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OQL 질의 처리기를 위한 중첩 질의 구조 제거용 전위 모듈의 설계 및 구현 (pp.11-20)

        정승진(Seung-Jin Jung),정진완(Chin-Whan Chung),김형주(Hyoung-Joo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0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6 No.1

        ODMG의 표준 객체 질의어인 OQL을 비롯하여, 최근 여러 객체 질의어에서는 위치에 관계없이 select, from, where절 어디서나 중첩 구조를 자유롭게 허용하여 여러가지 복잡하고 다양한 형태의 중첩 질의(nested query)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중첩 질의는 질의 처리기(query processor)의 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므로, OQL 질의 처리기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중첩 질의를 최적화하는 방안을 반드시 마련하고 있어야 한다. 본 논문은 중첩 OQL 질의의 최적화 기능을 제공하는 중첩질의 구조 제거용 전위 모듈(unnesting front-end)을 설계, 구현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중첩 질의 처리능력을 가진 질의 처리기를 새롭게 구현하거나 이미 존재하는 질의 처리기를 확장하여 중첩 질의 처리 기능을 추가하고자 할 때, 중첩 구조 제거(unnesting)를 위한 구현자의 구현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중첩 질의 구조 제거용 전위 모듈에서 사용하는 대수 연산자와 질의 최적화 모듈에서 사용하는 대수 연산자(algebraic operator)를 분리함으로써 가능했다. Many object query languages including OQL(the query language proposed by the ODMG) allow query block to be nested in any clause: select clause, from clause and where clause. The processing of nested queries can affect the performance of its query processor. Therefore, an OQL query processor should have effective optimizing techniques for nested queries. This paper designs and implements a new framework of an unnesting front-end for an OQL query processor. This unnesting module can minimize implementation overhead when developing a new OQL processor or extending an existing query processor to be equipped with an unnesting facility. This is accomplished by separation between logical algebra operators used in an unnesting front-end and ones in a query optimizer.

      • KCI등재

        장기사의 관점에서 본 나주(羅州)의 농지개혁 ― 전남(全南) 나주군(羅州郡) 김천면(金川面)의 사례

        정승진 ( Chung Seung-ji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7 大東文化硏究 Vol.98 No.-

        1948년 귀속농지의 분배로 촉발된 한국의 농지개혁(1950)은 러일전쟁(1904~05)이래 일본 제국주의가 구축한 식민지지주제를 최종적으로 해체하는 역사적 사건이었다. 이는 일본인의 진출이 상대적으로 활발했던 호남지역에서는 보다 중대한 의미를 갖고 있었다. 전남 나주군 금천면에서는 귀속농지의 규모가 농지개혁의 그것을 크게 상회하는 가운데, 1960년대 이후 시기에 걸쳐서도 힘겹고 지리한 지가상환과정을 연출하고 있었다. 농지개혁은 기존의 소작농을 신규 자작농으로 급격히 전환시키는 과정으로 평가되고 있지만, 나주 금천면의 사례는 기존의 소작농이 영세자작농으로 전신함으로써 이들의 경제상황까지 개선되는 방황으로는 이르지 못했음을 말하고 있다. 즉, 영세 빈농(=상환농가)이 농가부채 속에서 과밀 퇴적되는 농촌문제(零細過小農)에 무방비상태로 노출되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지역농민은 빈곤극복을 위한 위대한 도전(=자작지확보)을 포기하지 않은채 그 지리한 지가상환 과정을 견뎌내고 있었다. This thesis sheds light on the reality of Land Reform from the view-point of long-term history, as well as a local society, Naju County, south Cholla Province, where the colonial landlord system was highly developed, was so-called a typical rice-basket with the Honam Plain in the north Cholla Province. The sale of land in Naju County, by vested land policy (1948), signaled the beginning of land reform in Korea. In terms of scale, the sale of government-vested lands in 1948 was more than double that sold during the land reformation of 1950. Still, considering the method of distribution of land during the reforms of 1948 and 1950, we find considerable consistencies between the two policy. In particular, from 1948 through the first half of 1950, one hectare or less little peasants gradually became the standard class for dividing up land, removing the previous colonial landlordism. Consequently, the number of land-owner farmers increased on a large scale as the inequity in land ownership drastically diminished. However, when we take into consideration the long-term distribution and repayment process in Naju County, rather than think that land reform was an undertaking of 1950 or of any other specific time period, we should regard the reformation as a long-term process that began with the redistribution of land in 1948 and culminated with the exchange and registration of land titles in the 1960s~1970s. The Korean little peasants could not help but desperately repay the distributed land over the long period.

      • KCI등재
      • KCI등재

        파시즘적 동원체제가 낳은 식민지 조합제도 ― 조선(朝鮮) 계(契)와 회사(會社) 사이에서

        정승진 ( Chung Seung-ji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6 大東文化硏究 Vol.96 No.-

        서구 중심적 생산양식 이론은 근대 자본주의의 확장운동에 따라 공동체적 관계가 자동적으로 해체되는 것으로 이해해 왔지만, 조합제도로 표상되는 동아시아의 집합적 전통과 공동체적 질서는 근현대에 걸쳐 강고하게 존속했다. 비록 주식회사와 같은 주류적 사회범주로서 자기만의 전성기를 갖지는 못했지만, 식민지기의 조합제도는 근대이행기에 걸쳐 契조직의 정신에 담겨 있는 공동체적 전통을 불러일으키는 가운데 식민지 지역민들에게 전통의 부활이자 재현 과정으로 인식되었다. 이 글에서는 식민지기 조합제도에 대해 조선적 전통을 가진 계조직과 산업화 이후 주류적 범주로 성립하는 주식회사 사이의 과도기적 범주로서 그것을 자리매김하고, 그 기능양태를 중심으로 식민지적 재편과정을 살피고 있다. 1920년대 회사령철폐 이후 濫設되는 조합·조직은 식민지경영의 안정화를 위해 사회적 동원화의 기제로 활용되는 가운데, 1930년대 파시즘적 동원체제 하에서 변태적으로 발달하였다. 그것은 1930년대 전반의 공황대책으로서 농촌진흥운동의 구호 하에 사회조직의 보다 미시적인 영역(마을, 가족, 개인)으로까지 확대되며 농촌조직화를 완성하고 있었던 것이다. This paper is to imposition the colonial association between the traditional Korean community(契) and the modern corporation in the transitional period. Although colonial association in context of social institution was not main-stream category such as the traditional community and the modern corporation, it represented the changing aspects of socio-economic institutions in the colonial Korea. Japanese authorities and colonizers tried to re-organize traditional community into a kind of association in order to establish the stable local society in the new colony, Korea. Looking at the newly-rising colonial associations at that time, many Korean natives (mainly peasants) recalled their traditional community of old times. As a result, many colonial associations were rapidly adopted in the local society (rural region), and Korean natives started to participate the various associations voluntarily or by compulsion. Supported by Japanese authorities politically, many colonial associations enjoyed the heyday especially in 1930s. Many scholars on East Asian studies regard this kind association as a social basis of Fascism. In order to operate their empire stably, Japanese-style Fascism established many colonial associations in East Asian region such like Okinawa, Hokkaido, Taiwan, Korea, Manchuria, etc.

      • KCI등재

        근대동아시아 규율권력의 지방침투와 제국의 관변단체 ― 일본(日本)의 지방개량운동(地方改良運動)(1900~1918)을 중심으로

        정승진 ( Chung Seung-ji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8 大東文化硏究 Vol.102 No.-

        1868년 明治維新을 통해 근대국가로 전신한 日本은 1888년 市町村制, 1889년(明治憲法公布) 府縣郡制를 통해 중앙집권적 지방행정제도를 완비한 후 부국강병과 실력양성의 기치 아래 地方改良運動(1900~1918)을 전개하였다. 淸日戰爭(1894)을 거쳐 러일전쟁(1904~1905)을 경과하는 전환기의 길목에서, 러일전쟁의 전후 공황대책으로 同운동이 착수되었음은, 신흥 제국을 표방한 일본 ‘內地’에서뿐 아니라 주변 동아시아 식민지(지역사회)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제국의 內實을 다지는 지방의 경제사업을 넘어 국가(內務省)가 주도한 농촌의 정신운동이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사실이었다. 同운동은 農會나 産業組合과 같은 지역 단위의 실행단체를 통해 농촌의 부흥과 지방자치를 추구하였다. 특히, 구래 무라[村]공동체의 근대적 전신형태인 模範村[自治村落]은 당시 다양한 관변단체의 기초 조직으로 기능하며 同운동의 정신운동적 측면을 극단적으로 표출했다. ‘內地’에서의 同운동은 러일전쟁 직후 日人植民者를 매개로 조선에 비공식적으로 이식·도입되었고, 이후 1930년대 農村振興運動(1932~1940)을 통해 정책적 레벨에서 본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와 같은 제국 ‘내지’와 식민지(지역사회) 사이에 연출된 관변운동은 일제의 지배정책이 궁극적으로 同化主義에 기초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일제 규율권력의 정책 목표는 직접 식민통치 하 農會나 産業組合과 같은 다양한 관변단체를 통해 식민지의 ‘民度’를 ‘내지’의 수준으로 끌어올려 物心兩面에서 ‘日鮮間融和’를 완성하려는 것이었다.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loot of 'pro-government' spirit movement in the modern East Asia. In context of East Asian Studies, the problem brings light on causes of contemporary authoritarian regimes in Korea, Taiwan, and Japan. Meiji Japan, a newly-rising imperial state, established so-called Local Improvement Movement (LIM) in order to develop the rural society immediately after the Russo-Japanese War, thereafter, transplanted LIM into underdeveloped colonial society. In the case of Colonial Korea, Japanese-style LIM gave birth to Rural Improvement Movement (RIM, 1932~1940), eventually influenced the launching of Saemaeul-undong (New Village Movement, 1970s). LIM, from the early stage, claimed to advocate the spirit movement as well as the rural improvement (=economic project), hereby set their sights on establishment of model village, so-called autonomous village (自治村落) in local society. In the process, as an agent of LIM, many various subsidiaries appeared at that time, for example, Agricultural Society (農會), Financial Association (産業組合), Agricultural Cooperatives, etc. These Japanese-style 'pro- government' subsidiaries ultimately aimed for the local penetration of imperial disciplines.

      • KCI등재
      • KCI등재

        호남(湖南)지역사회 속의 동진수리조합(東津水利組合) -장기사적 관점에서의 연구서설

        정승진 ( Seung Jin Chu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6 大東文化硏究 Vol.94 No.-

        이 글은 호남평야라는 지역사회의 관점에서, 또 碧骨堤가 상징하는 장기사적 관점에서, 동진강 일대 농촌사회의 변동과정을 수리·관개 사업을 통해 개관하려는 연구시론이다. 여기서는 한국의 고대 도작문명을 대표하는 벽골제와 근대 식민지기에 탄생한 東津水利組合의 장기사적 변천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호남평야의 농촌·농업변동에 관한 본격적인 사례연구를 촉구하려는 것이다. 사례 대상인 동진수리조합은 1925년 구래 벽골제의 관개구역을 중심으로 창설된 대규모 저수지형 수리조합이다. 특히, 동진수조의 주요 용수원인 운암제는 유역변경식 導水터널과 發電설비를 갖춘 다목적 댐으로서 조선총독부에 의해 지역개발의 상징으로 ‘제국’ 전역에 대대적으로 선전되었다. This paper is the preliminary research on the dynamic change of Korean rural society, especially through the large scale irrigation project in the Honam Plain(湖南平野), in the perspective of the local society, as well as the long-term history. Taking a general view of the Byeokgol-je Reservoir(碧骨堤), the representative of the oldest Korean rice civilization, and thereafter Dongjin Irrigation Association (DIA, 東津水利組合), the so-called model case of general government of Korea(朝鮮總督府) in the colonial period, I would recommend it the serious attention of a fullfledged case-study of DIA regarding the irrigation system in the Dongjin-gang River Valley of the Honam Plain, the rice basket of Korea as well as the so-called ``treasure of Choson(朝鮮)``.

      • KCI등재

        폴라니(K. Polanyi)의 복합사회론

        정승진(Chung, Seung-jin) 호서사학회 2016 역사와 담론 Vol.0 No.80

        이 글은 칼 폴라니의 후기사상으로 알려진 복합사회 담론에 대한 이론적 에세이이다. 그는 前근대, 非서구의 원시사회, 고대사회에 대한 역사인류학 내지 경제사적 조사연구를 통해 호혜, 재분배, 교환(시장)이 상호 유기적으로 통합된 복합사회를 재건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경우 시장을 복합사회 내에 다시 착근시켜 아리스토텔레스 類의 이른바 규범적 경제(또는 사회적 경제)를 확립하는 것이 논의의 요체이다. 복합사회론은 가정경제(공동체)를 전 3자의 하위범주로 위치 설정하는 가운데, 강력한 국가적 재분배체제 하에서 재분배와 시장(교환), 국가(재분배)와 민간(호혜, 가정경제) 영역 간의 조화와 균형을 추구한다. 이와 같은 폴라니의 시각은 시장을 통한 근대적 성장보다는 장기간의 안정화를 추구했던 동아시아 전제주의 사회에 일종의 사회안정화 테제로서 유력한 시각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재분배체제의 장기존속 및 안정성과 관련해서는 한국사 연구에서 근대주의적 시각(근대화론)을 극복하기 위한 통시적 역사이론으로서 주목할 가치가 있다. This essay is to provide the basic understandings of Karl Polanyi"s thoughts, through the so-called complex community discourse. First of all, his thoughts cover with the livelihood of man in the context of the substantive perspectives. The complex community of Polanyi consists of, as a main transaction category, ① reciprocity(互惠), ② redistribution(再分配), ③ exchange(market, 交換市場) to operate a community. As a sub category, ④ autarkic householding (家政經濟) backs up these three types. Many cases including the Ancient Greek Polis and the Dahomey Kingdom (with Whidah) shows the successful integration mode between bureaucratic redistribution and market exchange well, further this integration model itself displays high degree of archaic civilization under the powerful discipline power (=redistribution) too. These Polanyi"s substantive theory will shed new light on the research of Korean history, which has hold the long tradition of central bureaucratic system for a long time.

      • KCI등재

        일반논문 : 식민지기 학교조합과 호남의 일본인 이민자사회 -전북(全北) 익산(益山)(이리(裡里)), 군산(群山), 금제(金堤), 전주(全州)의 단편 사례

        정승진 ( Seung Jin Chu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5 大東文化硏究 Vol.90 No.-

        이 글은 식민초기 일본인 이민자사회에 의해 급조된 학교조합이 일본인아동을 교육하기 위한 ``자치적`` 기구일 뿐만 아니라, 지역의 ``拓植``과 ``개발``에 편승해 다목적의 지방공공단체로 전신했던, 일종의 외곽 관변단체임을 호남 지역사회의 차원에서 구명한 것이다. 최근 사회단체사의 차원에서 학교조합 등 지역공공단체와 그 기반을 이루는 이민자사회를 통일적으로 파악하려는 시도는, 최근 식민도시사, 재조일본인 연구 등에서도 중요한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1912년 호남선의 개통, 1914~17년간 지방제도의 개편 등에 따라 호남평야는 ``제국``의 곡창지대로 부각되고, 당해 지역사회는 일본인 이민자사회가 중심이 되어 群山및 裡里와 같은 ``식민도시``를 건설하며 급속한 ``개발붐``을 타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官과 유착한 일본인 地方有志를 중심으로 다양한 지역공공사업 및 ``개발``사업이 전개되었다. 그러나 재조일본인 사회가 중심이 되었던 학교조합사업은 일제의 동화주의정책과 이율배반적 관계에 있었다. 학교조합은 설립 초기부터 ``內鮮共學``조차 반대했던 것이다. 학교조합의 재정(예산)이 증가 추세에 있던 1930년대 초, 학교조합은 시정방침에 따라 해산되고 府·郡(協議會)에 편입되어 역사 속에서 사라졌다. 이는 좁게는 이민자사회에 의한 ``자치적`` 교육사업의 실패를 보여주는 것이며, 넓게는 동화주의정책의 모순을 스스로 폭로하고 있는 셈이다. 그들이 주창했던 일본인의 ``自治``와 ``개발``은 결국 조선인 현지주민과의 격차와 차별을 초래하며, 궁극적으로 민족간 평등과 융화를 선전했던 동화주의를 모순에 찬 허구로 만들고 있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trend of Japanese immigrant community in Colonial Korea, through the school association. Japanese immigrant community had been advanced even in Honam Plains (湖南平野), Korean rice-basket since Russo-Japanese War (1904). In the early colonial period, the school association established by a few Japanese local elit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ublic project, as well as in education work. In order to perform these public activities, a few Japanese local elites of the Honam local society had established a lot of different associations, but the most important group was the school association especially in newly rising colonial towns of Honam Plains such as Gunsan (群山), Iksan (益山), Gimje (金堤), and Jeonju (全州). The school association led by a few Japanese local elites brought about so-called ``colonial modernization`` in Honam local society, but it also gave rise to economic gap, socio-political discrimination between the native Korean local society and the Japanese immigrant community. Ultimately, the school association project led by Japanese immigrant community turned out to be a failure in the context of assimilation policy of General Government of Korea (朝鮮總督府).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