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依頼場面における丁寧表現の使用/不使用に影響する要因の分析 ― 日本人と韓国人の比較を通して ―

        辛昭静,石崎雅人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7 일본학연구 Vol.52 No.-

        본 연구에서는 일본인과 한국인을 대상으로 연령과 조직에서의 관계를 동일한 조건으로 고정한 후 ①입장의 차이(의뢰를 하는 화자의 입장/의뢰를 받는 청자의 입장), ②상대와의 관계(친/소), ③대화의 상대(외국인/내국인)의 조합에 따른 정중표현의 사용/비사용에 대한 선택과 평가를 조사했다. (1) 표현에 대한 선호일한 모두 의뢰하는 경우와 의뢰받는 경우에 따라 정중표현의 사용/비사용에 대한 선택확률이 달랐다. 의뢰를 받는 경우에는 정중표현을 선호하지만, 의뢰를 하는 경우에는 상대와 친한 관계라면 정중표현의 비사용을 선호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일본인은 친한 외국인/일본인에게 의뢰하는 경우에, 한국인은 친한 한국인에게 의뢰하는 경우에 정중표현의 비사용을 선택하는 비율이 높았다. 한편, 한국인은 친한 한국인에게 의뢰받는 경우에 일본인(이 친한 일본인에게 의뢰 받는 경우)보다도 정중표현의 비사용이 적당하다고 선택하는 확률이 높았다. (2) 정중표현의 사용/비사용의 선택과 관계가 있는 평가요인일본인은 의뢰하는 경우에도 의뢰받는 경우에도 주로 표현의 「자연스러움」에 대한 인식의 영향을 받아 선택이 바뀌지만, 한국인은 「자연스러움」「친근함」「정중함」에 대한 인식의 영향을 받아 표현의 선택이 바뀌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사실에서 일본인보다 한국인이 보다 다각도로 평가하여 표현을 선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정중표현의 비사용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일한 모두 반말은 친한 상대에게 사용해야 한다는 인식은 공통적이었지만, 일본인보다도 한국인이 너무 정중한 말투보다는 반말이 서로의 심리적인 거리를 좁힐수 있으며 지나치게 정중한 말투는 친한 인간관계를 형성함에 있어 장해가 된다는 의견이 많았다. 또한 외국인도 경어 사용법을 제대로 배워야 한다는 인식은 공통적이었지만, 일본인보다 한국인이 외국인의 경어 사용이 틀리는 건 괜찮지만 반말을 사용하면 불쾌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상,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일본인도 한국인도 정중표현의 비사용은 친한 관계가 전제조건이며 특히 일본인보다도 한국인의 경우가 그 경향이 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사실로부터 한국인은 친하지 않은 상대가 반말을 사용하면 불쾌함을 느끼는 정도가 일본인보다 높다고 추측할 수 있다. 정중표현의 비사용에 대해서는 더욱 다양한 장면에서의 검토가 필요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커뮤니케이션 장면에 있어서 반말이「오용」이라고 평가되는 이유의 하나가 화자와 청자의 입장에 따른 인식의 차이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sheds light on the preferences and perceptions of polite/non‐polite expressions by Japanese and Korean by analyzing the data obtained from a questionnaire survey.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question items concerning the preferences and perceptions of polite/non‐polite expressions in eight hypothetical scenes constructed from a combination of the participants' roles (addresser/addressee), their familiarity, and whether the language they speak is native or not, and general perceptions for polite/non‐polite expressions and honorifics, while their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age and when they join the company being the same. The obtained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1)Korean/Japanese preferences towards the use of polite/non‐polite expressionsBinominal test is applied to the preference of polite/non‐polite expressions. Both Korean and Japanese prefer polite expressions when they are requested to photocopy the papers for business. More Korean choose non‐polite expressions when they request a familiar native friend in the company to photocopy the papers, while more Japanese select non‐polite expressions when they request familiar native/non‐native company friend. (2)Korean/Japanese perceptions on polite/non‐polite expressionsCorrelation ratio is calculated between the preference of polite/non‐polite expressions and the perceptions of the expression such as briefness, naturalness, friendliness, and politeness. Naturalness, friendliness, and politeness are associated with the selection of the expressions for Korean; mainly naturalness for Japanese. Korean seem to decide on the use of the polite/non‐polite expressions with multiple perspectives than Japanese. (3)General perceptions for polite/non‐polite expressions and honorificsBinominal test is used to examine the judgment on the use of polite/non‐polite expressions and honorifics. Both Korean and Japanese think that non‐politeness expressions should be used for close friends, while more Korean recognize that non‐polite expressions lessen psychological distance to the other and polite expressions can be a hindrance to amicable relations than Japanese. Both Korean and Japanese consider the proper use of honorifics necessary for non‐natives; Korean do not care non‐natives' misuse of honorifics, but feel uncomfortable for their inappropriate use of honorifics than Japanese. In summary, the use of non‐polite expressions is recognized to be allowed between familiar friends in Korean and Japanese. However, Korean think this condition more rigid and thus feel more discomfort for the use of non‐polite expressions by unfamiliar friends than Japanese. Although this study does not examine all factors underlying the use of polite/non‐polite expression for Korean and Japanese, it sheds light on the reasons for improper use of non‐polite expressions.

      • KCI등재

        診療場面におけるコミュニケーションスタイルの 日韓認識比較 ─ 医師の丁寧表現不使用を例にして ─

        辛昭静,石崎雅人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7 일본학연구 Vol.50 No.-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공생사회에 있어서 바람직한 의료 환경 조성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을 알아보기 위하여 의사의 정중표현 비사용에 대한 일본과 한국 환자의 평가를 조사했다. 의사가 환자에게 「약에 알레르기는 없지?」라는 정중표현을 사용하지 않는 장면을 설정하여 의사의 연령(60대/30대), 환자와 의사의 친소관계별(항상 진료를 받는 의사와 처음 진료를 받는 의사)로 나누어 12개의 평가척도(마이너스이미지6개, 플러스이미지6개)에 대하여 5단계 평가를 실시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일본인 환자와 한국인 환자에 의한 평가 비교① 일본인 환자는 마이너스이미지, 플러스이미지의 평가에 있어서 의사의 연령보다는 의사와의 친밀도의 영향을 보다 크게 받는다. ② 한국인 환자는 마이너스이미지의 경우는 의사의 연령과 친밀도, 양쪽의 영향을 받지만 플러스이미지의 경우는 의사와의 친밀도의 영향을 보다 크게 받는다. (2) 환자의 연령에 따른 환자 평가 비교① 20‐30대 환자는 일한 모두 마이너스이미지와 플러스이미지의 평가에 있어서 의사의 연령보다는 의사와의 친밀도의 영향을 받는다. ② 일본인 50‐60대 환자는 마이너스이미지에 대해서는 의사와의 친밀도의 영향을, 플러스이미지에 대해서는 의사의 연령의 영향을 보다 크게 받는다. ③ 한국인 50‐60대 환자는 마이너스이미지에 대해서는 의사의 연령의 영향을, 플러스 이미지에 대해서는 친밀도와 의사의 연령, 양쪽의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의 결과로 의사의 정중표현 비사용에 대한 평가가 환자의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음이 시사되었다. 또한 종래의 연구결과에 근거해 세운 「일본인은 친소관계에 대해 한국인은 연령차에 대해 보다 민감하다」라는 가설에 대해서는 한국인 20‐30대로부터는 의사와의 친밀도에 따라 평가가 좌우되는 경향이 보여 연령차의 영향이 생각보다 절대적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음이 시사되었다. This study explores appropriate communication styles for creating a better medical environment in multicultural societies by comparing the patients’ perceptions on physicians’ use and non-use of polite expressions in Korean and Japanese. A scenario-based questionnaire survey is carried out and statistically analyzed. The scenario consists of a clinical situation where the physician talks to the patient using/without using polite expressions. The setting of the scenario varies with respect to the age of the physician (30’s/60’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ian and the patient(familiar/unfamiliar). 529 Korean and 561 Japanese survey respondents rate these scenarios with six negative and six positive evaluative terms in five-point Likert scale.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1) Comparison of the evaluations by Korean and Japanese (a) Japanese respondents consider “familiarity” more influential than “age” factor both in negative and positive evaluative terms. (b) Korean consider both “familiarity” and “age” influential in negative evaluative terms, while “familiarity” more influential than “age” in positive terms. (2) Comparison of the evaluations by the age of the respondents (a) Korean and Japanese in their 20-30’s consider “familiarity” more influential than “age” both in negative and positive terms. (b) Korean in their 50-60’s consider “age” more influential than “familiarity” in negative terms, and “familiarity” more influential than “age” in positive terms. (c) Japanese in their 50-60’s consider “familiarity” more influential than “age” in negative terms, and “age” more influential than “familiarity” in positive terms. This study suggests that Korean and Japanese patients have different perceptions on physicians’ non-use of polite expressions depending on their country and generation, and also provide some evidence for refining the previous findings on the use of honorifics in Korean and Japane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