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사 영화화의 한 사례, 「사도」(2015)

        병설 ( Jung Byungsul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人文論叢 Vol.74 No.1

        이 글은 2015년 9월 개봉된 영화 「사도」를 제작 배경과 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사도」는 뒤주에 갇혀 죽은 사도세자의 인생 전체를 그린 역사적 사실에 충실한 `정통사극`이다. 사도세자 사건은 『한중록』에 가장 자세히 서술되어 있어서, 「사도」는 역사를 영화화한 작품이면서 동시에 고전을 영화화한 작품이라고 말할 수 있다. 지금까지 문학의 영화화나 역사의 영화화에 대한 연구는 대개 텍스트 비교 연구였는데, 본고는 텍스트 표면의 비교를 넘어서서 원작과 영화의 관계를 역사 해석의 역사성 속에서 살폈을 뿐만 아니라, 아울러 실제 제작 과정에서 역사적 자료가 어떻게 사용 또는 변용되었는지 밝히고자 했다. 「사도」와 같은 사극은 역사적 사실의 참신성과 시의성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사도세자 사건의 경우 역사 해석이 뒤바뀌면서 그에 따라 관련 영상물의 제작 방향이 결정되어 왔는데, 「사도」 역시 최신의 연구성과를 반영하고 있다. 「사도」는 역사 해석의 참신성과 아울러 그것이 강한 시의성을 지니게 됨으로써 흥행에 성공할 수 있었다. 「사도」가 보여준 역사의 채용과 변용은 감독의 역량에 의한 것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투자사-제작사-배급사-거대영화관체인으로 엮인 영화산업체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진 것이기도 하다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상업영화 특히 블록버스터영화의 해석은 감독과 영화산업체의 길항관계에 주안점을 둘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is a study of The Throne (思悼), which opened to the public in September 2015. The Throne portrayed the tragic death of Crown Prince Sado which took place in 1762. The incident of Prince Sado was recorded in detail in Hanjoongrok. Hanjoongrok is one of the most famous works in Korean literary history. The Throne is an adaptation of history, and also of the classic. So far, studies on film adaptations of history and classics (literature) have usually adopted a comparative approach. This paper, however, analyzes the film through the history of research on Prince Sado and the film making process. The direction of film production is mostly related to the history of research in the case of historical films. The Throne is also a work that reflects the latest research. The Throne succeeded greatly in the box office, with the total audience number exceeding 6 million. The success of The Throne is due to not only the competence of the director, but also all of the parts of film making, including the film industry complex. The pro- duction of The Throne was an endeavor that involved huge capital, the investment company, the distributor, and a huge theater chain. The complex also had strong editing power over the film. The invisible hand of the complex has to always be considered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commercial film.

      • KCI등재

        移葬 과정을 통해 본 「顯隆園誌」의 성격

        병설(Jung, Byung-sul) 한국학중앙연구원 2020 장서각 Vol.0 No.43

        1762년 영조가 아들 사도세자를 죽인 이른바 임오화변은 조선시대 정치사에 가장 뜨거운 논란을 불러온 사건이다. 이것을 잘 알면 조선 정치의 역학을 잘 읽을 수 있는데, 중요한 사건인 만큼 이견이 적지 않다. 이견을 대표하는 자료로 『한중록』과 「현륭원지」를 들 수 있는데, 두 문헌은 임오화변의 해석 방향을 결정하는 핵심 역할을 했다. 『한중록』은 사도세자의 사인을 사도세자의 광기와 영조를 향한 도발로 인한 처벌로 본 반면, 「현륭원지」는 모호한 서술 속에 품성과 자질이 우수한 사도세자가 역신들의 모함을 받아 죽은 것으로 이해하게 했다. 「현륭원지」는 임오화변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특별한 시각을 지닌 핵심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그 자료 성격에 대해서는 깊이 연구되지 않았다. 「현륭원지」는 장례 때 무덤에 넣은 묘지문이니, 본고는 그것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1789년 사도세자 무덤의 이장 과정 속에서 파악하고자 했다. 정조는 이장 중에 사도세자의 구묘에서 영조가 써서 넣었던 묘지문이 발굴되었다는 보고를 받았지만 그것은 그냥 묻어버리게 하고, 새 무덤에는 자신이 직접 쓴 묘지문 곧 「현륭원지」를 묻었다. 조선 왕실의 이장 관례에 따르면 구 묘지문은 함부로 버릴 수 없다. 그런데도 이를 버리고 새 묘지문을 쓴데는 이유가 있을 것이다. 본고는 그 이유를 구 묘지문 곧 「영조친제지문」과의 비교속에서 파악하고자 했다. 버려진 구 묘지문은 1968년 서울위생병원 간호학교 신축 공사 중에 사도세자의 무덤 壙中에서 기적적으로 발굴되었다. 이 묘지문은 영조가 그린 사도세자의 인물상을 명확히 보여주는데, 사도세자를 세상 어떤 사람보다 무도한 미치광이로 그리고 있다. 정조로서는 아버지를 미치광이 반역자로 그린 것을 그대로 둘 수 없었을 것이고, 그래서 구 묘지문은 묻어버리고 자신이 새로운 전기를 쓴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정조가 새로 쓴 묘지문 「현륭원지」는 사도세자의 잘못은 감추면서 탁월한 성품과 자질만 기술했고 죽음은 모호하게 처리했다. 그리고 이것이 세상에 널리 퍼지지 않도록『열성지장』 등에 올리지 않게 했다. 이런 「현륭원지」의 사건 축소적 성격을 알아야 이 자료는 물론 임오화변의 실상을 제대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Imo-hwabyeon, the death of Prince Sado in 1762, was the hottest controversy in the political history of Joseon Dynasty. Memoirs of Lady Hyegyeong and Hyeonryungwon Epitaph are key source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death. Memoirs of Lady Hyegyeong, the wife of Prince Sado, described him as a mad man and traitor, Hyeonryungwon Epitaph written by King Jeongjo, the son of Prince Sado, as a brilliant prince. Despite Hyeonryungwon Epitaph is the core source for understanding the death, there is no in-depth study on it. This article tried to understand Hyeonryungwon Epitaph from the transfer of the tomb of Princet Sado in 1789. During the funeral process, King Jeongjo received a report two pairs of old epitaphs were discovered, but they had been buried without any notice. According to the transfer funeral custom of the Joseon royal family, the old epitaphs should not be abandoned. The old Epitaphs written by former King Youngjo were miraculously discovered in 1968 during the construction of a new Nursing School at Seoul Medical Hospital. The Epitaphs show a clear portrait of Prince Sado as the most insane madman in the world. As a son, King Jeongjo could not leave his father’s portrait like that. So the previous Epitaphs should have been buried in the ground, and he wrote a new Epitaph for new biography of his father. The newly written Hyeonryungwon Epitaph was able to hide Prence Sado’s mistakes and describe only its outstanding character and qualities. In order to prevent the Epitaph spreading, the King prevented to take the Epitaph to be a part of Kings’ Epitaph.

      • KCI등재
      • 사도세자의 죽음을 둘러싼 논란

        병설(Jung, Byungsul)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2020 東亞文化 Vol.58 No.-

        이 글은 임오화변, 곧 사도세자의 죽음을 둘러싼 학계의 논란을 논쟁적·비판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조선시대 정치사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 가운데 하나인 임오화변은 그 비중만큼이나 많은 논란이 있었다. 도대체 세자가 어떤 이유에서 부왕에게 뒤주에 갇혀 죽는 극한 처벌을 받았겠느냐 하는 사인부터 문제였다. 죽은 사람은 말을 할 수 없고 죽인 사람도 그 경위를 정확히 말하지 않으니 소문은 더욱 많이 일어났다. 세자가 미쳤느니 안 미쳤느니, 죄가 있느니 없느니, 말이 많았다. 필자는 2012년 이 문제를 파고들어 『권력과 인간-사도세자의 죽음과 조선왕실』이라는 책을 펴냈다. 이후 여러 학자들이 내 주장을 받아들이기도 했지만 몇몇 분들은 이런저런 근거와 논리를 들어 비판하기도 했다. 이 글은 비판을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종전의 제설을 정리하면서 반박하였다. 그 핵심을 말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도세자의 직접적인 사인은 반역죄이다. 영조가 사도세자에게 반역죄를 물어 사형을 시켰다는 말이다. 둘째, 영조는 사도세자를 죽인 다음 자신의 행위에 대해 공식적으로 후회를 한 일이 없다. 공식적 후회의 증거를 찾을 수 없다는 것이다. 셋째, 정조는 아버지 사도세자의 전기적 사실을 은폐, 축소, 편집 등의 방법을 사용해서 왜곡했다. This article deals with a debate over the death of the Imo-hwabyeon, or the death of the Crown Prince Sado. The Imo-hwabyeon, one of the most important accidents in the political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has been debated as much as it does. The cause of death was debate over why the prince was confined to a rice chest. Rumors spread further as the dead did not speak and the killer did not tell the exact circumstances. There was several opinions about whether the prince was crazy, not crazy, guilty, or not. I summarized the issues and published a book titled The Power and Human: The Death of Prince Sado and the Royal Family of Joseon in 2012. Many scholars accepted my argument, but some criticized me. This paper refuted the criticism in three major parts. Firstly, the direct cause of death of the prince was treason. It is said that King Yeongjo ordered the prince to be executed for treason. Second, King Yeongjo never regretted his actions after killing his son. Third, King Jeongjo tried to distort biography of his father’s by hiding, reducing, and editing the relating records of the Crown Prince Sado.

      • KCI등재

        경판 30장본 <춘향전>의 표준본적 성격

        병설 ( Jung Byung Sul ) 판소리학회 2021 판소리연구 Vol.51 No.-

        1930년대 이후 <춘향전> 연구가 본격화하면서 <열녀춘향수절가>는 연구는 물론 일반 독서와 교육에까지 대표적인 이본으로 이용되어 왔다. 신재효가 정리한 창본 <춘향가>나 이명선이 소장했던 이른바 ‘고본 춘향전’이 나름 가치를 인정받기도 했고, 1970년대 후반 이후에는 <남원고사>가 중요한 이본으로 취급되어 일부 이용되기도 했으나 여전히 가장 중요한 이본으로 역할을 했다. 본고는 종전에 거론된 중요한 이본들은 물론, 근년의 이본 연구에서 다루어진 여러 이본 중에 현대인들이 읽기에 가장 적합한 이본을 찾고자 했다. 그러기 위해 종전에 주로 사용한 선본이라는 개념 대신 표준본을 제안하였다. 선본이 이본의 가치에 초점을 맞춘 개념인 반면 표준본은 향유의 유용성에 초점을 둔 것이다. 그래서 <춘향전>을 읽고 연구하기에 가장 좋은, 기본이 될 수 있는 이본을 찾고자 한 것이다. 표준본은 향유 목적과 향유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꼭 한 종으로 정해야 할 필요는 없다. 다만 <춘향전>을 처음 읽는 사람들이나 <춘향전>을 가지고 연구와 교육을 해야 하는 사람들이 맨 처음 읽을 만한, 그리고 서로 소통할 수 있는 공통의 이본이 마련되면 편리할 것이다. 본고는 종전 선본의 선정에서 기준으로 이용된 원본성, 최고성, 기본성, 완정성, 문학성 외에 표준본의 기준으로 새로 대표성, 접근성, 현재성 등을 제시하면서, 이를 토대로 경판 30장본 <춘향전>을 표준본으로 제안하였다. 경판 30장본은 1850년대를 전후한 시기에 서울에서 출간된 이본으로 한글본으로서는 가장 이른 시기에 만들어진 이본이다. 이보다 앞선 시기에 저술된 한문본은 있지만 <춘향전>이 판소리 등 한글문화의 산물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한글본이 표준본으로 적당하다고 본다. 경판 30장본은 20세기 초에 만들어진 <열녀춘향수절가>에 비해서는 제작 시기 면에서 크게 앞선 장점이 있으나, <남원고사>에 비해 분량이 4분의 1에 불과하다는 특징이 있다. 분량이 적어서 표현이 풍부하지 않다고 볼 수도 있지만 오히려 표현의 적절성 면에서는 장점이 될 수도 있다고 보았다. 경판 30장본은 무엇보다 대표성 면에서는 다른 이론을 크게 압도하는데, 이판만 두어 종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후의 경판 <춘향전>이거의 그 영향권 내에 있었다. 경판 30장본 <춘향전>은 조선 후기 춘향 서사를 석권한 대표적인 이본으로 <춘향전>의 표준본이 되기에 충분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본다. In Chunhyangjeon 春香傳’s case, it was difficult to select an edition close to the original because it was difficult to identify the author. Therefore, we looked for an edition that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Pansori, which is the origin of Chunhyangjeon, or the characteristics of a lower class in expression and description. In the history of research on Chunhyangjeon, which began in earnest in the 1930s, a song of Lady Chunhyang 烈女春香守節歌 was used as a representative edition; however, since the late 1970s, Namwon-Gosa 南原故事 was regarded as another important edition. This article accepts the recent edition studies, proposes the concept of a standard edition instead of the original, and attempts to find the most basic edition for reading and research on Chunhyangjeon. A standard edition is not necessarily the best edition, and it is not necessary to define a standard edition as only one text. Those who read Chunhyangjeon for the first time and those who need to study Chunhyangjeon should read it first and choose a standard edition that allows them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is article attempts to present the Seoul wood-block print 30 sheets of Chunhyangjeon as a standard edition based on originality, antiquity, basicity, completeness, literature, representation, and closeness to the readers. The Seoul wood-block print 30 sheets of Chunhyangjeon 京板30張本 was published around the 1850s and is the earliest Chunhyangjeon in Korean. Some Chunhyangjeon in Chinese were written earlier. However, considering that Chunhyangjeon is a product of the vernacular Korean culture such as Pansori, Korean texts are appropriate as a standard edition. Seoul wood-block print 30 sheets of Chunhyangjeon is only one-fourth of the volume of Namwon-Gosa, considering that Namwon-Gosa added many songs sung in the Seoul area at that time and increased the volume. Furthermore, not only are there three versions of this edition but all the subsequent Seoul wood-block print Chunhyangjeon, except 35 sheets, are also within the sphere of influence. In summary, it can be said that it is a representative edition that swept the Chunhyang narratives of the late Joseon.

      • KCI등재
      • KCI등재

        『한중록』의 신고찰

        병설 ( Byung Sul Jung ) 한국고전문학회 2008 古典文學硏究 Vol.34 No.-

        본고는 근자에 소개된 『한중록』 이본 및 관련 자료들을 토대로 새롭게 이루어진 『한중록』에 대한 종합적 연구이다. 먼저 종전에 『한중록』이 1795년, 1801년, 1802년, 1805년 네 차례에 걸친 혜경궁의 회고를 모은 것이라는 설을 수정하였는 바, 종전에 1801년에 쓰여졌다는 것이 1802년 저술의 후편임을 밝혔다. 이로써 『한중록』은 크게 1795년, 1802년, 1805년 세 차례에 걸쳐 서술된 것의 종합이라 할 수 있게 되었는데, 여기에다 근래에 소개된 「丙寅追錄」 곧 혜경궁 친정에 전래된 1806년의 저술까지 포함하면, 혜경궁의 저술은 다시 1795년, 1802년, 1805년, 1806년 네 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다만 1806년의 저술은 1802년 저술의 부록에 해당하므로, 『한중록』은 크게 보아 세 편의 종합이라 할 수 있는데, 필자는 그 세 편을 내용과 주제에 따라, 1795년의 저술은 「回顧」, 1802년 및 1806년의 저술은 「親庭伸寃」, 1805년의 저술은 「思悼世子」로 명명하였다. 이 세 편의 서로 다른 저술은 비록 후대에 이런저런 방식으로 한데 묶이기도 했지만, 그 각각의 서문이 보여주고 있는 것처럼, 기실 다른 저작 동기와 성격을 가진 것이다. 흔히들 『한중록』을 회상기 또는 회고록이라 보지만 회고적 성격은 「회고」에 국한되어 있다. 저작 동기와 내용을 통해 양식을 보면 「회고」는 회고록 또는 자서전이라 할 수 있고, 「사도세자」는 사도세자에 대한 전기, 「친정신원」은 정치논변서라고 할 수 있다. 그 양식을 보아서도 알 수 있듯이, 『한중록』은 현대적 관점의 문학 범주에는 잘 맞지 않는다. 하지만 그 저작 동기가 갖는 강한 목적성에도 불구하고 혜경궁의 문학적 소양은 『한중록』을 한국문학사의 대표작으로 만들었다. 기록문학으로서 『한중록』은 단순히 기억이 아니라 철저히 기록 자료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특징이 있고, 또 혜경궁이 아니면 잘 알 수 없는 사건의 이면과 혜경궁처럼 높은 지위가 아니면 볼 수 없는 인간의 이면을 폭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혜경궁이 아니면 감히 할 수 없는 말까지 거침없이 드러낸 저작으로 특별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또한 여성문학이라는 관점에서도 『한중록』은 중요한 문학사적 의의가 있다. 혜경궁은 조선후기 서사문학 또는 한글문학의 강한 전통 속에서 자랐는데, 실기, 야담, 소설 등을 읽으면서 문학적 소양을 닦았던 것이다. 『한중록』의 섬세한 사건 묘사와 심리 분석은 여성적 특징을 잘 보여주는 것이면서, 동시에 조선시대 최고의 수준을 성취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Hanjoongrok is one of the most famous works in the Korean literary history. Recently several new versions of Hanjoongrok was introduced and they made the incorrect opinions on Hanjoongrok fix. First, there is no 1801 version of Hanjoongrok. The most famous scholar of Hanjoongrok study, Yong-suk Kim had insisted that there are four versions of writings in Hanjoongrok, each were written in 1795, 1801, 1802, 1805. However 1801 version do not have any evidences that shows it was written in 1801. 1801 version indeed is the next half of 1802 version. Newly introduced 1806 version give the evidence of the opinion. So Hanjoongrok have the four version, written in 1792, 1802, 1805, 1806. 1806 version is the addition of 1802 version. Actually Hanjoongrok has the three versions, written in 1795, 1802 & 1806, 1805. 1795 version is the autobiography of Lady Heykyung, and 1802 & 1806 version is a political document for the family of Lady Heykyung`s parent. 1805 version is the biography of Prince Sado, the husband of Lady Heykyung, especially focused on the psychiatric analysis. Hanjoongrok is one of the best works of documentary and female literature in Chosun period.

      • KCI등재
      • KCI등재

        영국도서관(British Library) 소장 경판한글소설 재론 : 배접지를 통해 추론한 방각본의 간행 상황을 중심으로

        병설 ( Byung sul Jung ) 韓國古典文學會 2012 古典文學硏究 Vol.42 No.-

        The collection of British Library includes well over 150 million items in most known languages and 3 million new items are added every year. There is the world`s earliest dated printed book, the Diamond Sutra in the Library. British Librar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librarys in the world. The library also has the Korean collection, and the collection includes some Korean rare books. The rare book collection has some very valuable books, for example The documents of royal banquet in 1809 己巳進表裏進饌儀軌, the collection also has 35 titles of Korean woodblock novels. The novels are not well made books like The documents of royal banquet in 1809, but they are also valuable as that. The novels are introduced by Prof. Skillend in 1968 for the first time, Kodae Sosol: A Survey of Korean Traditional Style Popular Novels』 (SOAS, Univ. of London, 1968), and in 1970`s Prof. Kim Donguk has published the photocopy of the novels. In 1990`s Prof. Lee Changhun has submitted a study on the Korean woodblock novels published in Seoul as a doctoral dissertation. The dissertation includes a study on the collection of British Library. Recently a famous japanese scholar of Korean rare books, Prof. Hujimoto Yukio has made the detailed catalogue of Korean rare book in British Library(大英圖書館所藏朝鮮本及び日本古書の文獻學的?語學的硏究, 2007). In spite of the several investigations on the collec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vels are not unrevealed well. My study is focused on the book cover, one is the patterns on the background of book cover 菱花紋, the other is the papers used in the inner part of the book cover 褙接紙. I found out 15 sheets of the inner paper, 8 sheets are from the woodblock novels, 6 sheets are from the confucian book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1 sheet is from the book of the explanation of dreams. By the inner papers it is guessed the amount of the published novels in 19th century Chosun was much more than that we ordinary guess. Nowadays it is easy to find the confucian book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published in 19th century Chosun, but not the woodblock novels. Almost of all Koreans thought the former are valuable, the latter useless to keep, so the latter became the rare book, the former not. The inner papers show a aspect of the situation of commercial woodblock print in the 19th century Chosun. 영국도서관(British Library)에는 상당량의 한국 고서가 있다. 그 대부분은 19세기 말 또는 20세기 초 영국박물관(British Museum)으로 들어온 것으로, 영국도서관이 영국박물관에서 독립되어 나오면서 편입된 것이다. 한국 고서 가운데는 의궤, 지도, 문집 외에 상당수의 방각본이 있는데, 특히 경판한글소설은 35종이나 된다. 이들 경판한글소설에 대해서는 이미 스킬렌드와 이창헌 교수의 조사와 연구가 있었고, 또 일찍이 김동욱 교수가 대부분의 자료를 영인 출간하기도 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선배들의 업적을 이어서, 이들 자료의 수집 과정 등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아울러 경판한글소설의 배접지와 능화문을 이용하여 방각소 및 방각본의 인출 비중 등을 추론하고자 하였다. 인출 비중이라 함은 구체적으로 소설과 한문교양서의 출간 비중을 뜻하는데, 표본의 수가 적어서 아직 일반화는 무리라고 할 수 있지만, 『천자문』『동몽선습』『통감』등의 기초한문교양서 이상으로 소설이 많이 간행되었음은 추정할 수 있다. 방각소와 인출 비중의 추정은 여러 다른 변수가 있을 수 있으므로 단언하기 어려우나, 이 연구를 통해 배접지와 능화문 정보를 좀 더 체계적으로 정리해야 할 필요성은 제기했다고 생각한다. 경판한글소설, 나아가 고전문학작품, 특히 해외에 소장된 고전문학 자료에 대한 체계적인 정리가 시급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