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술성과 기록성의 관계에 대한 영어권 학자들의 초기 탐구에 대한 소고

        수호 한국구비문학회 2014 口碑文學硏究 Vol.0 No.38

        서양 학계에서는 구술성과 기록성의 관계에 대해서 오랜 세월동안 논의되어 왔으나 현 대 논의는 1960년대에 시작됐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초기 미국?캐나다?영국 학자들의 대표적인 이론을 정리하여 이 분야에 기본이 되는 서양 이론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 자 한다. 구술성과 기록성의 관계에 대한 현대 연구의 출발점을 설정하자면 로드의 The Singer of Tales가 출판된 1960년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는 밀만 패리의 연구에 이어 슬라브 구비 서사시를 연구하였으며 후대 학자들에게 영감을 주는 구전 정형어구 이론을 펼쳤다. 이어 서 많은 학자들이 구술성과 기록성에 대해 논했는데 본고에서는 캐나다 정보이론학자였던 맥루한, 미국 정보이론학자이자 예수회 신부였던 옹, 영국 구전학자였던 하베록, 영국 사회 인류학자인 구디, 영국 사회인류학자인 피네간의 이론을 검토하였다. 맥루한은 구술성에서 기록성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인간의 감각을 사용하는 비율이 청 각 위주에서 시각 위주로 변하였고 이 변화는 또한 인간의 사고방식에도 극단적인 변화를 가져왔다고 했다. 그리고 맥루한의 이론의 특징 중에 하나는 ‘끊김’이라고 할 수 있는데, 매 체의 진화가 부드럽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새로운 매체가 이전의 매체를 몰살한다는 주 장이다. 옹도 매체의 진화가 사고방식에 변화를 가져온다고 믿었지만 그 진화는 ‘끊김’의 관 계라기 보다 새로운 매체가 이전의 매체를 ‘보강’하는 것이라 주장했는데, 실제 논의에서는 이전의 매체가 살아남지 않고 사라지는 것이 당연하다고 했다. 그가 특히 후대 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친 개념은 문자가 없는 사회의 ‘일차적 구술성’과 문자가 있는 사회의 '이차적 구 술성'이다. 반면 하베록은 알파벳이 도입된 지 수 백 년 후인 플라톤의 <공화국>이 저술된 시기에 아직 구술성이 지배적이었다고 주장함으로써 구술성과 기록성의 공존의 가능성을 열어주었 다. 맥루한이나 옹처럼 매체의 변화가 사고방식의 변화와 연결된다고 생각했지만 그 과정 이 오래 걸린다고 주장했다. 한편, 구디는 구술성이 기억과 망각으로 사회 전통을 지켰다면 서 기록성은 객관성으로 인한 역사의식으로 특징지어지지만 기록적 사회에서 구술성이 지 속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매체로 인한 변화가 있다면 맥루한의 주장과 달리 그것이 자연스 럽고 유기적인 것이라고 했다. 피네

      • KCI등재

        <신과 함께> 웹툰과 영화에 반영된 뮈토스(mythos) 고찰

        수호 한국구비문학회 2023 口碑文學硏究 Vol.- No.70

        2010년부터 2012년까지 네이버 웹툰에서 연재된 주호민의 <신과 함께>는 사후세계에 관한 한국의 불교 및 무속 신화를 재해석한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웹툰으로 큰 인기를 끌었으며 2017년과 2018년에 이를 각색하여 만들어진 영화 두 편 역시 대단한 흥행기록을 세웠다. 본 연구는 웹툰 중 ‘저승편’과 영화 중 1편인 ‘죄와 벌’을 비교하여 매체 전환을 통해 각 서사의 메시지가 어떻게 변했는지를 살펴보았다. 웹툰과 영화의 메시지를 다루기 위해서 고대 그리스의 개념인 ‘뮈토스(μῦθος)’를 현대 서양 연구를 반영하여 적용하였는데 이는 신화와 같은 개별 서사를 포함할 수 있는 가치관 혹은 세계관을 뜻하는 것이다. 먼저 웹툰을 보면 일반인들이 잘 알지 못하는 전통 신화의 소재들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한편 ‘萬人’ 혹은 ‘평범한 사람’을 주인공으로 삼고 저승을 현대화시킨 익숙한 모습으로 그림으로써 독자가 주인공 김자홍과 같은 처지에 처하게 된 것을 상상할 수 있도록 유도했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이는 독자가 자연스레 역지사지의 입장을 취하며 자신이 지은 죄를 생각하여 반성할 기회를 제공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승과 저승을 대비시키면서 이승에 대한 사회비판도 드러냈는데 특히 현대 사회가 얼마나 비합리적이며 착한 사람에게 살기 어려운 사회인지 보여주는 동시에 결국 한국 현대 사회에 만연한 ‘성공 뮈토스’에 대해 비판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 영화는 영웅적인 주인공을 소개하며 판타지나 사극에 어울리는 저승의 모습을 다채롭게 보여주었음을 논했다. 특히 각 지옥에서 죄인들이 벌을 받는 모습, 지옥과 지옥 사이를 통과하는 주인공과 차사들의 여정, 무서운 괴물이나 신령과 싸우는 장면이나 원귀를 쫓고 싸우는 장면 등에서 블록버스터 영화답게 엄청난 스펙터클을 선사하였다. 이는 관객의 몰입을 유도하는 장치로 훌륭히 기능하였으나 역지사지의 태도를 취하기가 어렵게 만든 요소로 작용했을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영화의 최종적인 메시지인 ‘용서’와 ‘사랑’이 실제로 ‘현모양처’ 등과 같은 데에서 보이는 모성에 대한 현대적 뮈토스를 영속시키기도 하였음을 살폈다. 이는 의도적으로 그런 뮈토스를 표현했다기보다 감정이입을 극대화하면서 한국 사회에 아직도 은연중에 존재하는 뮈토스를 반영했다고 하겠다. Ju Ho-min’s webtoon Along with the Gods (Singwa hamkke), serialized on Naver Webtoons from 2010 to 2012, reimagined Korea’s Buddhist and shamanic mythology regarding the afterlife. It achieved immense popularity and was adapted into two films in 2017 and 2018, both of which performed exceptionally well at the box office. This paper compares the first volume of the webtoon (the “Afterlife Volume”) with the first of these two films (subtitled “The Two Worlds”), examining how the message of the narrative changed in the process of media conversion. The concept of “mythos(μῦθος),” meaning an overriding set of values or worldview that may include individual myths, is borrowed to examine both the webtoon’s and the film’s messages. The webtoon makes active use of traditional myths with which general readers might not be familiar, and by taking an everyman as its protagonist and depicting the afterlife in a modernized, familiar way it encourages readers to imagine themselves in the same situation that protagonist Kim Ja-hong finds himself in. This gives readers the opportunity to put themselves in Ja-hong’s shoes and reflect on their own sins. In addition, comparisons drawn between this life and the afterlife express social criticism, demonstrating in particular how unreasonable modern society is and how difficult it is for someone to live a decent life. This is ultimately a criticism of the “success mythos” prevalent in modern Korean society. The film, on the other hand, introduces viewers to a heroic protagonist and depicts the afterlife in a variegated way suited to fantasy or historical drama. In particular, the punishment of sinners in the various hells, the journey undertaken between the hells by the protagonist and the Guardians, the scenes of fights with terrifying creatures or spirits, and the scenes depicting a Guardian chasing and fighting a vengeful spirit all present spectacles worthy of a blockbuster film. This spectacle may function to immerse the viewer in the film, but it also presents an obstacle to the viewer putting themselves in the protagonist’s shoes. In addition, the film’s final message of “forgiveness” and “love” perpetuates the modern mythos of motherhood seen in concepts such as “wise mother, good wife.” It is unlikely that this mythos was expressed intentionally; more likely, it simply shows that it still exists implicitly in Korean society, and it emerged as the filmmakers attempted to heighten viewer empathy for the characters.

      • KCI등재

        외국인이 보는 한국 구비문학

        수호 한국구비문학회 2008 口碑文學硏究 Vol.0 No.27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에 살고 있는 외국인이 어떻게 한국 구비문학을 보는가하는 질문에서 시작하여 그 질문의 저류에 있는 보다 깊은 문제를 파악하고 그에 대한 답을 제시하는 데에 첫걸음을 내딛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 거주 외국인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응답자 중에 두 명을 선택하여 직접 인터뷰를 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설문조사 1부는 응답자에 대한 통계학적 정보를 얻기 위한 것으로 국적, 인종, 한국 거주 기간, 직업, 연령, 성별, 한국어 능력 등의 정보를 수집했다. 2부는 한국 전통·현대 문화와 구비문학에 대한 질문이었다. 한국 전통 문화는 유교문화로 특징되고 현대 문화는 기술로 특징된다는 답이 우세했다. 전통 구비문학 장르의 인지도는 설화, 속담, 판소리, 민요, 탈춤, 무가, 인형극 순으로 나타났으며 문화축제나 예술극장에서 접했다는 답이 많았다. 한국 현대 구비문학에 대한 의견은 대략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전통 장르 중에 설화나 판소리와 같이 아직도 살아 있는 구비문학을 지적한 것, 대중음악이나 드라마와 같은 현대적인 장르를 지적한 것, 그리고 전통과 현대의 만남이라고 지적한 것이 그것이다. 인터뷰 내용은 대략 두 가지 문제를 다루었다. 첫째는 어떻게 하면 외국인이 한국 구비문학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을까하는 것이며 둘째는 한국이 진정한 다문화주의 사회로 가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하는 것이었다. 첫째 질문에 관하여 기본적으로 인터뷰 대상자 모두 비슷한 의견을 제시했다. 즉, 한국 구비문학을 알리는 것이 일방통행 길이 되면 안 된다는 것이다. 외국인의 입장을 고려해야 하고 어떻게 하면 외국인의 입맛에 맞게 할 수 있을까하는 문제를 다루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둘째 질문에 대하여서도 비슷한 맥락에서 한국을 외국인에게 알리는 것보다 한국에 살고 있는 외국인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타자가 한국 문화나 문학을 재해석하는 것이 인정되어야 한다고 했다. 외국인이 한국 구비문학을 어떻게 보고 있느냐는 질문은 결국엔 타자와의 만남을 다루는 문제이다. 일방적으로 외국인에게 한국 문화나 구비문학을 알리겠다는 생각을 하기 보다는 타자와의 만남 속에서 그 문화와 구비문학을 공유하는 단계를 목표로 삼아서 서로 간의 이해와 교류가 있는 세상을 이루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This paper begins with the question of how foreigners in Korea view Korean oral literature and goes on to deal with the issues underlying that question, ultimately aiming to take the first step in providing an answer.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that targeted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in addition, two of the respondents were interview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irst part of the survey dealt with demographic information, with questions on nationality, ethnicity, length of stay in Korea, occupation, age, an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he second part dealt with views and opinions on traditional and modern culture and oral literature. Most respondents chose Confucian culture as the defining characteristic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while technology was seen as the defining characteristic of modern Korean culture. Recognition of traditional genres of Korean oral literature was as follows, from highest level of recognition to lowest: tales and stories, proverbs and sayings, pansori, folk songs, mask dances, shaman songs, and puppet plays. Opinions on modern Korean oral literature can be placed into one of three general categories: those that focused on a traditional genre that survives to the present, such as tales and pansori, those that focused on a modern representation, such as pop music or television dramas, and those that saw modern oral literature as a meeting of past and present. The interviews dealt mainly with two questions: how can we make Korean oral literature more accessible to foreigners, and what does Korean need to do to become a truly multicultural society? With regards to the first question, the interviewees had similar views, namely that bringing Korean oral literature to foreigners cannot be a one-way road. They also mentioned that the views of foreigners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thought given to the issue of how to make oral literature more palatable to foreigners. Replying to the second question, they stressed the need to come to a greater understanding of foreigners living in Korea rather than efforts to simply advertise Korea to foreigners. They also noted that Koreans needed to accept the possibility of a reinterpretation by the Other of Korean culture and literature. The question of how foreigners view Korean oral literature ultimately deals with a meeting with the Other. Rather than engaging in a one-way education of foreigners on Korean culture or oral literature, it would be better to aim for a place where culture and oral literature are shared within a meeting with the Other, and to work to create a world of mutu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설화에 나타난 원형적인 인물 트릭스터의 경계성

        수호 한국구비문학회 2009 口碑文學硏究 Vol.0 No.28

        본 연구는 설화 인물의 원형, 즉 융이 말한 원형으로서의 트릭스터를 김선달, 방학중, 정만서라는 한국 설화에 나타난 세 명의 인물의 예를 통해 검토하면서 그 원형의 의의를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둔다. 먼저 트릭스터의 기본적인 특징인 경계성(liminality)을 보고 세 인물이 등장하는 설화를 살펴 그 경계성이 구체적으로 표현되는 양상을 해명했다. 경계성의 첫 번째 발현 양상은 공간적인 경계성이다. 이 양상은 경계라는 개념 그대로의 뜻인데 트릭스터가 길에서 능력을 발휘하거나 속임수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것에서 볼 수 있다. 출발지도 아니고 도착지도 아닌 그 중간의 공간에 존재하며 활약을 펼친다는 것이다. 둘째로는 사회구조의 있어서의 경계성이다. 쉽게 말하면 트릭스터가 자신만을 위해 사는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사회에서 움직이고 행동하지만 오로지 자기 욕심을 채우기 위해 행동하기 때문에 제대로 된 사회 일원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또한 사회 질서를 지키는 도덕과 상관없이 행동한다. 셋째로는 시간적인 경계성인데 보통 사람은 과거에 대한 기억과 미래에 대한 희망이나 두려움과 함께 인생을 살지만 트릭스터는 현재 바로 이 순간만 아는 인물이다. 바흐친이 말한 카니발적인 시간에 존재하는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넷째로는 언어적인 경계성이며 트릭스터가 언어의 모호성 또는 중의성을 이용하여 사람을 속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의미의 경계에서 논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트릭스터의 이러한 모습은 우리 인간의 본 모습을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부정적이거나 악하다고 생각했던 그 측면도 우리의 모습이며 오히려 그것을 보고 두려워하지 않고 웃을 수 있게 해주는 인물이 바로 트릭스터인 것이다.

      • KCI등재

        버내큘러와 제도의 관계에 대한 미국에서의 연구

        수호(Charles La Shure) 실천민속학회 2020 실천민속학연구 Vol.35 No.-

        원래 ‘땅에 붙어있는 말’이라는 의미를 지니던 버내큘러(vernacular)라는 개념은 미국에서 언어학 분야를 비롯하여 문화 인류학, 건축학, 문학비평, 수사학, 민속종교학, 민속학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서 많이 언급되어 왔다. 1960년대부터는 문화인류학 분야에서 제도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용되었고 건축학에서도 이와 비슷하게 건축학계나 고급 디자인과 차별되는 요소를 가리키기 위해서 사용되었다. 특히 최근 들어 건축학에서는 ‘버내큘러’란 용어가 아직도 유용한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버내큘러를 초월할 필요가 있다고 보는 견해도 있고 버내큘러를 재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어느 쪽이든 버내큘러와 제도가 대립되는 관계에 있으면서도 혼성적인 관계도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으며 수사학이나 민속학 등의 분야에서도 그 둘의 대립적이면서도 혼성적인 관계를 강조하고 있다. 최근에는 디지털 버내큘러도 많이 논의되고 있는데 특히 하워드의 ‘전자 혼성성’과 ‘버내큘러적 웹’이라는 개념이 유용하다. 버내큘러적 웹을 통해 사람들이 디지털 공간에서 움직이고 행동하면 버내큘러와 제도의 전자 혼성성 덕분에 버내큘러적 권위를 행세하면서도 자신도 모르게 제도의 영향을 받기도 한다. 다른 많은 학자들도 이와 같은 문제를 다루고 있는데 버내큘러적 지식의 형성, 시장원리라는 제도적 요건의 불가피성, 음악이나 정치적 담론에서 버내큘러와 제도의 충돌, 버내큘러적 권위와 문화적 전용(轉用), 버내큘러와 디지털 현장성의 관계, 버내큘러적인 연행에서 버내큘러적 관행으로의 이행, 버내큘러적 표현의 양가성과 부정적인 요소의 증폭 위험 등과 같은 다양한 주제를 논하고 있다. 이전의 아날로그 버내큘러와 오늘날의 디지털 버내큘러의 차이가 있다면 공간에 대한 인식에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하면 인간이 소통하는 방법과 공동체라는 개념이 달라졌다는 것이다. 따라서 세계적으로 확장된 공동체에서 버내큘러를 새롭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소위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 등에서 볼 수 있듯이 디지털 버내큘러가 남용될 가능성이 있다. The concept of vernacular, which originally refers to a language rooted in the land, has been mentioned often in a variety of fields in the United States, from linguistics to cultural anthropology, architecture, literary criticism, rhetoric, folk religious studies, and folklore. In the 1960s, the term was used in cultural anthropology to contrast with the institutional;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it was used in similar fashion to refer to elements that were distinguished from the academy or high design. More recently in architectural studies, there has been a discussion over whether “vernacular” is still a valid term, with some calling for leaving it behind and others calling for a rethinking of the concept. Both sides, though, agree that the vernacular and the institutional exist in a relationship that is at once oppositional and hybrid. In other fields as well, such as rhetoric and folklore, this oppositional yet hybrid relationship is also emphasized. Recently, there has been much discussion concerning the digital vernacular, and Robert Glenn Howard’s concepts of “electronic hybridity” and the “vernacular web are useful here. As people move and act in digital space through vernacular webs, they both exercise vernacular authority and are influenced - often unknowingly - by the institutional, all thanks to the electronic hybridity of the vernacular and the institutional. Many other scholars have dealt with the topic of the digital vernacular as well, dealing with subjects including the formation of vernacular knowledge, the inevitability of the institutional condition of the market principle, the clash of the vernacular and the institutional in the arenas of music and political discourse, vernacular authority and cultural appropri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ernacular and digital locality, the move from vernacular performance to vernacular practice, and the ambivalence of vernacular expression and the dangers of amplification. If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analog vernacular of the previous era and the digital vernacular of today, it is in the perception of space. That is, the ways in which people communicate, and their concepts of community, have changed. Thus there is the need for a new understanding of the vernacular in these global communities. Without such an understanding, we may be vulnerable to misuses of the digital vernacular, as can be seen in recent events such as the “Druking Online Comment Manipulation Scandal.”

      • KCI등재

        다문화 사회에서의 정체성과 구비문학

        수호(Charles La Shure) 한국구비문학회 2018 口碑文學硏究 Vol.0 No.49

        21세기 들어 한국 사회가 다문화사회가 되어가는 추세다. 이 연구는 최근 영미권에서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와 세계화(globalization) 등을 다루는 연구를 검토함으로써 한국의 미래지향적인 다문화사회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 사회에서의 구비문학의 역할을 알아보는 데에 목표를 삼았다. 먼저 구비문학・민속학 연구자와 인접 분야 연구자들이 20세기 말까지 다문화주의의 문제에 대해서 고민한 것을 보았는데 여기서 정체성의 중요성을 알 수가 있었다. 특히 민속의 연행은 어떤 정체성을 공유하는 사람들끼리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다른 정체성을 공유하는 사람들끼리도 이루어진다는 지적이 있었다. 그러나 90년대들어 문화적 정체성을 다루는 다문화주의가 비판의 대상이 되었고 민속학 연구자들 사이에도 그 단어가 금기시되는 듯했다. 이는 미국에서 선포된 ‘문화전쟁(culture war)’과도 관련이 없지 않았다. 다문화주의에 대한 비판을 요약하자면 다양성을 존중하는 의도에서 출발했으나 사상과 그 사상을 구체화하는 정책이 왜곡되어 결국 다양성을 강요하게 되며 오히려 사람과 집단의 분열을 초래한다는 것이다. 소수자가 자신의 정체성을 스스로 형성할 자유가 없고 지배적 문화에서 기대하고 있는 ‘소수 문화’의 정체성을 택하지 않은 한 인정을 받지 못하는 폐단이 따르는 것이다. 90년대에 이어 21세기에 들어 다문화주의나 세계화와 같은 개념을 버리고 새로운 개념을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들리기 시작했다. 다양성을 강요하며 분열을 초래하는 폐쇄적인 다문화주의 대신에 문화상호주의(interculturalism)가 거론되었고, 권력층이 동질성을 요구하는 하향식 세계화 대신에 오래 전부터 통용되어왔던 세계시민주의(cosmopolitanism)가 다시 논의되기 시작됐다. 문화상호주의는 사람과 집단을 분리하지 않고 서로 대화할 수 있도록 통합・결합・자유를 지향하는 개방성을 추구한다. 세계시민주의는 차이를 강요하지 않고 서로의 차이를 통해 배우고 보다 풍부한 사회를 만드는 것을 추구하는 것이다. 여기서 애매모호한 보편적인 가치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사람과 사람이 소통하는 관계가 핵심이 된다. 특히 ‘뿌리내린 세계시민주의(rooted cosmopolitanism)’라는 개념이 한국의 다문화사회에서 구비문학 연구를 진행하는 데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최근 미국 사회의 추세를 살펴보았고 그런 맥락에서 한국 다문화사회의 발전방향과 구비문학 연구의 방향을 제시했다. In the 21st century, it is an undeniable fact that Korea is becoming more and more multicultural. This paper looks at English-language research in the West on multiculturalism, globalism, and other important concepts in order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the future in Korea, and to inquire into what role Korean folklore might play in such a society. Identity has long been a central tenet of folklore studies in the West, although it wasn t until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that it was first explicitly mentioned, and the concept did not gain prominence until the 90s. Since then, though, it has been an important topic, and folklorists have attempted to tease out the implications of identity formation in increasingly multicultural societies. As multiculturalism began to fall out of favor toward the end of the 20th century, mainly because it was perceived as forcing diversity on its subjects, folkorists as well considered how well-meaning attempts to respect difference might actually trap people from minority cultures in the authentic representations of those cultures that have come to be expected of them. With the cultural theory of multiculturalism and the political and economic practice of globalization coming under fire, scholars searched for new concepts that could open the way to a brighter future. Interculturalism was proposed as a substitute for the former, while the age-old idea of cosmopolitanism was revisited to find a way forward from globalization. Unlike multiculturalism, interculturalism was seen as a more open approach that allowed for dialogue between peoples and strove to achieve unity among and grant freedom to individuals. And while globalization imposed homogeneity on the world from above, cosmopolitanism sought not only to respect difference but to build a more variegated society through those differences. It rejected vague, universal values in favor of concrete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s. The concept of rooted cosmopolitans in particular shows promise as a way to inform Korean folklore studies in the future. Finally, this paper takes a look at recent social trends in the United States to see what might be learned and applied to the Korean situation. Lessons taken from recent developments and the above survey of the literature may offer possibilities for the development of a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and for the study of Korean folklore within such a society.

      • KCI등재

        THE CLASH OF CULTURES IN KIM NAMCH’ŎN’S SCENES FROM THE ENLIGHTENMENT

        수호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6 Acta Koreana Vol.19 No.2

        Kim Namch’ŏn’s 1939 novel of manners, Taeha (Scenes from the Enlightenment), offers a snapshot of Korea at a crucial point in its modern history, the beginning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town in which the novel takes place is an ideological battleground as old clashes with new. In terms of the social order, the old guard of the yangban aristocrats clings desperately to the last threads of its status and prestige, but the yangban must ultimately admit defeat and make way for the rise of the capitalist. Ideologically as well, different philosophies clash, with traditional shamanism and superstitions being denounced by the new enlightenment thinkers and Christian proselytizers. Yet there is one clash that the author deals with only in the subtlest of terms: the clash between the Korean people and the Japanese colonizers. Although this has been seen as a weakness in the novel’s historical consciousness, Kim Namch’ŏn’s depictions of the clashes between old and new cultures are nuanced; neither side is portrayed as being wholly right and effective. While it is clear that the new is winning out over the old, the picture that we are left with is not a stark black-and-white image but a much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this tumultuous transitional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