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원도 동해안 지역 평지 포곡식 산성의 축조시기와 성격

        홍영호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19 군사 Vol.- No.111

        In the East Coast of Gangwon-do, there are valley encircling fortresses on the flatland sites that taken advantage of the natural mountain ridges as ramparts. Mostly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mountains (north high and south low), and the east, southeast and south of the mountain fortresses lead to flatland, they had served as the entrance. And there used to be a river flowing in front and a farmland. Based on the folk materials regarding these mountain fortress, which have been handed down to us, many believe that they were constructed in the age of Yeguk (the Iron Age), the age of Three Kingdoms and the Unified Shilla period. But the researcher classified these types of mountain fortresses, and analyzed archeological materials and folk materials, and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se mountain fortress cannot date back to the age of Yeguk (the Iron Age) and the age of Three Kingdoms.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only very few of these mountain fortresses were utilized in the Unified Shilla period, and most mountain fortresses were constructed and utilizeed during the Goryo Dynasty, and many of them were built and used at the end of the Goryo Dynasty an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period. In this respect, caution must be exercised when these fortresses are used as base data for historical interpretation. The nature of these fortresses varies depending on their sizes, but as the mountain fortresses have a wells, people could live and seek protection in them, and as there are roof tiles, these mountain fortress may be related to the ruling class. In some mountain fortress, roof tiles bearing the name of the ‘official residence’ were excavated, and as the origins of names of places like ‘Jangan (seong),’ ‘Manho’ and ‘Jinjang’ have been handed down to us, they may be related to Chiso-seong (eup-seong and hyeon-seong), but most of them were controlled by them, or they can be seen as the administrative and military strongholds (villages) of local indigenous forces in charge of managing these fortresses. Furthermore, as some fortresses are located on the seashore, they are seen to have plated the role of non-regular marine transportation and ocean transportation bases on the East Coast, and the reason that these fortresses have a river flowing nearby may be related to transportation of goods. 강원도 동해안 지역에는 자연적인 산능선을 성벽으로 활용한 평지 포곡식 산성들이 있다. 주로 북고남저의 산세를 활용하였고, 산성의 동쪽이나 동남쪽, 남쪽은 평지와 이어져 출입부 역할을 한다. 그리고 그 앞으로 하천이 지나가고 농경지가 펼쳐진다. 그런데 이들 산성에 대해 그동안 전해져오는 전승자료를 근거로 예국시대(철기시대),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에 축조되었다고 보는 견해가 많았다. 그러나 필자가 이러한 유형의 산성들만 분류하여 사료, 고고자료, 전승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들 산성은 예국시대(철기시대), 삼국시대까지 올라갈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필자는 이들 산성 가운데 극히 일부만 통일신라시대에 활용되었을 가능성이 있고, 대부분의 산성들은 고려시대에서 조선 초기에 축조되어 활용되었으며, 주로 고려말~조선초에 축조되어 활용한 것들이 많다고 판단한다. 이러한 점에서 이들 성을 역사 해석의 근거 자료로 삼을 때에는 매우 주의해야 한다. 이들 성의 성격은 그 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산성에 우물이 있어 거주와 입보가 가능하고, 기와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이들 산성이 지배계층과 관련될 것이다. 그런데 일부 산성의 경우 ‘官舍’명 기와가 출토되고, ‘長安(城)’을 비롯하여 ‘萬戶’와 ‘鎭長’ 등의 지명유래가 전승되므로 치소성(읍성, 현성)과 관련되기도 하겠지만, 대부분은 그들의 통제를 받거나 관리의 책임을 맡은 지방토착세력의 행정적·군사적 거점(마을)으로 볼 수 있다. 나아가 일부 성들은 바닷가 연변에 위치하고 있어 동해안에서 비정기적인 漕運과 海運의 거점 역할을 하였다고 보여지며, 이들 성이 하천을 끼고 있는 이유도 물자 수송과 관련될 수 있겠다.

      •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이용한 폐수중의 인제거

        홍영호 혜전대학 식품산업연구소 2000 식품산업연구지 Vol.1 N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moved T-P and turbidity in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ALC (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ALC was used as a packing material and supporters. Effects of several physical factors on the phosphorous and turbidity removal efficiencies were examined by using artificial waste water(T-P : 65∼172ppm, turbidity : 370∼570 NTU). Morphological types of ALC were investigated by the SEM. Specific area which measured by BET was 27.66m2/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packing density of ALC powder in aqueous solution was 0.7~0.77g/cm3. Removed efficiency of T-P was 85~90%, and turbidity was 99%.

      • KCI등재
      • KCI등재

        소방분야 종사자들의 안전의식에 관한 연구 - 충남지역 소방분야 종사자를 중심으로 -

        홍영호 한국화재소방학회 2015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29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awareness survey for safety and fire fighting safety of lives and generalsafety for fire-fighting sector workers of Chung-nam region.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questionnaire survey. Thequestionnaire respondents were 534 people such as fire-fighting public officials, fire-fighting company worker and safetyrelatedpublic officials.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were subjected to statistical processing, such as frequency analysisusing SPSS win 19.0.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in this study is a Cronbach’ α = 0.710~0.807. According to thesurvey results, Only 15% of the surveyed are think that peoples safety consciousness was high, the remaining respondentsthink the low level of safety consciousness of peoples.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e fire-fighting related safety consciousness,fire-fighting public officials safety consciousness level was 4.2 at standard 5 and safety-related public officialswas 3.59. Safety consciousness level order was fire-fighting public officials > Fire-fighting company workers > safetyrelatedpublic officials. According to the survey, the efforts to decrease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for safety is required. 본 연구는 충남지역 소방분야종사자를 대상으로 일반안전, 생활안전 그리고 소방안전에 대한 의식조사를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는 설문조사로 진행되었으며 설문응답자는 소방공무원, 소방업체종사자, 안전관련 공무원 등 534명이다. 설문결과는 SPSS win 19.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등의 통계처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문의 신뢰도는 Cronbach’α = 0.710~0.807이다. 조사결과에 의하면 국민의 안전의식수준이 높다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전체 응답자의 15%로 소방분야종사자들은 국민의 안전의식수준이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소방안전의식에 대해 소방공무원은 5점 기준 4.2의 인식을 가지며, 안전관련 공무원은 3.59의 안전의식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안전의식수준은 소방공무원 >소방업체종사자 >안전관련 공무원 순으로 조사되었다. 조사결과에 의하면 안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