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수(象數)원리를 정원구성에 적용한 용도서(龍圖墅)와 귀문원(龜文園)

        홍형순 ( Hyoung Soon Hong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2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0 No.2

        용도서와 귀문원은 홍만선이 저술한 『산림경제』 「복거(卜居)」 편에 실려 있다. 이 글은 하도(河圖)와 낙서(洛書)의 원리를 적용한 독특한 정원 구상안으로, 실제 조영된 바 없는 상상 속의 정원이다. 여기에는 두 정원의 모습이 구체적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상수학에 대한 이해가 없이는 여기에 내재된 의미를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 기록을 고찰함으로써 정원도해에 담긴 의미와 조경사적 의의를 밝히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글의 배경이 되는 저작 및 편찬자, 상수학의 개요를 살펴보았다. 또 하도와 낙서에 담긴 생수(生數)와 성수(成數), 음양, 사상, 팔괘도 등의 원리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거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하도와 낙서는 우주변화의 원리 등 상수철학의 기본 명제들을 포괄적으로 추상화한 개념적 정의(conceptual definition)라 할 수 있는데, 용도서와 귀문원은 이를 정원구성 원리로 적용하여 거기에 담긴 의미를 구체적으로 경험하고, 반복 가능한 방식으로 설명할 수 있도록 한 조작적 정의(operational definition)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도는 중국에서도 전례가 없는 독특한 사례이다. 둘째, 하도와 낙서에 내재된 의미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구체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정원이라는 생활공간이 선정되었고, 하도와 낙서의 방위개념과 위치와 수 등을 재현하는 소품으로 태극정과 십자각, 돈대, 우물, 연못 등과 함께 각종 수목이 사용되었다. 셋째, 용도서와 귀문원은 각기 하도와 낙서가 표상하고 있는 선천과 후천, 체와 용의 관계를 주 모티브로 하고 있다. 즉, 용도서는 하도가 표방하는 우주생성의 원리, 정적이며 조화, 질서, 상생의 모습을 상징하기 위하여 ``십장청``이라는 상록수만을 식재하도록 구상하였다. 귀문원에는 낙서가 표방하는 후천의 변화 즉, 동적이며 부조화 무질서, 상극, 변화를 표현하기 위해 화목과 과목을 자유롭게 식재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식재효과를 통해 구현하고자한 두 정원의 시각적 이미지(image)의 차별성은 용도서에는 ``청상함``, 귀문원은 ``화려함``으로 함축된다. 하도와 낙서가 바탕이 된 상수학은 고대 이래로 오랜 기간에 걸쳐 다양한 학파와 여러 학자의 지혜가 축적된 동양의 독특한 사고 체계이다. 따라서 그 개념과 이론이 심오하고 방대하며 해석의 관점도 다양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동양철학의 제반 개념들에 대해 보다 심층적이고 다양한 관점에서 고찰하지 못한 점은 본 연구의 한계이다. 추후 연구과제는 전통정원에 내재된 상수학 등 동양사상에 대한 보다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Yongdoseo and Guimunwon are described in 「Bokgeo(卜居, fix abode)」 of 『Sanlimkyengje(山林經濟)』」 written by Manseon Hong. This record is a unique garden conceptual idea applying the principles of Hetu(河圖) and Luoshu(洛書), fanciful gardens which have not been actually constructed. Here, two garden types were concretely described respectively, however the underlying meaning therein cannot be apprehended without exact understanding about Sangsu stud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the meaning contained in Garden illustration and the historical meaning of landscape therein through considering this tex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writer and the compiler who are the background of this writing and the outline of Sangsu studies were investigated. Also, the principles of Saengsu(生數), Seongsu(成數), Yin Yang(陰陽), Four Bodies(四象), Palgwedo(八卦圖), etc. which are in Hetu and Luoshu were considered. The result of this study went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etu Luoshu are conceptual definitions which wholly abstracted the basic propositions of Sangsu philosophy such as the universe change principle, etc., while Yongdoseo and Guimunwon can be said to be operational definitions which apply those as garden composition principle, enabling to experience the meaning contained therein concretely and explain it in a replicable way. This attempt is a unique example, unprecedented in China as well. Second, as a living space, garden was selected as a means to concretize operational definitions about the meaning of Hetu Luoshu, and as the property to reproduce the bearings concept, the location and the number, etc. of Hetu Luoshu, Taegukjeong(太極亭), Shipjagak(十字閣), Dondae(墩臺), well, pond as well as various kinds of trees were used. Third, the main motif of Yongdoseo and Guimunwon is the relation between Apriority(先天) and Posterior(後天), and the relation between Constitution(體) and Use(用) of Hetu and Luoshu respectively. That is, Yongdoseo planted evergreen trees such as Shipjangcheong(十長靑) in order to symbolize the universe creation principle which Hetu stands for, i.e. silent, harmonious, orderly and win-win image. In Guimunwon, flowering trees(花木) and fruit trees(果木) were planted freely to express the change of Posterior which Luoshu stands for, that is, dynamic, disharmonious, disorderly, incompatible(相剋) and changing image. The effects intended to be attained through such planting were, ``freshness and cheerfulness(淸爽)`` of Yongdoseo and ``splendidness`` of Guimunwon respectively. Sangsu studies based on Hetu and Luoshu is a unique thinking system to the Orient which came from the accumulated wisdom of several scholars from various schools through a long period since ancient times. Therefore, the concept and the theory thereof are profound and huge, and its viewpoints of interpretation are diverse. It is a limit of this study that more in-depth and various consideration was not performed. As a further research project, more empirical study of Orientalism such as Sangsu studies, etc. inherent in Traditional Garden is necessary.

      • KCI등재

        광양항 동측배후단지 2단계 사업지구 상징공원 및 수변공원 설계

        홍형순,김도경,정한호,Hong Hyoung-Soon,Kim Do-Kyong,Jeong Han-Ho 한국조경학회 2006 韓國造景學會誌 Vol.34 No.3

        The eastern rear business complex of the Gwangyang Harbor (second stage) has undergone the 'alternative bid' process by which a construction company is selected based on their suggestions for an alternative plan and the bid for the construction expenses is based on the previously completed original plan, thereby implicitly accepting the arrangement and scale of the park which was presented in the original plan. It is possible, however, that the concept and plan of each park needs to be approached in a new way within the extent of given design guidelines. This study focuses on the alternative plan process and the Symbol Park (the second neighborhood park) and Waterfront Park (the third neighborhood park) among the five neighborhood parks in the eastern rear business complex (second stage). These two parks provide scale and function for the structure of the park and greenways system at the eastern rear complex. The neighboring waterway is a significant resource for emphasizing the pre-development features of the site. The alternative plan process focuses on determining the resources for the park's plan based on the environmental analyses of the site and utilizing the results. That is, through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all available resources are determined and the facilities and activities are derived based on these results. By this, Symbol Park and Waterfront Park reflect the regional features of the eastern rear complex, and these parks will feasibly perform the role of the region's key parte. The limit of this study is the fact that there is no chance for landscape architecture to actively play a role in the creation of the master plan, land utilization plan, and plan for the complex.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unction scale and location of the park are not distributed appropriately in the rear complex. Also the plan for protecting the waterway's shore, a significant resource, only considers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engineering works, degrading the visual and ecological quality. These experiences will be used as a case for further designing the industrial complex and for the resulting park plan.

      • KCI등재

        표암(豹菴)의 「호가유금원기(扈駕遊禁苑記)」에 나타난 궁원 유람행사의 내용과 의미

        홍형순,Hong, Hyoung-Soon 한국전통조경학회 201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표암의 "호가유금원기"에 담긴 궁원 유람행사의 내용과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사료에 담긴 내용과 의미를 고찰하고 해석하는 기술(description)적 연구방법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왕이 친히 신하들에게 궁원을 안내하고 설명한 일을 기록한 "호가유금원기"는 한국의 조경문화사에 있어 매우 귀한 사료이다. 이러한 일은 중국은 물론 조선시대에도 전무후무한 일이다. 2. 특히 이 일을 기록한 사람이 당대에는 시 서 화 삼절로 이름이 높았고 후대에는 '예원(藝苑)의 총수(總帥)'로 평가받는 표암 강세황이라는 점은 이 사료의 가치를 더한다. 3. 이 유람 행사의 성격은 정조의 집권 초반기에 친정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규장각의 완비, 왕의 위엄을 나타내는 어진 도사 등에 기여한 근신들의 노고를 치하하는 자리였다. 정조는 자신의 정치 이념을 실현하는데 공이 큰 근신들의 노고에 대한 은전을 베풀기 위해 궁중 내에 금단의 공간인 금원을 활용하였다. 4. 창덕궁 후원에 대한 유람 동선의 하나를 확인할 수 있었다. 후원을 유람하는 동선이 고정적이지는 않았으나 이것은 이날의 가을 정취를 즐기기 위해 정조가 의도적으로 선택한 최선의 유람 동선이었을 것이다. 5. 이 행사의 특징은 격식이 없고 다소 즉흥적인 '유람'이었다. 즉 정조 치세 중반 이후에 신하들에게 베푼 '상화어조연(賞花漁釣宴)'은 꽃구경과 낚시, 시 짓기 등 행사의 개최시기와 형식, 참가자격 등의 틀을 갖춘 궁중 '연회'였음에 비해 이날의 행사는 비교적 사적이고 자유로운 '놀이(遊)'였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관련 사료들의 고찰을 통해 "호가유금원기"를 쓴 전후 맥락을 비롯해 이에 담긴 내용과 의미를 고찰하였다는 의미가 있다. "호가유금원기"는 귀중한 문화콘텐츠로서 추후 궁원 관람에 있어 스토리텔링 자원으로서 활용 가능할 것이며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content and meaning of royal garden(宮苑) sightseeing event in Pyoam Gang, sehwang's "Hogayugeumwongi" As the research method, descrip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which is to consider and interpret the content and meaning in the historical records.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Hogayugeumwongi", which recorded the event that the King personally guided and explained the palace to the vassals, is a very precious historical records in Korean landscape gardening cultural history. Such thing is unprecedented in Joseon Dynasty as well as China. 2. The person who recorded this event was famous for shi seo hwa samjeol in the time, and the point that he was Pyoam, who was appreciated as 'the head(總帥) of artistic and literary circles(藝苑)', adds more value to the future generations. 3. The characteristic of this sightseeing event was to praise the vassals' labor, who contributed to the completion of Kyujanggak, to establish King Jongjo's direct rule in the early period of seizure of power, and eojin(御眞) dosa(圖寫), etc., which expressed the King's dignity. Jongjo utilized Geumwon, a forbidden place in the palace, to give a special privilege to the vassals' effort, who took a great part in realizing his political ideal. 4. One of sightseeing lines toward the backyard of Changdeok Palace could be identified. Though the sightseeing lines toward the backyard were not fixed, however this might be the best sightseeing line which Jongjo intentionally chose to enjoy that day's flavor of autumn. 5. The characteristic of this event was informal and somewhat extemporary 'sightseeing'.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day's event was relatively private and free 'play(遊)', while 'sanghwaeojoyeon(賞花漁釣宴)', which Jongjo gave to the vassals middle after his reign, was a royal 'banquet', which prepared frames, such as event holding time and form, qualification for participation, e.g. flower viewing, fishing, writing poems, etc.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ce that it considered the content and meaning in historical records including the front and the rear context that "Hogayugeumwongi" was written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related historical materials. "Hogayugeumwongi" can be utilized as a material for storytelling with regard to royal garden sightseeing in future as a valuable cultural content, also, follow-up study on this is necessary.

      • KCI등재

        현대 라이프스타일(Lifestyle) 관점에서 본 허균(許筠)의 『한정록(閒情錄)』

        홍형순,Hong, Hyoung-Soon 한국전통조경학회 2017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정록"이 현대 라이프 스타일에 제시하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정록"에서 추구한 삶의 행동방식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정신적 수행방법'과 '실천적 수행방법'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현대의 주류 라이프스타일을 검토한 결과, 웰빙 열풍에서는 즉물적이고 이기적인 경향이 두드러졌으며 소비문화가 왜곡되는 부작용도 있었다. 로하스는 마케팅(marketing)이 주도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느리게 살기운동은 삶의 가치 등 비물질적 측면까지 고려하는 차별성이 있으나, 커뮤니티(community)가 주도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힐링 열풍에 있어서 현대인은 자신을 치유해 줄 무엇인가를 갈구한다. 이들은 모두 개인의 건강과 안녕을 외부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며 상업성과 결부되기 쉽다는 취약점도 있다. 이에 비해 허균이 "한정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한정록"은 삶의 주체가 자신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현대 라이프스타일은 즉물적이며 외부 의존적인데 반해 허균은 삶에 대한 진지한 성찰로부터 출발할 것을 강조한다. 둘째, 한가로운 삶을 사는데 있어서 정신적인 측면을 강조하였다. 아치(雅致)를 비롯해 독서와 고상한 취미 등을 통해 내적 충만감을 얻을 수 있으며 자적할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한가로운 삶을 위한 정신적 수행방법과 함께 실천적 수행방법도 규범화하여 제시하고 있다. 실천적 수행방법에 있어서도 물질과 정신의 조화를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의 한계는 "한정록"과 현대 라이프스타일에 대해 명확한 비교 고찰에 이르지 못하고 시사점 도출을 위한 리뷰(review) 연구에 머무른 점이다. 추후 "한정록"에 담긴 조경관련 여러 개념과 사례에 대해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an implication regarding "Han-jeong-rok" as the proposal on modern lifestyle. This study classified the behavioral patterns pursued in "Han-jeong-rok" in addition to the 'psychological method of practice' and the 'practical method of practice' for the realization of such behavioral patterns pursued in conducting the study. The outcome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The result of reviewing the mainstream modern lifestyle indicated that in the well-being craze, practical and selfish tendency were prominent and the side effect of distorted culture of consumerism were also evident. Lohas faced the limitations of lifestyle led by marketing. The slow movement can be differentiated in that it takes even immaterial aspects into consideration including the value of life and etc. However it faces the limitation of being led by community. In the healing craze, modern day people thirst for something that can heal them. All of these people have strong tendency of relying on the external factors for their personal health and well being, and it possesses a weak point in that it can easily be linked to commercial viability. Compared to the same, the implication that Heo Gyun can gain from "Han-jeong-rok"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Han-jeong-rok" emphasizes the point that the agent of life is one's self. The modern lifestyle is practical and relies on the external factors, where as Heo Gyun emphasizes that it should start with a serious introspection of life itself. Second, it emphasizes the psychological aspects in leading a leisurely life. Starting with elegant scenic beauty to reading and sophisticated hobbies among others, it indicates that internal satisfaction can be gained and that self-contentment free from cares, is possible. Third, it proposes standardized 'psychological method of practice' and the 'practical method of practice' for the leisurely life. Materialistic and psychological balance is also emphasized in 'practical method of practic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s that it was not a clear comparison with "Han-jeong-rok" between contemporary lifestyle and it had stayed in a review study for implications. Furthermore, there is a need for additional study regarding the concept related to landscape and cases included in the "Han-jeong-rok".

      • KCI등재

        표암(豹菴)의「호가유금원기(扈駕遊禁苑記)」에 나타난 궁원 유람행사의 내용과 의미

        홍형순 ( Hyoung Soon Hong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표암의「호가유금원기」에 담긴 궁원 유람행사의 내용과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사료에 담긴 내용과 의미를 고찰하고 해석하는 기술(description)적 연구방법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왕이 친히 신하들에게 궁원을 안내하고 설명한 일을 기록한 「호가유금원기」는 한국의 조경문화사에 있어 매우 귀한 사료이다. 이러한 일은 중국은 물론 조선시대에도 전무후무한 일이다. 2. 특히 이 일을 기록한 사람이 당대에는 시·서·화 삼절로 이름이 높았고 후대에는 ``예원(藝苑)의 총수(總帥)``로 평가받는 표암 강세황이라는 점은 이 사료의 가치를 더한다. 3. 이 유람 행사의 성격은 정조의 집권 초반기에 친정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규장각의 완비, 왕의 위엄을 나타내는 어진도사 등에 기여한 근신들의 노고를 치하하는 자리였다. 정조는 자신의 정치 이념을 실현하는데 공이 큰 근신들의 노고에 대한 은전을 베풀기 위해 궁중 내에 금단의 공간인 금원을 활용하였다. 4. 창덕궁 후원에 대한 유람 동선의 하나를 확인할 수 있었다. 후원을 유람하는 동선이 고정적이지는 않았으나 이것은 이날의 가을 정취를 즐기기 위해 정조가 의도적으로 선택한 최선의 유람 동선이었을 것이다. 5. 이 행사의 특징은 격식이 없고 다소 즉흥적인 ``유람``이었다. 즉 정조 치세 중반 이후에 신하들에게 베푼 ``상화어조연(賞花漁釣宴)``은 꽃구경과 낚시, 시 짓기 등 행사의 개최시기와 형식, 참가자격 등의 틀을 갖춘 궁중 ``연회``였음에 비해 이날의 행사는 비교적 사적이고 자유로운 ``놀이(遊)``였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관련 사료들의 고찰을 통해「호가유금원기」를 쓴 전후 맥락을 비롯해 이에 담긴 내용과 의미를 고찰하였다는 의미가 있다. 「호가유금원기」는 귀중한 문화콘텐츠로서 추후 궁원 관람에 있어 스토리텔링 자원으로서 활용 가능할 것이며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content and meaning of royal garden(宮苑) sightseeing event in Pyoam Gang, sehwang`s 「Hogayugeumwongi」?As the research method, descrip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which is to consider and interpret the content and meaning in the historical records.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1) 1. 「Hogayugeumwongi」, which recorded the event that the King personally guided and explained the palace to the vassals, is a very precious historical records in Korean landscape gardening cultural history. Such thing is unprecedented in Joseon Dynasty as well as China. 2. The person who recorded this event was famous for shi·seo·hwa samjeol in the time, and the point that he was Pyoam, who was appreciated as ``the head(總帥) of artistic and literary circles(藝苑)``, adds more value to the future generations. 3. The characteristic of this sightseeing event was to praise the vassals` labor, who contributed to the completion of Kyujanggak, to establish King Jongjo`s direct rule in the early period of seizure of power, and eojin(御眞) dosa(圖寫), etc., which expressed the King`s dignity. Jongjo utilized Geumwon, a forbidden place in the palace, to give a special privilege to the vassals` effort, who took a great part in realizing his political ideal. 4. One of sightseeing lines toward the backyard of Changdeok Palace could be identified. Though the sightseeing lines toward the backyard were not fixed, however this might be the best sightseeing line which Jongjo intentionally chose to enjoy that day`s flavor of autumn. 5. The characteristic of this event was informal and somewhat extemporary ``sightseeing``.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day`s event was relatively private and free ``play(遊)``, while ``sanghwaeojoyeon(賞花漁釣宴)``, which Jongjo gave to the vassals middle after his reign, was a royal ``banquet``, which prepared frames, such as event holding time and form, qualification for participation, e.g. flower viewing, fishing, writing poems, etc.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ce that it considered the content and meaning in historical records including the front and the rear context that 「Hogayugeumwongi」 was written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related historical materials. 「Hogayugeumwongi」 can be utilized as a material for storytelling with regard to royal garden sightseeing in future as a valuable cultural content, also, follow-up study on this is necessary.

      • KCI등재

        고전 시문을 통해 본 파초(Musa basjoo)의 식재 의미와 설계용도(Design Use)

        홍형순 ( Hyoung Soon Hong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9 No.2

        본 연구는 고전시문에 대한 고찰과 해석을 통해 파초가 우리의 전통정원에 오랫동안 즐겨 가꾸어진 배경과 그 설계용도(design use)를 고찰하고자 진행되었다. 또 이러한 고찰 과정을 통해 우리나라에 파초가 도입되어 널리 애호된 시기도 함께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파초를 주제로 한 고전시문을 고찰하고 해석하는 기술적 연구방법이 사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파초가 우리나라에 처음 소개된 시기는 최치원의 시를 통해 통일신라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여러 시문과 그림을 통해 고려시대 중기에 이미 파초는 정원식물로 널리 식재되고 애호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파초에 내재된 의미는 다음과 같다. 1) 파초 잎은 종이의 대용물로 글씨나 시를 쓰기도 하였고 술잔으로 사용되는 등 여름날의 수양과 풍류의 의미를 갖는다. 2) 파초는 ``혜가단비``의 고사에 의해 불가에서 종교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 식물로 취급된다. 또, 파초 특유 형태와 생육특성, 파초 잎에 빗방울이 흩어지는 모습 등은 부처의 가르침인 ``공``과 ``무아``, ``덧없음``을 일깨우는 각성물로 받아들여졌다. 3) 유가에서 파초는 "군자는 하늘을 따라서 스스로 굳세고자 노력하며 쉬지 않는다(君子以自强不息)"라는 가르침의 표상이었다. 4) 파초의 넓고 긴 잎을 봉황의 꼬리에 비유하여 ``봉미``라고 하였다. 따라서 파초 잎은 존귀함의 존재의 상징인 봉황을 의미하므로 책가도, 문자도 등 민화의 소재로 즐겨 채택되었다. 셋째, 파초의 설계용도는 크게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1) 파초의 넓고 푸른 잎으로 인해 여름철 정원에 녹음과 청량감을 제공하는 ``시각적 용도``로 활용되었다. 2) 옛 사람들은 여름철에 듣는 ``파초우성(芭蕉雨聲)``을 운치 있는 소리로 여겼고, 파초가 이러한 ``사운드 스케이프(soundscape)``를 구현할 수 있는 최적의 식물소재라는 점을 파악하고 이를 적극 활용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파초의 여러 설계용도 중에서도 가장 특징적인 용도로 ``청각적 활용``을 들 수 있다. 3) 파초는 화분에 식재하여 실내에서 관상용으로도 활용하였다. 4) 파초는 궁중과 민간에서 약재와 식재료 등 실용 목적으로도 활용되었다. 본 연구의 한계는 한국고전종합 데이터베이스에 탑재된 자료 중 국역된 텍스트를 위주로 하였다는 점이다. 추후 여타의 원문 자료들에 대한 국역 작업이 진행됨으로써 본 연구와 관련된 새로운 내용들이 보완될 수 있을 것이다. By studying the classic poetry and prose with a theme of Plantain, I would like to study why Plantain has been planted in our traditional garden for a long time. Also, through this study, I want to find when Plantain was introduced to in our country. We use description study method for studying the classic poetry and prose with a theme of Plantain. As a result, we found a few things like below. First, the introduction of Plantain to our country traces back to unified Silla in the poetry of Choe Chi Won. Also, Plantain was planted and loved generally as a general garden plant in the middle of Goryeo through poetry and paintings. Second, the meaning of Plantain is like this. 1) It means development and enjoyment of arts of summer because the leaves of Plantain were used for drinking alcohol and writing and poetry instead of papers. 2) In Buddhism, Plantain was thought to awaken ``gong(空)``, ``mua(無我)``, and ``brevity`` of lesson of Buddha by the special shape and the image of falling rain to the leaves. Also, it was used widely in Buddhist temples because of the story of ``Hye ga dan bi(慧可斷臂)``. 3) In Confucianism, it is the emblem of lesson ``a wise man tries to be strong and tries not to stop following to God``(自强不息). 4) The large leaf of Plantain is called ``bongmi(鳳尾)`` thanks to the image of likeness with tails of Bongwhang(鳳凰). Third, design use of Plantain is like this. 1) The large leaf of Plantain was used for giving an image of freshness and brightness in the garden in summer. 2) Our ancestor thought ``the sound of falling rain to Plantain``(芭蕉雨聲) as a picturesque sound in summer. Also, Plantain was highly utilized because our ancestor thought Plantain is the best plant for implementing ``soundscape``. Thus, the most characteristic use of several design uses is ``acoustic use``. 3) Plantain was also planted in a indoor pot for viewing. 4) Plantain was used for making food and medicine in the palace and private house as a practical use. The limit of this study is that I mainly use the text translated into Korean of database of overall Korean classics. We hope the new things related to this study would be added up to this study by translating original texts into Korean more.

      • KCI등재
      • KCI등재

        환경사 관점에서 본 조선시대 궁궐에 범과 표범의 출몰

        홍형순 ( Hong Hyoung-soo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8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 한양 궁궐에 범과 표범 출몰에 대해 환경사적 관점에서의 고찰을 통해 궁궐 실체의 한 단면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실록』 등 사서에 실린 범과 표범 출몰 기록을 토대로 환경사의 세 가지 관심 즉, ‘환경’, ‘환경에 미친 인간의 영향’, ‘환경에 대한 인간의 의식과 태도’를 주제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에 궁궐은 물론 한양 도성 내외에도 수시로 범과 표범이 출몰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심지어는 후원에서 호랑이가 먹이 활동을 하거나 번식도 했으며 사람을 해치기도 했다. 둘째, 이러한 상황은 한양 궁궐의 우수한 입지 특성, 조영철학과 기법 등 태생적 요인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궁궐이 입지한 ‘좋은 터’는 인간에게만 유용했던 것이 아니라 범과 표범의 활동에도 유리하게 작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우수한 입지 환경에 더해 궁궐과 도성 주변에 대한 산림 정책은 범과 표범의 출몰을 촉진했을 수도 있다. 즉 금송과 금장, 금산, 봉산 등의 관리 정책은 산과 산이 이어진 지형에 숲을 우거지게 했고 이는 범과 표범의 은신처이자 이동 통로의 역할을 한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궁궐을 비롯해 한양 도성 내외에 범이 출몰하는 것에 대한 대처 방식은 역대 왕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중에서 특히 정조는 궁궐에 출몰하는 범과 표범에 대한 실제적인 현상 파악과 현실적인 대처 방법을 강구했다는 점이 두드러진다. 다섯째, 이들을 종합해볼 때, 궁궐과 도성에 범과 표범의 빈번한 출몰은 역설적이지만, 피상적으로 언급되어온 조선 궁궐의 ‘친자연성’ 혹은 ‘친환경성’을 보여주는 실증적 증거의 하나로 볼 수도 있다. 추후 연구 과제로 궁궐의 문화사와 생태사 등의 관련 학제간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또 조선시대의 생태 변화 추이와 관련된 보다 과학적이고 심화된 후속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 aspect of physical palace by reviewing the emergences of tigers and leopards in the palace in Hanyang from the environmental historical perspective. To do so, three topics in environmental history were reviewed including ‘environment,’ ‘impact of human-beings on the environment,’ and ‘sense and attitude of human-beings on the environment’ based on the historical records such as 『‘Wangjoshilok(王朝實錄)』.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leopards and tigers were emerged not only in the palace but also near the City Wall of Hanyang from time to time in Joseon Dynasty. Moreover, tigers lived and propagated in the backyard. Second, This situation may be caused by the natural factors of palace in Hanyang including location, philosophy and technique of building, and so on. That means ‘good location’ placed by palace worked favorably not only for human-beings but also for the activities of tigers and leopards. Third, In addition to the locational environment, forest policies on the palace and capital may facilitate the emergences of leopards and tigers. With the managements of pine trees, prohibition of burials, prohibition of climbing, prohibition of mountain entrance, and so on, forests were developed in the mountainous territories, which might play a role of shelters or passages for the tigers and leopards.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countermeasures on the emergences of tigers in the palace as well as the capital city were different by the kings. Out of these, Jeong-jo was highlighted to seek the realistic countermeasures with actual understanding on the emergences of tigers and leopards. Fifth, In summary, frequent emergences of tigers and leopards in the palace and capital city could be a practical evidence to show ‘pro-naturalism’ or ‘eco-friendliness’ of the palace in Joseon which was mentioned superficially, paradoxically speaking. Further studies with the related disciplines are required on the cultural or ecological history of the palace.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o conduct more detailed scientific studies related to the trend of ecological changes in Joseon.

      • KCI등재

        정조(正祖)의 궁원(宮苑) 유락(遊樂)

        홍형순 ( Hyoung Soon Hong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5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정조가 궁원에서 즐긴 유락의 실태를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화조어연’은 규장각을 위한 연회로 규례를 정하고 정례화 했다는 차별성이 있다. 정조는 다섯 차례의 행사를열었다.둘째, ‘세심대 놀이’는 정조의 비극적인 개인사를 바탕으로 하는데, 네 차례의 행사가 있었다. 셋째, 정조는 비가 내린 직후에 맑은 물이 흘러넘치는 옥류천의 ‘폭포 구경’을 즐겼다. 이는 일상적 경관이 아니라 많은 비가 내린 후의 임시적인 경관을 즐겼다는 점에서 특기할 만하다. 넷째, ‘설중용호회’는 무신들을 위무하는 자리로 일곱 차례의 행사가 있었다. 한 겨울에 열린 이 행사에서는 참석자들이 각자 쇠 꼬치에 꿩을 꿰어 구워 먹게 했다. 또 술과 음악을 베풀어 군신(君臣)이 고락을 함께하는 것을 강조했다. 다섯째, 정조는 겨울철에 난로회를 열거나 난로회의 고사에 따라 술과 음식을 내려 문신들의 노고를 위로하기도 했다. 여섯째, 정조는 활쏘기에 능했으며 이를 즐겼다. 정조 궁중의례인 연사례를 복원하고자 하였으며 두 차례의 연사례를 열었다. 일곱째, 정조는 바쁜 일상을 벗어나고 싶은 마음을 후원에서 달랬던 것으로 보인다. 또 정조는 후원의 자연경관을 감상하며 만물이 생성, 변화하는 주역의 의미를 일깨우기도 했다. 여덟째, 정조는 궁원에서 ‘군신동락의 자리를 적극적으로 마련했다. 정조의 정치적 이상을 실현하는데 있어서 측근 신료들의 지원이 필수적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한계는 정조 관련 여러 고문헌 중 번역물에 국한하여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점이다. 새로운 사료의 발굴과 번역성과물이 축적됨으로서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reality behind Jeongjo``s enjoyment of the palace garden. If I were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y are as follows: First, The ‘Sanghwajoeoyeon(賞花釣魚宴)’ has the differentiation which decided and regularized the rules and the regulations with the annual meetings for the Kyujanggak(奎章閣). Jeongjo had held the events five times. Second, The ‘Seshimdae(洗心臺) Excursion’ is based on the tragic personal history of Jeongjo. There were four events. Third, Jeongjo had enjoyed the ‘viewing of the waterfall(觀瀑)’ of the Okryucheon(玉流川) where a lot of the water overflows right after it rains. This is worth the special mention with regard to the point that it is a temporary landscape and not an usual landscape. Fourth, As an event for the military officers, the ‘Seoljungryonghohwe(雪中龍虎會)’ was held seven times. This event had been held in the middle of the winter. And each of the attendees skewered a pheasant and roasted and ate it. Also, it emphasized the sovereign and the subjects being the partners of the joys and the sorrows by giving the alcoholic drinks and the music. Fifth, Jeongjo had consoled the hard work by the civilian subjects either by holding the brazier feast(煖爐會) in the winter or by granting the alcoholic drinks and the foods according to the historical facts of the brazier feasts. Sixth, Jeongjo was good at archery and enjoyed it. During the period of his reign, Jeongjo held twice Yeonsarye(燕射禮). Seventh, Jeongjo soothed his desire to get out of the busy everyday life at the royal palace garden. While appreciating the natural landscape of the backyard, he was awakened of the meaning of the Book of Changes(周易) in which all the things had been created and changed. Eighth, At the royal palace garden, Jeongjo actively prepared the place for enjoyment by the sovereign and the subjects together. It is judged that this is because, in order to materialize his political ideals, the support by all the subjects who had been close was needed.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is the fact that the research had been proceeded with limited to the translations, among the many old writings related to Jeongjo. With the accumulation of the excavations of the new thoughts and of the results of the translations, the researches that are deeper will be need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