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대한 부정적 정서성과 수줍음 및 의도적 통제의 영향

        권연희 한국보육학회 2014 한국보육학회지 Vol.14 No.4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role of effortful control on the relation among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shyness and social competence. Participants were 200 children(97 boys, 103 girls; recruited from classes with 5-6 year olds).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and effortful control rated by a mother’s questionnaire. And teachers completed the rating scale to measure the children's shyness and social compete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Results showed that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and shyness had a negative relation to their social competence. Children’s effortful control positively related to their social competenc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interaction of children’s shyness and effortful control predicted their social competence. Children's shyness, who demonstrated the lowest level of effortful control, associated negatively with their social competence.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 contribution of children’s effortful control to shy children’s social competence. 본 연구는 취학 전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대한 기질의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 및 수줍음 특성과 사회적 유능성의 관계에 대해 의도적 통제의 조절 효과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B광역시에 소재한 5개 유치원의 유치반 9개 학급에 재원 중인 유아 200명(남아 97명, 여아 101명; 평균연령 6.24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 및 의도적 통제를 알아보기 위해 어머니용 질문지를, 유아의 수줍음 및 사회적 유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교사용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자료분석을 위해 빈도와 백분율, t-검증, 적률상관분석 및 위계적 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 및 수줍음 특성은 사회적 유능성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유아의 의도적 통제는 사회적 유능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위계적 중회귀분석 결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대해 수줍음 특성과 의도적 통제 간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 유아의 수줍음 특성은 사회적 유능성과 관련되지만 이러한 관련성은 유아의 의도적 통제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더 아상 유의하지 않았다. 즉, 유아가 수줍음 특성을 많이 보일수록 사회적으로 유능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지만, 이러한 관계는 유아의 의도적 통제 수준이 낮은 경우에만 유의하였고 의도적 통제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더 이상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다시 말해 유아의 수줍음 특성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완화하였다.

      • KCI등재

        스마트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대학생 영어 학습 사례 연구

        권연희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013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Vol.16 No.1

        This study explores college EFL learners’ usages of smart applications for mobile-assisted language learning (MALL). The current ‘smartphone fever’ increases explosively the number of users and applications for language learning. However, learners are not well-informed of the adequate applications.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how college EFL learners use their smartphone applications for individual English learning. The research questions are 1) How did college EFL learners use their smatphones for language learning purposes? 2) How did they study English with smartphone applications for twelve weeks? 3) How did they perceive MALL as a medium for language learning after twelve weeks? The findings suggest that with the smartphone applications given by the researcher and the ones they searched by themselves, they conducted ubiquitous as well as autonomous learning with the high preference of applications for practicing receptive skills. Also, they built positive perceptions of MALL in general. This study concludes that smartphone applications enable college EFL learners to engage in successful autonomous language learning and learners routinize MALL with no significant changes in previous smartphone usage pattern. However, the participants did not seem to pursue in-depth learning through MALL.

      • KCI등재

        유아의 사회적 위축에 대한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과 정서표현성 및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의 영향

        권연희 한국보육지원학회 2013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9 No.2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others' rejective parenting, emotional expressivity,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on their social withdrawal. Participants were 223 children(121 boys, 102 girls; recruited from classes with 4-5 year olds), their mothers and 20 child care teachers. The teachers completed rating scales to measure the children's social withdrawal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Mothers reported their rejective parenting along with emotional expressiv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productiv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Results showed that mothers' rejective parenting, children's venting/support seeking strategy and avoidance/non-responsive strategy had positive relation to, whereas mother's positive expressivity were negatively related to their social withdrawal.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interaction of mother's rejective parenting and positive expressivity predicted children's social withdrawal. Mother's rejective parenting was associated with children's social withdrawal, especially for children with the lowest level of mother's positive expressivity. In addition, the association between mother's rejective parenting and children's social withdrawal were partially mediated by their venting/support seeking strategy.

      • KCI등재

        남녀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놀이 시 또래상호작용의 관계에 대한 교사-유아간 갈등적 관계의 조절효과

        권연희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취학 전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놀이 시 또래 간 상호작용행동의 관계가 교사-유아 간 갈등적 관계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남녀별로 구분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만 4, 5세 유아 355명(남아 174명, 여아 181명)과 그들의 어머니, 담임교사 3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남아의 부정적 정서성은 또래와의 놀이상호작용 및 놀이단절 행동과, 여아의 부정적 정서성은 놀이상호작용 및 또래에 대한 놀이방해 행동과 유의한 관계를 보였으며, 교사-유아간 갈등적 관계는 모든 또래간 상호작용행동과 관련되었다. 또한 남녀유아의 또래상 호작용에 대한 부정적 정서성과 교사-유아간 갈등적 관계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결과, 부정적 정서성이 남아의 놀이단절행동 및 여아의 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교사-유아 간갈등적 관계의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부정적 정서성이 높을수록 남아는 놀이단절행동을 많이 보이고 여아는 놀이상호작용을 적게 보이지만, 이는 교사-유아 간 갈등적 관계 수준이 낮은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성과 또래상호작용의 하위 영역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교사-유아 간 갈등적 관계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moderating role of teacher-child conflictual relationship on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and peer interaction. Participants were 355 children (174 boys, 181 girls), all 4 and 5 years of age, their mothers and 32 preschool teachers. Boys and girls were analyzed separately. The teachers completed rating scales to measure children's peer interaction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was assessed by a mother reported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Results show that boys' negative emotionality significantly related to play interaction and play disconnection, whereas girls' negative emotionality significantly related to play interaction and play disruption. The teacher-child conflictual relationship significantly related to boys" and girls" peer interaction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s that the effects of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on boy's play disconnection and girl's play interaction are moderated by teacher-child conflictual relationships. These findings point to the importance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in intervention planning.

      • KCI등재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자기존중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

        권연희,조미숙 한국보육학회 2015 한국보육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유아기 리더십에 관심을 가지고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과 유아의 자기존중감이 리더십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유아의 자기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B광역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유치원 3곳, 어린이집 3곳)에 재원중인 만4, 5세 학급의 유아 204명(남 108명, 여 96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와 적률상관관계분석 및 AMOS 18.0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이 높을수록 구체적으로 발달자극역할과 양육역할에 대한 지능이 높을수록, 그리고 유아의 자기존중감이 높을수록 유아의 리더십이 높았다. 또한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의 자기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완전매개모형의 적합도가 우수하였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은 유아의 자기존중감을 높이고 이로 인해 유아는 학급 내에서 리더십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intelligence and child’s self-esteem in predicting child’s leadership. The participants were 204 children (108 boys, 96 girls) and their mothers. Child’s leadership and self-esteem were assessed by a teacher-reported questionnaire. The mothers completed the rating scale to measure to their parenting intellige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analyzed in this research, namely, mother’s parenting intelligence, child’s self-esteem and leadership. Second, child’s self-esteem fully mediated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intelligence upon child’s leadership. Consequently, the more mother’s parenting intelligence, the more child’s self-esteem, which in turn contributed to child’s leader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