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중연주상의 장애요인에 관한 조사[Ⅲ]

        소미희 서원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2001 예술문화논총 Vol.10 No.-

        음악을 전공하여 훌륭한 연주가가 되는데는 오랫동안 테크닉연습과 노력이 필요하다. 많은 연주 경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일지라도 수많은 대중 앞에서 연주할 경우에는 불안과 긴장 때문에 자기 실력을 마음껏 발휘할 수 없었던 경험들이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불안과 긴장이 언제부터 느껴지는지,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또 어떻게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있는지 관하여 우리나라 대학에서 음악을 가르치는 선생님들에게 대중 연주상 장애 요인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음악을 시작하는데 영향을 준 사람은 부모님이 48.1%로 가장 많았고 특히 피아노 전공자의 경우에는 부모님의 영향이 67.4%이나, 국악과 같이 대중화하지 않은 전공은 선생님의 영향이 41.7%로 부모님의 영향 8.3%보다는 크게 작용하였다. 피아노 전공자들이 음악을 시작한 시기가 가장 빨랐고, 렛슨 시간도 일주일에 31∼40시간으로 가장 많은 시간 학생들을 지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중에서 87.2%가 연주하면서 떨린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특히 성악과 국악 전공자들이 떨림을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떨리는 기분을 느끼기 시작하는 때와 가장 심하게 떨릴 때가 무대에 오르기 직전으로 나타났고 떨리는 현상에 대해서는 42.7%가 연습을 통해 극복하고 있다. 심리적 장애, 신체적 장애 그리고 시각적 장애 중에서 심리적 장애를 가장 많이 느꼈고 특히 성악 전공자들이 다른 전공자들보다 연주 시 다른 생각으로 인해 방해를 많이 받고 35.5%가 의식적인 호흡조절을 하고, 45.2%가 연주 시 청중을 의식한다고 나타났다. 연주 준비 시 국악 전공자들의 41.7%가 안정제를 사용한다고 대답했다. 장소적 장애는 피아노와 현악 전공자들이 실내 온도가 안 맞아 고생한다고 나타났고, 현악 전공자들은 반주자와의 적절하지 못한 위치 때문에 장애를 가장 많이 느끼고, 관악 전공자 21.6%가 연주 시 땀을 흘려 고생한다고 나타났다. 악기를 늦게 시작한 사람일수록 연주 시 청중을 의식해 많이 떨며 반주자와의 적절하지 못한 위치로도 불안함을 느낀다. 연주 횟수가 많은 사람일수록 연주 시 다른 잡생각으로 인한 방해를 적게 받고 연주도중 악보를 잊어버리지 않는다. 나이가 많을수록 연주도중 악보를 기억하지 못하는 정도가 심하고 악기에서 나는 소음으로 인한 장애를 겪는다. 우리 나라 음악대학 교수 및 강사들은 평균나이가 37,8세이며 거의 다 해외 유학을 갔다왔고 38.7%가 3년∼5년 동안, 23.2%가 5년∼10년 동안, 6.6%가 10년 이상 해외에서 수학하였다. 학위는 석사가 55.6%, Diplom이 24.9%, 박사가 9.5%였다. To major in music and to become a very honorable musician, it requires lots of practice and effort. Even though a person who has done so many musical performances through out his life, would sometimes have not given his/her best due to the nervousness and uneasiness he/she would have received during the performance. We have asked University professors in Korea who teach music about when this nervousness and tension really starts and how much it really affects the actual performance. We have also asked how they are efficiently dealing with this problem. Here are the results. People who are trying to start music get many influences from many people. As the people who give the most influence, parents led the way with 48.1%. Parents role reach as high as 67.4% when their child is a piano major and reaches down to a low 8.3% when their child is majoring in music that is not well known to the people like korean classical music. With 41.7%, teachers role has also been a great influence to the musicians. Piano majors start the lessons in an early age. Piano teachers, compared to other music teachers, has been giving more lessons to students with 31 to 40 hours a week. 87.2% out of the whole respondents have said that they have experienced tension while they were performing in stage. Especially for the vocalist and korean classical musicians, many has experienced tension in stage. The stats also show that they get the feeling of nervousness and also the tension reaches the highest peak right before they enter the stage. 42.7% said they try to relieve tension with a lot of practice. Out of psychological barrier, physical barrier and time barrier, psychological barrier interfered the musician the most and for vocal majors, compared to other music majors, showed that they were bothered with useless thoughts during the performance. 35.5% said that they regulate conscious breating and 45.2% said they aware the audience while they are performing. During preparation for the performance, 41.7% of the vocal majors said that they use stabilization pill. Location and position barriers has also made musicians suffer a lot. For example, Piano and string music majors have a hard time adapting to the inner temperature of the stage, string music majors said the biggest problem is the location of the accompanist and 21.6% of the pipe music majors said that they suffer from sweat.

      • 대중연주상의 장애요인에 관한 조사[Ⅱ]

        蘇美姬 서원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1995 예술문화논총 Vol.4 No.-

        서울 시내 소재 중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했던 선행연구에 이은 후속 연구로서, 전국의 대학생중에서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성신여대, 경원대학교, 중앙대학교, 충남대학교에서 음악을 전공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대중연주상 장애요인에 대한 인식 정도를 파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음악을 하게된 동기와 이유및 제반 사항에 대한 질문 내용을 보면, 음악을 시작하는데 영향을 준 사람은 부모님이 56.3%로 가장 많았고, 특히 여자대학의 경우 부모님의 영향이 더 큰것으로 나타났으며, 하루연습시간은 51.4%가 1-2시간정도 하고 있으며, 렛슨은 87%가 일주일에 한차례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떨리는 정도에 대한 질문에는 55.4%가 무대에 오르기 직전에 가장 심하게 느끼며, 떨리는 현상에 대해선 46%가 연습을 통해 극복하려고 하고 있다. 2. 각 장애요인에 대한 질문중 첫째, 심리적 장애요인을 살펴보면 연주시 징크스를 인식하는 정도에서 다소 그렇다(40.3%)가 가장 많았고, 연주시 감정보다 테크닉을 중요시하는 정도는 다소 그렇지 않다(41.4%)가 가장 많았으며, 연주시 다른 생각으로 방해받은 정도에서는 다소 그렇다(44.3%)가 많았다. 둘째, 신체적 장애요인을 보면 연주시 약물복용정도를 보면 대부분 안정제를 복용하지 않는것으로 나타났고 (82.6%), 무대에서 의식적으로 호흡하는 것은 42.7%가 다소 그렇다라고 대답했으며, 커피나 차, 복장이나 신발등은 연주하는데 별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악기장애요인중 악기가 손에 맞지않아 느끼는 장애정도는 59.9%가 그렇지 않다라고 함으로써 악기자체에 의한 장애는 별로 크게 느끼지 않는것 같다. 네째, 시각적 장애요인으로 연주도중 악보를 기억하지 못한 적은 53.0%가 그렇지 않다라고 대답해 실제 연주할때는 악보를 거의 보지않고 외워서 하는 것 같다. 다섯째, 장소적 장애요인으로는 연주도중 실내 온도가 안맞아 고생했음을 느끼고 있었다. 3. 나이와 각 장애 요소와의 상관관계를 보면, 나이와 신체적 장애요소와의 관계에서는 나이가 많을수록 안정제를 사용하지 않음을 알 수 있고, 나이와 악기장애, 시각적장애요인과는 유의미한 상관이 없으며, 나이와 장소적장애, 음향적 장애요인과는 유의미한 상관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요약된 내용을 토대로 대중연주상 장애요소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이에 대처하는 방법을 효과적으로 학생지도에 활용할 수 있기를 바란다.

      • 19세기 음악가와 우울증

        소미희 서원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1992 예술문화논총 Vol.1 No.-

        Music stimulates the emotion of human beings by elevating the happy and sad sside of its soul. Even in the field of medicine, the medical efficacy of music is being applied and a new appoach is now in active progress. Depression, compared to the normal emotional state of sadness, is a pathological state resulting from abnormal condition. Let us now explore the effects of depression on each musician's life and their works, through the following four composers representing the 19th century. 1. Rossini Unilike other composers suffering from depression, Rossini's depression was caused mainly by his physical illness. This condition made him slow down his composition works, as he was only devoted to his health. 2. Schumann Schumann's whole life was greatly affected by psychological disorder since his early years. Since then he suffered from depression until his death in a mental hospital. Despite these emotional disorders, his musical creative ability did not decline. 3. Tchaikovsky Similar to Schumann, Tchaikovsky coped with this endlessly threatening depression, by displaying his musical creative ability through many compositions. Unsuccessful love affairs seems to have been a factor in his depression. 4. Puccini After his height of success with 'La Boheme', he suddenly fell into a state of extreme depression which forced him to go through the agony of not being able to compose any longer. The overcome this difficulty, however, by 'Madame Butterfly' and four other operas, but he never completely got out of it. Depression influence the composer's life and also their works. Therefore we must understand the music itself as well as the composer's mind.

      • 天才的 音樂家와 憂鬱症

        蘇美姬 西原大學校 1991 西原大學 論文集 Vol.28 No.-

        Despite all that is known about music theory and psychodynamics what actually occurs within a composer's mind remains poorly understand. There are so many composers, Handel, Schumann, Berlioz, all of whom had manic-depressive illness, whose lives were used to illustrate the nature and impact of manic-depressive illness, and their music was used to illustrate the essence of human moods, from joy to socrrow and exaltation to despair. We find the effects of depressive mood in Mozart's and Beethoven's work. Therefore we must understan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composer's psychological status, for we comprehend the composer's work. If we play any songs perfectly, we must understand the misucal characteristic of the work and the composer's psychological status, and then add our feelings.

      • 대중 연주상의 장애요인에 관한 조사결과[Ⅰ]

        蘇美姬 서원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1994 예술문화논총 Vol.3 No.-

        서울시내 소재 예원예술중학교, 선화예술중학교, 선화예술고등학교 및 서울예술고등학교 학생 387명을 대상으로 대중 연주상 장애요인에 관해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음악을 시작하게 영향을 준 사람은 부모님이 가장 많았다(52.7%). 2. 하루 연습시간은 1-2시간이 가장 많았다(53.7%). 3. 일주일 연습시간은 10-20시간이 가장 많았다(47.3%). 4. 렛슨 횟수는 일주일에 1회가 가장 많았다(58.7%). 5. 무대 오르기 직전이 제일 심하게 떨린다(73.9%). 6. 떨리는 기분에 대처하기 위해서 연습을 한다(40.2%). 7. 심리적 장애요인이 중·고등학교 모두에서 첫번째로 느꼈다(52.5%). 8. 중학생의 경우 고등학생보다 연습보다 무대에서 더 잘하는 것을 느끼고 징크스를 덜 인식하여 심리적 장애를 덜 느끼는 경향을 보여준다. 9. 고등학교 학생의 경우 반주자와의 위치가 적절하지 못해 생기는 장애나 연주회장의 음향조건이 나쁨으로 인한 장애를 더 많이 느끼고 있다. 10. 악기 연주를 늦게 시작한 사람은 연주시 내용을 의식하는 정도가 낮으며, 다른생각으로 방해받는 정도도 낮다. 11. 악기 연주를 일찍 시작할 수록 악기 자체에 의한 장애를 더 민감하게 느낀다. 12. 악기 연주를 늦게 시작한 사람일수록 연주시 청중을 응시하는 정도가 커진다. 13. 실제 무대 연주횟수가 많을수록 연주시 내용을 더 의식하고, 연습보다 무대에서 더 잘한다고 느끼고 있다. 14. 나이가 많을수록 연주직전에 음식을 먹고, 커피나 차가 도움이 됐다고 느낀다. 15. 나이가 많을수록 연습보다 무대에서 더 잘한다고 느끼는 정도가 낮고, 연주할때 징크스를 인식하는 정도가 높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