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탁금지법상 ‘금품등 수수 금지의 예외사유’에 관한 고찰

        정형근(Jung, Hyung-Keun) 경희법학연구소 2017 경희법학 Vol.52 No.2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prohibits the improper solicitations and the acceptance of financial or other advantages. Public official or relevant person shall not accept unacceptable financial or other advantages and shall not accept, request, or promise to receive as well.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occasionally allows public official or relevant person to accept financial or other advantages that either exceeds one million won for unrelated to his/her duties, or less than one million own in connection with his/her duties. This refers to the exception reason for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and The Acceptance of Financial or Other Advantages. This exception reason was not established originally in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It has been adopted from the Code of Conduct for Public Officials. The most noticeable item among the exception reason for the prohibition of accepting financial or other advantages is “Food and drink, congratulatory or condolence money, gifts, or other items that are offered to facilitate performance of duties or for social relationships, rituals, or assistance to festivities and funerals, the value of which is within the limit provided by Presidential Decree. According to the Presidential Decree, the amount of money was decided to be 30,000 won for food, 50,000 won for gifts, and 100,000 won for congratulatory or condolence. As a result, public official or relevant persons who are not civil servants under the State or Local Public Officials Act are in confusion due to such unprecedented regulations. Because of such low limit of money on food and gifts, it is pointed out the difficulty of living for restaurants and livestock industries. Additionally, restriction of Acceptance of Honoraria for Outside Lectures or Relevant Activities is included in the exception reason for the porhibition of accepting financial or other advantages. Outside lectures or relevant activities should be requested either in connection with his/her duties or by de facto influence arising from his or her position or responsibilities. The subject of outside lecture should be related to the duty and the requester of the outside lecture should be a duty-related party. Public/Private university professors have significant disadvantages regarding the restriction of acceptance of Honoraria for outside lectures. Public university professors receive 30,000 won for outside lecture while private university professors receive one million own which creates a huge discrepancy. This law shall be revised henceforth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restricting the freedom of learning and occupation. The Enforcement of Decree of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ordered a measure to examine the upper limit of money for food, gifts, and congratulatory or condolence as well as the outside lectures to be revised by December 31, 2018.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result thoroughly and take a required measure until the fixed period by the Decree. 청탁금지법은 공직자등이 수수 금지 금품등을 받거나 요구 또는 약속할 수 없도록 한다. 공직자등이직무와관련없이100만원을초과하는금품등을받았거나, 직무와관련하여100만원이하의금품을받았더라도이를허용하는경우가있다. 바로이것이청탁금지법제8조제3항이 정하는 수수 금지 금품등의 예외사유이다. 이 예외사유는 제3항 각호의 내용과 외부강의등에 관한 사례금에 규정이 이에 해당된다. 제3항 각호의 내용은 청탁금지법에서 최초로 규정한 것은 아니다. 이미 공무원 행동강령 과 법관 및 법원공무원 행동강령 등에서 규정하여 시행 중이던 내용을 청탁금지법에서 받아들인 것이다. 금품등의 수수 금지의 예외사유 중에서 가장 주목을 받는 조항은 “원활한 직무수행 또는사교 의례 또는 부조의 목적으로 제공되는 음식물 경조사비 선물 등으로서 대통령령으로정하는가액범위안의금품등”(제2호)에관한규정이다. 이에따라제정된시행령에서는음식물은3만원, 선물은5만원, 경조사비는10만원으로정하고있다. 그결과청탁금지법상공무원이아닌공직자들은기존에없던제한으로상당한혼란을겪고있다. 특히비교적적은금액으로 정해진 음식물과 선물가액 때문에 음식점업자 등의 생계곤란이 지적되기도 한다. 그리고 외부강의등의 사례금 수수 제한도 금품등의 수수 금지 예외사유이다. 외부강의등은 직무와 관련하여 또는 지위 직책으로 인한 사실상 영향력으로 요청받아야 한다. 외부강의는 그 내용이 직무와 관련이 있거나 강의를 요청한 자가 직무관련자여야 한다. 외부강의등의사례금수수제한과관련하여국 공립대학의교수는상당한불이익을받고있다. 국립대학교수는 시간당30만원을받을수 있을뿐이라서시간당 100만원인사립대학교교수와큰 차이가 있다. 이는 교수의 학문의 자유와 직업의 자유를 침해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향후개정할 필요가있다. 청탁금지법 시행령은2018. 12. 31.까지 음식물 선물 경조사비 및 외부강의등의 사례금 상한액을 검토하여 개선등의 조치를 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당장 시행령개정을 시도하기보다는 위시행령에서 정한시기까지그 결과를면밀히 검토하여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 KCI등재

        변호사시험 합격자의 6개월 실무수습 제도

        정형근(Jung, Hyung-Keun) 경희대학교 경희법학연구소 2018 경희법학 Vol.53 No.1

        변호사법은 변호사시험에 합격한 변호사에 대한 ‘법률사무소 개설 요건 등’과 ‘수임제한’ 을 두고 있다. 변호사시험에 합격한 변호사는 6개월 이상 법률사무종사기관에서 법률사무에 종사하거나 대한변호사협회의 의무연수를 마치지 아니하면 단독으로 법률사무소를 개설 하거나 법무법인, 법무법인(유한) 및 법무조합의 구성원이 될 수 없다. 이것을 ‘실무수습 제도’ 또는 ‘실무연수’라고 한다. 이 제도는 법학전문대학원의 단기간의 실무교육이 충분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이를 보완하고자 마련되었다. 그렇지만 지난 6년 동안 이 제도의 시행 결과를 보면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법률사무종사기관에는 법조경력 5년 이상의 변호사가 재직하고 있어야 한다. 그런데 그 변호사가 이직하여 실무수습을 받는 변호 사를 지도할 수 없는 상황에서의 근무기간도 유효한 것으로 인정하는 모순을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법률사무에 종사’한다고 할 때 어떤 법률사무를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규율이 없다. 오로지 법률사무종사기관에 6개월간 출근만 하면 실습을 한 것으로 인정되는 제도가 되었다. 법률사무의 종사 중에 법정에서 변론할 기회(소송복대리인이나 국선변호인)가 완전히 차단되어 있어 송무사건 처리능력도 기대하기 어렵다. 무엇보다 선배 변호사들이 실무 수습 중인 변호사에게 임금을 지급하지 않고 노동력을 착취하는 기회로 악용하는 사례가 많다. 이로 인하여 변호사시험 출신 변호사에 대한 무시와 차별로 여겨져 신규 법호사의 법조화합에도 큰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 대한변호사협회에서 시행 중인 의무연수는 집체강의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법률사무를 실제로 취급하여 실무능력 향상의 기회로 삼기 어렵다. 현재 대한변호사협회는 2개월 동안 실무수습지도관을 모집하여 수습 변호사 1명당 30만원을 지급하고 위탁하고 있다. 수습지 도관의 확보에 애로가 있을 수 있고, 이 역시 효과 있는 균질한 실무역량 강화를 기대하기 어렵다. 그래서 대한변호사협회는 의무연수의 주관이 힘들어 사법연수원에서 이를 주관해 주기를 기대하는 실정에 이르렀다. 그러나 사법연수원에서 실무수습 제도를 주관하려면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입법이 있어야 하는 등의 여러 사정이 구비되어야 한다. 사법연수원에서 변호사의 실무수습 교육을 필수적으로 하자는 제안도 있지만, 이는 기존의 사법시험 체제로 회귀하는 것이라 동의하기 어렵다. 현행 실무수습 제도는 6개월간 개업을 할 수 없도록 하는 기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향후 이를 폐지하고 변호사법 제85조 “변호사의 연수”제도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변경할 것을 입법론으로 제언하고 싶다. The Attorney-At-Law Act describes the requirements for establishment of Law Offices, etc. for a person who has passed a bar examination and the restrictions on case acceptance by bar examination passers. An attorney-at-law who has passed a bar examination shall neither establish a law firm independently nor belong to a law firm, limited liability law firm and law firm partnership unless he/she has engaged not less than 6 months in legal affairs or has completed mandatory training by Korean Bar Association. This is called either a practical apprenticeship training system or practical training for new admittees to the Korean Bar Association. This system has been established considering the practical education of law schools might be insufficient. However, the operation of this system for past 6 years has been causing a lot of problems. In an agency engaging in legal affairs must have an attorney-at-law who has at least 5 years of experience. Yet the period of practical training is accepted even if that attorney-at-law leaves the agency. When a person is engaged in legal affairs, there is no limit on what type of legal affairs should be given to the trainee. The practical training is considered complete by simply attending at the agency engaging in legal affairs for 6 months. Furthermore, those trainees are not paid by senior attorneys-at-law during that training period. As a result, it is reported that many senior attorneys-at-law exploit those new attorneys-at-law. The training by Korean Bar Association is centered around lectures, which lacks the opportunity for improving one s skill for practical legal affairs. Because the mandatory training is becoming a heavy burden for Korean Bar Association, Judicial Research & Training Institute is expected to take over the duty of practical training duty for new admittees. Consequently, the existing system of practical training for new admittees to the Korean Bar is functioning only for preventing new attorney-at-law from establishing a legal practice. So it is suggested to repeal the current system and change it to Training & Education of Attorneys-at-Law, Attorney-At-Law Act, Article 85.

      • KCI등재

        집중효가 발생하는 건축신고에 관한 법률적 검토

        정형근 ( Jung Hyung-keun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외법논집 Vol.34 No.1

        According to construction law, construction of a building that requires construction report may be done as long as report is filed with administrative office and does not require acceptance of the administrative office. And here, this one single report of construction, once it is filed, produces an effect of passing numerous administrative treatments just like construction approval and such effect is called concentrated effect. However, exemption of a series of approval requirement screening for one single report of construction may be deemed an interpretation that offers excessive advantage to construction right holder. There is no stipulation whether the concentrated effect by construction report take place the moment the construction report arrives at or is accepted by the administrative office. In case of construction report that produces concentrated effect, the administrative office in charge may well regard the construction report accepted only after permission or approval is determined through practical screening for the intended permission or approval. Hence, in case of construction report that requires concentrated effect, the construction report shall be regarded as required of acceptance by administrative office. Therefore, any construction report that requires acceptance by administrative office shall be a case liable to appellant lawsuit. Nevertheless, not all the reports that produce concentrated effect may be regarded as cases that require acceptance by administrative office, but each report shall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legal nature.

      • KCI등재

        변호사법상 법무법인등에 취업한 퇴직공직자에 관한 고찰

        정형근(Jung, Hyung-Keun) 경희법학연구소 2020 경희법학 Vol.55 No.2

        변호사법에서 퇴직공직자를 규율하는 것은 비법조계에 존재하는 전관예우를 금지하고자 하는 목적이다. 세월호 사건에서 드러난 각종 이권에 얽혀 있는 관피아와 같은 부패구조를 척결하기 위해서는 현직에 있는 공직자들이 공정하고 특혜없는 직무수행이 요청된다. 공직자는 직무수행과 관련하여 공평무사하게 처신하여야 하며 전관이었던 퇴직공직자의 청탁을 우호적으로 처리하여서는 아니된다. 퇴직공직자를 영입한 법무법인등은 그 명단을 지체없이 지방변호사회에 제출해야 한다. 법률사무소의 사무직원은 사전에 신고해야 하지만, 퇴직공직자를 채용할 때는 아무런 규제규정이 없다. 퇴직공직자의 범위는 공직자윤리법상 재산등록의무자와 변호사법 시행령에서 정하는 공직자로 한정된다. 법무법인등에 취업하는 퇴직공직자는 사무직원의 결격사유와 같은 형사처벌을 받은 전과 있는 자는 일정기간 취업을 제한하는 결격사유가 필요하다. 퇴직공직자의 명단을 제출해야 하는 기한의 제한도 없어서 실제로 명단 제출을 어느 정도 지연하였을 때 징계처분을 할 것인지 명확하지 않다. 그리고 퇴직공직자가 법무법인등에서 행한 업무에 관한 활동내역서를 제출해야 한다. 퇴직공직자가 행하는 업무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퇴직하였던 국가기관에서 취급하였던 업무와 관련된 로비스트와 같은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퇴직공직자의 업무는 범죄행위가 아니라면 어떤 행위도 할 수 있다. 퇴직공직자의 활동내역서를 제출받아 그 업무수행 과정에서 위법행위나 범죄혐의가 있는지 여부를 법조윤리협의회가 조사하게 된다. 만약 위법사유가 존재하고, 그 행위에 법무법인등의 변호사가 관련되어 있다면 그 법무법인등과 변호사에 대하여 징계개시 신청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범죄혐의가 의심되는 경우에는 지방검찰청 검사장에게 수사 의뢰를 할 수 있다. 수사 의뢰의 대상자는 관련된 변호사는 물론 퇴직공직자도 포함된다. 퇴직공직자에 대한 실효적인 규율을 하기 위해서 개선해야 할 점도 많다. 현재는 퇴직공직자를 영입한 법무법인등의 적극적인 협조가 없으면, 이 제도가 유명무실해 질 수 있다. 퇴직공직자를 채용한 경우에 그 명단의 제출기한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활동내역서의 제출의무 기한이 무제한으로 되어 있는 것을 채용한 때부터 5년 이내로 한정하는 등의 조치가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이들을 채용하는 단계에서 지방변호사회나 대한변호사협회가 전혀 관여할 수 없다. 그래서 사전에 채용신고를 하도록 하고, 채용시 형사처벌을 받은 전과가 있을 때는 이를 제한하는 결격사유도 설정해야 한다. 그리고 퇴직공직자의 명단 및 활동내역을 거짓으로 작성하거나 미제출에 대해서는 제재를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과태료를 부과하는 규정을 신설함이 타당할 것이다. The Legal Ethics and Professional Conduct Council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Ethics Council”) shall be established in order to establish legal ethics and build a healthy legal climate. The Ethics Council shall perform the work in each of the following subparagraphs: 1. Consulting about statutes and regulations, the legal system and policies for the establishment of legal ethics; 2. Analysis of the state of legal ethics and measures against violations of legal ethics; 3. Applications for the commencement of disciplinary action against those who violate statutes and regulations pertaining to legal ethics or request for investigations of such persons; 4. Other work, such as consulting about matters necessary to establish legal ethics. When a person liable for registration of property referred to in Article 3 of the Public Service Ethics Act, or a retired public official, as non-attorney-at-law, who has served in a position of a specific grade prescribed by Presidential Decree or higher one (referred to as “retired public official” in this Article) is employed by a law firm, limited liability law firm or law firm partnership; or joint venture law firm as defined in subparagraph 9 of Article 2 of the Foreign Legal Consultant Act (hereafter referred to as “law firm, etc.” in this Article), such law firm, etc. shall submit a list of names of retired public officials whom it employs, to the local bar association having jurisdiction over its principal office without delay, and prepare and submit a statement of business of retired public officials of the preceding year in which the details of business activities, etc. are included, to the local bar association having jurisdiction over its principal office by the last day of January of each year. Employment referred to ‘retired public officials entire activities to receive wages, salaries and others in any name, such as money and articles or economic benefits in return for the provision of labor or service. Every local bar association shall submit data it receives pursuant to paragraph (1), to the Ethics Council. The chairperson of the Ethics Council may, when he or she finds as a result of examining data submitted pursuant to paragraph (4) that the relevant persons are suspected of having grounds for disciplinary action or committing any illegal act, file an application for the commencement of disciplinary proceedings against such persons with the President of the Korean Bar Association or request the investigation of such persons to the chief prosecutor of a district prosecutors office. Statements of duties referred to in paragraph (1) shall include the details of business activities of retired public officials, such as cases and affairs in which they are involved and other matters prescribed by Presidential Decree. The following shall be entered into a name list submitted pursuant to Article 89-6 (1) of the Act: 1. Name of a retired public official; 2.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of a retired public official; 3. Name of the institution for which a retired public official worked and his/her Grade at the time of retirement; 4. Date of employment when a retired public official worked at a law firm, etc.; 5. An attorney-at-law who is responsible for submission of the name list.

      • KCI등재

        청탁금지법상 ‘부정청탁의 금지’에 관한 고찰

        정형근(Jung, Hyung-Keun) 한양법학회 2017 漢陽法學 Vol.28 No.3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was established in order to step up toward an advanced nation by preventing corruptions committed by public officials and relevant persons. This Act is primarily focused on the Prohibition of Improper Solicitations and the Prohibition of Acceptance of Financial or other Advantages. The improper solicitation is requesting the violation of Acts and subordinate statutes and there are 14 categories defined by this Act. Exerting official authority by a public official or relevant person beyond the limits of his or her position and authority granted by Acts and subordinate statutes, or doing any act for which a public official or relevant person lacks legitimate authority regarding the duties that may be subject-matter of the improper solicitation prescribed by Subparagraphs 1 through 14. No one shall solicit any public official or relevant person performing his or her duties, directly or through a third party, to do any of the following improper acts. Exerting influence so that authorization, permission, license, patent, approval, inspection, examination, test, certification, verification or any other duties, which are handled upon receiving an application from a duty-related party as prescribed by Acts and subordinate statutes (including ordinances and rules; hereinafter the same shall apply), are managed in violation of Acts and subordinate statutes Notwithstanding the provisions of Paragraph (1), this Act shall not apply to any of the following cases: Publicly soliciting a public official or relevant person to take a certain action. If a public official or relevant person receives an improper solicitation, he or she shall notify the person who made the improper solicitation that the solicitation is improper and clearly express an intention to refuse the solicitation. If a public official or relevant person receives the same improper solicitation again even though he or she took the measure as prescribed in Paragraph (1), he or she shall report such fact to the head of the relevant agency in writing (including electronic documents; hereinafter the same shall apply. A head of the relevant agency in receipt of a report under Paragraph (2) shall promptly verify whether the subject-matter of the report constitutes an improper solicitation by examining the background, purport, details and evidence of the report.

      • KCI등재

        청탁금지법상 공직자가 음식물ㆍ경조사비ㆍ선물 등의 금품을 받을 수 있는 한계

        정형근(Jung Hyung Keun) 경희법학연구소 2018 경희법학 Vol.53 No.2

        Although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s prohibits a public official or relevant person from accepting financial or other advantages, there is an exceptional rule for allowing it. The prohibition of financial or other advantage describes that a public official or relevant person shall not accept, request, or promise tro receive, any financial or other advantage in excess of one million won at a time from the same person, regardles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uch offer and his or her duties. Accepting financial or other advantage which is not related with his or her duties shall be punished, which sets against the Criminal Act by which a public official will be punished for accepting bribe in connection with his or her duties. When a public official accepts financial or other advantages in connection with his or her duties, it should be examined whether such an act was given in exchange of any favors. In addition, a public official or relevant person shall not accept financial or other advantages in value of less than 100 million won in connection with his or her duties regardless of whether such offer if given in exchange of any favors. The violation of this rule shall be subject to a fine for negligence. In case it is in connection with his or her duties and in exchange of any favors as well, it violates both Criminal Act’s Acceptance of Bribe and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However, in such a case, it is debatable which law is supposed to be applied. It is probable that the investigating authorities would consider it as accepting bribe, while the public institution would rather impose a fine for negligence. It is necessary to observe how this rule is going to be practiced. Although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prohibits the acceptance of financial or other advantages, there are exceptions when it is allowed to accept financial or other advantages. Among such exceptions, it is allowed to accept food and drink, congratulatory or condolence money, gifts, or other items that are offered to facilitate performance of duties or for social relationships, rituals, or assistance to festivities and funerals, the vale of which is within the limit provided by Presidential Decree. Of course, the amount is set by the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According to the updated the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it is allowed to offer up to 50,000 won for congratulatory or condolence money while the value of artifical flowers or flower bed up to 100,000 won. The value of give is limited to 50,000 won while the value of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and the processed product of them is limited to 100,000 won. But requesting congratulatory or condolence money for a public official or relevent person’s assistance to festivities or funerals should be prohibited. Especially, when such request is in connection with a public official’s duties and it is in exchange of any favors. For example, a professor shall not request students to assist his or her festivities or funerals. It is also prohibited a professor from accepting birthday cake and a bouquet during school hours. In this case, because the professor is in the position to guide and evaluate students, it is considered being in connection with his or her duties and in exchange of any favors. If the professor is a public school employee, such an act can be considered as acceptance of bribe. Likewise, if the professor is a private school employee, such an act shall be considered as violating Criminal Act’s Receiving or Giving Bribe bvy Breach of Trust. Of course it also violates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As a result, accepting financial or other advantages prohibited in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will lead to violating Criminal Act as well. 청탁금지법은 공직자등의 금품등의 수수를 금지하면서도 예외적으로 이를 허용하는 규정을 두고 있다. 금품등의 수수금지에 관한 내용을 보면, 공직자등의 직무 관련 여부에 관계없이 동일인으로부터 1회에 100만원을 초과하는 금품등을 받거나 요구 또는 약속할 수 없도록 한다. 직무 관련이 없는 상태에서 금품등을 받아도 처벌한다. 이 점이 직무와 관련하여 뇌물을 받으면 처벌하는 형법상 수뢰죄와 비교된다. 음식물이나 선물 그리고 경조사비라도 수수금지 금품등의 예외사유에 해당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를 받거나 요구 또는 약속할 수 없다. 공직자가 직무와 관련하여 금품등을 받으면 당연히 대가성이 인정되는지도 검토해야 한다. 그리고 공직자등이 직무와 관련하여 대가성 여부를 불문하고 100만원 이하의 금품을 받을 수 없다. 이를 위반한 때는 과태료를 부과한다. 직무와 관련하여 대가성도 인정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는데, 이때는 형법상 수뢰죄와 청탁금지법 위반에 해당된다. 이 경우에 어느 법률을 적용해야 할 것인지가 문제된다. 수사기관에서는 뇌물죄로 의율 할 것으로 보이지만, 청탁금지법 위반으로 인정한 공공기관에서는 과태료를 부과하는 절차를 밟을 가능성이 있다. 이는 앞으로 실무의 추이를 지켜보아야 할 사항이다. 청탁금지법은 수수금지 금품등이라 할지라도 예외적으로 받을 수 있는 예외를 인정하고 있다. 그 중에서 “원활한 직무수행 또는 사교ㆍ의례 또는 부조의 목적으로 제공되는 음식물ㆍ경조사비ㆍ선물 등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가액 범위 안의 금품등”에 따라 음식물, 경조사비, 선물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그 가액에 대해서는 청탁금지법 시행령에서 정하고 있다. 2018. 1. 17. 개정된 청탁금지법 시행령에서는 경조사비에 대해서는 5만원으로 하면서도 조화, 화환은 10만원까지 가능하도록 했다. 그리고 선물에 대해서는 5만원으로 하되, 농수산물과 농수산가공품에 대해서는 10만원까지 허용하였다. 그렇지만 경조사를 당한 공직자등이 경조사비의 제공을 요구할 수 없다고 해야 한다. 그리고 공직자등과 수수금지 금품 제공자 사이에 직무관련성과 대가성이 있을 때는 허용될 수 없다. 예컨대 대학의 교원이 수업을 듣는 학생들에게 자신의 경조사에 참석하도록 강제하는 행위는 허용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생일을 맞은 교원이 수업 시간에 학생들이 제공한 케이크와 꽃다발을 받는 행위 역시 금지된다. 이 경우에 교원은 학생의 지도와 학점을 부여하는 지위에 있기 때문에 직무관련성과 대가성도 인정되기 때문이다. 만약 교원이 국립대학 교원으로 공무원이라면 뇌물죄에 해당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사립대학 교원으로 부정한 청탁을 받고 금품을 받았다면 형법상 배임수재죄에 해당된다. 물론 청탁금지법도 위반한 것이 된다. 이처럼 청탁금지법의 수수금지 금품등을 받은 경우에는 형법 위반에도 해당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 KCI등재

        청탁금지법상 공직자등의 직무와 관련한 금품등의 수수 금지

        정형근(Jung, Hyung-Keun)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法學硏究 Vol.57 No.-

        청탁금지법은 공직자등의 직무 관련 여부 및 수수된 금품등의 가액을 기준으로 제재를 달리하고 있다. 공직자등이 1회에 100만원을 초과하는 금품등을 받으면 직무 관련 여부를 묻지 않고 3년 이하의 징역으로 처벌한다. 100만원을 소액으로 쪼개어 제공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매 회계연도에 300만원을 초과하는 금품 수수도 동일하게 처벌한다. 이는 공무원이 금품을 받았음에도 직무관련성 또는 대가성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뇌물죄로 처벌할 수 없었던 그간의 법의 흠결을 보완한 측면이 강하다. 청탁금지법의 또 다른 특징은 공직자등이 직무와 관련하여 대가성 여부를 불문하고 100만원 이하의 금품을 수수하면 과태료를 부과한다는 점이다. 이때 공직자등에게 직무관련성만 있으면 되고, 대가성까지는 요구하지 않는다. 그렇기에 형법상 뇌물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만약 직무와 관련되고 대가성까지 있으면 뇌물죄에도 해당된다. 따라서 ‘대가성 여부는 불문’한다는 문구는 직무관련성은 있지만, 대가성은 없다는 것을 전제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대가성까지 인정되어도 청탁금지법을 적용해야 한다는 것인가 하는 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문구는 삭제하는 것이 옳을 것으로 보인다. 청탁금지법은 뇌물의 가액을 묻지 않는 형법상 뇌물죄와 달리 금품등의 요구, 약속행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 포함된 금품가액을 파악하여 형사처벌을 하거나 과태료 부과대상인지를 확정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향후 실무경향을 지켜보아야 할 것이지만, 금품의 요구 또는 약속행위에 대해서는 그 금품가액을 특정하기가 어려워 사실상 규율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공직자등의 직무와 관련한 금품 수수 금지 원칙은 청탁금지법만의 고유한 영역이 아니고 형법과 질서위반행위규제법과의 관계도 고려하여 해석 · 적용해 가야 한다. The case started when the accuser delivered a box of rice cake which is worth 45,000 won to a police officer who is in charge of the affair. Because it is considered that the accuser offered financial or other advantage not exceeding one million won to the police officer in connection with his duty, the accuser was charged a negligence fine of 90,000 won corresponding to the double amount of the financial or other advantage offered.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includes the Prohibition of Improper Solicitations and the Prohibition of Acceptance of Financial or other Advantages. Public official or relevant person shall not accept unacceptable financial or other advantage and shall not accept, request, or promise to receive as well. In addition, no one shall offer, promise to offer, or express any intention to offer, any unacceptable financial or other advantage to any public official or relevant person, or to his or her spouse. The Order adjudicated the accuser to be guilty of violating this rule by offering financial or other advantage to the police officer.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applies different amount of fine depending on the value of the financial or other advantages received by public official or relevant person. If the value of financial or other advantage exceeds one million won at a time, the recipient shall be punished regardles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uch offer and his or her duties by imprisonment for not more than three years or by a fine not exceeding 30 million won. The same punishment shall be applied when the financial or other advantage exceeds three million won in a fiscal year. In order to prevent the acceptance of financial or other advantage more effectively,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upper limit of acceptable amount in a fiscal year. Public official or relevant person will be punished regardles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uch offer and his or her duties based on this rule. This characterizes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and that is why this law was established. In the Criminal Act, a public official will not be punished for accepting bribe as long as receiving, demanding or promising to accept a bribe is not in connection with his/her duties. Public official or relevant person shall not accept, request, or promise to receive any financial or other advantage not exceeding one million won in connection with his/her duties. This law applies, in connection with his or her duties, regardless of whether such offer is given in exchange of any favors. Criminal Acts Acceptance of Bribe shall be additionally applied if such an act was in connection with his or her duties and such offer was given in exchange of any favors as well. Therefore, it would be proper to delete the phrase regardless of whether such offer is given in exchange of any favors in order to make the interpretation of the law easier.

      • KCI등재

        법조 유사직역의 소송대리권 주장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정형근(Jung, Hyung-Keun) 경희법학연구소 2019 경희법학 Vol.54 No.1

        해방 이후 전문자격사제도를 도입하면서 동일한 직무를 여러 자격사가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자격사를 창설하였다. 국민은 업무의 성격에 따라 필요한 자격사를 선택하 여 조력을 받을 수 있는 편의를 누릴 수 있다. 자격사들은 업무의 중복으로 직역다툼이 발생할 여지가 크고, 새로운 직역개척의 일환으로 소송대리권을 인정해 줄 것을 기대한다. 변리사는 기존에 가진 소송대리권의 권한을 특허침해소송까지 확대할 것을 주장한다. 세무사는 조세소송대리인 지위를, 법무사는 소액사건에 대한 소송대리권을, 공인노무사는 노동사건에 대한 소송대리권 허용을 주장하고 있다. 변리사를 제외한 세무사, 공인회계사, 관세사, 공인노무사 등의 업무범위는 행정심판 단계 까지로 한정되어 있다. 행정심판에서 세무사 등의 자격사가 대리인이 되어도 행정심판위원 회에서 주도적으로 심리·재결을 하기에 당사자에게 불이익이 없다. 그러나 민사소송은 당사 자주의를 기초로 하기에 법률전문직인 변호사의 소송대리 원칙을 채택하고 있다. 그런데 변리사법 제8조는 법조 유사직역 중 유일하게 소송대리권 자격을 부여하고 있다. 세무사 등 과 달리 오로지 변리사에게만 소송대리를 허용할 만한 합리적인 이유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런 점에서 변리사법 제8조는 변리사에게만 특혜를 베푸는 시혜적 법률조항으로 세무사 등의 평등권을 침해하는 위헌조항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형사절차에서 피의자나 피고인이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를 헌법상 기본권으로 보장 받는 것과 같이 민사·행정소송 등에서는 국민의 재판청구권의 행사를 위하여 변호사의 조력을 받을 권리가 있다. 이 점에서 변호사가 아닌 변리사로 하여금 특허심결취소소송의 소송대리인 지위를 허용한 것은 국민의 변호사의 조력을 받을 권리를 침해할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변리사법 제8조의 소송대리권 조항에 대해서는 헌법소원을 청구하여 위헌 여부를 판단 받을 필요가 있다. 변리사·세무사 등에 대한 소송대리권 허용은 변호사 자격을 부여하는 것과 같다. 비록 한 정적인 범위에서의 소송대리권 자격을 부여하는 것이지만, 그 범위에서는 변호사와 동일한 권한을 갖게 된다. 소송대리능력은 없으면서 자격만 부여받은 결과 국민은 불완전한 조력으로 피해를 받을 수밖에 없다. 그렇게 되면 학력제한과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드는 변호사시험을 거치지 않고, 변리사, 세무사, 공인회계사, 공인노무사 시험의 합격만으로 자신의 분야에 대한 변호사 직무를 수행하는 것이 훨씬 유리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법조 유사직역에 대하여 소송대리의 자격을 부여하는 것은 변호사제도의 근간을 훼손하는 것에 해당된다. 소송대리를 허용하는 내용으로 입법발의된 내용대로 변리사법과 세무사법이 개정된다면, 국회의 입법재량의 범위를 일탈한 명백히 부당한 위헌법률에 해당된다. The Professional Legal System established since the Liberation, many different professionals were permitted to perform same job. Based on that system, citizens were able to select a professional. However, there was a potential for conflicts among professionals due to overlapping duties. The increased number of successful applicants intensified the competition for survival. Legal Similarities demand the qualification for right of proxy. The Patent Attorney Act item 8 states that “A patent attorney may become a litigation representative in connection with matters pertaining to patents, utility models, designs or trademarks.” Patent attorneys request expansion of the existing range of the right of proxy to patent infringement litigation. Tax accountants wish to have the right of proxy for taxation, likewise judicial scriveners for small amount claims, public labor attorneys for labor cases. These people assert they can be a litigation representative because of their own specialty in their fields. But giving legal similarities a permission to be a litigation representative infringes the Attorney-at-Law Act. Revising the certified patent act and the certified tax accountant act in order to permit a patent attorney and a tax accountant to be a litigation representative is against the legislation discretion of the Congress. Besides the patent attorney, the service of a tax accountant and a public labor attorney is limited up to administrative appeals step. In case of an administrative appeals, as the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s plays the major role, there will not be any disadvantage to the interested party even though a tax accountant becomes the agent. But in the Civil Procedure, the interested party has to make own pleading. Therefore, the Civil Procedure Act states for the qualification to become litigation representative that “except for representatives entitled to conduct the judiciary acts pursuant to Acts, no person may become an attorney, other than attorneys-at-law.” To give a patent attorney and/or a tax accountant the qualification to become litigation representative is to give them the qualification to become an attorney-at-law. They can perform services just like an attorney-at-law for the civil procedure cases and administrative litigation case even with a limited range of the right of proxy. It is required to graduate from a professional law school in order to become an attorney-at-law. In addition, the applicant should pass the national bar examination. To become an attorney-at-law has to go through such an ordeal. And yet it is not fair to allow a patent attorney, a tax accountant, a public labor attorney, and a judicial scrivener to perform services as an attorney-at-law in their specialties simply by passing their own examinations. It is like asking for a preferential treatment. In order to obtain the qualification to become a litigation representative as a legal similarity, the national bar examination should be added to their own examinations. Only after that, they can be considered as a rightful litigation representative.

      • KCI등재

        변호사시험법상 응시기간 및 응시횟수의 제한에 관한 연구

        정형근(Jung, Hyung-Keun) 경희대학교 경희법학연구소 2019 경희법학 Vol.54 No.2

        변호사시험법은 법학전문대학원을 졸업하여 석사학위를 취득하였거나 취득할 예정인 자는 5년 이내에만 변호사시험에 응시할 수 있도록 한다. 졸업 후 5년이 지나면 단 한 번도 시험에 응시하지 않았더라도 응시자격이 박탈된다. 변호사 자격을 취득하여 그 직업에 종사할 수 있는 기회를 졸업 후 5년 이내에만 허용하고 있다. 어려운 법학전문대학원 입학을 거쳐 3년간의 교육과정을 수료하는 동안 들인 많은 학비와 시간을 고려할 때, 변호사 직업을 선택할 시기를 지나치게 제한하고 있다. 변호사는 규범적으로 상인에 해당되지 않지만, 개업 후에는 사업자등록을 하고 스스로 벌어서 살아가는 직업으로 정년도 없다. 이런 점에서 졸업 후 5년 이내에만 변호사의 직업을 선택할 기회를 부여하는 것은 직업의 자유를 침해하여 위헌이라 할 수 있다. 변호사의 자격취득 시기를 그렇게 엄격하게 제한해야 할 공익 적인 이유도 존재하지 않는다. 장기간 수험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라도 하지만, 실제로 졸업자가 과거 사법시험 때처럼 장기간 시험공부만 한다는 현상은 발생하고 있다고 할 수 없다. 또한 응시기간을 졸업 후 5년 이내로만 제한하는 것은 변호사 자격 취득에 마치 연령제한을 한 것과 같다. 졸업당시의 나이에서 5년 이내에만 변호사가 될 수있도록 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그리고 변호사법과 변호사시험법에는 변호사 결격사유와 응시 결격사유를 규정하고 있다. 결격기간이 지난 자는 변호사시험에 응시할 수 있어야 하고, 변호사가 될 수 있어야 한다. 국가공무원법도 결격사유기간이 지나면 공무원이 될 수있도록 한다. 그런데 결격사유기간과 응시기간의 제한기간이 겹쳐 5년이 지났다는 이유로 응시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은 결격사유자의 직업의 자유를 침해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의사나 치과의사 등도 엄격한 학력제한을 받는데, 이들에게는 응시기간이나 응시횟수의 제약도 없다. 경력법관 시험도 마찬가지다. 그럼에도 유일하게 변호사시험 응시자에게만 이런 제한을 하는 것은 합리적인 이유 없는 차별이라고 할 것이라서 변호사시험 응시자의 평등 권을 침해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그리고 변호사시법은 응시횟수를 5회로 제한하고 있다. 사법시험에서는 4회 응시 후 4년간 응시제한을 하였지만, 위헌문제가 있다고 하여 폐지하였다. 변호사시험에서 응시횟수를 제한하는 것은 변호사시험의 합격률을 80% 상당으로 예상하였기 때문이다. 이런 합격률이 라면 사실상 응시횟수의 제한은 큰 의미가 없게 된다. 그러나 현재 변호사시험은 처음 예상 했던 것과 다른 제도로 운용되고 있다. 무엇보다 응시횟수의 제한은 자기의 장래를 계획하여 행동할 수 있는 자기운명 결정권을 침해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된다. 응시기회를 제한 하는 제도의 취지는 살리지 못하면서 규제만 남아 있기에 신속하게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변호사시험의 응시기간의 유일한 예외사유는 병역의무 이행기간이다. 병역의무는 남성에 게만 부과되기에 여성에게는 임신, 출산사유도 예외사유로 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고, 실제로 국회에서는 이를 위한 입법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과거 사법시험에서 인정 되었던 천재 지변과 같은 블가항력이나 불의의 사고나 질병 등도 예외사유를 인정해야 할필요가 크다. 이런 다양한 예외사유를 전부 입법화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변호사시험은 응시자가 언제부터 시험에 응시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는 응시시기 선택권이 주어져야 하고, 몇 회를 응시할 것인지도 자신의 장래를 걸고 스스로의 결정할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 점에서 이런 취지에 반하는 응시기회제한 조항인 변호사시험법 제 7조는 폐지함이 바람직하다. 설령 이를 존속시키더라도 응시기간 5년 이내 부분이라도 신속하게 삭제해야 한다. 그리고 응시기회를 박탈당한 자에게는 법학전문대학원의 연구생으로 1년간 교육을 받도록 한 후 다시 응시기회를 부여하는 교육적인 배려도 필요하다. 미래를 향하여 달려가는 청년이 몇 번의 실패를 했다는 이유로 교육효과가 소멸된 자로 낙인찍어 배척할 것이 아니라, 더욱 격려해 주고 기회를 주고 기다려 주는 것이 각인의 능력을 최고도로 발휘하게 하는 헌법정신에 부합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Bar Examination is to test professional ethics and legal knowledge required as a legal professional in order to practice law. A person who intends to apply for the Examination shall have earned a jurist Master s degree from a professional law school under Article 18 (1) of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Professional Law Schools. However, a person may apply for the Bar Examination prior to conferment of a jurist Master s degree from a professional law school, as prescribed by Presidential Decree. The educational ideology of professional law schools is to train legal professionals who have sound professional ethics based on rich education, a deep understanding of people and society, and morals valuing freedom, equality and justice, and who have knowledge and abilities that will allow professional and efficient resolution of diverse legal disputes in order to provide quality legal service responding to the people s diverse expectations and requests.). The National Bar Examin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Examination ) shall be administered in close connection with the curricula of professional law schoo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ofessional law schools”) under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Professional Law Schools. Present National Bar Examination limits the period and number of applications for those who graduated from professional law schools. A person may apply for the Exam (excluding the Legal Ethics Examination under Article 8 (1)) five times only during the five years from the last day of the month in which the person earns a jurist Master s degree from a professional law school under Article 18 (1) of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Professional Law Schools: Provided, That a person who applies pursuant to Article 5 (2) as he/she is expected to earn a jurist Master s degree may apply up to five times within five years from the date of the Examination held before he/she earns such degree.). First of all, professional law school graduates are allowed to apply for the Bar Examination within 5 years since graduation. The applicant shall pass the Bar Examination within 5 years in order to be a legal professional. After 5 years, even the right to apply is deprived. This violates the freedom of occupation for professional law school graduates. It should be up to the applicants wether they apply 5 times or 6 times. They shall have the right to make decision for their lives. Where a person has completed mandatory military service under the Military Service Act or the Military Personnel Management Act, after the person earns a jurist Master s degree from a professional law school under Article 18 (1) of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Professional Law Schools, the period of military service shall not be included in the period of application for the Exam under subparagraph (1). The period of military service is not included in this 5 year period of application. In this case, pregnancy, childbirth, unexpected accidents, or disease shall be included as exceptional case.

      • KCI우수등재

        법무법인의 소속 변호사에 대한 세무사등록거부처분의 당부 - 대법원 2016. 4. 28. 선고 2015두3911 판결 -

        정형근 ( Jung Hyung-keun ) 법조협회 2016 法曹 Vol.65 No.7

        세무사법은 변호사의 자격이 있는 자에게 세무사 자격을 주고 있다. 변호사는 세무사뿐만 아니라 변리사 자격도 자동으로 부여받고 있다. 이렇게 된 것은 해방 이후 세무사, 변리사 숫자가 부족한 이유도 있었지만, 변호사의 직무 속에 세무사·변리사의 직무가 포함된다고 보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렇지만 변호사의 자격취득으로 세무사와 변리사의 직무까지도 충분히 해낼 능력이 있는지는 의문이라는 지적도 있다. 모든전문직업에는 고유한 전문적 지식과 기능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변호사는 세무사·변리사는 물론 법무사·공인중개사 등과 힘겨운 직역싸움을 하고 있다. 세무사와 변리사는 변호사에 대한 자동 자격부여 제도를 폐지하려고 한다. 세무사법은 변호사에게 세무사 자격은 인정하면서 세무사 등록은 제한을 두었다. 2003년 제45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변호사가 된 자와 그 이전에 변호사 자격이 있는 자는 세무사 등록을 할 수 있다. 세무사등록을 하지 않은 변호사는 세무사라는 명칭을 사용할수 없다. 변호사라는 이름으로 세무대리를 하라는 것이다. 세무사의 직무를 수행하면서 그 고유한 명칭을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은 사실상 그 자격을 박탈한 것과 같은 상징성을 갖는다. 세무사법은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법인’의 업무집행사원·임원 또는 사용인이 되어영리 업무에 종사하는 자는 등록거부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대상판결은 법무법인소속 변호사인 원고가 위 규정에 해당된다고 등록거부를 한 것은 잘못이라고 밝히고 있다. 법무법인은 변호사의 직무를 전문적·조직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호사는 상법상 당연상인도 아니고, 의제상인도 아니다. 그러므로 변호사의 직무를 수행하는 법무법인 역시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법무법인에 소속변호사로 있는 원고는 세무사등록 거부사유에 해당되지 않는다. 대상판결은 이 점을확인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변호사가 부여받은 세무사 자격으로 국민에게 얼마나 도움을 줄 수 있는지가 자격유지의 관건이라 할 수 있다. Certified tax accountant act enables certified lawyers to be certified tax accountants. A lawyer is granted to be not only a certified tax accountant but also automatically a patent attorney. Although it is partially stems from the lack of number of certified tax accountants and patent attorneys right after independence from Japan, their duties were considered to be part of lawyers`` duty. However, it is questionable that acquiring lawyer``s certification directly indicates their ability to perform certified tax accountant``s and patent attorney``s duties. It should be noted that all professions require their own specific knowledges and functions. Lawyers are in a severe battle for their professional boundaries against not only tax accountants and patent attorneys but also certified judicial scriveners and licensed real estate agents. Tax accountants and patent attorneys want to repeal the system of lawyer``s automatic certification. While Certified tax accountant act acknowledges the qualification as a certified tax accountant for lawyers, they restricted the condition for registration. Those who passed the 45th Jurisprudence examination in 2003 and before that year can register for a certified tax accountant. Whether a lawyer registered or not, they are not allowed to use the title "certified tax accountant", which implies they only can commence tax agent services. It is very unusual for people who perform a certified tax accountant``s duty is not allowed to have his/her own corresponding title. Certified Tax Accountant Act prohibits the registration of an employee of any person running business for profit, or an executive officer, executive or employee of a profit-making corporation. Adjudication made it clear that it is wrong to refuse the registration of the plaintiff as an associated attorney-at law fall under the regulations described above. A law firm has been established for any attorney-at-law to perform his/her duties in a systematic and professional manner. According to commercial act a lawyer is neither a merchant-by nature of business nor a merchant-by legal construction. A law firm who performs duties of attorney-at-law is not a profit making organization. Therefore, the rule to refuse registration as a certified tax accountant is not applicable to the plaintiff as an associate attorney-at-law. Adjudication``s confirming this matter is significant. Now lawyers hold the key to maintaining qualification depending on how much they can contribute to the society with their newly granted certified tax account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