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MOOCs 학습환경에서의 학습분석학(learning analytics) 기반 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 learning) 정보에 대한 시각화 방안 탐색

        차현진,박태정,이가영 한국교육공학회 2016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6 No.2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통해 MOOCs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을 촉진하기 위하여 개발된 학습분석학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학습자들에게 적응형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대쉬보드(Dashboard) 설계 및 개발에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시각화 및 학습분석학에 대한 연구 및 사례 분석을 통해 MOOCs 학습자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향상시켜 주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Learning Dashboard 설계 전략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대쉬보드(Dashboard) 설계 전략은 Zimmerman과 Martinex-Pons(1986)의 자기조절학습전략(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연구를 토대로 차현진, 박태정(2013)이 제시한 MOOCs를 포함한 공개교육자원(OER)을 위한 자기조절 학습 영역에서 수집될 수 있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학습분석학에 대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10개 영역에 15개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분석된 10개 영역의 15개 시각화 전략을 통합적인 정보 구성 형태로 MOOCs 환경에 학습자 적응적인 정보 제공을 위한 방법으로 대쉬보드(Dashboard)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MOOCs 환경에서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학습분석학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자기조절학습을 촉진시켜 주기 위하여 정보를 어떻게 시각화하여 제공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이렇게 개발된 학습자용 대쉬보드에 대한 향후 사용성 평가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학습분석학의 정보를 시각화하려는 시도를 통해 학습자들의 분석 정보 제시의 유용성, 감성,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한국의 세대와 시위참여

        차현진 인제대학교 민주주의와 자치 연구소 2022 비교민주주의연구 Vol.18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rotest participants from 2004 to 2018. This paper especially examines whether generational attributions are reflected in Korean protestors, focusing on age cohorts born at a similar period. To be specific, this research argues that generations who have experienced crucial political or economic events such as June uprising in 1987 or IMF economic crisis in 1998 at impressionable year a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protest than other generations.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through 2004, 2009, 2014, and 2018 Korea General Social Survey(KGSS) data, this paper examines an effect of age on protest participation in Korea is due to not age effects but cohort effects. This research contributes the influence of generation on protest participation, a type of non-institutional political participation, pointing out that existing literature on generation only focuses on institutional political participation such as voting behaviors. 이 논문은 2000년대 이후 한국 시위 참여자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특히 이 연구는 유사한 시기에 태어난 연령 코호트인 세대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 시위 참여자에게 세대적 특성이 반영되는지 분석한다. 이 논문은 1987년 6월 항쟁과 1998년 IMF 경제위기와 같은 정치·사회적 사건을 가치관이 형성되는 민감한 시기에 경험한 세대가 다른 세대보다 시위참여 가능성이 높다는 가설을 제시한다. 한국종합사회조사의 2004년, 2009년, 2014년, 2018년 설문조사를 통해 경험적으로 검증한 결과, 2000년대 이후 한국의 시위참여에서 연령 효과가 아닌 세대를 중심으로 한 코호트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는 이제까지 세대에 초점을 맞춘 연구들이 투표행태와 같은 제도적 정치참여에 국한하여 진행되었음을 지적하며 비제도적 정치참여 유형인 시위참여에 세대가 미치는 영향을 검토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통화정책 집행구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車顯辰 한국금융연구원 2003 韓國經濟의 分析 Vol.9 No.3

        통화정책의 운용목표, 중앙은행 예금 및 대출제도 및 공개시장조작 방식 등은 통화정책 집행구조를 구성하는 요인으로서 상호 조화를 이루는 것이 통화정책의 효율성 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1999년 5월부터 1일물 콜금리가 공식적인 통화정책의 운용목표로 채택되어 매월 그 목표수준이 발표되고 있으나 통화정책 집행구조에 대한 고려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즉 우리나라의 현행 통화정책 운용방식은 미국의 사례를 참조한 것이지만, 우리나라의 금융구조 및 중앙은행 예금ㆍ대출제도는 미국과 상당히 다르다. 이러한 여건 하에서 공개시장조작을 통한 운용목표의 준수는 훨씬 강조되고 있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첫째 우리나라의 콜시장에서는 투신사 및 카드사 등 지준의무가 없고 한국은행의 공개시장조작에도 참다하지 않는 기관들이 콜시장에서 전체거래의 70%이상을 주도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은행의 공개시장조작을 통한 1일물 콜금리 관리에 태생적인(이론적인)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둘째 비은행 금융기관이 은행을 상대로 콜론을 하는 경우 실질적으로는 요구불예금과 아무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동 거래에 대해서는 지준 및 금리규제 대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지준 및 금리규제 정책의 유효성을 약화시키고 있다. 셋째 제2금융권 금융기관들이 거래은행으로부터의 차입한도를 초과하는 영업자금을 콜시장에서 무담보로 조달하는 데 별다른 제약이 없다. 따라서 이들 기관들의 만성적인 무담보 콜차입 때문에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이 저해될 가능성이 크다. 넷째 콜금리 목표수준 준수를 위해 수종적 통화관리가 실기됨으로써 기일물은행간 시장(term interbank marker)의 발전이 지연되고 있다. 즉 은행권 전체의 지준과부족을 한국은행이 항상 사후적으로 해결해 주교 있는데, 이와 같은 수동적 통화관리에 의해 은행들은 동업자간 기일물 자금거래 유인(incentive)을 전혀 느끼지 못하고 있다. 다섯째 금융권별 콜거래 금리가 사실상 고정되어 있어 정보변수로서의 기능이 상실되고 콜금리의 자원배분기능도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 모든 시장참가자들의 평균 콜금리는 시중자금사정과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경향까지 나타나고 있다. 즉 콜시장에서 자금사정이 어려워지면 금리수준이 낮은 국내은행간 거래비중이 높아지면서 평균 콜금리가 하락하고 자금사장이 개선되면 외은지점 및 제2금융권의 고금리 거래비중이 확대되면서 평균금리가 상승한다. 여섯째 외환거래가 자유화된 상태에서 콜금리의 변동성만 지나치게 억제됨에 따라 개방경제 하에서의 금융시장 충격이 금리ㆍ환율 재정거래를통해 환율변동 압력으로만 집중 표출된다. 그 결과 외환당국의 시장개입(market intervention)가능성을 높이는 원인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개선노력이 필요하다. 첫째 은행에 대한 제2금융권의 콜론을 포함하여 대고객 RP, 금융채 및 은행신탁차 등 유사 예금에 대해 지준의무를 부여하는 등 지준제도를 전면적ㆍ체계적으로 정비할 필요가 있다.제2금융권의 콜론에 지준의무가 적용되면 콜시장은 자연스럽게 은행권 중심의 지준조절시장이 될 것이다. 둘째 벌칙성 예금 및 대출제도인 통화안정계정과 일시부족자금대출 제도를 활성화하여야 한다. 동 제도가 활성화될 경우 단기금리의 상하한선이 분명해짐에 따라 정보변수로서 콜금리의 성격을 해지치 않으면서도 변동성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와 같은 수동적인 공개시장조작을 탈피하여 선제적 통화관리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통화정책의 운용목표를 콜금리에서 한국은행의 RP거래금리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한국은행 RP거래 금리는 통제성 및 목표준수 가능성 면에서 콜금리보다 훨씬 우월하며, 동 RP금리가 운용목표가 될 경우 콜금리는 주식ㆍ채권ㆍ외환 등 주요 금융시장에서의 자금사정 및 금리기대를 반영하는 정보변수로서의 성격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넷째 정부부문 및 현금통화 등 외생적 지준변동요인(autonomous factors)에 대한 예측력을 제고하여야 한다. 우선 정부부문에 대해서는 정부의 모든 재정집행 계획을 최소 24시간이전에 한국은행에 통보토록 하는 한편 현재의 국고집중제도를 다소 완화하여 세출입으로 인한 지준변동폭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 현금통화에 대해서는 미국과 같이 지준계산기간과 적립기간을 일치시킴으로써 은행들의 지준관리에 편의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보건・복지 분야 현장형 교수자의 강의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요구도 분석

        차현진,진선미 한국직업교육학회 2022 職業 敎育 硏究 Vol.41 No.4

        본 연구는 보건・복지 분야에서 현장형 강사들의 강의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요구도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분석을 기반으로 역량 모델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역량 요구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연구 대상자는 보건・복지 현장에서 이미 강사로 활동하고 있으면서, 강의 역량을 함양하고자 K인재원에서 2020년 제공되었던 강사양성과정을 수료한 대상으로 총 102명이 참여하였다. 설문 분석은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기 위해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검증하는 t-검정, 교육 요구도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육 준비 영역에서 현장형 강의가 가지는 특징을 바탕으로 교육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예로, 현장에 대한 이해, 정책 흐름 및 최신 정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한 교육 준비 역량과 실습자료 개발 및 자신만의 특화된 콘텐츠 개발에 대한 역량 측면에서 교육 요구도가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보건・복지 현장형 강사들만이 가지는 강의역량 측면에서의 교육 요구도를 도출하고 향후 교육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초ㆍ중학생 대상 웹기반 진단평가관리시스템 사용성 개선을 위한 휴리스틱스 개발 및 검증

        차현진,황윤자 한국정보교육학회 2017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1 No.6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증거기반의 교육정책을 위해, 전국단위의 진단평가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시 스템을 구축·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전국 단위 초·중생이 활용하고 있는 진단평가관리시스템의 사용성 개선을 도울 수 있는 휴리스틱스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Nielsen의 기본 휴리스틱스를 비롯하여 교 육적 목적에 종속적으로 개발된 휴리스틱스에 대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유사시스템인 진단·보정학습시스템의 사용성 문제를 분석함으로써 휴리스틱스 초안을 개발하였다. 이는 델파이 방법을 통해 15명의 전문가에 의해 2 회의 타당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수정·보완되었고 최종안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교육 맥락에서 사용성 평가 도구를 제공함으로써 전국단위의 관계자(교사 등)와 학생들이 활용하는 시스템의 사용성 개선을 위한 기반을 마 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Prepar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ge, a diagnostic assessment management system which can collect nationwide data has been implemented and utiliz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evidence-based educational policy. This study aims to develop heuristics to help to improve usability of such systems, which are utilized by primary and middle school community including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nationwide. To achieve the objectiv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heuristics in the educational contexts as well as basic heuristics from Nielsen were reviewed, and usability problems of the web-based diagnostic-supplement system being currently utilized, as a sample system, were analyzed. Then, the first version of heuristics was developed. The developed heuristics were validated and revised through 2 rounds of the delphi methods with 15 experts.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with preparing foundations on improving usability of such diagnostic assessment management system utilized by school community at the nationwide in educational contexts.

      • KCI등재

        유권자의 투표 선택과 2016-17년 촛불시위 참여: 투표 참여 빈도와 투표 선택 경향을 중심으로

        차현진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2022 亞細亞硏究 Vol.65 No.1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 of candlelight protest participants in 2016-17. This research argues that voter’s voting frequency and patterns of voting choices affect the probability of participating in the 2016-17 candlelight protests. First, the probability of participating in the candlelight protests increases as an individual’s voting frequency becomes higher. This is because protesting and voting are i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and the goals of the candlelight protests deal with the important political issue. Second, a voter type which is classified by an individual’s voting consistency and a supporting party’s political ideology affects the likelihood to participate in the candlelight protest. A voter’s supporting party affects whether or not the voter is motivated to participate in a candlelight protest, and the consistency of voting choices affects how intensive the voter’s motivation for the protest participation will be. Thus, core liberal voters are most likely to participate in the candlelight protest while core conservative voters are the least likely to protest. Swing voters are found in the middle, more likely to participate than core conservative voters would, and less likely to participate than core liberals would. The empirical results confirmed the patterns of voters’ voting choices affect candlelight protest participation in 2016-17. This research tries to connect electoral studies with contentious politics by suggesting voting choices in consecutive elections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ndlelight protestors.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candlelight protest participants still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partisanship. 본 논문의 목적은 2016-17년 촛불시위 참여자의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유권자의 투표 참여 빈도와 투표 선택 경향이 촛불시위 참여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첫째, 투표 참여 빈도가 높을수록 촛불시위 참여 가능성이 증가한다. 이는 시위와 투표가 상호보완적인 관계이고, 2016-17년 촛불시위가 현직 대통령 탄핵 요구라는 중요한 정치적 사안을 다뤘기 때문이다. 둘째, 투표 선택의 일관성과 지지 정당의 이념적 정향에 의해 구분된 투표자 유형에 따라 촛불시위 참여 가능성에 차이가 있다. 이때 지지 정당의 이념적 정향은 유권자가 촛불시위에 참여할 동기 여부에 영향을 미치고, 투표 선택의 일관성은 촛불시위 참여동기의 강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진보 일관 투표자의 촛불시위 참여 가능성이 가장 높은 반면, 보수 일관 투표자의 촛불시위 참여 가능성이 가장 낮다. 그리고 스윙 투표자의 촛불시위 참여 가능성은 두 일관 투표자의 촛불시위 참여 가능성 사이에 위치할 것이다. 경험 분석을 통하여 유권자의 투표 선택 경향이 2016-17년 촛불시위 참여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두 가설을 검증하였다. 이 논문은 촛불시위 참여자의 특성으로 연속된 선거에서 유권자의 투표 선택 경향을 제시하며 그동안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연구되어 온 투표연구와 시위연구를 연계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의 분석과는 달리 촛불시위 참여자들이 여전히 당파적 특성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장애학생 디지털교과서 제작 지침 개발 연구

        차현진,손지영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9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2 No.2

        교육부는 2018년부터 초·중학교에 디지털교과서를 전면 도입함으로써, 자기주도적인 개별화 학습 콘텐츠와 활동을 제공하고자 정책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통합학급 환경에서 장애학생들이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연구와 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보편적 학습설계 이론을 기반으로 통합학급 환경에서 장애학생들이 활용 가능한 디지털교과서 제작 지침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비장애학생과 함께 장애학생도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교과서 제작 지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선행 연구와 사례 분석을 통해 개발된 디지털교과서 제작 지침 초안을 바탕으로 현직 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2회 실시하였다. 또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최종 도출된 제작 지침을 바탕으로 현장에서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4가지 장애유형에 따라 디지털교과서 활용 맥락을 보여주는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보편적 학습설계가 반영된 디지털교과서 제작 지침은 장애학생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정책 수립을 촉진시키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has adopted an educational policy about digital textbooks at K-12 schools since 2018, in order to provide students with individualized learning contents and activities. However, digital textbooks has been yet prepared and delivered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inclusive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guidelines on digital textbook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pplying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recognizing the requirements for the digital textbooks which can be utilized in the K-12 inclusive classrooms for diverse students. In this respect, guidelines on digital textbooks were develop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cases. The first draft of guidelines were reviewed with two rounds of the delphi methods with special teachers. In addition, scenarios were developed, representing the rich educational contexts with digital textbooks applying the guidelines in a practical way for students with 4 types of disabilities.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establishing educational policies and environments related to the digital textbook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대학 신입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셀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차현진,고영미,김종훈,변선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9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의 성취목표지향성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한 간접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충남에 위치한 신입생 1,492명을 대상으로 2015년 3월 9일 부터 3월 13일 까지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전체변인들 간의 구조 및 경로를 확인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대학 신입생의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요인(숙달목표, 수행접근 목표, 수행회피 목표)은 셀프리더십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성취목표동기 하위요인 중 숙달목표와 수행접근 지향성은 셀프리더십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숙달목표 지향성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중 과제난이도와 자기조절을 매개하여 셀프리더십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수행접근 지향성은 자기조절을 매개로 셀프 리더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수행회피는 과제난이도와 자기조절을 부적 매개로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셀프 리더십 프로그램은 숙달목표와 수행접근 지향성을 가질 수 있도록 자신의 내적/외적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따라 과제 난이도 뿐 아니라 자기 관리와 전략을 활용한 자기조절력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과정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에듀넷 사례를 통한 교육용 디지털 콘텐츠 수명주기에 대한 교사 요구사항 분석

        차현진,황윤자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9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2 No.3

        This study aims to draw implications on a life-cycle system of digital contents through a case study about EDUNET in order to maintain the quality and efficiency of the service for educational digital contents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area. To achieve the objective, lead teachers in EDUNET service participated in requirements analysis about the life-cycle of the digital contents, for example, contents utilization periods, the periods for being updated, etc. From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a systematic life-cycle framework should be established to re-evaluate the contents in service and provide a quality of contents, responding to consistent changes for educational environments in teaching-learning and for educational topics/directions, or according to educational content’s substance such as curriculum or extra-curriculum. This study contributes to suggesting needs to implement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contents based on a life-cycle system by analyzing user’s requirements in order to provide user-friendly service for the K-12 educational digital contents. 본 연구는 초·중등 분야에서 교육용 디지털 콘텐츠의 질 관리 및 효율적인 콘텐츠 관리를 위하여 수명주기 체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에듀넷 사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에듀넷 선도교사를 대상으로 콘텐츠의 활용 주기, 업데이트 주기 등 수명주기에 대한 요구사항을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용 콘텐츠의 생성 목적이 교과인지 비교과인지 여부와 주제/교육 방향과 교수·학습 등 교육 환경의 지속적인 변화를 반영하여 기존에 서비스하고 있는 콘텐츠를 재평가할 수 있는 명확한 수명주기 체제를 구축하여 교육용 콘텐츠의 품질관리가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초·중등 분야에서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기관에서 사용자 친화적인 서비스 구성을 위해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수명주기 기반의 콘텐츠 관리 체계를 마련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