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日鐵輪西製鐵所朝鮮人殘留遺骨と北海道の戰後遺骨處理問題

        白戶仁康(Shirato, Hitoyasu) 한일민족문제학회 2005 한일민족문제연구 Vol.8 No.-

        2004년 6월, 무로란(室蘭)시 소재의 사찰에서 전시 중에 사망한 일본제철주식회사(이후 일철) 와니시(輪西)제철소 소속의 조선인 유골 3구가 안치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1945년 7월의 미군 폭격에 의해 사망한 조선인 징용공 5명의 유골 중 일부였다. 전쟁 종결 후인 1945년 10월, 유골 5구를 회사관계자가 부산까지 가져갔으나 상륙이 불가능하였기에 1구만 그 사촌형제에게 맡기고 나머지 4구는 무로란에 다시 갖고 돌아와 사찰에 안치하였던 것이다. 1946년 7월 회사측은 GHQ의 지령에 따라 도망자 기타의 퇴직수당, 사망조위금 등 미불금을 무로란 점령군사령부 군정부에 공탁할 때 유골 4구도 가져갔으나 유골송환의 의뢰는 거부당하였다. 일철 와니시제철소는 1950년 4월 후지제철 무로란제철소로 바뀌었는데, 그 전의 1949년 2월에 회사는 총무청 연락조정중앙사무국장으로부터 '조선은 유골송환에 관하여 현재까지의 절충경과에 대해 그 전말과 각 방면의 상황을 보고'할 것을 연락 받았다. 이 시기에 일본 정부는 국내 각지 유골상황에 대해 파악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외무성 관할인 연락조정중앙사무국은 1952년 폐지되었다. 한일회담에서 청구권 문제가 막바지에 이른 1962년 10월부터 11월에 걸쳐, 유족의 한 사람이 이케다(池田) 수상 앞으로 '진정서'를 제출하였고, 1964년 3월 대한민국의 일본 대표로부터 일본외무성 앞으로 '한국인 구연석 사망확인조사의뢰의 건'에 관한 '구술서'가 송부되었다. 1964년 8월, 외무성은 한국대표부와 진정인에게 회답서를 발송하여, '유골 인도에 대해서는 조속히 재일 한국대표부와 협의할 예정'이라고 회답했다. 한일조약이 체결됨에 따라 1965년 주일 대한민국대사관이 설치되었고 1966년 2월 이후에는 외무성과 후지제철 간의 협의가 이루어졌다. 후지제철은 외무성 앞으로 유골 4구의 '유골인수인 신원조사'에 관한 문서와 경과자료를 3월 31일자로 제출하였다. 그로부터 얼마 후 유골송환문제는 해결된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4구의 유골은 그 후에도 사찰에 안치된 채 있었던 것이다. 1970년 3월 후지제철 무로란제철소는 신일본제철주식회사 무로란제철소가 되었다. 1975년 2월 한국에서 한 명의 유족이 판명되어 유골은 유족의 품으로 돌아갔다. 그런데 그 유골은 진정서에서 말한 유골과는 달랐다. 이러한 경과를 보면 한국과 일본 양국의 관계기관이 유족과의 약속이나 회사의 요청을 방치해 두고 있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청구권 협정을 둘러싸고 한일 양국정부가 정치적인 각축을 벌이고 있었기 때문이다. 더욱이 한일 양국정보 스스로가 유골송환문제 해결의 창구를 완전히 막아버린 전환점이 되었다고도 할 수 있다. 태평양전쟁기에 14만5천명 가량의 조선인노동자가 동원된 북해도에서는 약2,350명의 사망자 명단이 확인되었다. 유골 송환이 늦어진 기업들은 전후에 집단으로 귀환한 자에게 비용을 지급하여 유골 송환을 위탁하였다. 그 후 민간에 의한 유골반환의 사례는 거의 찾아볼 수 없으며 현재 적어도 180명분 이상의 유골이 각지에 안치되어 있다고 추정된다. 게다가 전후 60년을 경과한 지금 개별성을 유지한 유골은 25구 정도에 지나지 않고 대부분은 합장되는 바람에 개별성을 상실한 상태이다. 일본정부는 1952년도에 개시한 일본인 전몰자유골수집사업에 거액을 투입하였고 현재도 계속되고 있는데, 한반도 출신자의 유골문제에 대해서는 외면하여 왔다. 2004년에 한국에서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등에관한특별법'이 제정되었고, '진실과 화해, 미래를 위한 진상규명'을 목적으로 한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가 발족되었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2004년 12월에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는 '민간징용자 유골의 소재 확인 및 유골 봉환'에 관해 처음으로 논의 되었다. 일본정부는 광범위하며 상세한 조사, 그리고 봉환을 위한 구체적인 방책을 수립함이 시급하다. 아울러 유골문제 뿐만 아니라 진상규명위원회 활동에 대한 전면적인 협력과 제휴도 또한 필수적이다. 더 이상 문제를 미루기만 할 수 없는 시점에 이르렀다. In June, 2004, three remains of the mobilized Korean laborers were discovered in the temple of Muroran-shi. They were Korean young men who had worked for the Wanishi Ironworks and had been killed in July, 1945, by the U.S. air strikes. There were originally five remains of Korean victims there. However, shortly after the World War II. the remains were not allowed to land in Pusan, Korea. At that time, fortunately, one of them was taken by his relative but other four returned to Japan and were laid in state to the temple. In July, 1946, according to the orders by GHQ, the Wanishi Ironworks deposited the dead men's back pay and allowance including condolence money to the local U.S military headquarters. While the company asked the local headquarters to send them to Korea, their request was rejected. In 1950, the company received a document made by the Japanese government, which meant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knew the existence of the Korean remains by the time. However, it was in 1975 that one of the remains finally returned to the family in Korea. Why did it take so long? As the Basic Treaty of Korea-Japan was concluded in 1965, the Korean Embassy opened in Japan and Korea's property claims were settled. Although the negotiation proceeded between the Fuzi Steel(the former Wanishi Ironworks) and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the remains continued to be laid in the temple. Finally, one of the remains returned to the Korean family in 1975 but they were not the same remains as the perviously verified ones. When we consider the process of the return of the remains, we can conclude that both authorities of Japan and Korea have ignored the desire of the family and the steel company because of the political tactics of each government. Moreover, two governments have closed the windows for resolving he remains problem. The forcedly mobilized Koreans to Hokkaido during the wartime are estimated to count as 145,000 people and about 2,350 of them are confirmed to have died in Hokkaido. Many of the companies asked the Korean returnees to take the remains with the payments when the war ended. However, there are still more than 180 remains in several places and some of which have even lost their identity because of being buried together. At present, the survey and return of the remains are on the move in Japan and Korea. The Korean President, Roh Mu-hyun and the Japanese Prime Minister, Koizumi had talks about the remains problem in 2004 for the first time. We cannot delay the resolution of the remains problem any longer. The Japanese government should investigate the present situation of all the Korean remains and decide the concrete solution for the return. Korean and Japanese governments should cooperate with the Committee of Inquiry of the Truth of the Past Affairs which inaugurated in December, 2004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