciousness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awareness and educational effect. Subjective norms, attitude, self-efficacy, and consciousness appeared to play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ive awareness and educational effec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ubjective norms, attitudes, self-efficacy, and consciousness play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cognition and educational effects. In general, knowledge influences attitude, and attitude influences behavior.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dietary education, so it is thought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have experience that knowledge of dietary education does not stop at simple knowledge but can be put into practice. A sense of efficacy is also an important factor in having a positive attitude towards dietary education. Third, as a result of conducting a moderating effect analysi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nstructor and learner groups. The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path from cognition, cognitive awareness and affective cognition path to subjective norm, affective awareness path to attitude, and cognitive awareness and affective, behavioral awareness to consciousness, cognitive awareness to educational effect. 본 연구는 아동들의 영양 섭취 및 성장발달에 도움을 주고 안전하고 건강한 지속가능한 식생활을 영위 할 수 있도록 환경 변인, 주변 환경 변인, 개인적 변인으로 나누어 식생활 교육의 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중점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1의 결과 행동적 인식과 정의적 인식 순으로 주관적 규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지적 인식은 주관적 규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2의 결과 인지적 인식, 정의적 인식, 행동적 인식은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3의 결과 정의적 인식, 인지적 인식 순으로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행동적 인식은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에 있어서 정의적 인식, 인지적 인식의 교육에 따라 지식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가설4의 결과 인지적 인식, 행동적 인식은 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의적 인식은 의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5의 결과 인지적 인식, 정의적 인식, 행동적 인식 순으로 교육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6, 7, 8의 결과 주관적 규범과 자기효능감은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은 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9, 10, 11, 12의 결과 태도는 교육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에 반해 주관적 규범과 자기효능감, 의식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개효과 검증 결과 주관적 규범, 태도, 자기효능감은 인지적 인식과 교육효과 관계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의식은 인지적 인식과 교육효과 관계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규범, 태도, 자기효능감, 의식은 정의적 인식과 교육효과 관계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관적 규범, 태도, 자기효능감, 의식은 행동적 인식과 교육효과 관계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지식은 태도에 영향을 주고, 태도는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교육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식생활 교육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갖는 것이 우선되어야 하므로 식생활 교육에 대한 지식이 단순함에서 그치지 않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경험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식생활 교육에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긍정적인 태도를 지니기 위해서는 효능감 또한 중요한 요소이다. 셋째, 교수자와 학습자 집단 간의 차이점을 파악하고자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집단에 따라 인지적 인식과 정의적 인식이 주관적 규범으로 향하는 경로, 정의적 인식이 태도로 향하는 경로, 인지적 인식과 정의적 인식, 행동적 인식이 의식으로 향하는 경로, 인지적 인식이 교육효과로 향하는 경로에 대한 조절효과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다문화가정 부모의 유치원 교육에 대한 기대와 어려움

        김은실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부모들이 자녀를 유치원에 보내면서 유치원 교육에 대한 기대와 어려움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교육내용선정 및 부모교육의 지원체제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문화가정 어머니와의 면담을 통해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치원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부모는 유치원 교육에서 기대 하는 바가 무엇인가? 연구문제 2. 다문화가정 부모가 자녀를 유치원에 보내면서 느끼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G도내 N초등학교병설유치원의 다문화가정 어머니 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011년 3월 15일부터 2011년 8월 31일까지 다문화가정 어머니들과 총 20회의 면담, 20회의 전화통화와 이외에도 등․하교 시간을 활용하여 수시로 면담을 하였다. 자료 수집은 녹음, 문서수집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면담내용 전사 및 각종 문서자료 등을 분류하고 범주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연구문제에 따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부모는 유치원 교육에서 기대하는 바가 무엇인가? 다문화가정 부모들이 유치원 교육에서 기대 하는 바는 다양한 언어 습득의 기회, 한국의 전통문화 경험의 기회, 또래와의 어울림을 통한 사회성 증진의 기회, 자녀를 안전하게 맡길 수 있는 장소로서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습득과 이중 언어 교육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냈다. 어머니들은 한국어 발음 및 읽기, 쓰기의 부정확함으로 인해 자녀들의 한국어 교육은 교육기관에 위임하고 있었다. 또한, 자신의 모국어 및 영어 등의 언어도 자녀들이 교육받길 원하고 있었다. 둘째, 자녀들이 한국의 전통문화 경험의 기회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지 않은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한국 전통문화가 익숙지 않아 자녀들에게 알려주기에는 한계를 느끼고 있었다. 이 때문에 자녀들이 한국의 전통문화를 유치원 교육을 통하여 학습하기를 기대하고 있었다. 셋째, 자녀들이 또래와의 관계 형성을 통해서 사회성이 증진되기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거주 지역은 고립된 농촌지역이므로 또래들과의 교류가 힘들어 유치원 교육 속에서 또래들과 어울릴 기회를 원하고 있었다. 넷째, 자녀를 안전하게 맡길 수 있는 보육의 장으로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들은 자신들이 경제활동을 하는 동안 자녀들을 안전하게 맡아 줄 테두리와 교사의 역할을 기대하고 있었다. 2. 다문화가정 부모가 자녀를 유치원에 보내면서 느끼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이 자녀를 유치원에 보내면서 느끼는 어려움은 교사와의 의사소통의 어려움, 자녀의 기본생활습관 연계지도의 어려움, 학부모들과의 관계 형성의 어려움, 자녀의 유치원 부적응의 염려로 나타났다. 첫째, 어머니들은 교사와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어머니들은 한국말의 어려움과 바쁜 생활로 인한 시간 부족으로 교사와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과 가정과의 기본생활습관 연계지도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어머니들은 자녀들의 유치원과 가정에서의 생활 모습이 다름을 알고 당황하였으며, 유치원과 가정에서 연계된 기본생활습관 지도방법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었다. 셋째, 유치원 학부모들과의 관계형성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어머니들은 일반 학부모뿐만 아니라 같은 출신국의 다문화가정의 어머니들과도 관계 맺기에서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일반 학부모들과의 관계에서는 소외감을 경험하였으며, 출신국이 같은 어머니들과는 무관심한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넷째, 입학 전 자녀들의 유치원 적응에 대해 많은 염려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학교 부적응에 관한 매스컴 보도를 접한 후 염려가 더욱 가증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ctations of par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r kindergarten education and their difficulties in an effort to be of use for the selection of what to teach and for the establishment of a parent education support system. A qualitative research was implemented by having an interview with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wo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do par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ose children are sent to a kindergarten expect from kindergarten education? 2. What difficulties do they have in sending their children to a kindergarte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five mothers who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indergarten annexed to N elementary school in G province. The selected mothers were interviewed four times respectively from March 15 to August 31, 2011. In addition, they were interviewed five times respectively over the phone and five times on the way to kindergarten and back home. Data were gathered by recording, and document data were additionally collected. The interview data were transcribed, and all the data that included documents were classified and categori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What do the par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ose children are sent to a kindergarten expect from kindergarten education? The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expected that the kindergarten would provide an opportunity for their children to learn different languages, to experience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to improve their sociability by mingling with peers. Besides, they expected the kindergarten to become a place to which they could send their children without any anxiety. First, they expected the kindergarten to provid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bilingual education. The mothers entrusted the kindergarten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 due to their inaccurate pronunciation, reading and writing skills. Also, they wanted their children to learn their own native tongue and English. Second, they expected their children to have more chances to be exposed to Korean cultural heritage. The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o didn't live in Korea in childhood weren't familiar with Korean traditional culture, which made it difficult for them to inform their children of it. So they expected their children to learn about Korean traditional culture at kindergarten. Third, they expected their children to fit in with their peers to foster their sociability. Since they dwelled in an isolated rural area, it's not quite easy to mingle with peers, and they wanted that their children would have a chance to mix with peers. Fourth, they expected the kindergarten to become a place to whom they could send their children without any anxiety. The mothers expected that kindergarten teachers would take care of their children while they were working. 2. What difficulties do the par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ave in sending their children to the kindergarten? The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aced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with teachers, in teaching their children about basic life habits in collaboration with teachers and in relationship building with parents. Another difficulty was fear for the possible maladjustment of their children. First, the mothers found it difficult to communicate with teachers. It was not easy for them to communicate with teachers because of their poor Korean language skills and time constraints. Second, they found it difficult to teach their children to get into the right basic life habits in cooperation with the kindergarten. They were at a loss when they found that at kindergarten, their children were not like what they were at home, and lack of teaching methods that could be used jointly by the kindergarten and families to teach basic life habits gave them lots of difficulties. Third, they found it difficult to be in good relationship with other parents. It was not easy for them to form friendly relations with either Korean parents or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who came from the same nation as them. They felt left out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with Korean parents, and mothers who came from the same nation were disinterested or kept some distance from them. Fourth, they were very worried about the kindergarten adjustment of their children before they entered the kindergarten, and their anxiety was more compounded when they heard about the school maladjust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massmedia.

      • 장난감 전시 공간 디자인에서의 뉴미디어 활용에 관한 연구

        김은실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1839

        오늘날의 많은 현대인들이 어린 시절 가지고 놀던 장난감을 차마 버리지 못한 채 집안 한 구석에 오랜 세월 보관되어 함께 살아오는 일은 비일비재하다. 장 난감의 가치를 판단할 때 키덜트들의 모임이나 블로그, 중고장터를 통해 그 장 난감이 얼마나 소장 가치가 있느냐 없느냐를 판단하는 기준은 키덜트 나름의 판단이나 희귀성으로 단종되거나 몇 개 한정이라는 카테고리 속에서 같은 종류 의 장난감도 그 대우는 천차만별로 달라지게 된다. 현대의 장난감들은 캐릭터 시장의 발달과 함께 전자기기, 애니메이션, 인형, 책가방등 다양한 캐릭터 상품으로 등장하여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으며 고부 가가치 산업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현재 많은 어린 아이들이 점점 스마트 기기 에 빠지고 놀이 문화의 변화로 잊혀지고 쉽게 버려지고 있는 현실이다. 하지만 어린 시절의 장난감에 대한 변치 않는 애정을 지닌 키덜트 중에는 현대 사회에 서 잊혀 질 수도 있는 장난감들을 모아 토이뮤지엄이란 공간을 만들어 전시하 고 새로운 문화로써 발전시키기 위해 부단히도 노력한다. 단순히 장난감만을 수집하는 것이 아니라 목적성과 발전성을 지닌 문화산업으 로 부가가치 창출은 물론 많은 이들의 지지를 받는 것이 사실이다. 매년 장난 감 엑스포나 하비 페어 같은 장난감을 판매하거나 홍보하는 다양한 전시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급변하는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사람들의 생활환경에 영향을 주고 있는 뉴미디어를 통해 차별화된 장난감 전시 공간 디자인을 새롭게 제시 하고 사회 전반으로 보여지는 키덜트 문화와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자가 소장하고 있는 다양한 장난감들을 소개하고 뉴미디어를 활용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장난감을 주제로 영상 및 설치 작품을 만들고 체 험적 인터렉티브 요소를 활용하여 어린아이와 성인들이 모두 즐거운 경험을 할 수 있다는 타당성과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현대 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다양한 문화현상을 통해 고부가 가치 산업으로 발돋움하고 있는 키덜트 문화의 배경으로 탄생된 토이뮤지엄 공 간 디자인을 제시하여 아날로그와 디지털기술의 융합으로 미래지향적인 장난감 전시 공간 디자인으로 탈바꿈하여 관람객의 재방문율을 높이고 장난감과 관람 객과의 다양한 인터렉션을 통해 간접 체험의 한계를 넘어 공간 확장의 다양성 과 디지털 기술을 통한 상호작용은 관람객으로 하여금 재미와 함께 다양한 정 보 환경을 만들어 줌으로써 정체되어 있는 장난감 전시 공간의 새로운 모형을 제시하고 많은 토이뮤지엄들의 변화된 전시 형태를 촉구하여 키덜트 문화를 새 로운 전시문화콘텐츠로 발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 지역 축제기록의 기록화 방안 연구

        김은실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39

        인류의 전통적 문화행위인 축제는 오늘날 지역의 문화자원을 소재로 다양하게 개발되었고 문화적·사회적 가치와 함께 경제적 가치가 부각되면서 21세기 특수한 문화산업자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 문화의 정체성과 공동체성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문화행사이자 지방자치단체들을 중심으로 경쟁적으로 개발되어 한해 전국에서 1000여개 이상 연희되고 있는 지역축제와 관련한 기록과 지식. 정보들이 어떻게 생산되고 관리되어지고 있는가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되었다. 축제에 대한 지식과 정보의 축적 그리고 공유는 그것이 기록으로 관리되고 있어야 가능하며 이러한 지식·정보의 관리는 기록관리가 필수적으로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나 성공적인 지역축제로 평가받고 있는 대표적인 문화관광축제들 조차 낮은 기록관리 인식과 축제를 추진하는 조직 구조의 특수성으로 인해 축제를 주관하는 지방자치단체들에 의해 예산과 정책결정 문서 위주의 기록만이 생산되고 있다. 또한 남겨진 기록들조차 비 전문적인 보존기간 책정으로 준영구, 영구기록들이 전무하였다. 이는 남겨질 수 있는 가치 있는 기록조차 남겨지지 않고 사라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성공적인 지역축제를 개최하기 위해서는 치밀한 기획과 체계적인 운영 그리고 그 노하우의 지속적인 축적과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향후 축제 운영의 효율성과 전문성을 위한 지식정보로써 활용되기 위해서는 축제의 준비과정부터 마지막 평가과정에 이르기까지 축제 전 과정이 기록화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축제 전 과정의 기록화의 첫 단계로 가장 먼저 지역축제 추진과정의 기록화 대상을 파악하기 위해 축제 추진 전 과정의 업무프로세스를 분석하여 단계별로 세부적인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단계별 업무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록과 그 기록의 특성을 파악하여 기록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렇게 지역축제 기록의 체계적인 생산과 축적을 통해 지역문화의 중요한 지식정보이자 지역의 중요한 기록물로써 가치를 부여하고 신뢰성 있는 지식정보자원으로서 보다 적극적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festival which human traditional culture action has developed variously each culture resource in local area. It is beginning to make a mark by special culture industry resource the 21th century as cultural, economical value with social value is embossed observe. This study was begun in interest about how knowledges and informations of festival produced and are managed. Now the festival which developed competitivily with local governments as the central figure and connected with local festival that is giving a play more than 1000 in whole country. Also it is representative culture event that reflect identity of local culture and community attribute. It is available that knowledge, accumulation of information and public ownership about festival it is managed by record. In addition the record management is required for the managemen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compulsory. But, the record about only budgets and policy decision documents are produced by local governments that manage by peculiarity of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lack of recognition in record management even representative culture visit festivals been evaluating to successful local festival. Also, the record that give left such as the permanent records and semi-permanent records were wholly lacking cause of appropriation rain special conservation period, lastingness recordings were wholly lacking. This shows that worth record is disappearing even more valuable and preservable. It is necessary that elaborate plan, systematic operation, continuous accumulation and management of these know-how to hold successful local festival. Archiving of the festival in whole process is required until last appraisal process from ready process of festival as efficiency of festival operation and knowledge information for professionalism hereafter. A study that analyzes business process of festival propulsion in whole process and grasped special quality that detail step by step in order to grasp archiving target of local festival propulsion process as first step of an archiving of festival whole process. Also, I wished to propose archiving method it's characteristics and the record that can happen at step business process. More than as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s that give value and is reliable as important documental of local as it is important knowledge information of local culture through systematic production and accumulation of local festival record are expected more actively

      • 정신장애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 정신장애인이 인지한 가족기능 및 가족지지를 중심으로

        김은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정신장애인을 바라보는 관점 또한 변화하여 정신병리로 여기고 병원, 시설중심이 아닌 가족 곁에서 지역사회 속에서 타인과 더불어 생활하며 사회복귀, 재활치료를 근간으로 하여 정신장애인의 가족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인간은 여러 체계 속에서 관계를 맺으며 생활해 나아가는 이를 포함하는 최소단위이자 중요한 체계를 가족이라 할 수 있다. 가족은 단순한 개개인이 모인 집단이 아닌 하나의 전체 체계를 구성하는 집단으로 서로 상호 연결 지어 긴밀한 영향을 주고받는다고 보고 있다. 가족구성원간의 연관성뿐만 아니라 외적 환경간의 상호작용을 주고받으며 변화한다. 이에 가족원 한 사람에게 신체적, 정신적 장애가 발생하였을 때 가족은 기능적 단위로서 심각한 정도의 정서, 사회적 반응을 나타내며(Bolch, 1983), 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의 정신적, 신체적, 경제적 부담은 불가피하다고 볼 수 있다(서미혜, 오가실, 1993). 이렇게 정신장애인이 부담감을 제공하기는 하지만 병리적 증상이나 손상된 기능장애, 높은 재발률, 장기적 치료와 보호 등을 특성으로 하는 정신장애인과 그를 돌볼 일차적인 책임 및 그에 따른 치료필요 결정과 치료시설 선정의 역할을 갖게 되는 가족 관계 및 기능 측면에서의 가족은 정신장애인의 여러 환경 중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정신장애인에게는 이와 같은 가족기능, 가족지지의 역할뿐만 아니라 정신장애인 스스로가 스트레스에 적응, 스트레스 상황에서 적절하게 대처하는 능력 역시 그들이 지역사회로 나와 사회적응과 사회통합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인이 인지한 가족 기능, 가족지지에 따른 스트레스대처방식을 연구하여 가족의 기능과 지지가 정신장애인에게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신장애인의 스트레스 요소와 스트레스대처방식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또한 정신장애인이 인지한 가족기능 및 가족지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자의 집단간 차이가 있는 규명해보았으며, 정신장애인이 인지한 가족기능 및 가족지지는 정신장애인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DSM-Ⅳ 진단기준에 의거하여 정신장애로 진단되어 현재 지역사회에서 생활하며 낮병원, 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시설에서 재활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05년 4월 18일부터 5월 6까지 서울 경기지역의 종합병원 낮병원 1곳, 개인병원 낮병원 1곳, 정신보건센터 3곳, 사회복귀시설 4곳에서 이루어져 분석에 총 87개가 사용되었다. 조사연구를 통하여 산출된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정신장애인이 인지한 가족기능은 가족 응집성과 적응성으로 나뉘어서 측정되었는데 가족응집성은 점수 수준별 단절, 분리, 연결, 밀착으로 나뉘게 되었으며 평균 35.15으로 정신장애인이 인지한 가족 응집성은 연결집단으로 나타났으며, 수준별 분포를 보면 밀착 집단이 27,6%, 단절, 분리, 연결 집단이 각각 24.1%를 차지하고 있었다. 가족 적응성은 경직, 구조, 융통, 혼란 4개의 집단으로 나뉘며, 전체 평균은 32.53으로 융통집단에 속해있었다. 집단별 분포를 살펴보면 구조집단이 34.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경직 29.9%, 융통 18.4%, 혼란 17.2%로 나타났다. 가족의 기능을 살펴보기 위한 가족 응집성과 적응성에서 나뉜 수준을 토대로 16가지 유형을 가족 응집성과 적응성이 높을수록 가족이 기능적인 것이 아닌 두 차원이 중간수준에서 적절한 균형을 유지할 때 가족이 가장 기능적임을 나타내며 균형집단, 중간집단, 극단집단으로 가족체계유형이 세 집단으로 분류된다. 본 연구결과 가족 응집성과 적응성이 중간수중을 유지하고 있는 균형 집단이 39.1%, 중간가족이 23.0%, 극단적인 가족이 37.9%임을 볼 수 있었다. 정신장애인이 인지한 가족지지도의 점수는 총 89.3점, 평균 3.57점으로 점수의 분포수준이 25점에서 125점의 범위에서 볼 때 중간정도를 조금 넘는 수준임을 볼 수 있었으며, 문항별 점수를 살펴보면 ‘가족은 내가 마음 놓고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사람들이 아니다’ 4.06점(역환산값), ‘가족은 배울점이 없으며 존경할 만한 사람이 아니다’ 3.98점(역환산값), ‘가족은 내가 어떤 선택을 해야만 할 때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조언해 주지 않는다’ 3.83점(역환산값), ‘가족은 내가 현실을 이해하고 사회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건전한 충고를 해주지 않는다.’ 3.79점(역환산값), ‘가족은 내가 병들어 눕게 되어도 나의 일을 대신해 주지 않는다.’ 3.79점(역환산값) 등 정신장애인이 인지한 가족들은 그들에게 의지, 조언, 충고를 제공해주며, 존경할 만한 가족이라고 지각하고 있었다. 반면 ‘가족은 내가 잘했을 때(좋은 결과를 얻었을 때) 칭찬을 아끼지 않는다’. 2.39점, ‘가족은 내가 필요하다고 하면 아무리 큰 돈이라도 마련해준다.’ 2.76점 등 가족이 정신장애인에게 칭찬에 인색함을 볼 수 있었으며 이는 조언이나 도움을 가족이 제공하고는 있지만 정신장애인에게 성과에 대한 정서적 격려가 부족하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정신장애인이 느끼는 스트레스 정도는 평균 35.75점 표준편차는 26.8020이었으며, 정신장애인의 평균 스트레스 사건수는 18.24건으로 나타났다. 정신장애인의 스트레스 요인들을 보면 자신의 학교 졸업문제, 결혼문제, 시험실패, 중요한 시험, 주거 및 이웃환경의 변화 등의 문제에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외에도 학업중단, 이성교제, 가족간의 이야기 시간 줄어듦, 부모님과의 의견충돌, 가족내에서의 발언권 줄어듦, 실수입감소, 직장변경, 신체적인 변화, 주의 사람들의 죽음, 친구와의 불화, 친구사귀기, 신앙생활 등의 문제에 스트레스를 지니고 있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정신장애인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사회적지지 추구대처가 2.22로 가장 높았으며, 소망적 대처 2.18, 문제집중적 대처 2.16, 정서완화적 지지 2.10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제집중적 대처와 사회지지추구대처로 적극적 대처는 2.20, 정서완화적대처와 소망적대처의 소극적 대처 2.18보다 다소 높은 평균을 보였다.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 정신질환 관련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는 정신장애인의 성별, 유병기간, 프로그램참여기관, 가족력 측정변인의 집단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장애인이 인지한 가족기능으로 우선 가족 응집성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차이 비교에서는 문제집중적 대처, 사회지지추구대처, 정서완화적대처, 소망적 사고대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가족 적응성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를 비교에서는 문제집중적 대처, 사회지지추구대처, 정서완화적대서, 소망적사고대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정신장애인이 인지한 가족 기능에 따라 나눠진 가족체계유형에 따른 스트레스대처방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가족 응집성과 적응성이 적절한 수준을 유지하는 가족 균형있는 가족집단, 중간집단, 가족 응집성과 적응성이 양 극단 수준을 유지하는 극단 가족집단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장애인이 인지한 가족지지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는 가족지지를 가족지지 점수의 전체 평균을 기준으로 하여 가족지지가 평균보다 높고 낮은 집단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정신장애인이 인지한 가족지지가 평균보다 높은 집단이 스트레스 상황에서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문제집중적 대처를 가족지지가 평균보다 낮은 집단에 비하여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신장애인이 인지한 가족지지가 평균보다 높은 집단에서 그렇지 못한 집단에 비하여 어려움 상황에 직면하였을 때 가족 혹은 전문가에게 조언이나 도움을 얻는 사회지지추구대처를 더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장애인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밝히기 위하여 정신장애인이 인지한 가족기능 및 가족지지와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상관관계 및 영향정도를 살펴본 결과, 먼저 정신장애인이 인지한 가족기능 및 가족지지와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족기능과 지지와 스트레스대처와는 미약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체적으로는 스트레스 대처방식중 문제집중적, 사회적 지지추구, 소망적 사고대처에서 가족기능보다 가족지지의 상관계가 크며 가족지지와 스트레스대처방식과의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정신장애인이 인지한 가족기능 및 가족지지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가족기능, 가족지지가 스트레스대처방식을 설명함에 있어 9%로 낮은 설명력을 지니고 있지만 가족지지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유의미한 변수로 채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정신장애인이 인지한 가족지지는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임상실천에서 정신장애인의 가족지지향상에 대한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정신장애인과 가족구성원에게 자신의 가족 기능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인식하여 변화를 모색하는 프로그램 개발 혹은 상담이 중요하다. 이는 정신장애인이나 그들의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이나 상담시 가족기능에 따라 분류된 가족체계의 균형, 중간, 극단 가족의 구분을 주지하여 그들이 객관적으로 가족의 모습을 바로 볼 수 있도록 도와주며 자신들의 가족 기능을 인식, 수용단계를 거쳐 변화에 대한 동기부여 후 그에 따른 개별적 개입계획 수립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정신장애인의 가족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가족 교육 혹은 상담을 유지하되 가족과 정신장애인이 함께 하는 가족 교육 혹은 상담 시간이 필요하다. 정신장애인은 가족의 칭찬, 조언, 도움에 있어서 지지가 적은 것으로 나타나 정신장애인은 가족과의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여 지지나 칭찬을 받으며 가족의 한 구성원으로 자리잡고 있기를 원한다는 것이다. 정신장애인과 가족구성원과 함께 하는 시간을 마련하여 치료자와 함께 상담, 의사소통을 통하여 치료자는 가족의 역동을 토대로 보다 효과적으로 클라이언트와 가족을 이해할 수 있으며, 정신장애인과 가족은 집에서 시간을 갖고 이야기하기 힘든 점들을 서로 이야기하여 불만, 의견을 털어놓으며 지지, 조언을 주며 서로간의 이해의 폭을 넓혀 나아갈 수 있다. 셋째, 정신장애인 스트레스 관리와 더불어 적극적이고 다양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지닐 수 있도록 재활,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특정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옳고 그르다는 것보다는 어떤 방식이 더 효율적인 지에 초점을 맞추어 문제집중적대처방식과 사회적지지추구대처인 적극적 대처방식을 중심으로 긍정적으로 스트레스 대처하는 방법을 제시하여 주며 다양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지녀 스트레스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stress and stress coping methods of the mental disorder according to the family function and the family support perceived by the mental disorder. It is important for mental disorder who are weak stress how to control and cope with stress. From this study, we can use the results as a basic information to advance adaptation of mental disorder and develop social work program for stress coping methods. 【Question 1】What is the stress category perceived most seriously by mental disorder? 【Question 2】What is the stress coping methods of mental disorder? 【Question 3】What is the family function and family support perceived by mental disorder? 【Question 4】What are the influence of family function and family support perceived by mental disorder on stress coping methods? The population of the study is the one who are joining the rehabilitation program in attending to day hospital, mental health center, and mental health rehabilitation agencies in Seoul and Kyonggi area and the individuals with mental disorders who are possible to conduct a survey. Totally, 87 copies acquired from 9 organizations was used as analysis resources. The survey tools was SRRS(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stress coping methods, FACESⅢ(Family Adaptability Cohesion Evaluation), and family support. And FACESⅢ was measured family adaptability and family coherenc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PSS PC 12.0.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1. Stress categories perceived most seriously by mental disorder were graduation, marriage, fear to exam, changing environment, decreasing cmmunication with family, conflicts with parents, and so on. 2. Problem solving method was mean 2.20(Sd .65), and social support-focused method was mean 2,22(Sd .73). The passive coping method was classified emotion-focused method and wishful thinking method. The emotion-focused method was mean 2.01(Sd .54), and the wishful thinking method was mean 2.18(Sd .63). Mental disorder coped with social support-focused method on stress more than any other method. ANOVA discovered statistical significant effect in variables; gender, duration, kinds of service agencies. 3. First of all, the family function was classified with balanced family, mid-range family, and extreme family, based on providing measures of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The balanced family of mental disorder was 34%. ANOVA of the family function level for member and society discovered significant effect in variables: gender, economy. The family support was mean 3.57 which was lower than non-psychiatric peoples. And ANOVA didn'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in variables. 4. Only Stress coping method of mental disorder and family support has weak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adjusted R square is 9%. And the regression equation on family support os statically significant. So it showed the stress coping method of mental disorder explained well suing family support rather than family function. This study indicated that it is important for mental disorder to perceive supporting from their family. According to having family support, mental disorder use more various and positive stress coping method than any others. These finding have provides various implication for social workers of mental health rehabilitation. The social worker should have intervention to our clients and their family to increase family support and should try to develop clinical program which enhance that mental disorder has various and efficient stress coping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