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지혜의 『喜怒哀樂』 for flute and piano 분석연구

        김지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71

        본 논문은 김지혜의 『희노애락』 for Flute and Piano에 관한 분석연구이다. 이 곡은 『희노애락』이라는 제목과 같이 4개의 주요한 부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 2개의 주제를 한 부분으로 엮어 A-B의 큰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이 곡은 2개의 주요한 음, G와 C#이 중심이 되고 있는데 이는 무조음악이지만 으뜸음과 딸림음같은 큰 축이 되어 곡의 기둥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고 이 곡의 4부분들은 각자의 경계가 뚜렷하지만 이 중심음들을 통해 통일성을 도모하였다. 또한 반음관계의 음들의 옥타브 배치를 통하여 스케일느낌을 지우고자 하였고, 클러스터의 음형을 악기간, 혹은 성부간을 나누어 익숙하지 않은 울림을 찾고자 하였다. 느슨한 플룻의 선율로 시작하지만 갈수록 좁아지고 빨라지는 음형으로 클라이막스를 이루고 후반부엔 다시 길고 긴음가로 돌아가 마무리되는 A-B-A’의 형식을 따랐다.

      • 한국인 학습자 코퍼스와 원어민 코퍼스에 나타나는 if-조건문의 사용양상 비교

        김지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학습자 코퍼스와 원어민 코퍼스에 나타난 if-조건문의 사용양상을 비교하여 if-조건문의 사용에 있어 원어민들과 대조가 되는 한국인 학습자의 특징을 밝히는 것이다. If-조건문의 사용양상 중에서도 특히 조건절과 결과절의 동사구 형태면에서 한국인의 if-조건문과 원어민의 if-조건문이 어떻게 다른지에 초점을 두고 조사하였다. 아울러 한국인 학습자의 if-조건문 오류를 분석하여 빈출하는 오류 유형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요약하자면, 본 연구는 다음의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여 코퍼스 기반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한국인 학습자의 if-조건문 사용양상은 원어민 화자의 if-조건문 사용양상과 비교하였을 때 조건절과 결과절에 쓰인 동사구 형태면에서 어떠한 분포상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한국인의 if-조건문과 원어민의 if-조건문에 나타난 (준)법조동사의 쓰임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셋째, 한국인의 if-조건문 오류 중 어떤 유형의 오류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가?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수행되었다. 연구 자료로서 원어민 코퍼스는 International Corpus of English(ICE)-USA를, 한국인 학습자 코퍼스는 TOEFL11-Korean을 선정하였다. 두 개의 코퍼스에서 if가 포함된 문장을 추출한 후 if가 조건의 종속접속사로 쓰인 문장만을 추렸다. 한 코퍼스 당 500개의 if-조건문을 확보한 뒤 문장별로 조건절·결과절 동사구의 자질-시제, 상, 태, 극성 및 (준)법조동사 사용 여부와 형태, 서법성-을 코딩하였으며 한국인 학습자의 if-조건문의 경우 오류 분석을 병행하였다. 모든 문장의 코딩을 완료한 후 두 집단의 if-조건문을 동사구 형태에 따라 분류하고 유형별 빈도 및 분포를 조사하였다. 이후 두 집단의 if-조건문 분포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다른지를 확인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인 학습자의 if-조건문 사용양상과 원어민 화자의 if-조건문 사용양상 사이에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1) 원어민들이 결과절이 아닌 조건절에 (준)법조동사를 사용한 조건문이나 결과절이 명령문 형태인 조건문 등 다양한 구조의 조건문을 고르게 사용한 것과 달리 한국인 학습자들은 전통적인 조건문 분류인 영조건문, 제1조건문, 제2조건문, 제3조건문의 정형화된 구조들을 주로 사용하고 여타 구조들은 적게 사용하는 양상을 보여 한국인 학습자의 if-조건문은 구조적 다양성 면에서 다소 제한적임을 발견하였다. 2) 조건문 내 (준)법조동사의 사용에 있어서 한국인 학습자들은 특정 서법조동사에 대한 편중이 더욱 강하였으며 원어민들과 동일한 서법조동사를 사용한 때에도 하나의 서법성에 치우친 양상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한국인 학습자의 if-조건문에서는 can과 will에 대한 편중이 나타났으며 can은 역동적 서법성의 의미로, will은 인식적 서법성의 의미로 사용하는 경향이 강하였던 반면, 원어민 집단은 would와 will에의 편중이 있었으나 상대적으로 더욱 고른 분포를 보였으며 하나의 서법조동사를 다양한 서법성의 의미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한국인 학습자의 if-조건문 오류 중 가장 빈출한 오류는 시제 관련 오류였으며 그중에서도 비현실적 조건문의 시제 역전환(back-shift) 관련 오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밝혀져 한국인 학습자들이 if-조건문을 습득할 때 가장 어려운 부분이 역전환된 시제가 가상성(hypotheticality)을 표현하는 언어적 장치임을 이해하는 것임을 재확인하였다.

      • 제면회사의 HACCP 도입을 위한 미생물 위해평가

        김지혜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39

        제면공장의 HACCP system 도입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요소 도출을 위해 총 3차에 걸쳐 미생물오염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시료는 밀가루, 공정 표면, 작업자의 손, 공중낙하균으로써 일반세균, 대장균군, S. aureus, B. cereus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제면공정 표면의 일반세균은 4.4-6.8 log CFU/100cm2 의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대장균군은 대부분의 공정에서 1 log CFU/100cm2 의 분포를 보였다. S. aureus는 2.9-5.9 log CFU/100cm2 의 분포를 보여 제면기 표면의 오염상태가 심각함을 예상할 수 있었다. 특히 반죽기와 숙성기에서 높은 오염수준을 보인 것은 균이 증식하기에 적당한 온도와 습도가 유지된 것 으로 예상되고 이러한 표면의 오염은 밀가루에 직접적으로 교차오염을 일으키므로 반죽기를 비롯한 공정 표면의 위생관리가 우선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최초의 밀가루 상태에서 일반세균의 경우 평균 3.0 log CFU/g의 수준으로 나타났고 반죽과 숙성의 과정을 거치며 미생물의 생육이 점차적으로 증가되어 완제품인 국수의 경우 5.4 log CFU/g 의 수준으로 검출된 것을 볼 수 있다. 대장균군의 경우 전 과정에서 1.6-3.1 log CFU/g 정도의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S. aureus는 2.1-4.8 log CFU/g 으로 매우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아울러 B. cereus의 경우, 2차 샘플링의 숙성 공정을 제외한 모든 공정에서 검출한계 (1.0 log CFU/g) 이하로 나타났다. 작업자 손의 일반세균은 평균 4.5-5.0 log CFU/hand 의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S. aureus의 경우도 4.0-5.5 log CFU/hand의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어 손의 위생상태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작업시간 경과에 따른 작업자 손의 미생물 생육 변화 실험에서는 일반세균이 평균 4 log CFU/hand 정도로 작업시작 전(0분)과 작업 중의 일반세균의 수준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작업시작 전 손 세척이 올바르게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면류는 일반적으로 익혀 먹으므로 미생물에 의한 위해도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나 보다 안전한 관리를 위해 HACCP 도입이 필요하다. 또한 현재 국내에는 면류의 미생물 위해평가에 대한 자료가 충분하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 아동병동 간호사의 환아 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및 환아 부모와의 파트너십이 환아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김지혜 경주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1839

        This study involved a descriptive survey on nurses for providing basic data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safety accidents of hospitalized children by examining and identifying the pediatric nurses’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children’s safety management and their partnership with parents of the hospitalized children. Participants were 141 nurses working at 1 university hospital, 2 general hospitals, and 6 children’s hospitals located in U metropolitan city, and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in the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1 to 14, 2018.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ost-hoc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WIN 24.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nurses participating in the study, 39.1% of them were aged 25-30 years, 56.7% were married, and 59.3% had a work experience of 1-5 years. As for educational background, 53.9% had an associate degree, and 71.6% were general duty nurses; regarding position, 52.9% were working for 41-44 hours, 74.5% had been educated on safety accidents, and 95.7% reported having protocols on safety accidents at workplace. The majority, including 66.9% of the respondents had experience of safety accidents 1-2 times. Second, the subjects’ score on the perception regarding importance of children’s safety management was 4.19 points (on a 5-point scale). The domain of “awareness of patients’ safety management” ranked the highest at 4.41 points, followed by “will to manage patients’ safety” at 4.21 points, and the domain of “confidence in patients’ safety” recorded the lowest score of 4.05 points. Third, the subjects’ score on the partnership with patients’ parents was 4.13 points (on a 5-point scale). The score for partnership with parents among subdomains was 4.46 for sensitivity and 4.38 for communication, and the subdomain with the lowest score was “cooperation” at 3.55 points. Fourth, the subjects’ score on children’s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as 4.39 points (on a 5-point scale). The score on subdomains of children’s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as 4.36 for falling, 4.26 for damage, 4.26 for electric shock and fire, 4.16 for suffocation and aspiraion , 4.54 for infection, and 4.62 for medication. Fifth, from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rrelations between children’s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perception regarding the importance of children’s safety management, and partnership with parent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children’s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nd perception regarding the importance of children’s safety management (r=.751, ρ=.000), children’s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nd partnership with parents (r=.709, ρ=.000), and perception regarding the importance of children’s safety management and partnership with parents (r=.722, ρ=.000). Finally, among the factors influencing nurses’ activities to manage children’s safety, perception regarding the importance of children’s safety management (β=.395, ρ=<0.01), working regulations (β=-.312, ρ=.013), and partnership with parents (β=.211, ρ=.003) were influential, and these factors (F=38.337, ρ=.000) explained 66.5% of performance of children’s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mong them, perception regarding the importance of children’s safety management was observed to have the highest level of predictive explanatory power. In conclusion, it can be concluded that programs and education to enhance nurses’ capacity for effective communication are required to allow pediatric nurses' to improve their perception regarding the importance of children’s safety management and partnership with parents. Moreover, when children are hospitalized, education needs to be offered to parent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so that children and parents can adapt to the life at hospital and ensure children’s safety. It is also necessary to supply more experienced nurses with structured nursing expertise and establish policies to encourage them to work for a longer period and systems to support the nursing workforce. 본 연구는 아동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아 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및 부모와의 파트너십이 환아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환아 안전사고 예방 및 관리에 있어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U광역시 1개 대학병원, 2개 종합병원, 6개 아동전문병원에서 근무를 하고 있는 아동병원 간호사 141명이었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8년 3월 1일부터 3월 14일까지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와 t-test, ANOVA, 사후분석,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서 대상자의 연령은 25∼30세 미만 간호사가 39.1%, 결혼 상태는 기혼 간호사가 56.7%, 근무경력은 1∼5년 미만이 59.3%, 최종학력은 전문대졸이 53.9%,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71.6%, 근무시간은 41∼44시간이 52.9%, 안전사고 교육 경험은 있음이 74.5%, 안전사고 업무규정은 있음이 95.7%, 안전사고 사례경험구간은 0∼1회가 66.9%로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환아 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점수는 4.19점(5점 척도)으로 나타났다. ‘환자 안전관리에 대한 인지’ 4.41점, ‘환자 안전관리에 대한 의지’ 4.21점 순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낮은 영역은 ‘환자 안전에 대한 자신감’ 4.05점 이었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부모와의 파트너십 점수는 4.13점(5점 척도)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 부모와의 파트너십 점수는 ‘민감성’ 4.46점, ‘의사소통’ 4.38점으로 나타났고, 하위영역 중 가장 낮게 나타난 것은 ‘협력’ 3.55점 순이었다. 넷째, 연구대상자의 환아안전관리활동 점수는 4.39점(5점 척도)으로 나타났다. 환아안전관리활동 하위점수는 낙상 4.36점, 손상 4.26점, 전기감전 및 화재 4.26점, 질식 및 흡인 4.16점, 감염 4.54점, 투약 4.62점이었다. 다섯째, 환아안전관리활동, 환아 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부모와의 파트너십의 상관 관계를 분석한 결과, 환아안전관리활동은 환아 안전관리 중요성 인식(r=.751, ρ=.000), 환아 안전관리활동과 부모와의 파트너십(r=.709, ρ=.000) 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또한 환아 안전관리 중요성 인식과 부모와의 파트너십(r=.722, ρ=.000)과의 관계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여섯째, 간호사의 환아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환아 안전관리 중 요성 인식(β=.395, ρ=<0.01), 업무규정(β=-.312, ρ=.013), 부모와의 파트너십(β=.211, ρ=.003), 이 영향을 미쳤으며, 이 요인들에 의해 환아안전관리활동 수행도가 66.5% 설명되었고(F=38.337, ρ=.000) 이 중 환아 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의 예측 설명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아동병동 간호사의 환아 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및 환아 부모와의 파트너십이 환아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환아 안전 관리 중요성 인식 및 환아 부모와의 파트너십 증진을 위해 환아 안전관리 프로그램 및 간호사와 부모를 위한 효과적인 의사소통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육제공이 요구된다. 또한 체계적인 간호지식 및 경험이 풍부한 경력간호사의 수급과 장기근속을 유도하는 정책 및 간호인력 지원에 대한 제도적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 교사의 사회적 자본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김지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교사의 사회적 자본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으며,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변수에 대한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한 후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자본의 하위 변인인 신뢰, 네트워크, 협력과 학교조직효과성의 하위 변인인 직무만족, 조직적응, 직무성과 각각은 모두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타당성과 신뢰도 역시 매우 높은 수준을 보여 잠재변수의 하위 구성요인으로서 적합하게 설정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사의 사회적 자본이 학교조직효과성의 하위 구성요소인 직무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다중회귀분석 실시 결과, 신뢰(t=5.852), 네트워크(t=3.676), 협력(t=6.209) 모두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자본 하위변수의 영향력 크기를 비교한 결과, 신뢰(β=.306), 협력(β=.301), 네트워크(β=.258)의 순서로 높은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 내 신뢰와 네트워크가 축적되면 직무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긍정적인 조직효과성을 이룩할 수 있다는 송승숙(2013)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업무에 관하여 동료 교사들과 서로 돕고 협력하는 문화가 교사의 불안함과 불확실성을 줄여주고 만족감을 높여준다는 김혜영(2014)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교사가 동료들과의 지속적 의사소통 네트워크를 가지고 교육 및 교육 외적인 정보를 공유하며 지식공유 활동에 적극적으로 임한다고 인식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직무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이끌어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교사의 사회적 자본이 학교조직효과성의 하위 구성요소인 조직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다중회귀분석 실시 결과, 신뢰(t=5.492), 네트워크(t=2.692), 협력(t=3.957) 모두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조직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조직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자본 하위변수의 영향력 크기를 비교한 결과, 신뢰(β=.327), 네트워크(β=.210), 협력(β=.204)의 순서로 높은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 내 원활환 네트워크 형성이 교사들의 비전공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조직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 김세정(2010)의 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의 사회적 자본이 학교조직효과성의 하위 구성요소인 직무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다중회귀분석 실시 결과, 신뢰(t=5.852), 네트워크(t=3.676), 협력(t=6.209) 모두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자본 하위변수의 영향력 크기를 비교한 결과, 협력(β=.385), 신뢰(β=.232), 네트워크(β=.177) 의 순서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들의 협력이 학교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허훈구(2015)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 간의 협력이 다른 어떤 변인들보다도 학교 효과나 학교 개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제시한 권순형(2014)의 연구 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교사의 사회적 자본은 학교조직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직무만족 및 조직적응과 같은 교사들의 심리적 태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조직 구성원들의 심리적 기제인 신뢰이고 협력과 같은 행동적 요인은 직무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In information-oriented age, It is very important for organizational members to have ‘trust’ each other, and have constant ‘network’ and ‘cooperation’. Especially, School-organizations aim for a long-term vision rather than visible outcome, and teacher share these kinds of aim together. Based on this thinking, this study criticizes previous teacher policies, and suggests that recent studies focus on teachers’ culture of community like trust, network, cooperation, etc. With educational perspective, It is called the ‘Social Capital’. So in this study, the theory presupposes that improving teacher’s level of social capital can highly affect development of school education. This study aim to analyze the effects of teachers’ social capital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adaptation, job performance) targeting public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aegu. The survey used sampling method, and the target of the survey were the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the public schools of Daegu.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by offline questionnaires from September 29 to October 18, 2016 for about 3 weeks. With respect to the survey tool, 34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for demographic and major variables. 280 survey sheets were distributed and 254 were analyzed (collection rate of 90.7%).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is study did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 Statistics ver. 22. To achieve such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by considering lots of preceding researches, and established to find out the conclusion. An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social capital highly affect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using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It finds out that all variables of social capital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re positively correlated each other. And each variables of Social capital affects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 By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finds out that ‘trust’ affect the most influence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adaptation. It means that teachers’ emotional trust has great affect on their own mentality. Therefore, they can think their job positively. Third, By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finds out that ‘collaboration’ affect the most influence on teachers’ job performance. It means that teachers’ co-operative behavior can have great affect on their achievement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 관련 심리적 특성 연구

        김지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39

        자기조절학습 능력은 학교 교육을 받는 중·고등학생에게도 중요하지만 대학생에게도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대학 교육은 사회에 나가기 직전의 단계로서, 대학생은 자신의 사회적 역할을 스스로 설정하고 능동적으로 수행하는 심층적 수준의 능력이 절실하게 요구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학생에게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 이들의 자기조절학습 유형을 분류하고 집단별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권에 소재한 8개의 대학교에서 총 516명을 대상으로 자기조절학습의 유형을 살펴보고 유형별 심리적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군집분석을 통해 자기조절학습에 따른 학습자의 유형을 분류하고 심리적 특성으로서 대학생활적응, 정서,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 회복탄력성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자기조절학습에 따른 학습자 유형 분류를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의 유형으로 분류됨을 확인하였다.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높은 ‘유형 가’와 평균적인 모습을 보이는 ‘유형 나’, 가장 낮은 집단인 ‘유형 마’, 그리고 자기조절학습 하위 요인 중 인지조절이 높고 동기조절이 낮은 ‘유형 다’와 동기조절이 높고 인지조절이 낮은 ‘유형 라’로 구분되었다. 자기조절학습이 높은 ‘유형 가’는 자기조절학습의 모든 하위 요인에서 가장 우수하였는데 하위 요인별 편차도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한 영역에서 자기조절을 잘하는 학습자가 다른 영역에서도 자기조절을 잘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한, 자기조절학습은 대학생활적응, 정서,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 회복탄력성에 의해 40.1%가 설명되었는데 특히 대학생활적응과 부정정서, 향상신념이 자기조절학습을 잘 설명하고 있었다. 자기조절학습 유형별로 심리적 특성의 차이를 살펴봤을 때,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높은 ‘유형 가’가 대학생활적응, 긍정정서, 향상신념, 회복탄력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결과를 확인하였다. 자기조절학습 유형에 따른 그래프에서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높은 학습자는 대학생활적응, 긍정정서, 향상신념, 회복탄력성이 높은 반면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낮은 학습자는 부정정서, 고정신념이 높게 나타났다. 자기조절학습 하위 요인 중 인지조절이 높은 ‘유형 다’는 동기조절이 높은 ‘유형 라’보다 자기조절학습을 잘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동기조절이 낮더라도 인지조절이 높은 학습자가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요컨대,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특성의 회귀분석과 자기조절학습 유형에 따른 심리적 특성의 차이 분석을 통해 대학생활적응이 자기조절학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학습 상황에서 긍정정서와 부정정서는 독립적인 차원으로 서로 차별적인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여 정서가 자기조절학습 전략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 중 향상신념을 가지고있는 학습자는 고정신념을 가지고있는 학습자보다 자기조절학습 능력을 잘 사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인지전략을 많이 사용하여 자기조절학습이 높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회복탄력성이 높은 학습자 유형이 자기조절학습 능력에서 뛰어난 모습을 보였지만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나타나지 않았다.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자기조절학습과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의 영향력을 탐색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왔으나 본 연구는 지금까지 이루어진 연구들을 토대로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특성을 알아보고,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개별적인 접근을 통해 학습자의 유형을 만들어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한 개인적 접근을 통해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을 살펴봤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s not only important for the middle school and the high school students, but also it is significantly important for the college students. Because university education is a step right before coming into the society, so the college students are required to have an in-depth level of ability to set their social roles and to carry out. To improve the college education effectively, it is strongly required to classify of the type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ecific group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type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o check the type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the subject of study is 516 people from eight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Through a cluster analysis, according the learners the collected data was classified the type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i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college life adjustment as a psychological traits, emotions, beliefs about intelligence and the resilience. The major result of this study is as below. ​Firstly, after conducting the cluster analysis of the classification of students to know the type of leaners, it was able to make students into 5 groups. According to the ability of self-regulated learning, type 가 was in the high level, 나 was in the average, 마 was in the lowest level. And the cognitive regulation of type 다 was high and the motivational regulation was low, the cognitive regulation of type 라 was low and the motivational regulation was high.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f type 가 is in the high level, at the same time, sub-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were also superior and it has smallest deviations. The results show that a learner good at self-regulated is also good at the self-regulated at the diffrent area. ​From the research of the relationship among the college life adjustment as a psychological traits, emotions, beliefs about intelligence and the resilience, it was able to explain self-regulated learning, particularly the college life adjustment, negative emotions and the belief of self-improvement were more definitively able to explain self-regulated learning. ​After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lf-regulated learning, type 가 which has the high-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s figured out that has higher college life adjustment, positive emotions, beliefs of improvement and the resilience. Through the graph of self-regulated learning types, it was able to know that the college life adjustment, positive emotions, beliefs of improvement and the resilience of a learner who has a high ability of self-regulated learning is higher. But the negative emotions, fixed beliefs of a learner who has a lower ability of self-regulated learning is higher. Thus, type 다 which has high cognitive regul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is good at self-regulated learning than type 라. And it means that even though the motivational regulation is lower, but if learner has the higher cognitive regulation, than the leaner does self-regulated learning more effectively. In short,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learning and self-regulation, and the gap analysis of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 of self-regulated learning, it was able to know that the college life adjustment can be an important role in the self-regulated learning. Besides, positive emotions and negative emotions in the learning situation are independently performing a differential function and role, so that it was confirmed that the sentiment is helpful in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Learners who have beliefs of improvement in intellectual abilities, can use the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appropriately than the learners who have fixed beliefs. Also, since they use more cognitive strategies it can be predicted that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is high. The learners who has higher resilience have excellent performance in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but it was not an important factor of self-regulated learning. ​Prior studies have focused on the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regarding self-regulated learning, but this study is focus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self-regulated learning based on the prior studies. In addition, through an individual research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created types of learner, therefore it has a significance which was able to study the self-regulated learning of college students approached by reflections of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 재실 리모델링 사업의 공사방식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김지혜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As buildings which had been constructed passing through the rapid growth period since 1960s became older, interests in the remodeling market have heightened owing to merits such as comparatively high profitability, short business period, and so on compared with reconstruction. In remodeling, the way of inhabited-condition remodeling of the entire floor focused on big apartment buildings with great unit quantities has been displayed in order to use buildings consistently and maintain the worth of the facilities. Recently, as competition of the housing rent market came to be strong, remodeling advantageous in aspect of profitability is coming to the fore even in non-residential constructions. Especially, since the inhabited -condition remodeling has advantages like guarantee of stable rent profits, reduction of risks in attracting new tenants, and so forth, it is suggested as a new way of remodeling. This inhabited-condition remodeling has diverse considerations in decision making of business due to difficulty that the business should be conducted under more restricted condition like inhabited situation than the remodeling with empty rooms of the entire floor. The study results are like the next. (1) Characteristics of the inhabited-condition remodeling were grasped through previous literature and related research consideration, and the study direction was selected from investigating methods of decision making to decide construction ways in inhabited-condition remodeling business. (2) Influence factors of the inhabited-condition remodeling business according to residents and builders through relevant literature investigation were extracted, 11 and 20 of final influence factors respectively were separated targeting residents and builders from implementing professional interviews. Also, the structure of influence factors by target was set by apprehending correlations between the distinguished influence factors. (3) At the result of analyzing the importance from distinguishing effect factors by target, degree of comfortability enhancement of indoor environment after the stage of construction in aspect of residents was the highest as 25.64. In aspect of builders, convenience of the arrival of materials and control plans among the factors of process control were the highest as 9.11. (4) At the evaluation result by construction method, in aspect of residents and builders, 50% construction methods were evaluated proper things commonly. On the other hand, though the construction method of two floors is known to be the most profitable, it was evaluated to be the lowest rank. So, it was revealed that an effective moving way for residents and preparation of construction control measures considering inhabited conditions for builders were necessary. 1960년대 이후 고도의 성장기를 거치면서 대량으로 건축된 건물이 노후화됨에 따라 재건축에 비해 비교적 높은 수익성, 짧은 사업기간 등의 장점으로 인해 리모델링 시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리모델링은 건축물의 지속적인 사용과 시설물의 가치를 유지시키기 위해 단위 물량이 큰 공동주택 위주로 전층 공실 리모델링 방식이 전개되어 왔다. 최근에는 임대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비주거용 건축물에서도 수익성 측면에서 유리한 리모델링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재실 리모델링은 공사 중에도 안정적인 임대수익의 보장, 신규 임차인 유치에 대한 리스크를 절감 등의 장점이 있어 리모델링의 새로운 방안으로 제안된다. 이러한 재실 리모델링은 시공 단계에서 전층 공실 리모델링에 비해 재실 상태라는 보다 제한된 조건하에서 사업을 수행해야하는 어려움으로 인해 사업의 의사결정 시 고려사항이 다양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주거용 건축물을 대상으로 재실 리모델링 사업의 영향요인을 식별하고, 중요도 분석을 바탕으로 공사방식 선정 시 기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존 문헌 및 관련 연구고찰을 통해 재실 리모델링의 특징을 파악하고, 재실 리모델링 사업 시 공사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의사결정 기법을 조사하여 연구의 방향을 선정하였다. (2) 관련 문헌 조사를 통해 대상별 재실 리모델링 사업의 영향요인을 도출하고, 전문가 면담을 실시하여 최종 영향요인을 재실자·시공자를 대상으로 각각 11개, 20개를 식별하였다. 또한 식별된 영향요인간에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대상별 영향요인의 구조를 설정하였다. (3) 대상별 영향요인을 식별하여 중요도 분석한 결과, 재실자 측면에서는 시공 이후 단계에서 실내환경의 쾌적함 향상 정도(25.64), 시공자 측면에서는 공정관리 요인 중 자재의 도달 편의성 및 관리계획(9.11)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공사방식별 평가결과, 재실자·시공자 측면에서 공통적으로 50% 공사방식이 가장 적정한 방식으로 평가되었다. 반면, 2개층 공사방식은 수익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가장 낮은 순위로 평가되어 재실자의 효율적인 이주방안 및 시공자는 재실 상태를 고려한 공사관리 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어 : 재실 리모델링, 공사방식, 의사결정

      • 수소 이온 나르개를 포함하는 산소이온/전자 혼합 전도체의 등온/비등온 열린 회로 기전력

        김지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39

        페로브스카이트계 수소 이온 전도성 산화물은 전자 전도와 산소 이온 전도뿐만 아니라 수소 이온의 전도성이 나타나는 물질로, 80년대 초 Iwahara에 의해 발견된 이후부터 현재까지 과학적 호기심을 자극하는 소재, 그리고 친환경 에너지 소재로써 지속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수소 이온 전도체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SOFC)의 전해질, 수소 분리막, 수소 센서 등의 친환경 에너지 저장 및 변환 장치의 재료로 각광 받고 있다. 이 중 특히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또는 열전 발전기(Thermoelectronic generator) 등의 에너지 전환 장치의 효율을 결정하는 첫 번째 지표는 열린 회로 기전력(Open Circuit Voltage)이다. 따라서 장치의 성능을 바르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물질의 열린 회로 기전력을 명확하게 정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료인 산소 이온 전도체의 경우 열린 회로 기전력이 경로와 시간에 의존하지 않는 상태 함수이다. 하지만 두 종류의 이온 전하 나르개를 가지는 수소 이온 전도체에서는 그렇지 않을 것이라는 의문이 제기되었으며, 실제로, 수소 이온 전도체의 열린 회로 기전력이 경로와 시간에 의존한다는 것이 실험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열린 회로 기전력의 시간 의존성이 나타나는 것을 두 종류의 이온 전하 나르개가 존재하기 때문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SrTi0.982Al0.018O3-δ와 BaTi0.982Al0.018O3-δ를 이용하여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또한 산화 분위기에서 수소이온 전도체가 두 종류의 안정화 시간을 가진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이 거동을 설명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열린 회로 기전력 안정화 곡선으로부터 수소와 산소의 겉보기 화학 확산 계수를 구하였다. 또한, 세 종류의 전하 나르개가 존재하는 수소 이온 전도체에서 온도차가 가해져 있는 상태의 열린 회로 기전력은 물성 변화가 더욱 복잡하게 나타나 사실상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는데,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열역학적 조건 하에서 BaZr0.8Y0.2O3-δ의 열기전력을 측정하고 선행 연구에서 밝혀진 평형 상수들을 이용하여 수소 이온이 열기전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 BIM을 이용한 사면지반모델링에 관한 연구

        김지혜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39

        최근 국내 AEC산업 규모의 대형화로 인한 방대한 양의 건설 정보의 효율적이고 통합적인 관리의 필요성과 비선형디자인으로의 변화로 기존 2D 설계방식으론 한계가 발생하여 3D 설계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고유가, 수주물량 확보의 난항, 원자재 수급난 등으로 인한 건설 산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보완하기 위한 대안의 하나로 BIM기법이 떠오르고 있다. BIM이란 설계 대상의 전 생명주기에 포함되는 모든 정보를 생산하고 관리하는 기법으로 이미 선진국에서 설계방법과 품질을 혁신적으로 바꿀 수 있는 기술이자 도구로 인식하여 건설 프로젝트 생애주기 전반에 걸쳐 적용시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국내에도 정부의 정책지원과 투자에 힘입어 BIM의 활용을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지만 현재까지는 건축분야에서 BIM이 활발히 활용되고 있으며 건설분야에서는 활용영역이 미미한 실정이다. BIM의 빠른 적용과 필요성 증가에 의해 건설분야에서도 BIM을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많은 연구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토목구조물 설계에 주로 활용되고 있으며 3차원 공간정보로 지형을 형성하여 활용하고 있으나 지반정보를 이용하여 사면지반에 대한 활용은 미미한 상태이다. 우리나라의 자연사면은 얇은 토층과 풍화토, 풍화암, 연암 등 풍화도가 다른 물질로 구성되어 있어 지반구성 물질에 대한 판단에 많은 경비가 소요되고 있으며 도심지의 증가에 따라 자연사면 뿐만 아니라 절토사면의 증가로 인하여 사면붕괴에 의한 피해 또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BIM의 적용현황과 사례를 분석하여 BIM의 효율성을 확인하고 연구대상지역을 선정, 시추정보 등 지반정보를 BIM기법에 적용하여 사면지반모델링 구현을 통해 활용성을 확인하였으며 사면지반에 BIM의 활용방안 연구와 현장 적용성을 제안하고자하였다. 사면지반에 BIM을 적용함으로써 사면의 설계 및 시공시 오류의 격차를 줄이고 설계시간 단축으로 공사비와 공사기간의 절감을 기대 할 수 있으며, 가상 시공과 지반정보를 통하여 지질 및 지형 특성을 고려한 친환경적인 공법을 선택 하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As the domestic ACE industry scale is getting larger, vast amount of construction information requires integrated management. Also, due to the changes of nonlinear design, the existing 2D design presented its limitations and it lead to new 3D design method. To overcome the crisis of construction industry which caused by high oil price, difficulties of securing order quantity, short supply of raw materials, and etc. many attempts are made. One of the alternatives to solve and make up for these problems, BIM technique became famous. BIM is a technique that produces al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whole life cycle of the design target and manages the information. In advanced countries, this technique was recognized as a tool that will innovatively change the design method and quality. It showed wide acceptance in general life cycle of construction project. In the domestic situation, it activates BIM application on the strength of the government support and investment. Until now, BIM has been vigorously used in architectural field but construction field doesn’t show much response to BIM. As rapid acceptance and increased necessity of BIM, construction field has practiced many researches and attempts to utilize BIM in diverse area. Currently, BIM is used for construction structures and forming terrain by three-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However, utilization on slopes by using geotechnical information doesn’t present much activity. Natural slopes in South Korea consist of many materials that have different weathering degrees such as thin soil stratum, weathering soil, weathered rock, soft rock, and so on. Thus, great expenses are required to indentify the organization of ground substances. Also, the damages of slope collapses are increased because cut slopes are increase as well as natural slope due to the growth of downtown areas. So, in this paper, it verified the effectiveness by analyzing BIM application state and cases, selected the research target area and applied the boring information to BIM method to identify the availability through slope modeling implementation. Its purpose was to suggest BIM utilization planning and field applicability to slopes. Through this, it reduces error gaps of slope design and construction. At the same time, one can expect reductions of construction cost and period by reducing design time. Based on virtual construction and geotechnical information, it suggests that BIM is an effective method for environmental friendly construction process which considered geological features and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 영작문 채점기준표 작성 활동이 동료평가 및 영어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김지혜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중학생의 영어쓰기 활동에서 학습자가 동료평가용 채점기준표를 작성하는 활동이 동료평가와 영어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강원도 인제군 소재의 공립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교 2학년 14명이었고 사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영어쓰기와 관련한 배경정보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사전작문 쓰기를 수행하여 학습자들의 쓰기 성취도를 판단하였다. 실험의 편의성을 위하여 학습자들이 작성한 채점기준표로 동료평가를 수행하였던 7명의 참여자들은 실험집단, 교사가 제공한 채점기준표로 동료평가를 수행하였던 7명의 참여자들을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사전설문조사와 사전작문쓰기는 통제·실험집단 공통으로 진행하였고 이후 실험집단은 학습자들이 의미협상과정을 통해 채점기준표를 작성하는 활동을 수행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이 작성한 채점기준표로 1차 동료평가, 사전작문에 대한 수정안 작성, 수정안에 대한 2차 동료평가, 사후작문쓰기, 개별인터뷰 순서로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사전설문조사와 사전작문쓰기 이후에 예시 작문에 대한 모의 동료평가를 2회 수행하였다. 이후 교사가 제공한 채점기준표로 1차 동료평가, 사전작문에 대한 수정안 작성, 수정안에 대한 2차 동료평가, 사후작문쓰기 순서로 실시하였다. 위의 실험절차로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제공 채점기준표로 동료평가를 한 집단보다 학습자 작성 채점기준표로 동료평가를 한 집단이 교사평가 점수와 비교하였을 때 차이가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집단 모두 1, 2차 동료평가에서 교사평가 점수보다 학생평가 점수가 더 높았다. 둘째, 두 집단은 사전·사후 작문 평가에서 점수 상승이 있었다. 셋째, 채점기준표를 작성하는 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태도, 인식, 학습 동기에서는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평가에서 쓰이는 채점기준표의 개발 및 평가 과정에서 교사와 학습자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교육적 방안이 요구되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동료평가를 실시할 경우 참여자들의 학습 성취도나 학습자가 편차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학습자 중심의 평가를 위해 학습자들이 함께 토의를 하는 과정을 거쳐 채점기준표를 만드는 활동은 학습자들의 교육적 환경과 영어쓰기 능력을 면밀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student-generated rubric for peer assessment in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writing. The curr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1)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peer assessment in English writing, (2) the method for making up of negative effects of peer assessment through student-generated rubric, (3) the positive effects of student-generated rubric, (4) the importance of student-generated assessment.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4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The procedure was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wrote an essay for pre-test on a given topic "My summer vacation plan" for 30 minutes. Second, students who were in treatment group had a discussion for developing students' rubric for peer assessment. Third, students who were in treatment group made a students' rubric. And then all participants performed peer assessment using given rubric by teacher and student-generated rubri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riting ability was improved based in the scores from writing task. Second, there was new criterion that included authenticity, reality, writing style. Third students were interested in writing rubric and had motivation toward English writing and peer assessment. Fourth, there was little difference on peer assessment score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1) students were struggled to write their rubric because it was the first time to do this activity. Therefore there would be participate with teacher and students. (2) it is considered the difference of writing ability for the peer assessment. (3) peer assessment and student-generated rubric activity would be possible for reducing the teacher's burden to give feedback and students can be improved their English writing skills through this activity. Consequently, student-generated rubric can develop peer assessment performance and English writing ski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