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Serum Concentrations of Ghrelin and Leptin according to Thyroid Hormone Condition, and Their Correlations with Insulin Resistance

        김규진,김보연,목지오,김철희,강성구,정찬희 대한내분비학회 2015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30 No.3

        Background: Thyroid hormones can influence energy metabolism and insulin sensitivity via their interaction with adipocytokines and gut hormone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differences in serum ghrelin and leptin concentrations according to thyroid hormone levels, an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insulin resistance. Methods: A total of 154 patients (57 hyperthyroid patients, 61 euthyroid patients, and 36 hypothyroid patients; mean age, 47.9 years) were enrolled. Serum leptin, ghrelin, and insulin levels were measured and insulin resistance was calculated using the formula of the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OMA-IR).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mean concentrations of ghrelin or leptin among the three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sulin levels between the groups (P=0.06), although hyperthyroid patients had borderlin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insulin than did euthyroid subjects by post hoc test (26.4 μIU/mL vs. 16.1 μIU/mL, P=0.057). Regarding HOMA-IR index, the mean levels were highest in the hyperthyroid group among those of the three groups (hyperthyroid vs. euthyroid vs. hypothyroid, 6.7 vs. 3.8 vs. 4.4, P=0.068). Plasma levels of ghrelin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age, insulin, glucose, body mass index (BMI), and HOMA-IR. Plasma levels of leptin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BMI and triglyceride.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yroid hormone, thyrotropin, ghrelin, leptin, or insul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serum ghrelin, leptin, and insulin levels didn’t differ according to thyroid function conditions. Further studies with larger numbers of patients are required to establish a direct relationship between plasma ghrelin, leptin, and thyroid hormone.

      • KCI등재

        한국 남서해안지대의 해송림에 만연된 솔껍질깍지벌레(Matsucocus thunbergianae)의 생태, 기주범위 및 피해해석에 관한 연구(I)

        김규진,오광인 한국응용곤충학회 199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31 No.4

        The black pine bast scale, Matsucoccus thunbergianae, causes severe damage to the black pines of southern coastal areas. It has one generation a year, coming out of the pine bark to mate a and lay eggs from early March to early May. Especially, its peak time is from late March to m mid-April. The host plants were found to be 7 species, Pinus thunbergii, P. strobus, P. taeda, P. b banksiana, P. massoniana, P. taiwannesis, and P. densiflora. The percentage of damaged black p pine by the age were 0.8% for I-year old ones, 3.7% for 4-6 years, 5.2% for 7-9 years, 9.3% f for 10-12 years, 8.1% for 13-15 years, 7.8% for 16-18 years, 6.7% for 19-21 years, 3.3% for 2 22-24 years, 1.9% for 25-27 years, and 1.1 % for 28 years. The highest rate of damage happened to 7 -20 years old trees, whereas the highest rate of damage upon branches happened to 6 6-7 years old ones. Finally, as far as the trunk is concerned, the damages proceeded from the m middle parts of the trunk, whose branches were alive up to the top. The rates of damage s spread in pure forest/mixed forest area were turned out to be 81.3/52.5% in Koheung, 80.3/ 5 58.1 % in Haenam, and 76.3/48.5% in Muan. That is, the damage rate was higher in the pure f forest areas than the mixed forest ones. The higher the density of trees beyond 20 trees per m 100$m^2$, the higher the damage rate was. 솔껍질깍지벌레의 발생 상황은 피해만연지대(남서해안 및 도서지역), 피해확대지역(해안지역에서 내륙지대로, 해안에 연하여 북상)으로 구분되었다. 남부해안지대에 곰솔을 집중적으로 가해하는 솔껍질깍지벌레는 Matsucoccus thunbergianae로 조사되었으며 연 1회 발생하며 발생시기는 3월 초순~5월 초순에 걸쳐 소나무껍질밑으로부터 교미산란하기 위하여 외부로 출현하였으며 그 peak는 3월 하순~4월 중순이었다. 기주식물의 기주범위조사에서 곰솔(Pinus thunbergii)외에 스트로브잣나무(Pinus strobus), 테어데소나무(Pinus taeda), 방크스소나무(Pinus banksiana), 맛소니아소나무(Pinus massoniana), 타이완네시스소나무(Pinus taiwannesis), 소나무(Pinus densiflora)등 7종이 구명되었다. 피해목의 수령별 피해율은 1~3년생 0.8%, 4~6년생 3.7%, 7~9년생 5.2%, 10~12년생 9.3%, 13~15년생 8.1%, 16~18년생 7.8%, 19~21년생 6.7%, 22~24년생 3.3%, 25~27년생 1.9%, 28년생이상 1.1%로 7년생에서 20년생까지의 수령에서 피해율이 가장 높았고 피해목 가지의 수령별 피해율은 6~7년생가지에서 가장 높았으며 수간에서는 중간부위의 가지가 생존하는 하단부로부터 상위부로 피해가 진전되었다. 조사지대에서의 단순림/혼효림의 혼효도에 의해 피해율은 지역별 각각 고흥 : 81.3%/52.5%, 해남 : 80.3%/58.1%, 무안 : 76.3%/48.5%로 단순림에서 피해가 많았다. 입목밀도에 따른 피해율은 100$m^2$당 20주이상의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피해율이 높았다.

      • KCI등재

        CISG 제79조와 Hardship : 최신 CISG 자문위원회 의견 제20호를 중심으로

        김규진 국제거래법학회 2021 國際去來法硏究 Vol.30 No.1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latest official opinion of the CISG Advisory Council, Opinion No. 20,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cle 79”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CISG”) and “hardship”. For this purpose, I first looked into the hardship doctrines found in domestic laws and international uniform laws. Then I looked into Article 79 of the CISG, focusing on its legislative history and also the academic discussions on its applicability to the hardship situations. In addition, the contents of Official Opinion No. 7 of the CISG Advisory Council was examined. Lastly, I reviewed and critically analyzed the Official Opinion No. 20 of the CISG Advisory Council. The Opinion No. 20 offers a fairly straightforward answers to the two problems often discussed: (1) whether Article 79 can be applied to hardship situation, or, put it in another way, whether the term “impediment” in Article 79 includes the concept of “(economic) hardship” and (2) if the term impediment includes the concept of hardship, then what remedies can be allowed to a party suffering from a hardship under Article 79. In summary, Opinion No. 20’s position is that Article 79 clearly applies to hardship situations and that the only remedy available for hardship under the CISG is that allowed under the article, that is, the exemption from the liability of damages. Opinion No. 20 is especially clear about its position that contract renegotiation or adaptation is not available remedy of hardship for the CISG contracts. Acknowledging the fact that Opinion No. 20 provided us with clear answers to the so far much debated issues, I found that it is difficult to agree with the conclusion of the Opinion. First, while the Opinion bases its conclusion that no gap exists regarding the remedies for the hardship in the CISG on the proposition that Article 79 applies to hardship, the very issue of the applicability of Article 79 to the hardship situation is still debatable. Secondly, Opinion No. 20 seems to overlook the evident fact that the concept of “hardship” developed under various hardship doctrines is inherently different from the concept of force majeure, which is essentially the same as the “impediment” of Article 79. In my opinion, what CISG Advisory Council actually wanted to claim in Opinion No. 20 was that they do not wish to allow hardship doctrine to be applied to the CISG contracts. Although the decision might be warranted in terms of policy, it must go through the revision of the CISG, not through its interpretation. Until the revision of the CISG clearly reflecting such policy, I believe the gaps can be seen in the CISG regarding the issues related to hardship, and that those can be cured according to Article 7(2) of the CISG or other relevant provisions. 이 논문에서 필자는 CISG의 대표적인 면책 조항인 제79조와 hardship의 관계에 대한CISG 자문위원회의 최근 의견인 제20호 의견을 자세히 검토하고 그 타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 작업을 위해 먼저 각국 국내법제와 국제통일규범상 발견되는 hardship 법리에 대해 알아보았고, 그 후 CISG 제79조에 대해 알아보았다. 특히 CISG 제79조의 ‘이행장애’라는 개념에 hardship이 포함되는 것인지의 여부는 입법 당시부터 문제가 되던 쟁점이었으나이에 대한 명확한 결론 없이 제79조가 제정되었다는 점과 그로 인해 현재까지도 논란이 계속되고 있음을 알아보았다. 이에 더하여 해당 쟁점에 대한 CISG 자문위원회 의견 제7호와제20호의 내용을 알아보았고, 특히 제20호 의견에 대해 비판적으로 살펴보았다. 제20호 의견은 문제가 되는 쟁점에 대해 상당히 명확한 결론을 제시한다. 즉, CISG 제79 조 상의 ‘이행장애’에는 hardship이 포함되며, hardship에 관련한 쟁점에 관해서 CISG 상의흠결은 없으므로 그 적용요건과 효과는 모두 전적으로 CISG, 특히 CISG 제79조 만을 적용하여 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론에 기초하여 제20호 의견은 CISG가 적용되는계약의 경우 hardship을 이유로 하여 계약 수정이나 재협상이라는 구제수단은 결코 허용 받을 수 없다는 결론을 피력한다. 제20호 의견은 CISG 제79조와 hardship의 관계에 대한 자문위원회의 공식 입장을 제7호의견에서보다 더욱 명확하게 발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진술로 보이나 필자는 해당의견의 결론에 동의하기 어렵다. 특히 제20호 의견에서 언급하는 hardship은 해당 의견을미루어 보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hardship 개념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 개념으로 보이므로, 이 의견은 오히려 hardship에 관한 한 CISG에는 내부적으로 치유하기는 힘든 흠결이있다는 결론을 반증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필자는 CISG에는 hardship에 관한 한 흠결이 존재하고, 그러한 흠결은 CISG 제7조 제2항 등에 근거하여 PICC hardship 조항 등을적용하여 해결하거나, 혹은 아예 CISG 개정을 통해 별도의 hardship 조항을 두어 해결하는것이 옳다고 결론지었고, 앞으로 CISG의 개정 논의가 있는 경우 이 점이 활발하게 논의되기를 희망하며 논문을 마무리 하였다.

      • KCI등재

        국제상사계약 상 불가항력

        김규진 국제거래법학회 2020 國際去來法硏究 Vol.29 No.2

        This paper examined all the possible issues that I think we need to consider in case disputes occur with regard to force majeure in international commercial contracts. To this end, it examined various examples of force majeure clauses including those found in the ICC Force Majeure Clause 2020 and the FIDIC Conditions of Contracts. It also examined the laws of civil law countries -such as France and China- concerning force majeure as well as other related legal theories such as impossibility, change of circumstances, frustration of purpose, or impracticability found in other jurisdictions. This study suggests some lessons to those who carry on international transactions. Although the term “force majeure” is universally used and as a result looks very familiar, its legal definition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contracts and applicable laws. Therefore, before seeing what requirements must be met to successfully invoke force majeure and what the effects of such claims are, we need to first look into the legal terms or expressions contained in relevant contracts regarding force majeure. Though no force majeure clause is to be seen in a contract, it still might be possible to invoke force majeure under the domestic law of the forum state if its governing law recognizes it. It might be also possible to invoke alternative legal theories such as frustration or impracticability. However, more often than not, such default rules or alternative theories cannot prevail over well-drafted force majeure clauses. Therefore, it is always recommended for international commercial contracts to have a separate clause which allows the contract parties to invoke force majeure, and also parties are recommended to carefully consider how to allocate their risks through such contractual clauses. 이 논문은 국제상사계약과 관련하여 불가항력에 대한 분쟁이 발생하게 될 경우 유의해야하는 사항이 무엇인지를 세밀히 살펴보았다. 이 논문은 우선 불가항력에 대해 개관하고, 국제계약상 불가항력 조항의 주요 예시를 살펴보며, 불가항력과 관련된 각국 법제 및 국제통일법규범의 태도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COVID-19과 자연재해를 비롯하여 2020년에 전 인류가 경험하고 있는 위기상황과 관련하여 국제상사계약 상 불가항력이주장되는 경우 어떠한 쟁점을 어떠한 순서로 살펴보아야 하는지를 알아보았다. 불가항력과 관련해서 가장 먼저 유의하여야 할 점은, 불가항력이라는 용어는 일상생활에서도 자주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각 계약상, 그리고 해당 계약에 적용되는 준거법상의 해당개념에 대한 정확한 정의는 모두 다를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불가항력에 대해서 프랑스 및 중국 등 많은 대륙법계 국가에서는 이를 법리로서 인정하고 있으나, 영국이나 미국등 보통법계 국가에서는 법리로서 수용하고 있지는 않다는 점도 유의하여야 한다. 불가항력 법리가 인정되는 국가의 법률이 계약의 준거법이더라도 이는 어디까지나 임의규범일 뿐이며, 그에 대하여 당사자간 달리 합의하였다면 그러한 합의가 법률에 우선한다. 이러한 계약상 불가항력 조항에서의 불가항력의 정의 및 효과는 ICC Force Majeure Clause 2020이나FIDIC의 계약조건 상 불가항력 조항의 예에서 살펴볼 수 있듯 계약마다 다양하게 규정될수 있고, 기존의 불가항력 법리와도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국제상사계약 관계에서 불가항력이 문제가 되고 있는 사안이라면 우선 해당 계약상 불가항력 조항이 있는지, 있다면 해당 조항 상 불가항력의 정의가 무엇인지 등 그 구체적인 내용을 먼저 파악하여야 한다. 계약상 불가항력 조항도 사용불가하고 준거법상 불가항력 법리도 적용이 어려운 경우 사용할 수 있는 대체 법리로는 이행불능, 사정변경, 계약목적의 좌절, 실행곤란성 등이 있으나 이들의 법적 효과가 통상적인 불가항력 조항이나 그 법리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국제상사계약 관계에서 불가항력에 관한 분쟁에 대비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불가항력 조항을 미리 마련해 두는 것이다. 그리고 계약 당사자는 계약 체결 시 당사자의 거래에 가장 적합하게 위험을 배분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내용으로 불가항력 조항을 구성해야하는가를 염두에 두면서 불가항력의 정의, 불가항력 사유의 예시, 불가항력의 효과 등의 구체적인 내용을 세밀히 합의하여 결정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사례기반 추론에 의한 반도체 패키징 공장의 Cycle-time 예측 모형 개발

        김규진,서용무 한국경영정보학회 2007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7 No.-

        반도체 패키징 공장에서 싸이클타임(Cycle-time)을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납기일 준수를 통해 고객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보다 효율적인 스케쥴링을 가능하게 하여 공장 가동률을 높일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반도체 패키징은 제품 종류가 다양하고 제품마다 특화된 기술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공정 순서나, WIP에 따라 싸이클타임이 크게 영향을 받아 그 정확한 예측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현장 전문가의 판단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 Fab공정의 경우 전문가를 도와 좀 더 정확한 예측에 도움을 주기 위해 그 동안 전통적 통계 기법 및 시뮬레이션에 기반한 의사결정 모형이 많이 연구되었는데, 최근에는 기계학습 및 인공지능 기법을 사용한 연구가 눈에 띄고 있으며 기존의 방법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여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아직 기계학습 및 인공지능을 이용한 충분한 연구가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례기반 추론을 사용하여 패키징 공정의 싸이클타임을 예측하고자 하였으며 그 성능을 인공신경망 모형, 의사결정나무 모형, 그리고 해당 분야 전문가의 예측치와 비교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사례기반추론 모형이 가장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CISG 개선 필요성에 관한 연구 -CISG 40주년, 국제거래법학회 30주년을 기념하며-

        김규진 국제거래법학회 2021 國際去來法硏究 Vol.30 No.2

        1980년 4월 11일에 채택된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국제연합 협약’((United Nations Convention on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 이하 ‘CISG’)은 작년인 2020년을 기점으로 40주년을 맞이하였다. 2021년 말 현재 기준으로 총 94개국이 가입되어 있는CISG는 계약법에 대한 국제통일규범의 대표적인 성공작이다. 그러나 이러한 성공에도 불구하고 동 협약이 체결된 후 40여년이 흘렀다는 사실은 과연 현재의 CISG에 개선의 여지 혹은 필요성은 없는지를 고민해보게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논문은 CISG 채택후 40여년의 시간이 지난 현재, CISG가 과연 현재와 같이 개선 없이 유지되어도 괜찮은지, 아니면 개선이 필요할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먼저 192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 CISG의 태동에서부터 1980년 채택까지의과정을 간단히 살펴보고, CISG 채택 이후 현재까지 냉전의 종식, 세계화, 기술발전 등 국제거래와 관련하여 세계에 어떠한 주요 변화가 있어 왔는지도 살펴보았다. 그 다음으로 CISG 개선에 관한 기존 논의의 주요 쟁점을 정리해 보았고, 그 후 그러한 기존 논의가 미처 다루지 못한 새로운 논점에는 어떤 것이 있을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러한 연구를 바탕으로CISG의 개선 필요성에 대한 평가 기준으로 법적 장애의 제거를 통한 거래비용 경감 여부, 적용 대상 및 범위의 적절성, 내용의 적절성이라는 세 가지 기준을 제시하였고, 그를 토대로 CISG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살펴보았으며, 필요하다고 판단할 경우 우선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세부 쟁점이 무엇인지에 알아보았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앞으로 계속 심화될 제조업의 서비스화, 사물인터넷 산업, 기타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 및 국제거래 구조의 근본적 변경 등을 예측해 볼 때 CISG의 개선은더 이상 늦출 수 없는 과제이며, 그러한 개선은 2012년 유엔 총회 본회의에서 스위스가 제안한 것과 같이 CISG를 PICC와 같이 계약법상 일반원칙을 총체적으로 규율하는 방향으로행해져야 하는 것이 아니라 지배적인 유형의 국제거래에 대한 법적 장애를 충분히 제거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어 주로 동 협약 제1조 내지 제3조 등에서 규율하고 있는 협약의 적용범위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시급하게 추진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 (hereinafter ‘CISG’), adopted on April 11, 1980, celebrated its 40th anniversary in 2020. The CISG, which has been adopted by a total of 94 countries as of the end of 2021, is known to be one of the most successful achievements of the efforts to harmonize and unify the laws related to international transactions. However, it has been more than 40 years since the Convention was adopted, and it seems to be inevitable to wonder if the time is now ripe to begin a concrete discussion on the need to ‘fix’, or improve, the CISG. To this end, this paper first goes back to the 1920s and briefly reviewed the process from the inception of the CISG to its adoption in 1980. Subsequently, this paper explores the major changes which have occurred in the world since the adoption of the CISG, such as the end of the Cold War, globalization,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s. After such exploration, this paper summarizes the main issues of the traditional discussions on improving the CISG and also introduces some new issues that such existing discussions often failed to address. And based on such studies, this paper presents three(3) evaluation criteria for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of the CISG. Those criteria are as follows: (1) whether the CISG reduces the transaction costs by removing legal obstacles to international transactions; (2) whether the scope of the current CISG is adequate; (3) whether the content of each provisions of the CISG is adequate. Applying such criteria,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improvement of the CISG is necessary, and the discussions with regard to the improvement must begin without any delay. This is especially the case if we conside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servitization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other technological developments relevant to international transactions. In addition, this paper proposes that the future discussions on the improvement of the CISG must, rather than focusing on turning the convention into a convention regulating general principles of contract law, focus on the issues that are directly relevant to removal of the legal obstacles to the prevailing type of international transactions, such as the scope of the application of the Convention.

      • KCI등재

        민법 내 사정변경 조문 신설에 관한 제안

        김규진 한국비교사법학회 2021 비교사법 Vol.28 No.2

        The hardship doctrine mainly aims to minimize possible confusions and social costs which may accompany a rapid or unexpected social changes. While many countries which had previously experienced unforeseen societal changes have adopted this doctrine as a general provision of law into their civil codes, the “Civil Act” of Korea still does not have such a provision. Considering the fact that Korea is one of the countries which underwent the most rapid changes throughout the past several decades, this seems to be unusual. In this paper, I discussed whether it is necessary to have a general provision on the hardship doctrine in the Korean Civil Act, and if so, how the provision should be drafted. For this purpose, first, I explained the definition of the hardship doctrine and expose the global trend towards its acceptance. Secondly, I summarized the relevant legal provisions, case law and scholarly discussions in Korea with regard to the doctrine. I also introduced the two public draft provisions prepared for its introduction into the Korean Civil Act. Thirdly, I explored, analyzed and compared the existing diverse versions of hardship provisions in detail. Lastly and for the sake of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I suggested my own draft provision which I think will be the most suitable for the Korean Civil Act. I hope that this paper can serve to expending the scope of review to many other of hardship provisions unknown or little known to us so that we could find the best model for the Korean hardship provision. 이행곤란 법리, 혹은 사정변경 원칙은 예견 불가능한 급격한 사회적 변화에 수반 될 수 있는 혼란과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발전된 법리다. 이 법리는 전쟁이나 기타 극심한 사회변화를 직접 경험한 국가, 특히 대륙법계 국가들을 중심으로 수용되고 발전되어 왔으며, 이들 중 많은 국가가 이행곤란 법리에 관한 민법상 일반 조항을 두고 있다. 그런데 유독 한국은 이행곤란 법리를 판례상 수용하는 것도 오래 걸렸고 아직 이에 대한 민법상 일반 조항도 도입하지 못한 상태다. 한국은 다른 나라에 비해서도 지난 수십년간 급격하고 극심한 사회 변화를 겪어온 나라라는 점에서 이러한 상황은 이례적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문제 인식 하에 이 논문에서는 민법상 이행곤란 법리에 대한 일반 조항이 필요한지, 그렇다면 해당 조항은 어떠한 내용으로 작성되어야 하는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다음 쟁점을 주로 살펴보았다. 첫째로, 이행곤란 법리에 대한 정의는 무엇인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둘째로, 해당 법리와 관련한 한국의 관련 법 규정, 판례 및 학설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와 관련해서는 특히 이행곤란 조항 도입을 위하여 2004년과 2014년에 마련된 규정 초안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셋째로, 각 주요국의 이행곤란 법리에 관한 일반 조항을 비교하여 분석해 보았다. 특히 기존의 논의의 중심이 된 독일과 프랑스법 상의 규정에 대한 설명에 더하여 이태리, 러시아, 이집트 등 보다 다양한 법제의 태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위 연구에 기초하여 우리 민법 상 이행곤란 법리에 대한 일반 규정 작성 시 고려해야 할 사안을 정리하고 그를 바탕으로 해당 조항의 초안을 제시하여 보았다. 우리 민법상 이행곤란 조항에 대해 앞으로 논의를 진행시켜 나감에 있어서 기존에는 검토되지 않은 보다 다양한 법제로 검토 범위를 확장하여 최선의 결과물을 도출하는 데 이 논문이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