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正常人 血色素의 Cellulose Acetate Microzone 電氣泳動像

        金在崇,金在植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76 慶北醫大誌 Vol.17 No.2

        한국인 정상 성인혈액, 신생아의 제대형액을 사용하여 Helena laboratories(Texas)제의 electrophoresis system, Tris-EDTA-borate buffer(pH8.6), cellulose acetate membrane 및 표준혈색소를 이용하여 450V에서 15분간 혈색소 전기영동을 시행하여 그 분획상을 아래와같이 표준혈색소를 대조로 하여 관찰하였다. 표준혈색소를 양극으로 가장 빠르게 이동하는 순서에 따라 선명하게 구별되는 A_1, F,S,C(A_2)의 분획들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C와 A_2는 이동속도가 동일함을 발견하였다. 성인혈색소를 뚜렷한 Hb A_1 및 미약한 Hb A_2분획을, 신생아 제대혈색소는 뚜렷한 Hb F와 다소 약한 Hb A_1 분획을, 그리고 태아혈색소는 Hb F분획만을 나타내었다. Densitometer에 의한 scanning으로 한국성인의 전형색소내의 A_2치를 조사한 결과 2.7±0.6%이었으며 그의 절대량은 전혈 100㎖당 369±80㎎이었다. The author made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ellulose acetate microzone electoporesis(Helena electrophoresis system) with Korean adlut, new-born umbilical cord and fetal hemoglobin and two standard Hemo-controls(A_1 FSC and A_1 SA_2). Hemo-control revealed clear cut seperation of each fraction of A_1, F,S, and C(A_2) according to their migration rates, but Hb A_2 and Hb C showed mutual identical migration rates. The main fraction of Hb A_1 and the minor fraction of Hb A_2 in adult hemoglobin, Hb F and Hb A_1 in new-born umbilical cord hemoglobin and Hb F only in fetal hemoglobin were clearly seperated. In adult the mean Hb A_2 value was 2.7±0.6S.D.% and its absolute level was 369±100 ㎖ whole blood.

      • KCI등재
      • KCI등재
      • 최근 病院可檢物에서 분리되는 중요 細菌의 抗生劑感受性

        李源吉,金在崇,金重明,金在植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2 慶北醫大誌 Vol.23 No.2

        1981년 본 대학 부속병원 임상병리 細菌檢査室에 의뢰된 검체에서 분리된 35種의 총 菌株수는 891株이었으며 소변에서 분리된 것이 301株(33.8%)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喀痰, 膿 및 咽喉순이었다. 100株 이상씩 분리된 菌種은 S. epidermidis, Micrococcus, S. aureus와 E. coli 순이었고 S. epidermidis는 小便과 喀痰, Micrococcus는 喀痰에서 S.aureus는 膿과 小便에서 E. coli는 小便에서 분리된 것이 대부분이었다. Streptococcus는 α-hemolyticus가 99株로서 喀痰에서 주로 분리되었고 50株 내외로 분리된 K. pneumoniae, Ent.cloacae, Ps. fluorescens, Citrobacter freundii와 Acinetobacter calcoaceticus는 각각 小便과 喀痰, 小便과 膿, 膿과 小便, 小便 및 小便에서 대부분 분리되었고 기타 菌種은 소수에서 분리되었다. 7種의 중요 菌種으로 부터 각각 무작위로 선택한 총 258株를 대상으로 하여 9種의 抗生劑에 대하여 disk diffusion(DD)와 agar dilution(AD)법으로 感受性을 조사하였다. E. coli 는 amikacin(AMK)에 매우 높은 感受性을 gentamycin(GAM)과 tobramycin(TOB)에 비교적 높은 感受性을 보였고 ampicillin(AMP), chloramphenicol(CAM) 및 tetracyaline(TET)에 비교적 높은 耐性을 나타내었고 K. pneumoniae는 AMK에 높은 感受性을 CEP, GAM 및 TOB에 비교적 높은 感受性을 보였고 AMP에 고도의 耐性, CAM과 TET에는 비교적 높은 感受性을 CAM과 GAM에는 중등도의 感受性을 penicillin과 TET에 고도의 耐性을 보였다. Ser. marces-cens 는 AMK에 중등도의 感受性을 GAM에 낮은 感受性을 보이나 나머지 抗生劑에 고도의 耐性을 보였다. Ps. aeruginosa는 AMK에 비교적 높은 感受性을 GAM, TOB 및 carbenicillin에 비교적 낮은 感受性을 보였고 Salmonella group A는 AMK, GAM, AMP, CEP, CAM 및 TOB에 매우 높은 感受性의 경향을 나타내었고 TET에도 비교적 높은 感受性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Shigella group B는 AMK CEP, GAM 및 TOB에 매우 높은 感受性의 경향을 그리고 AMP, CAM 및 TET에 매우 높은 耐性의 경향을 보였다. Amikacin이 모든 供試菌들에 대하여 가장 强한 抗菌力을 보였고 Serratia 菌種과 Pseudomonas菌種은 다른 供試菌種에 비하여 확실히 耐性의 傾向을 나타내었다. Agar dilution 法과 disk diffusion 法에서 이 두방법은 서로 잘 일치하는 경향이나 DD법이 AD법에 비하여 안정성을 보이는 것 같았다. 검체에 의한 각 菌種사이에 있어서 感受性의 차이는 볼 수 없었다. Total numbers of isolated bacteria were 35 species and were 891 strains. The highest isolates were 301 strains (33.8%) which were from urine specimens and followed by sputum, pus and throat. S. epidermidis, Micrococcus, S. aureus and E. coli in order were over 100 strains. S.epidermidis strains were isolated mainly from urine and sputum, Micrococcus strains from sputum, S. aureus strains from pus, and urine and E. coli from urine, and Streptococcus (α-hemolyticus) were 99 strains which were isolated from mainly sputum. K. Preumoniae, Ent. cloacae, Ps. fluorescens, Citrobacter freundii and Acinetobacter calcoaceticus were more or less 50 strains and isolated mainly from urine and sputum, urine and pus, and urine, urine and urine respectively. Others were in small numbers. Totally 258 strains selected at random from 7 important bacteriae which were selected recently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ings to these orgamisms were performed. E. coli was very sensitive to amikacin (AMK), moderately sensitive to gentamycin (GAM) tobramycin (TOB) and moderately risistant to ampicillin (AMP), chloramphenicol (CAM) and tetraciclin (TET). K. pneumoniae was highly sensitive to AMK, moderately sensitive to cephalothin (CEP), gentamycin (GAM) and TOB, very highly resistantce to ampicillin (AMP) and highly resistant to CAM and TET. S. aureus was very sensitive to AMK, and CEP, moderately sensitive to CAM and GAM, and very highly resistant to penicillin and TET. Ser. marcescens revealed low sensitivity to AMK and GAM but resistances to the other antibiotics. Salmonella group A showed very high sensitivity to AMK, GAM, AMP, CEP, CAM and TOB and high sensitivity even in TET. Shigella group B were very highly sensitive to AMK, CEP, GAM and TOB, but very highly resistant to AMP, CAM and TET. AMK showed the highest sensititity to the most organism but Serratia and Pseudomonas revealed distinctively high resistances to antibiotics even in the new potent antibiotics of broad spectrum. The disk diffusion and agar dilution method were generally corresponding but the former appeared to be more reliable. There were no remarkable difference in susceptibility from specimen to specimen.

      • KCI등재후보

        소아 뇨로감염의 세균학적검색

        이상숙,김재숭,노락균 啓明大學校 醫科大學 1982 계명의대학술지 Vol.1 No.1

        1980년 9월부터 1982년 10월까지 안동성소병원에 내원한 입원 및 외래환아중에서 뇨로감염이 확인된 77명을 대상으로 원인균의 분포상황 및 치료 중 나타난 균교대현상에 대해 조사하였다. 1. 전체적으로 소아의 상부뇨로감염의 기염균은 E.coli 22.4%, Enterobacter 20.0%, Staphylococcus epidermidis 15.3%, Klebsiella 10.6%, Citeobacter 및 Proteus가 각각 9.4%였다. 그러나 생후 30일이내는 Enterobacter가 28.1%로서 가장 많았다. 2. 균교대현상은 전뇨로감염환아의 18.2%에서 관찰되었고, 기염균은 E.coli, Proteus 및 Candida 순으로 많았다. 3. 소아 상부뇨로감염의 남녀 발생비는 1.9:1로 남아에서 많았다. Total 77 cases of children's upper urinary tract infection were evaluated for the distribution of causative organisms and alternate phenomenon during the treatment in andong Presbyterian Hospital, from September 1980 to October 1981. 1. Isolated causative organisms are E. coli, Enterobacter, spp., Staphylococcus epidermidis, Klebsiella spp., Citrobacter spp. and Proteus spp. in decreasing order. 2. The alternate phenomena of the causative organisms is observed in 14 cases (18.2%). 3. Male to female sex ratio of the infecton is 1.9 : 1.

      • KCI등재
      • KCI등재
      • 간담도 질환의 진단에 있어서 GGT, ALPI 및 LDH의 가치

        김경선,전동석,김재숭,김재식,김중명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2 慶北醫大誌 Vol.23 No.2

        81명의 간담도질환 환자와 46명의 정상대조군의 혈청으로 GGT활성치를 측정한 결과, 정상대조군의 평균치는 21.2U/L 였으며 간담도질환에서는 198.8U/L로서 정상의 4.5배의 증가를 보였다. 간담도질환 중 GGT, ALP, AST 및 ALT의 증가를 보인 경우는 각각 81.5%, 60.0%, 84.2% 및 69.7%로서, AST가 가장 예민한 검사였으며 그 다음은 GGT였다. 이 중 정상의 2배 이상으로 상승치를 보인 예는 각각 69.7%, 46.7%, 69.8% 및 66.0%로서 역시 AST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GGT였다. ALP는 예민도가 제일 낮았다. 또한 다른 검사는 정상이면서 한가지 검사만이 정상범위 이상인 예는 GGT가 2예로서 가장 많았으며 AST와 ALT는 1예였고 ALP의 경우는 없었다. 각종 간담도질환별로 GGT의 평균치를 보면 지방간, 원발성간암 및 알콜중독의 경우가 각각 376.0, 350.3, 그리고 188.0U/L로서 지방간에서 가장 높은 치를 보였으며 간염, 간경변증, 폐쇄성황달 및 전이성간암에서는 거의 비슷한 치를 보였다. 만성간염 및 알콜중독에서는 전 예가 GGT의 증가를 보였으며 원발성간암에서는 91.7%에서 GGT치의 증가를 보였다. 각종 간담도질환별로 GGT, ALP, AST 및 ALT의 활성치를 비교해보면 원발성 및 전이성간암, 지방간 그리고 알콜중독에서는 다른 효소보다 훨씬 더높은 상승치를 보였으며 간경변증과 쇄폐성황달시는 AST 다음으로 그리고 간염의 경우는 ALT와 AST 다음으로 높은치를 나타내었다. 간담도질환에 있어서 GGT와 ALPI 사이에는 대체로 좋은 상관을 보였다. The diagnostic value of GGT was evaluated in patients with various hepatobiliary diseases. The sensitivity of serum GGT in suspected hepatobiliary diseases was 81.5%. ALP, AST, and ALT were elevated in 60.0%, 84.2%, and 69.7% respectively. 69.7% in GGT, 46.7% in ALP, 69.8% in AST, and 66.9% in ALT were above twice of normal range. Each one case of acute hepatitis and cirrhosis showed only GGT elevation without elevations of other three enzymes. The number of cases with only AST or ALT elevation was one in each, but there was no case with ALP elevation alone. The mean values of normal control and hepatobiliary disease group were 21.2U/L and 198.8U/L. The highest level of serum GGT was found in fatty liver with a mean of 376.0U/L, next in hepatoma with a mean of 350.3U/L, and in alcoholism with 188.0U/L. The mean values of GGT in acute and chronic hepatitis, cirrhosis, obstructive jaudnice and metastatic carcinoma were 149.2, 140.4, 132.8, 160.4 and 134.5U/L respectively. The values of above 5 groups were uncontributory in distinguishing between different types of hepatobiliary disease. The mean value of GGT was compared with other enzymes. GGT was markedly elevated in hepatoma, metastatic carcinoma, fatty liver, and alcoholism and was frequently elevated in chronic hepatitis, hepatoma, fatty liver, and alcoholism. In cirrhosis and hepatoma GG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ST but with ALP and ALT. There was a relatively good correlation between GGT and ALPI fin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