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러시아어 과거 시제에서 시상 형태 기능의 변화

        연우(Jeong, Yeon Woo)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3 슬라브학보 Vol.28 No.2

        본 논문은 시제란 시간이 문법화한 것이라고 보고, 러시아어의 과거시제에서 또 다른 시간을 다루는 상 범주가 형성되면서 발전하여 지금의 시상체계를 이루게 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과거시제는 다른 시제에 비하여 나타낼 수 있는 의미영역이 넓은데도 현대러시아어에서는 -л 형태소롤 통해서만 표현되고 있는 것은, 전 단계의 시제 형태와 기능이 단순화된 결과이다. 임퍼펙트와 아오리스트 과거에서는 시제와 상의 형태소는 분리되지 않아 부담이 커서, 서서히 быти의 인칭변화형과 л-형동사의 결합으로 사용되던 퍼펙트과거의 사용이 늘어났다. 퍼펙트과거의 한 요소인 조동사적계사 быти가 탈락하면서 л-형동사는 불완료상과 완료상 동사 어간 모두에 붙어서 단독으로 과거의 표지사가 되었다. 과거시제에서 지나친 단순화로 인하여 이전의 다양한 과거 의미를 보완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되었고, 이러한 맥락에서 원슬라브어 기반의 상 범주는 재편이 불가피해졌다. 상적 대립은 먼저 접미사 -a-(-ja-)를 어간에 붙여서 지속성의 의미를 더하다가 문법화가 진행되면서 불완료성을 나타내게 되었다. 이후 구체적 공간 개념을 의미하는 за, на, из, от, по, про, с, у와 같은 전치사들이 접두화하면서, 처음에는 고유한 어원적 의미를 유지하다가 점점 공간의 개념을 잃게 되는 의미탈색이 일어나면서 일부는 어휘상으로 머물게 되었고, 문법화가 더 진행되면서 문법상이 되었다. 인구어 어원의 *va는 물과 같이 흐르는 대상을 나타내던 것인데, 동사의 어간에 붙어 문법화하면서, 어원어의 의미는 ‘반복성’을 나타내게 되었다. 어원어 *nu 역시 원래는 ‘자극’과 같은 의미를 지닌 어휘적 내용어가 동사의 어간에 접미사로 기능하면서 순간성이나 일회성의 의미를 더하면서 완료상 형성에 관여하게 되었다. 이처럼 동사와 시제와 상 범주는 과거시제에서 상호간섭하면서 부족한 의미영역을 보완하는 관계로 발전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완료상을 통하여 비한정성이나 반복성과 같은 불완료상의 하위의미영역이 표현되기도 하고, 드물게 지속성을 나타내기도 하여 러시아어 상체계에는 미세하게 상적 대립의 선택에 있어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이것은 과거시제에서 불완료상 과거는 이전의 임퍼펙트 과거의 의미를 수용하게 되었고, 다른 세 과거의 의미는 완료상 과거에 흡수되면서 완료상의 의미영역이 좀 더 보편적으로 된 것과 무관하지 않다. 그렇지만 러시아어는 견고하게 상범주가 문법화되어 있고, 이를 지켜내려는 노력이 있어서 상 선택의 일탈은 일부 문체에만 국한되어 있어서, 전체적으로는 상 선택의 동요는 미미하다. This article aims to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russian tense-aspectual system, on the basis of grammaticalisation theory. In the period of Common Slavic, there were 2 synthetic past: aorist and imperfect, and 2 analytic past: perfect and pluperfect. Among them, Perfect was constructed with the l-participle and a present tens form of the auxiliary verb "byti". Disappearing the aorist and imperfect, perfect became the only construction available to characterize past events in old Russian. In relation to the simplication of tense system, the the Proto-Indo-European aspectual category has been reorganized. First, the suffix -a-(-ja) had the meaning [+Durative], but grammaticalized to the imperfective meaning. Later many prefixes, originated from prepositions, for example v, na, ot, po, pro, c, u, za, also underwent bleaching (desemanticization) and had the function of actionsart and grammatical aspect marker according to the degree of grammaticalization. The semantics of the other prefis va was "air, water," so principal conceptual meaning of -va- as a suffix made a verb to acquire an iterative. The etymon of -nu- as a suffix added the meaning of sudden or impulsive movement, thus rendering the verb perfective. At the end of 20th century, through the perfect aspect can be expressed in the context of Iterative and Progressive. It shows the first step to the paths of developing leading to perfective and simle past grams.

      • KCI등재

        개인의 긍정적 특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

        연우,구본용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10

        In many previous studies of school adjustment in adolescents there were various study results with positive and negative influences. In this particular study, we tri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hool adjustment on adolescents using home feature factors that organized the personal positive characteristics that the adolescents felt and formed through the life. We designed the study through the assumption that differences existed between influences on school adjustment of the adolescents. We used personal positive characteristics that measured hope, a sense of purpose and self accomplishment. To verify the hypothesis, we conducted a survey of 577 stud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the southern area of Gyeonggi-do. PASW 18(Predictive Analytics SoftWare 18) was used for conducting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Self accomplishment was the most effective factor on the school adjustment. Personal positive characteristics and a sense of purpose and self efficacy followed next. However, contrary to the different previous studies, the hope factor failed to show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Also, as sex and age were different, influences of the home feature factors and the personal positive characteristics on the school adjustment were different. In male students, self accomplishment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nd self efficacy followed. In female students, self accomplishment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nd adaptability and a sense of purpose followed. In middle school students, self accomplishment was the most effective factor on school adjustment. Self efficacy followed. In high school students, self accomplishment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hope followed. Therefore,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differences existed in positive influences of the factors on school adjustment when the sex and the age of the students were different. In general, the results of this study results matched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but we failed to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s in several factors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 subjects.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긍정심리학에서 강조되고 있는 개인의 긍정적인 심리적 특성들이 학생들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들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에서는 확인하고자 한 개인의 긍정적 심리 특성들은 학생들이 지각하고 있는 희망, 목적의식, 자기효능감, 자아성취감 등이었다. 학생들의 긍정적 심리 특성과 학교적응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경기 남부지역에 거주하는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개인의 긍정적 심리특성들과 학교적응 등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설문지를 통해 실증분석을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577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PASW (Predictive Analytics SoftWare) 18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일원변량분석 및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개인의 긍정적 특성, 즉 희망, 목적의식, 자기효능감, 자아성취감 등은 모두 학업중단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상관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들 변인들을 동시에 고려하였을 때는, 성별과 연령에 따라 개인의 긍정적 심리 특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이 달랐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의 의미를 청소년들의 발달특성 및 선행연구결과와 비교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