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한자학(韓國漢字學)의 미학적(美學的) 접근(接近)(3) 고려후기 만시(挽詩)에 나타난 죽음의 형상화와 미적 특질 ?목은 이색의 시를 중심으로-

        정승 ( Jung Seung Ha ) 동방한문학회 2012 東方漢文學 Vol.0 No.50

        ``Mansi(挽詩)`` is a poem about death in Korean traditional literary history. The commemoration of the dead is almost a deed of the visceral kind. As a result, it has been created unceasingly across the ages and in all countries of the world and will always be. Thus, ``Mansi(挽詩)``, poetry about death is the most common along with poetry about love. ``Mansi(挽詩)`` is divided into three, ``Domangsi(悼亡詩)``, ``Dobungsi(悼朋詩)``, ``Gokjasi(哭子詩)``. They are poetry about the death of wife, friend, child each. There was a long history of ``Mansi(挽詩)``. Banak(潘岳), the poet in the Period of Disunity in China wrote three poems about grief over the death of wife. Since then, many poets had created ``Mansi(挽詩)`` in Tang Dynasty, Song Dynasty, and Won Dynasty. Leedongyang(李東陽), famous man of letters in Myong Dynasty, particularly, made <Gokjarok(哭子錄)>, a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which showed his affection of ``Gokjasi(哭子詩)``. <Gokjarok(哭子錄)> is also the 98th book in 『Hoirokdangjib(회麓堂集)』. Like china, the tradition of writing Mansi(挽詩) had started early in Korea. Kimbusik`s Mansi(挽詩) is the oldest ever handed down to us from ancient times. Other poets who wrote Mansi(挽詩) in Koryo Dynasty are Kimgukgi, Choihae, Leekyubo, Imchun, Choija, Ahnchuk, Leejaehyun, Leegok, Leesak, Leejib, Jungmongju, Kimguyong, Leesungin, and so on. The front-ranker in history of literature almost left Mansi(挽詩). The ability of creating Mansi(挽詩) had been essential attributes men of letters shoud have. 76poems of Mokeun`s Mansi(挽詩) have descended to our day. The poems expressed sorrow or lamentation about various people`s death. They are king, princess, bureaucrat, monk, lady, maid and so on. The aesthetic attractiveness of Mansi(挽詩) is mournfulness and bitterness. Great poems of Mansi(挽詩) make readers weeping. Such ``Bijangmi(悲壯美)`` or ``Bigaemi(悲慨美)`` is the best feature of Mansi(挽詩). They enabled Mansi(挽詩) to gain popularity with readers. Not differentiating between the noble and the lowest class of people, in Mansi(挽詩), poets mourned over the death of all the people. Their sorrow and lamentation over the dead is always the same.

      • KCI등재후보

        정몽주 시에 나타난 죽음의 형상화와 미적 특질

        정승 포은학회 2012 포은학연구 Vol.10 No.-

        중국이나 한국의 한시사에서는 망자의 죽음을 다룬 시들을 따로 구별하여 '挽詩'라고 불러왔다. 만시는 일반적으로 다른 이의 죽음을 다룬 것이 많지만, 간혹 시인 자신의 죽음을 미리 예측하거나 애도하는 의미로 쓴 경우도 있는데, 이를 특별히 '自挽詩'라고 부른다. 고려시대에도 초창기부터 만시는 꾸준히 지어졌는데, 전반기의 대표적인 시인으로는 김부식을 들 수 있다. 고려중기 이후로 시인의 수가 많아지고 다양한 경향의 시들이 창작되면서 만시는 더욱더 많은 시인에 의해 다뤄지게 되었으니, 문학사에 등장하는 저명한 시인치고 만시를 짓지 않은 사람이 없을 정도로 만시 창작은 시인에게 있어서 보편적인 일이 되어 버렸다. 만시는 시문학의 여러 장르 가운데에서도 가장 애절하고 비통한 시다. 삶을 마감한 망자에 대한 추억과 감흥을 다룬 것이기 때문이다. 죽음이 인생에서 차지하는 중요한 비중만큼이나 중국과 한국의 한시사에서 만시는 시인들의 주된 창작 영역으로 자리매김 해왔다. 한국 한시사에서는 일찍이 김부식을 시작으로 만시 창작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 후 이규보, 최해, 이제현, 이곡 등을 거쳐 목은 이색에 이르러 고려시대 만시 창작은 정점에 이른다. 그리고 정몽주, 이숭인, 김구용이 그 뒤를 계승하게 된다. 포은 정몽주는 평생을 종군과 외교의 현장에서 활동하였기에 가족과 떨어져 지낸 경우가 허다하였다. 여진이나 왜와의 긴박한 전장터, 중국에 사행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거센 풍랑을 만나 거의 죽을 뻔했던 일, 일본에 붙잡혀간 사람을 구출하기 위해 떠난 매우 위험했던 일본 사행 등 죽음의 순간을 무수히 많이 경험하였다. 포은시를 정독해보면 이같은 죽음의 모습이 시에 자주 보인다. 죽음의 위기 앞에서 한 인간이 느끼는 두려움과 외로움, 슬픔 등이 미적으로 잘 승화되어 나타나 있다. 이는 그 시들이 포은의 치열하고 지난한 삶에 바탕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포은시에는 본인의 죽음뿐만 아니라 다른 이의 죽음을 애도하기 위해 쓴 '만시'도 역시 보인다. 포은만시는 다른 시인들의 작품에 비해 매우 서정적이고 슬픔의 정서를 훌륭하게 형상화 내었다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이는 포은의 시인으로서의 재주와 수준이 매우 뛰어나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라 하겠다. The poems dealing with the subject of death have been called 'Mansi(挽詩)' in the history of Chinese or Korean literature. 'Mansi(挽詩)' generally deals with the subject of other persons' death. But from time to time some poems of 'Mansi(挽詩)' deals with the poet's own death. These poems represent prediction and condolences about his or her own death. They are specially called 'Jamansi(自挽詩)'. 'Mansi(挽詩)' has been constantly written since early Korea Dynasty. Kimbusik is a representative poet of the first half of the period. From the middle of the Korea Dynasty the number of poet and the variety of poem increased. According to the current of the times more and more poets came to work on 'Mansi(挽詩)'. So most of famous poets in Korea Dynasty created 'Mansi(挽詩)'. 'Mansi(挽詩)' is most bitter and sorrowful in many genres of literature. Beacause the poems describe the memory of and longing for the dead. Death forms a great part of life. Equally, 'Mansi(挽詩)' accounts for a great part in the history of Chinese or Korean literature. The creation of 'Mansi(挽詩)' was kicked into high gear by Kimbusik. Then many poets such as Leekyubo, Choihae, Leejaehyon, Leegok wrote 'Mansi(挽詩)'. It peaked in poems written by Leesack. And Jungmongju, Leesungin, Kimguyong succeeded to the them. Poeun-Jungmongju devoted his lifetime to the field of diplomacy and national defense. So he has been away from his family for a long time. When he went through other countries and battlefields, he watched the moment of death many times. Poeun used these experiences in his poetry. His feelings such as fear, loneliness, sadness are expressed very well aesthetically. That's because his poetry is based on his hard life. He sang of other person's death as well as his own death. Poeun's 'Mansi(挽詩)' is very lyrical and especially feelings of sadness are finely imaged. These facts showed Poeun is excellent poet.

      • KCI등재

        기획주제: 중세의 동물에 대한 인식과 문학적 형상(1) : 고려후기 한시에 나타난 새의 이미지와 문학적 의미

        정승 ( Jung Seung Ha ) 동방한문학회 2014 東方漢文學 Vol.0 No.61

        인간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된 자연의 동.식물은 예부터 시인들의 주된 吟詠의 대상이었다. 그중에서도 꽃과 새는 더욱 시인들의 사랑을 받아왔는데, 중국이나 한국의 문학사에서는 꽃이나 새를 노래한 시를 일명 ‘花鳥詩’라고 하여 따로 구별할 정도로 한시의 주된 영역이었다. 중국문학사에서 화조시의 창작 전통을 거슬러 올라가면 이미 『시경』에 등장하는 시들에서부터 화조시는 존재해왔다. 『시경』 이후로 화조시를 창작한 대표적인 시인으로는 당나라의 杜甫와 李白, 白居易, 송나라의 蘇東坡와 歐陽脩, 梅堯臣과 林逋를 들 수 있다. 고려조 한시사에서 화조시 창작의 가장 대표적인 시인은 이색과 이규보를 꼽을수 있다. 이 두 시인이 남긴 화조시만 해도 수십 수가 넘는다. 두 시인을 정점으로하여 그 외 임춘, 이제현, 민사평, 이곡, 안축, 정추, 정몽주, 김구용, 권근 등이 화조시를 많이 남긴 시인들이다. 시로 형상화된 새를 그 종류별로 보면 ‘두루미[鶴]’와 ‘제비[燕]’, ‘닭[鷄]’이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기러기[雁]’, ‘까마귀[烏]’, ‘참새[雀]’, ‘갈매기[鷗]’, ‘꾀꼬리[鶯]’, ‘까치[鵲]’, ‘거위[鵝]’, ‘오리[鴨]’등을 들 수 있다. 그런데 각 새들마다 그 새가 갖는 고유의 상징성이 있어서 시인의 감정과 처한 환경에 따라 음영의 대상인 새의 종류도 달라지는 양상을 보인다. 가령 남북으로 이동하는 철새의 대표인 기러기는 여행 중의 외로움이나 고독감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고, ‘十長生’의 대표적 조류인 학은 고결함, 순결함, 장수 등을 상징한다. 또한 꾀꼬리는 사랑하는 연인의 아름다움이나 사랑의 감정을 빗대어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닭이나 오리, 거위, 참새 등은 우리의 삶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한 부분으로 田園詩나 일종의 생활 현장을 다룬 生活詩에서 자주 등장한다. 본고에서는 고려후기 화조시의 전반적인 창작 양상과 주요 작가와 작품, 구체적으로 어떤 새가 어떻게 詩化되었는지, 또 각 시에서 새는 무엇을 비유하고 상징하는지, 그리고 화조시에 나타나는 전반적인 미적 특질과 문학사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Animals and plants closely related to human life was the old time-honored subject of sino-korean poetry. Above all the flower and the bird were more loved by poets. Poems sung about the flower and the bird were called ‘Hwajosi(花鳥詩)’, which was a vital part of sino-korean poetry in the history of both Korean and Chinese literature. In th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Hwajosi is found in 『Sikyong(詩經)』, the oldest existing collection of Chinese poetry. Then it was written by some poets of the the Tang Dynasty - Li Po (李白), Tu Fu(杜甫), Bo Juyi(白居易) and the Saong Dynasty- Su Dong Po(蘇東坡), Ouyang Xiu(歐陽脩), Mei Yaochen(梅堯臣). The most representative poets who created Hwajosi are Leesak and Leekyubo in the history of sino-korean poetry of the late Goryeo dynasty. There is further poets who created Hwajosi like Kimgukgi, Imchun, Ahnchuk, Leejaehyun, Leegok, Jungmongju, Kimguyong, Leesungin, and so on. Their Hwajosi mostly sang about ‘crane[鶴]’와 ‘swallow[燕]’, ‘chicken[鷄]’. The next most common birds in Hwajosi are ‘wild goose [雁]’, ‘crow [烏]’, ‘sparrow[雀]’, ‘seagull[鷗]’, ‘nightingale[鶯]’, ‘magpie[鵲]’, ‘goose[鵝]’, ‘duck[鴨]’. Each bird has its own symbolic meaning. That``s why poets chose a different bird in each poem round their own emotion and circumstances. Wild goose, a kind of migratory birds that moves from south to north means traveller’s loneliness and solitude. Crane, one of the ten traditional Symbols of Longevity means long life, purity, noble-mindedness. Nightingale means lover``s beauty or a feeling of love. Chicken, goose, and sparrow, on the other hand, were showed in a poem of pastoral life. In this manuscript, I looked at overall creation of Hwajosi ; main poets who wrote Hwajosi and their major works, how to make images by using birds, what each bird stands for in different poems. I also studied Hwajosi focusing on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significance in Korean literature.

      • KCI등재후보

        정몽주 문학에 나타난 성리학적 사유체계와 그 실천양상

        정승 우리한문학회 2005 漢文學報 Vol.13 No.-

        Poeun Jung-Mongju was borned in 1337, and pass an examination with honors in 1360. He is a Confucian scholar and a politician who intended to rule the people by Confucian ideas. Poeun was engaged in a political oligarchy during his whole life. He had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education of Confucianism. Seoae Yu-Sungryong said, "Poeun took charge of Korea, and opend the teachings of Chosun". Poeun's disposition was magnanimous and large-minded. At the same time, he set a high value on Hoyunjigi(浩然之氣). He does not merely preach Confucianism, but lives it as well. Uam Song-Sieul said, "Poeun is a man who was borned for civil administration of Chosun," Byokcho Hong-Myonhee said, "Poeun is a man who kept Korea Dynasty in during thereign of Gongyangwang." Poeun is a man who made Confucianism put down new root in Chosun Dynasty and had influence on learned men after ages. 圃隱 鄭夢周는 1337년에 태어나 24세 되던 1360(공민왕 9)년에 등제하여 宦路에 오른 뒤, 1392년 56세로 생을 마치기까지 한평생을 정치현장에서 끊임없이 활동했던 실천적 지식인이었다. 그는 학자로서 닦은 깊은 학문적 수양과 정치가로서 겪은 풍부한 현실경험을 통해 일궈낸 나름의 정치이상을 고려왕조를 통해 펼쳐보려고 했으나 결국 그 뜻을 이루지 못하고 고려왕조와 함께 운명하였다. 포은은 다년간의 成均館 學官活動과 大司成의 職을 통해서 수많은 젊은 유학자들을 배출해 내었으며, 과거를 主試하여 인재를 선발하였고 五部學堂과 鄕校를 세우는 등 다양한 교육활동을 펼친 한 시대의 스승이었다. 뿐만 아니라 고려말의 불교식 喪制를 朱子家禮를 본떠서 家廟를 세우는 유교식으로 전환하게 하였고, 원나라의 유풍인 胡服을 중국식으로 바꾸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고려말 성리학이 도입되어 그 뿌리를 내리는 데에 포은의 공로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게다가 ‘忠臣不事二君’의 의리를 끝내 지켜가며 고려왕조와 함께 생을 마감하였으니 어찌보면 이보다 더 극적인 귀감은 역사에서 찾기 힘들 정도이다. 바로 이러한 점에서 西厓 柳成龍은 포은에 대해 평하기를, “위로는 고려 오백년 綱常의 무거운 짐을 맡았고, 아래로는 조선조 억만년 節義의 가르침을 열어 주었다”라고 간명하면서도 정확하게 지적하였던 것이다. 고려말 성리학 수용기에서, 포은 정몽주가 차지하는 사상사적 위치는 益齋 李齊賢과 牧隱 李穡을 계승하고 아래로는 冶隱 吉再로 이어지는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조선조에 들어와 야은 길재의 학통을 金叔滋가 계승하고 이는 또 金宗直→金宏弼→趙光祖로 이어졌기에, 목은이 포은을 두고 얘기했던 “東方 理學의 祖”라는 말이 조선조에도 그대로 수용되었으며 中宗 때에는 文廟에 從祀되기에 이르렀다. 그 뒤 退溪 李滉을 거쳐 尤庵 宋時烈에 이르러서 포은에 대한 평가는 거의 절대적인 경지에 오르게 된다. 포은의 시문은 예로부터 ‘豪放’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필자는 이것이 그의 豪邁한 기질과 ‘浩然之氣’를 중시했던 삶의 태도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아울러 포은의 모든 삶의 궤적은 유교경전에 대한 깊은 통찰과 그러한 지식을 實踐躬行하려 했던 태도 및 유교적 의리론에 철저했던 유학자로서의 자세에서 기인한다. 즉 이같은 호방한 기질과 실천궁행하는 삶의 태도가 어려운 현실적 여건 속에서도 고려에 끝까지 충성하려는 ‘輔國’의 자세를 낳게 하였으니, 이것은 곧 포은에게 ‘經世濟民’하는 유자로서의 덕목을 실천케 하는 원동력이 되었던 것이라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이숭인의 挽詩類 작품에 나타난 죽음의 형상화와 미적 특질

        정승 한국한시학회 2013 韓國漢詩硏究 Vol.21 No.-

        만시는 한시의 여러 갈래 중에서도 가장 극적이고 감성적인 영역이다. 그것은 기본적으로 사람의 죽음을 다루고 있는 만시의 속성과도 관계된다. 자고로 죽음은 우리 인생사의 가장 중요한 순간이다. 죽음은 생자와 망자의 영원한 이별을 의미한다. 때문에 그 망자를 추억하고 기리며 슬퍼하는 만시는 본질적으로 감성적이고 격정적이며 때로는 극적이기까지 하다. 한국한시사에서 만시 창작의 전통은 일찍이 김부식에게로 거슬러 올라간다. 김부식 이후 고려후기로 갈수록 문인들 사이에서는 가까운 주변의 가족과 親友들, 스승, 선·후배의 죽음을 당하면 만시를 쓰는 것이 관례처럼 보편화 되어갔다. 만시를 포함한 죽음을 주제로 다룬 시들은 지극히 사적인 정서를 다루고 있다는 면에서 보면 매우 주관적이다. 하지만 동시에 죽음이라는 것이 누구에게나 적용되는 인류 보편의 문제임을 고려한다면 매우 객관적이기도 하다. 이처럼 주관성과 객관성을 동시에 갖고 있다는 점이 죽음을 주제로 한 시들의 문학적 매력이자 연구해볼만한 가치라고 생각한다. 본고에서는 고려후기를 대표하는 가장 서정적인 시인 도은 이숭인의 만시를 주목하여 그 특질을 살펴보았다. 『도은집』에 실린 시들 중에서 만시임을 직접적으로 표방하고 쓴 것은 대체로 19제 남짓이다. 이 가운데 오언율시가 10제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다. 이는 동시대 다른 시인들, 예컨대 이색이나 정몽주등과 비교할 때 양적으로는 적은 분량이다. 하지만 내용적인 서정성이나 시의 질적인 측면에서 볼 때에는 그 누구의 만시보다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사실 이숭인의 만시가 적은 이유는 만시의 대상이 되는 인물들 대부분이 개인적 친분관계의 친우들이고, 그것도 시인과 아주 가까운 인물들이라는 것이다. 즉 의례적인 부탁 등으로 지은 시는 거의 없다는 말이다. 이숭인은 본인의 사적인 감정에 의해서 망자에 대한 깊은 애도와 추억이 있을 경우에만 만시를 지었음을 알 수 있다. 이숭인의 서정성 짙은 만시는 그 후 조선시대로 계승되어 한국한시사에서 만시 창작의 전통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Mansi(挽詩) belongs to dramatic and emotional field in Chinese poetry. Because Mansi handles the subject of human death. Indeed death is the most important moment in one's lifetime. Death means an eternal farewell to the dead. Mansi is a song about bidding the last farewell to someone you love, so it can't help but be dramatic, emotional, and surging. The tradition of Mansi creation begins with Kimbusik in Korean traditional literary history. Writing Mansi had become a custom for paying one's respects to the souls of the dead since Kimbusik. During late Korean dynasty such a phenomenon had been getting richer and richer. Mansi, the poem dealing with death is very subjective. Because this is involved with personal feelings. But death is common human problem, so Mansi is also objective. Like this, the poem about death such as Mansi is subjective and objective at the same time. For that reason, Mansi is attractive and worth studying. The focus of this paper is on Doeun-Leesungin's Mansi. Leesungin is a lyric poet who represent the late Korean dynasty. <Doeunjib> is a collection of poems written by Leesungin. In this book, 19 pieces of Mansi are carried. Among them, 10 pieces of Mansi are Oeunyulsi. The number of Mansi written by Leesungin is less than the number of the other poet's Mansi. But the quality of Mansi written by Leesungin is the best. Leesungin wrote Mansi only when he felt very sorry for a person's death. This is the reason why Mansi written by Leesungin is small in number but full of lyricism. Some poets in Chosun dynasty succeed Leesungin's Mansi. The tradition of Mansi creation can be made through such process in Korean traditional literary histor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고려시대 시문에 형상된 안동지역의 산천(山川)과 누정(樓亭)

        정승(Ha, Jung-seung) 포은학회 2021 포은학연구 Vol.27 No.-

        안동(安東)은 경상북도 동·북부의 중심도시로 이미 신라시대부터 경북 지역의 거점 역할을 담당했으며, 특히 왕건이 이 지역에서 견훤과 더불어 전투를 벌였을 때 지역 출신인 김선평(金宣平), 권행(權幸), 장길(張吉)등과 지역민들의 도움으로 승리를 하고난 후부터 고려시대 대대(代代)로 국가의 중심도시가 되었고 대도호부(大都護府)로 지정되기에 이르렀다. 1361년(공민왕 10) 중국에서 내려온 홍건적(紅巾賊)의 제 2차 침입 때에는 적군이 수도 개경에까지 쳐들어오자 11월에 왕은 신하들을 이끌고 안동으로 몽진(蒙塵)하여 이듬해 2월까지 안동에 머무르게 된다. 이를 계기로 안동은 왕과 임시조정이 설치된 도시로서 명성을 이어갔고, 특히 군사와 문화적 측면에서 주요한 지역이 되었다. 그 후 고려와 조선왕조를 거치면서 지역출신의 많은 학자와 문인들이 배출되어 안동은 ‘추로지향(鄒魯之鄕)’으로 불릴 정도로 교육과 학문의 중심지로서 명성을 떨쳤다. 고려시대 안동지역 출신의 유명 인물로는 김방경(金方慶), 권보(權溥), 홍간(洪侃), 김구용(金九容), 권근(權近) 등이 있는데, 김방경은 무신으로, 권보는 성리학을 보급시킨 학자로, 홍간과 김구용과 권근은 시인으로 저명하였다. 안동을 대표하는 누정(樓亭)으로는 관풍루(觀風樓), 영호루(映湖樓), 안동객사(安東客舍)의 북루(北樓), 침벽루(枕碧樓), 삼귀정(三龜亭) 등이 유명한데, 고려시대에는 물론 조선조까지 수많은 시인 묵객들이 찾아와 음영할 정도로 경북 지역을 대표하는 명소였다. 특히 영호루는 밀양의 영남루(嶺南樓), 진주의 촉석루(矗石樓)와 더불어 영남지역을 대표하는 누대로 알려졌으며, 영호루를 제영한 작품들은 한국 누정문학 연구에 좋은 자료로 문학사적인 의미가 있다. 본고는 고려시대 시문에 형상된 안동의 다양한 모습들, 특히 누정이나 산천, 불우 등에 주목하여 당대의 문인들이 안동을 어떻게 인식하고 작품에 표현했는지를 고찰하였다. 안동은 고려시대부터 조선조에 이르기까지 학문과 교육의 고장으로 유명했기에 안동을 음영한 작품을 발굴하고 분석하는 작업은 문학사 연구에도 의미가 있을 뿐만이 아니라 문화사, 지역사 연구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더구나 최근의 문학 연구는 각 지역의 각종 자료와 유산을 발굴하고 알리는 지역학 연구가 부각되고 있는 만큼 안동지역을 다룬 문학작품을 살피는 일은 시급하고도 중요하다고 하겠다. Andong(安東) is a city in the east and north of Gyeongsangbuk-do. It has served as a hub of Gyeongsangbuk-do since the Silla Dynasty. In particular, when Wang Geon fought with Gyeonhwon in this area, he won with the help of local people such as Kim Seon-pyeong(金宣平), Kwon Haeng(權幸), and Jang Gil(張吉) became the central city of the country and was designated as the Great Dohobu(大都護府;the provincial government office). During the second invasion of the Red Turban from China in 1361 (the 10th year of King Gongmin s reign), the enemy invaded the capital, Gaegyeong. In November of that year, the king took refuge in Andong with his servants. And I stayed in Andong until February of the following year. As a result, Andong continued its reputation as a city where kings and provisional governments were established, and it became a major area, especially in terms of military and cultural aspects. Since then, many scholars and writers from the region have been produced through the Goryeo and Choseon Dynasties, making Andong so famous as a center of education and learning that it is called Churojihyang(鄒魯之鄕). Famous figures from Andong during the Goryeo Dynasty include Kim Bang-kyung, Kwon Bo, Hong Kan, Kim Gu-yong, and Kwon Geun. Among them, Kim Bang-kyung was known as a military official, Kwon Bo was a scholar who spread Neo-Confucianism. In addition Hong Kan, Kim Gu-yong and Kwon Geun were renowned as poets. The pavilion, which represents Andong, is famous for its Guanpungnu(觀風樓), Yeonghoru(映湖樓), Bukru(北樓) in Andong Guesthouse, Chimbyeoknu(枕碧樓), and Samguijeong(三龜亭). These were the most representative attractions in Gyeongsangbuk-do to the extent that numerous poets, including the Goryeo Dynasty and the Joseon Dynasty, visited and wrote poems here. In particular, Yeonghoru, along with Yeongnamnu(嶺南樓) in Miryang and Chokseoknu(矗石樓) in Jinju, is known as a representative Pavilion of the Yeongnam region. The works, which were sung under the title of Yeonghoru, are good materials for the study of Korean pavilion literature and have literary historical significance.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various aspects of Andong, especially the pavilion, mountain, river, and the Buddhist temple, which were revealed in the poetry of the Goryeo Dynasty, and examined how writers of the time recognized Andong and expressed it in their works. Moreover, recent literary studies have highlighted regional studies that discover and inform various materials and heritage of each region. As such, it is urgent and important to look at literary works dealing with Andong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