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考古"現代" : 兼談書寫語言的實踐 서면어 실천의 문제를 중심으로

        申宜暻 제주한라대학 2001 論文集 Vol.25 No.-

        현대는 세속의 승인에 의해 성립하고 위상을 부여 받는다. 언어의 실천을 위시한 현대의 모든 가치가 그러한 맥락에 놓이고, 문학의 존재도 예외는 아니다. 문제를 이렇게 놓고 볼 때 백화문학=현대문학이라는 도식이 검토되어야 한다. 모든 백화문학은 현대문학인가? 백화문학이면서도 현대문학이 갖추어야할 백화의 형식과 현대사상을 담고 있어야 현대문학인 것이다. 서면언어의 현대성 실천은 언어간의 "언어 번역"[跨語際"語言飜譯"]의 과정에서 기원한다. '사상'의 '번역''공구'로서의 공구서는 이러한 자신의 본연의 기능과 더불어 자체로서 현대성의 '번역'을 실천함으로써 "상호 소통성(互譯性)"을 실천하고 있었던 것이다. 둘째로 중국어 세계의 언어 현대성 실천, 좀더 정확히 말해 서사 언어의 현대성 실천은 "문법[語法]"의 수립으로부터 시작된다. 현대 중국어 문체는 세차례의 혁신 과정을 거치는데, 대표적 문체를 정밀히 파악함으로써, 중국어와 중국어의 행간(行間)에 숨은 언어 내외적 의미를 포착할 수 있다. 필자가 주목하는 3차 혁신운동은, 1) '5.4시기 백화체[白話文體]', 2) '연안(延安)시기 신화체(新華體) 및 마오체[毛文體]', 3) '개혁개방시기 몽롱체(朦朧體)이다. 현대 중국어가 갖추어야 할 백화의 형식과 그 형식이 담기는 현대사상은 바로 이러한 문체에 살아 숨쉬고 있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보다 정밀한 검토를 위해 우선 선행되어야 할 과제는 백화의 형식, 즉 현대 서면어의 글쓰기 형식이다. 백화문의 서구화, 즉 가로쓰기가 언제 어떻게 실천되는가의 문제는 중요한 고리다. 왕휘(汪暉)는 계몽 학술지 《科學》의 출현에 주목한 바 있거니와, 그의 논의는 이론적 가설이 실제를 가리운 경우다. 사실은 서구의 근대가 번역이 되어 들어오는 과정, 즉 서구의 근대를 구성하는 개념들이 근(현)대 중국어로 번역되는 과정을 거치며 서구의 근대성이 중국에 전이되는 과정 속에서 백화문의 현대적 형식의 성립과 동보적으로 발전하는 점이 중요하고, 사실 시간적으로도 더 우선한 일인데, 왕휘는 이 점을 간과하고 있다. 왕후이의 고찰은 20세기 중국사회가 실천한 현대성 프로젝트 가운데 중요한 한 측면을 설명하고 있다. 중국의 지식인들이 민족국가를 탄생시키고 성숙시키는 과정에서 '과학'의 이름아래 그것이 합법성을 획득한 것은 의심할 바 없는 사실이다. 이것은 '5ㆍ4'의 핵심 테제(theses)이기도 하다. 그런데 이러한 현대성 프로젝트를 논하는 과정에서 한가지 소홀히 취급해 온 사항은 현대성의 서사공구인 동시에 현대성 번역 과정 자체의 하나인 공구 자신의 모양에 관한 논의였다. 공구 자신이 중국의 현대성의 일부라는 점은 의외로 중요하면서도 주목을 받지 못했는데, 이 점은 서구의 현대성을 번역해 현대성을 구축[建構]한 비(非) 서방 근대 국민국가[民族國家]의 현대화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문제이다. 중국인에 의해서 편찬되고 중국 내지에서 출판된 서적 가운데, 가장 먼저 가로쓰기와 서구식 표점 부호를 채용한 서적은 상무인서관(商務印書館)에서 출판한 《商務印書館華英字典》으로 확신된다. 이 사전은 원래 쾅치 자오가 편찬했던 《華英字典》의 기초 위에 2만 여 항목을 추가해 모두 4만 여 항목을 수록하고 있다. 이 책의 출판이야말로 '근대중국'의 서면어가 가로쓰기, 서구식 부호로 명실공히 그 원형적 모양을 정립하는 최초의 표본이 된다. 본격적인 서사 형식의 진정한 실천은 앤푸(巖復)의 손에 의해 이윽고 출현한다. 서구 현대성(modernity)의 번역에 열심이었던 앤푸는 1904년 《英文漢고》를 단행본으로서 출간하면서 가로쓰기, 서구식 표점부호를 현대 중국의 글쓰기에 여실히 적용한다. 영어문법을 설명하는 이 책에서 앤푸는 '해석' 대상의 구조와 표현 방식을 순리롭게 해결해 나아가기 위해 번역 대상 언어의 형식을 그대로 채택한다. 이는 단순한 영어 표현 방식의 채택을 넘어 영어 표현의 방식, 영어가 표상(表象)하는 하나의 세계(世界)가 모두 번역을 통하여 합법성을 획득하는 과정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전통 서면어 형식의 일대 전환이라고 평가할 수 있는 획기적인 사건이다. 이 점에서 그의 가로쓰기 채택은 언어 자체의 내부적 문제가 아니라, 언어로 표상되는 세계의 상호 번역성과 관계되는 문제이다. 요컨대 사상사적인 문제다. 어쩌면 앤푸 자신은 이 점을 인식하지 못한 채로 이러한 크고 중요한 일을 실천하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앤푸(巖復)와 짱타이앤(章太炎)이 수립한 현대 중국의 수사 방식은 언어의 논리성의 전환 자체가 세계 표상과 내적으로 긴밀히 호응하고 있는 것이다. 언어의 "형식(形式)"과 "논리(邏輯)"의 문제가 바로 이곳에서 출현하는 것이다. 더욱이, 근자에 주목되는 언어문화 간(間) "상호번역성(互譯性)"문제의 "번역(飜譯)"의 내재적 기능에 착안한다면, "형식의 통일(形式統一)"과정 자체가 이미 "사상통일(思想統一)"과 "통일된 논리(統一邏輯) 창출"을 주도하는 점에 유의하게 된다.

      • 新探索 ; 东亚视左中外文学关系硏究上的意义 : 对陈思和先生的"二十世纪中国文学的世界性因素论"的补充意见

        신의경 제주간호보건전문대학 2007 論文集-논문집편집위원회 Vol.30 No.-

        중국문학과 외국문학의 관계를 고찰하는 비교문학연구는 장기간 영향연구의 시각에서 진행 되어 왔다. 본문은 이러한 편향적 연구 경향에 대해 질문하고 그것을 넘어서는 비교문학연구 방법론의 새로운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본문은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심화시키려는 의도에서 일찍이 중외 비교문학연구를 진행하면서 천쓰허(陳思和) 교수가 제출한 바 있는 ‘20세기 중국문학의 세계적 인자’라는 개념에 주목하였다. 본고는 천쓰허 교수의 이러한 관점에 십분 공감하면서도 그러한 과점을 충족시키는 다른 하나의 관점 에 주목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논의의 각도를 동아시아 문학의 내부로 돌려서 논의하는 방식이 결락되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을 하고자 한다. 본고는 이를 위해 동아시아 문학에 내재하는 내면적 요소, 즉 동아시아 문예의 민간문학의 전통 및 민족문화의 상호 교섭 과정 올 주목하고자 한다. 중국의 20세기 문학은 비록 서구 현대성에 대한 긍정과 그것의 수용으로부터 촉발되었지만, 그것을 내재화하면서 독특한 자기 논리와 내부의 전통 위에서 자율적으로 발전해왔다. 민간문학의 요소를 20세기문학의 창작에 집중적으로 활용한 라오서(老舍)의 문학만 보더라도 그러한 논의는 새로운 방법론의 가능성을 확신하게 한다. 이와 같이 중국문학의 연구를 내재적 시각에서 다시 검토하다보면 20세 기 중국문화이 지니고 있는 세계적 인자를 어렵지 않게 발견하게 된다. 하지만 이 점은 중국문학에 세계문학적 요소가 있다고 판단하는 것은 옳지 않다. 오히려 세계문학이 라는 것은 곧 각각의 민족문학이 서로 교류하는 과정에서 현대시기에 걸맞은 보편적 미학의 체계로 사후 승인 받은 결과로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이 점에서 본문은 중외비교문학 연구의 새로운 방법론과 그 가능성에 대해 동아시아적 시각으로부터 새로운 가능성이 발신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20세기 중국문학의 세계적 인자는 곧 중국이 서구의 현대를 받아들이며 그것을 현대적 승화하는 과정에서 재발견한 문학에 대한 세계적 정의의 일부분이다. 01 러한 시각으로 새롭게 구성되는 비교문학연구는 따라서 특수성과 보편성을 양 측으로 하는 동아시아(東亞)의 현대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기초 위에서 더욱 심화 고찰 될 필요가 있다.

      • 現代中國批評話語的建構與其特点 : 以劉若愚的詩學理論與新批評(New Criticism)爲中心 劉若愚의 詩學이론과 新批評(New Criticism)을 중심으로

        申宜暻 제주한라대학 2002 論文集 Vol.26 No.-

        중국문학의 발전 과정에서 비평언어의 창신과 확립은 중요한 부분이다. 특히, 서방 근대 비평 언어의 수용과 중국화 과정은 중국 문학의 발전의 특색을 여실히 보여주는 부분이다. 리우뤄위(劉若愚)는 흔히 중국 뉴-크리티시즘의 핵심이론가로 알려져 있는데, 동서문학비평에 정통한 많은 문학비평가, 특히 월리엄 테이(鄭樹森)는 리우뤄위가 서방의 신비평과 같은 이론 체계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평가는 리우뤄위의 학문, 특히 중국시학의 연구가 그러한 이론 언어와 체계를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으므로 잘못된 평가는 아니다. 그러나, 리우뤄위(劉若愚)의 비평언어가 뉴-크리티시즘에 전적으로 기대고 있다는 이해는 잘못된 것이다. 그의 비평은 확실히 뉴-크리티시즘에 기초하고 있지만, 중국시가의 연구에 있어서 그러한 비평의 방법과 비평언어가 담는 세계를 넘어서고 있다. 특히 텍스트와 텍스트가 관계 맺는 사회적 조건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문학사회학 비평언어를 담지하고 있고, 텍스트와 독자의 관계에 주목하는 점에서 수용미학 비평언어의 경계를 넘나드는 모습을 띄기도 한다. 이상과 같은 검토를 통해 우리는 중국 현대 비평 담론 체계의 현대화 과정이 서구 비평언어의 이식이라는 종래의 인식을 새롭게 할 필요를 느끼며, 중국적 비평언어 및 그 디스코스 틀을 독자적으로 발전시켜온 중국 현대 비평언어의 세계를 발견하게 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談漢語影視觀摩課的教學策略

        申宜暻,陸平舟,邊? 한국중국어교육학회 2011 중국어교육과연구 Vol.0 No.13

        The process of the first language acquisition is actually parallel with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cultural connotation which is the background of that language, but the process of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s not entirely the case. Firstly, before learning the second language learners generally have established the culture concept and value system that is compatible with their native environment. Secondly, in the process of learning language, learners tend to "learn" the language itself but neglect the cultural connotation associated with language exchange (Pragmatic). Therefore, it was found that avoiding the "cultural conflict" is not proportional to the level of the target language. To this end, in second language teaching, how to introduce cultural knowledge and guide students to understand the restraint of cultural concept in language application in order to teach them to use the target language more appropriately is very critical. This paper takes the television observation clas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urse for example to discuss the above issue from the view point of teaching strategies. Hope it is helpful for the TCFL (Teaching Chinee as Foreign Language).

      • 西方语訁哲学对中文诗学硏究的启示 : 從"言不盡意"到"言外盡意"

        申宜暻 제주간호보건전문대학 2006 論文集-논문집편집위원회 Vol.29 No.-

        본 논문은 중국어 문학의 시학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참조 틀로 여겨지는 서양의 언어 철학의 참조 가능성에 대해 탐구한 글이다. 우선 비트켄슈타인의 이론을 통해 과연 언어가 뜻을 말할 수 있는지를 중국의 철학적 배경에 유념하여 화두로 삼았다. 중국어 문학은 “언불진의(言不尽意)”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언불진의(言不尽意)”로부터 “언외진의(言外尽意)”라는 언어의 심연을 도통하고자 한 문학적 전통이 존재한다는 데 유념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그 점을 더욱 분명히 고찰하기 위해 중국어 문학 시학의 전통에 생생히 살아 전해지는 요소를 유념하며 서양 언어철학에서 강조되고 핵심 논제로 삼는 언어의 사유 가능성에 대해 실존주의 미학 세계와 정신분석학 언어 해석의 틀을 심층 고찰하였다. 시학이 추구하는 언어의 경지는 실제 어문학에서 사용하는 말해지는 혹은 말할 수 있는 언어를 지향하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언어의 경계에서 사라지는 언어의 아우라를 전달하고자 한다는 점을 밝혔다. 본 고찰을 통해 서양의 언어 철학이 주목했던 그것은 바로 중국의 시문학에서 추구한 신운(神韵)의 경지, 언어도단(言語道斷)의 경지와 내적으로 긴밀히 호응하는 경지 밖의 언어의 경지에 대한 자각임을 분명히 인식할 수 있었고, 중국어 문학의 시학을 보다 깊이 연구하는데 서양의 언어 철학이 적극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KCI등재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Technology

        신의경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1 사회과교육 Vol.50 No.4

        Using both quantitative (survey) and qualitative (reflection papers) approaches, this study reported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that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had using GIS technology after completing GIS training. The GIS training provided in this study was helpful and user-friendly, and the preservice teachers acknowledged the benefit of GIS in elementary classrooms. On the other hand,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raised the issues that geography education community needs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status of geography education in the elementary curriculum and its impact on geography education in all levels.

      • KCI등재

        Discordant Dreams: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nd Their Teacher Educators’ Views of Teacher Education

        신의경,Mary Beth Henning 한국교육학회 2012 敎育學硏究 Vol.50 No.4

        Using mixed methodology, this research examined and compared the belief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nd their teacher education professors about the role of teacher, the readiness of preservice teachers to be teachers, and the perceptions regarding teacher education classes.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d that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nd their teacher educators held different beliefs about the roles of a teacher, presevice teachers’ readiness to teach, and teacher education classes. These different beliefs and values suggested a need for reconceptualizing the way teacher educators communicate with preservice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