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어 담화의 기본 단위 및 흐름문(流水句)의 생성 요인에 관하여(下)

        王洪君(Wang Hongjun),李榕(Li Rong),金賢姬(번역자) 중국어문논역학회 2021 中國語文論譯叢刊 Vol.- No.48

        본고는 다음의 내용에 대하여 논의한다. 1. 중국어 담화 기본 단위의 필요성. 2. 해당 문제와 관련된 다양한 선행 연구. 3. 본고에서 제시하는 중국어 담화 기본 단위에 대한 정의: 담화는 언어 소통이 이루어지는 시간 및 발화자의 의도/역할/어기/양태 등 화용 통사 범주의 최소 및 차소(次小) 단위를 싣고 있다. 이에 대하여 본고는 최소 단위를 “독(逗)”(원래는 ‘讀’으로 적음), 차소(次小) 단위를 “구단(句斷)”이라 명명한다. 4. 독(逗), 구단(句斷)의 음률상의 경계는 운모의 성조가 유지되는 연장의 형태 vs 마지막 운모가 하강 수렴되는 축소형에 묵음 휴지가 이어지는 형태,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5. 서면 상에서의 문장부호와 대응시켜볼 때, 쉼표 및 이에 준하는 문장 부호(이하 쉼표 유형)는 모두 독(逗)과 대응된다. 반면 마침표 및 이에 준하는 문장 부호는(이하 마침표 유형) 준(准)마침표, 진(眞) 마침표 두 가지로 나뉘는데(杜1998), 준 마침표는 쉼표 유형과 동일하게 독(逗)으로 실현되고, 진 마침표는 구단(句斷)으로 실현된다. 이 둘은 화제 전환에 있어서 다른 양상을 보인다. 6. 어법 구성 관계로 볼 때, 독(逗)은 구(短語)로 구성되고, 구단(句斷)은 영어의 문단에 상응하는 구성을 보인다. 7. 중국어, 영어, 한국어와 비교해 볼 때, 중국어 흐름문의 생성 요인은, 첫째, 중국어에는 주-술 관계를 필수 요건으로 하여 구성되는 절(小句)의 층위에 해당되는 통사 단위가 없다. 둘째, 중국어의 화제와 평언은 통사적으로 볼 때 (독립적으로 독(逗)을 구성할 수 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동사 혹은 명사와 같은 품사의 속성에 대한 제한이 없다. 또한 이보다 상위의 관점인 인지 구조에서 볼 때, 중국어에서 명사와 동사 사이의 경계가 모호하다는 특징은 중국어 화자들이 끊임없이 변하는 광활한 세계를 변동이 없거나, 변환되는 현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비사건의 연속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라 볼 수 있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following: 1. Necessity of Chinese Discourse Basic Unit. 2. Various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problem. 3. Definition of basic Chinese discourse units presented in this paper: The discourse contains the minimum or subordinate units of pragmatic and syntactic categories, such as the time during which language communication takes place and the intent, role, language, and aspect of the speaker. In this paper, we designate the minimum unit as “Dou(逗)” (originally written as “讀”) and the subunit as “Juduan(句斷)”. The boundary between Dou and Juduan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the extension of the Yunmu(韻母) to maintain the tone, and the reduction of the last Yunmu(韻母), followed by the silence. The outward appearance in Dou and Juduans written punctuation is: Commas and their punctuation marks (hereafter comma types) all correspond to Dou. On the other hand, periods and their punctuation marks (hereinafter, period type) are divided into semi-periods and true periods (杜1998). Semi-periods are realized as Dou, the same as comma types, and true periods as Juduan. The two also differ in terms of topical change. 6. In grammatical relations, Dou is composed of phrases, and Juduan has a composition corresponding to a group of sentences in English. 7. Based on the contrast between Chinese, English, and Korean, the factors that produce Chinese Liushuiju(流水句) are as follows. First, in Chinese, there is no grammatical unit that corresponds to the level of clauses which is made up of subject-predicate relations. Second,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the syntactic behavior of verbs and nouns in Chinese topics and statements (whether or not they can independently compose Dou). From a higher level of cognitive structure, the ambiguity between Chinese nouns and verbs is blurring because Chinese speakers recognize the vast and ever-changing world as a series of non-events, a combination of unchanged or transformed phenomena.

      • KCI등재

        중국어 담화의 기본 단위 및 흐름문(流水句)의 생성 요인에 관하여

        王洪君(Wang, Hongjun),李榕(Li, Rong),金賢姬(번역자) 중국어문논역학회 2020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47

        본고는 다음의 내용에 대하여 논의한다. 1. 중국어 담화 기본 단위의 필요성. 2. 해당 문제와 관련된 다양한 선행 연구. 3. 본고에서 제시하는 중국어 담화 기본 단위에 대한 정의: 담화는 언어 소통이 이루어지는 시간 및 발화자의 의도/역할/어기/양태 등 화용 통사 범주의 최소 및 차소(次小) 단위를 싣고 있다. 이에 대하여 본고는 최소 단위를 “독(逗)”(원래는 ‘讀’으로 적음), 차소(次小) 단위를 “구단(句斷)”이라 명명한다.1)2) 4. 독(逗), 구단(句斷)의 음률상의 경계는 운모의 성조가 유지되는 연장의 형태 vs 마지막 운모가 하강 수렴되는 축소형에 묵음 휴지가 이어지는 형태,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5. 서면 상에서의 문장부호와 대응시켜볼 때, 쉼표 및 이에 준하는 문장 부호(이하 쉼표 유형3))는 모두 독(逗)과 대응된다. 반면 마침표 및 이에 준하는 문장 부호는(이하 마침표 유형) 준(准) 마침표, 진(眞) 마침표 두 가지로 나뉘는데(杜 1998), 준 마침표는 쉼표 유형과 동일하게 독(逗)으로 실현되고, 진마침표는 구단(句斷)으로 실현된다. 이 둘은 화제 전환에 있어서 다른 양상을 보인다. 6. 어법 구성 관계로 볼 때, 독(逗)은 구(短語)로 구성되고, 구단(句斷)은 영어의 문단에 상응하는 구성을 보인다. 7. 중국어, 영어, 한국어와 비교해 볼 때, 중국어 흐름문의 생성 요인은, 첫째, 중국어에는 주-술 관계를 필수 요건으로 하여 구성되는 절(小句)의 층위에 해당되는 통사 단위가 없다. 둘째, 중국어의 화제와 평언은 통사적으로 볼 때 (독립적으로 독(逗)을 구성할 수 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동사 혹은 명사와 같은 품사의 속성에 대한 제한이 없다. 또한 이보다 상위의 관점인 인지 구조에서 볼 때, 중국어에서 명사와 동사 사이의 경계가 모호하다는 특징은 중국어 화자들이 끊임없이 변하는 광활한 세계를 변동이 없거나, 변환되는 현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비사건의 연속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라 볼 수 있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following: 1. Necessity of Chinese Discourse Basic Unit. 2. Various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problem. 3. Definition of basic Chinese discourse units presented in this paper: The discourse contains the minimum or subordinate units of pragmatic and syntactic categories, such as the time during which language communication takes place and the intent, role, language, and aspect of the speaker. In this paper, we designate the minimum unit as “Dou (逗)” (originally written as “讀”) and the subunit as “Juduan(句断)”. The boundary between Dou and Juduan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the extension of the Yunmu(韵母) to maintain the tone, and the reduction of the last Yunmu (韵母), followed by the silence. The outward appearance in Dou and Juduans written punctuation is: Commas and their punctuation marks (hereafter comma types) all correspond to Dou. On the other hand, periods and their punctuation marks (hereinafter, period type) are divided into semi-periods and true periods (杜 1998). Semi-periods are realized as Dou, the same as comma types, and true periods as Juduan. The two also differ in terms of topical change. 6. In grammatical relations, Dou is composed of phrases, and Juduan has a composition corresponding to a group of sentences in English. 7. Based on the contrast between Chinese, English, and Korean, the factors that produce Chinese Liushuiju (流水句) are as follows. First, in Chinese, there is no grammatical unit that corresponds to the level of clauses which is made up of subject-predicate relations. Second,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the syntactic behavior of verbs and nouns in Chinese topics and statements (whether or not they can independently compose Dou). From a higher level of cognitive structure, the ambiguity between Chinese nouns and verbs is blurring because Chinese speakers recognize the vast and ever-changing world as a series of non-events, a combination of unchanged or transformed phenome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