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時調三章’의 새로운 이해

        權純會(Kwon Soon-Hoi) 한국시조학회 2004 시조학논총 Vol.20 No.-

        본고에서는 기존에 우리가 이해하던 ‘時調三章’에 대해 전연적인 재검토를 수행하고, 그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였다. 그리고 시조창의 편가적 특성을 지칭하는 개념어로 ‘時調三章’을 제안하였다. 우리는 그 동안 ‘時調三章’의 문헌 기록에 대해 아무런 의심 없이 당연히 時調 한 수의 초ㆍ중ㆍ종장으로 이해하였다. 여기에는 시조창은 삼장 형식으로 부른다는 고정 관념이 자리하고 있다. 하지만 문헌에서 발견되는 용례를 재검토한 결과 ‘시조삼장’은 각기 다른 악곡의 시조 세수를 연달아 부르는 것으로, 언제나 가곡 한바탕, 가사와 같이 언급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는 ’시조삼장’이 歌曲의 篇歌에 대응되는 시조창 나름의 악곡 체계를 지칭하는 것이라는 사실도 파악할 수 있었다. ‘시조삼장’은 19세기 시조창의 악곡 분화 과정에서 형성된 것으로 연창 환경에 따라 이 가운데 일부를 생략하기도 하고, 파생곡으로 대체하기도 하지만, ‘평시조’, ‘지름시조’ ‘사설시조’ 세 수를 연이어 부르는 것을 ‘시조삼장’이라 하며, 이는 19세기 이래 시조의 중요한 연창 관행으로 자리 잡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시조창의 악곡 분화의 핵심적 방향은 ’평시조’, ‘지름시조’, ‘사설시조’ 삼장을 연이어 부르는 편가적 특성을 갖추는 것이었다. ‘시조삼장’은 이러한 편가적 특성을 요약적으로 설명해주는 핵심적 개념어이자, 시조창의 전개 양상을 파악하는 키워드 가운데 하나라 할 수 있다. In this paper. I reexamined the word "Sjlo-samjang(時調三章)" and gave a new meaning of it. In addition. I proposed the new concept of "Sio-ssmeng" which meant the characteristic of a Pyon'ga (篇歌) in Sio-chang (時調唱). For a long time. "Sijo-samjang" was regarded as a word which indicated the three sections of a Silo. It was because of the fixed idea that a Silo was always composed of a form separated by three parts. Unlike the fixed idea. I found the fact that "Sijo-samjang" meant singing successively three different Silos which adapted three different music by reexamining the actual uses of the word in the texts of the days. Thus. I could come to a conclusion that "Sijo-samjang" was the word indicating a specific music system of a Silo-chang(singing a Sijo) corresponding to a Pyon'ga of a Gagok(歌曲). "Silo-samjang" seemed to be molded up while the music of Silo-chang developed. Usually. a successive singing of the three different Sijos, such as Pyong-sijo(평시조), Chirum-sijo(지름시조), and Sasol-sijo(사설시조), was called "Sijo-samjang". However, some of the three could be omitted, and some of it could be substituted by a derived song. This kind of a usual and a derived form seemed to be settled as an important custom of singing a Sijo after the 19 century. The main point of the development of music in Sijo-chang was having the characteristic of compilation, which meant singing Pyong-sijo, Chirum-sijo and Sasol-sijo successively. "Sijo-samjang" was the concept which explained this kind of characteristic and was one of the key words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Sijo-chang.

      • KCI등재

        신발굴 가집 『가사(歌辭)』의 특성

        권순회 ( Kwon Soon-hoi ) 한민족문화학회 2016 한민족문화연구 Vol.55 No.-

        이 논문은 고시조 연구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소규모 가집들도 큰 가집 못지않게 가곡 연행의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신발굴 가집 『歌辭』 의 특성을 분석했다. 『歌辭』 는 가곡 사설 26수와 가사 4편만 수록한 소규모 가집이다. 먼저 서지적 특성을 밝혔다. 표지에 적힌 간기(刊記)와 수록 사설의 특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편찬 시기를 1804년으로 확정했다. 또 필사기를 통해 전문 가창자가 아니라 가곡을 애호하던 인물이 편집했다는 점, 가집도 소설처럼 동호인들 사이에서 필사되며 새로운 가집이 만들어지는 양상을 파악했다. 다음으로 이 가집에 새롭게 등장하는 창곡명인 ‘곱쇠옹이’와 ‘편모리’의 정체를 탐색 했다. ‘곱쇠옹이’ 항목에 수록된 “어제 간밤의도 곱송고려”가 18세기 중반 이후 가집에 거의 예외 없이 ‘소용’ 사설로 올라 있는것을 확인하고 ‘곱쇠옹이’가 바로 ‘소용’을 지칭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어 ‘쇠옹이’ 또는 ‘소용’ 앞에 ‘곱’자를 붙인 이유가 무엇인지를 탐색했다. 먼저 ‘소용’의 이칭(異稱)들에 대해서 살폈다. 여러 이칭들이 쓰이고 있음이 확인되는데 이들은 모두 ‘쇠옹(이)’, ‘소용(이)’의 변형태이다. ‘쇠옹’과 ‘소용’은 표기 형태만 다를 뿐 발음상의 차이는 없다. 중세국어에서는 이중모음을 풀어서 발음했다. ‘ㅚ’의 경우 ‘ㅗ ㅣ[oj]’로 발음된다. 이에 ‘소용’과 ‘쇠옹’도 모두 ‘소ㅣ옹[sojoŋ]’으로 발음했던 것이다. 다만 ‘ㅣ[j]’를 첫음절로 인식했을 경우 ‘쇠옹’으로, 둘째 음절로 인식했을 경우 ‘소용’으로 표기했을 뿐이다. ‘쇠옹이’, ‘소용이’의 경우 ‘쇠옹’, ‘소용’의 끝에 명사 파생 접미사 ‘이’가 결합한 형태이다. ‘搔聳’, ‘騷聳’, ‘三雷’ 등 한자 명칭은 높게 내지르고 떠들썩한 음악적 특성에 맞추어 의미를 부여한 것이다. ‘소용’의 창곡명의 유래는 말과 같은 짐승이 넘어져 데굴데굴 구르며 발버둥치는 것을 이르는 ‘쇠옹이 치다’, ‘소용이 치다’에서 유추되었을 가능성, 전통음악에서 높게 부르는 것을 지칭하는 ‘쇠다’, ‘쇤다’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탐색했으나 논거를 아직 충분히 확보하지 못해 결론은 유보하였다. ‘소용’의 기원에 대해서는 박후웅(朴後雄)이 만들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본고에서는 ‘낙시조’로 부르던 “아함 긔 뉘옵신고”를 ‘소용’으로 재편해 부르기 시작하면서 이 곡이 풍류객들 사이에서 유명해진 사실을 확대 해석한 것으로 파악했다. 무엇보다 그 이전에 이미 ‘소용’이라는 창곡이 존재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그 가운데 ‘곱쇠옹이’ 사설인 “어제밤도 혼자 곱송그려”가 18세기 중반 ‘소용’으로 가장 널리 불렸고 이 노래로부터 ‘소용’이 비롯되었다고 보았다. 이 작품을 자세히 보면 “곱송그려”라는 시어가 세 번이나 반복되는데 전에 들어보지 못했던 떠들썩한 악조에 혼자 곱송그리는 화자의 모습이 기묘하게 결합하면서 청중들에게 특별한 관심을 끌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사람들은 각별한 흥미를 느끼고 이 노래를 다른 ‘소용’ 곡들과 구분해서 특별히 ‘곱쇠옹이’라고 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즉 ‘곱송그려’와 ‘쇠옹이’를 합쳐 ‘곱쇠옹이’라는 새로운 명칭을 부여했던 것이다. 때문에 ‘곱쇠옹이’는 이 노래의 창곡명이자 작품명인 것이다. ‘편모리’는 ‘편삭대엽’의 이칭으로 파악되었다. 『歌詞』(나손본)에서도 용례가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조선 후기 가창 공간에서 종종 쓰였던 것으로 보인다. 가곡 사설 26수는 모두 순 국문으로 표기하고 가곡의 5장 형식에 따라 나누어 수록하였는데 모두 가창을 염두에 둔 것들이다. 또 사설 일부를 변개해 수록한 작품이 적지 않은데, 이들은 모두 가집 고유의 연창의 흔적들이다. 큰 가집과 달리 연창의 흔적을 다듬지 않고 있는 그대로 기록해서 가집으로 엮었던 것이다. In this paper, I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Gasa(歌辭) newly discovered anthology of songs based on my thought that a small anthology of songs out of the picture also has important information about performance of Gagok. Gasa(歌辭), a small anthology of songs, includes 26 Gagok Saseol and 4 Gasa. First, I reveal this bibliography. Compilation period(1804) is determined by the colophon on the cover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ntained Saseol in this book. And the things this was edited by a fan of Gagok, not a professional, and the aspect of the birth of new Gajip written among fans like novel are confirmed. Next, I explore the identity of ‘Gopsoeongi’ and ‘Pyeonmori’ which are newly appeared in this Gajip. I find that “Eoje ganbamuido gopsonggoryeo” in ‘Gopsoeongi’ is ‘Soyong’ Saseol without exception after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and reveal the fact that ‘Gopsoeongi’ calls ‘Soyong’. And I explore the reason why the letter, ‘Gop,’ is attached in front of ‘Soeongi’ and ‘Soyong.’ An alternative name of ‘Soyong’ is analyzed. Various names are found to be used, and they are all changes of ‘Soeong(i)’ and ‘Soyong(i).’ ‘Soeong’ and ‘Soyong.’ are just different from writing, not pronunciation. A diphthong in Korean language used in the middle ages was pronounced by disassembling. ‘ㅚ’ was pronounced as ‘ㅗㅣ(oj).’ Because of this, ‘Soeong’ and ‘Soyong.’ were all pronounced as ‘소ㅣ옹[sojoŋ].’ When ‘ㅣ[j]’ was realized as the first syllable, it was written as ‘Soeong,’ if not, as the second syllable, it was written as ‘Soyong.’ ‘i’ out of ‘Soeongi’ and ‘Soyongi’ is combined by a noun derivational suffix. Name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such as ‘Soyong(搔聳)’, ‘Soyong(騷聳)’, ‘Samnoe(三雷)’ have been given by tumultuous musical characteristics. name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such as ‘Soyong(搔聳)’, ‘Soyong(騷聳)’, ‘Samnoe(三雷)’ have been given by tumultuous musical characteristics. The origin of ‘Soeongi’ or ‘Soyong’ has two stories, a struggling figure of a horse and high tone called ‘Soenda,’ is analyzed. However conclusion of the origin of the word, ‘Soeongi,’ is deferred. It has been widely known that Park Huung(朴後雄) is the origin of ‘Soyong.’ However I understand that many people stretched the meaning of the fact that this song was being famous among artists after reorganization of ‘Aham gui nwiopsingo’ as ‘Soyong.’ Above all, I find that already ‘Soyong’ existed. Among the rest, ‘Gopsoeongi’ Saseol, “Eoje bamdo honja gopsonggeuryeo”, was widely sung as ‘Soyong’ in the middle of 18thcentury, and I find ‘Soyong’ is originated from this song. I also examine that three times ‘Gopsonggeuryeo’ in this song combines tumultuous movements with figure of flinching speakers weirdly, it appealed to their audiences. For this, being interested in that one, they especially distinguished ‘Soyong’ songs from ‘Gopsoeongi.’ ‘Gopsoeongi’ was given by combination of ‘Gopsonggeuryeo’ and ‘Soeongi.’ Therefore ‘Gopsoeongi’ is the name of Changgok and the work.

      • KCI등재
      • KCI등재

        『영화초(詠和抄)』 수록 여창가곡의 특성

        권순회 ( Soon Hoi Kwon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5 청람어문교육 Vol.56 No.-

        본고는 최근에 발굴 소개된 『영화초(詠和抄)』에 수록된 여창가곡 한바탕에 대한 고찰을 통해 20세기 초 여창가곡의 향방을 탐색하였다. 『영화초』 여창가곡 한바탕의 창곡 특성은 다음과 같다. 19세기 말 여창가곡에 새롭게 등장한 ‘환계락’까지 빠짐없이 구비하였다. 20세기 초가집 『시가요곡』, 『해동가보』(전북대본), 오늘날 전창(傳唱)되는 여창가곡과도 창곡 목록이 완벽하게 일치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는 『영화초』가 20세기 초 창곡 분화가 일단락 된 직후 여창가곡 한바탕의 모습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가집이라는 사실을 파악하였다. 『영화초』는 수많은 여창 사설 가운데 창곡별로 1-5수 내외만 선별해서 48수로 한바탕을 편집하였다. 창곡 당 수십 수씩 도합 수백 수의 사설을 수록한 사설목록집이 아니다. 실제 가창의 현장에서 활용할 목적으로 당대에 널리 불리던 대표곡만을 선별해서 편집한 연창용 가집이다. 이는 비단 『영화초』만의 특성이 아니다. 『해동가보』(전북대본)나 『시가요곡』에서도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20세기 초 여창 가집의 전형적 특질이라고할 수 있다. 20세기 초는 여창가곡의 중요한 분기점이다. 무엇보다 한바탕의 창곡 분화가 완료되어 오늘날까지 그대로 이어진다. 19세기 말 20세기 초 여창에 대한 음악적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여창가곡은 음악적 세련을 더해가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환계락’은 바로 그러한 산물이다. ‘환계락’을 끝으로 여창가곡의 창곡 분화는 일단락된다. 이로써 20세기 초에 여창가 곡은 오늘날과 같은 15곡의 한바탕 체계를 완비한다. 창곡 분화가 일단락되며 나타난 여창가곡의 중요한 변화는 바로 대표사설군의 확립이다. 창곡당 1-5수, 대략 50수 내외로 한바탕이 고정된다. 이들은 오늘날까지 여창가곡의 핵심을 이루는 대표사설들이다. 이후 연창 환경과 가집의 용도에 따라 대표사설이 일부 확대되는 양상도 확인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오늘날 70수 내외의 여창 사설이 전승되고 있는 것이다. 대표사설은 19세기 이래 관습적으로 여창 사설로 굳어진 작품을 중심으로 짜여졌다. 박효관이 다양한 연창 실험을 통해 여창에 새롭게 추가했던 사설들은 거의 포함되지 않았다. 수많은 연창 과정을 통해 오랫동안 여창으로 가다듬어 온 사설 가운데서도 여창가곡의 정수를 보여주는 작품을 중심으로 한바탕이 고정되어나갔던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Yeonghwacho』 in the early 20th century by considering yeochanggagok hanbatang in 『Yeonghwacho』. Its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It includes ‘Hwangyerak(還界樂)’ newly discovered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fact that perfectly coincided with yeochanggagok, 『Sigayogok(詩歌謠曲)』, 『Haedonggabo(海東歌譜)』(housed in Jeonbuk Univ.) is found. Through this, we can find that 『Yeonghwacho』 has the aspect of yeochanggagok hanbatang in the early 20th century. 『Yeonghwacho』 revises 48 collecting 1 to 5 by tune in various yeochang lyrics. It is script widely sung in actual stage to song actually, which typical feature of yeochanggajip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early 20th century is significant junction of yeochanggagok. First of all, division of tunes of hanbatang is complete and it remains. Because of increase of singing yeochang in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yeochanggagok is going to go to classy. Hwangyerak is the fruit of its situation. Division of tunes of hanbatang is complete by Hwangyerak. Yeochanggagok completed the structure of hanbatang of 15 songs. Significant change is establishment of representative lyrics group.Hanbatang includes about 50 songs per 1 to 5 in tune. These are representative lyrics organizing point of yeochanggagok. Various process pass down yeochanggagok hanbatang organized with about 70 songs. Representative lyrics, from the 19th century, customarily organized by works that is concreted as yeochang lyrics. Lyrics added by Park, Hyogwan is rarely included. Representative hanbatang is anchored focused on works that are ultimate in aesthetic of yeochang.

      • KCI등재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Dataset 구현 방안

        권순회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학연구소 2003 民族文化硏究 Vol.38 No.-

        본 논문은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Dataset의 Data Scheme 설계 및 구현 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데이터 세트는 다양한 주제와 형태로 구축된 데이터들을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장 기초적인 틀이라 할 수 있다. DB의 소통성과 재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표준에 근거한 Data Scheme이 반드시 정의되어야 한다. 또한 설정한 목표에 맞게 정보를 체계적으로 구조화하여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에도 통일된 지침과 설계를 기술한 Data Scheme이 매우 중요하다. II장에서는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DB 구성에 대해 소개하였다.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데이터베이스는 크게 1)GIS DB, 2)주제별 DB, 3)참조 DB로 구성된다. GIS DB는 Base-map과 주제별 DB의 내용을 Base map에 표현한 주제도로 구성된다. III장에서는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Data Scheme을 정의하였다. 주제별 DB의 Data Scheme은 ‘Header(ID, Index), Data, Link, Comment’의 이 4개 영역으로 구성된다. 참조DB에 주제별 DB에서 원전이나 보다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필요가 있을 때 활용할 목적으로 구축되는데, 원전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사운드 인명DB, 지명DB (Gazeteer)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 실제 전자문화지도 구축에 활용할 수 있도록 세밀한 표준적 지침을 제시하였다. IV장에서는 메타데이터(Metadata) 작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혹은 ‘전자 자원을 기술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 요소’로서 자원의 위치 파악과 획득에 필요한 데이터 요소의 집합이다. 정보의 공유체계를 확보하고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메타데이터 작성이 필요하다. 먼저 ECAI(Eletronic Culture Altras Initiative)가 메타데이터의 표준적 방안으로 채택한 Doublin Core에 대해 검토하고, ECAI 메타데이터 표준안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이들만으로는 조선시대 문화적 특성을 포괄할 수 없다고 보고 조선시대 문화의 다양한 주제 영역과 존재 양태를 포괄하면서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한 호환성과 국제적 소통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향에서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메타데이터 표준안을 설계하였다.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메타데이터 표준안은 더블린코어와 ECAI 표준안을 근간으로, ‘조선시대 문화 분류 체계’, 사부분류법(四部分類法)’, ‘조선시대 행정구역의 군현 코드표’ 등을 반영함으로써 조선시대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도록 하였다. In this paper, I proposed plan to materialize the dataset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I also presented a design for the data scheme and its materialization plan. The dataset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would be the most fundamental frame to organically combine and utilize diverse electric data, which are differently arranged by diverse subjects and forms. To circulate and utilize a DB actively, there must be a standard data scheme. A data scheme having unified principle and design is required to meet this need. In chapter II, I introduced the DB’s structure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The atlas is composed of three parts of the DB: the GIS DB, the cultural subject parts’ DB and the reference DB. The GIS DB is again composed of two parts: the Base-map and the several maps of subjects which are drawing the contents of the cultural subject parts’ DB on the Base-map. In chapter III, I made a definition for the data scheme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The data scheme of cultural subject parts’ DB is composed of four parts: the header including ID and index, data, links, and the comments. This scheme is made for the use of finding more concrete facts or original sources in the reference DB beside the cultural subject parts’ DB, thus it includes the original texts, Image, moving pictures, sounds, and the DB of personal names and the gazetter. I presented detailed standards to utilize the electric culture altras practically. Chapter IV is about making metadata. Metadata means the data about data. It is the data needed for describing electric sources, thus metadata is the collection of data necessary to find the location of the sources. Making metadata is necessary to confirm the information communizing system and to actively utilize the system. In chapter Ⅳ, I examined the Doublin Core which ECAI, the Electronic Culture Altras Initiative, takes as its standard program of metadata, and I investigated the standard devices of metadata of ECAI. As a result, I found ou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hosun Dynasty Culture cannot be comprehensively captured only by the standard devices of metadata of ECAI, thus I designed a new device of metadata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This new devise can interact throughout the network effectively and accomplish international interaction. The new devise also can comprehensively capture diverse facts and various subject parts of Chosun Dynasty Culture. The standard devise of metadata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is based on the Doublin Core and the standard devise of ECAI. On the basis of it. The new devise includes classification system of Chosun Dynasty Culture, four-parts-assorting-methods(四部分類法), and the code list of the administrative regions Chosun Dynasty(조선시대 행정구역 코드표), thus the devise is expected to fit better for the characteristics of Chosun Dynasty Culture.

      • KCI등재

        가곡 연창 방식에서 중대엽(中大葉) 한바탕의 가능성

        권순회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6 民族文化硏究 Vol.44 No.-

        이 논문은 실체가 명확하게 구명되지 않았던 중대엽 악곡과 唱詞에 대한 탐구를 통해 가곡 연창 방식에 있어서 中大葉 한바탕(篇歌)의 가능성을 제기함으로써 시조사의 추이를 보다 입체적으로 조망하려는 의도에서 기획되었다. 논의 결과 우리는 중대엽은 17-18세기에 우리가 이해하던 것보다 훨씬 체계적인 연창의 틀을 확립하고 있었다는 여러 사실을 확인하였다. 17세기 초중반에 중대엽은 네 개의 악조로 분화되고 체계적인 연창의 틀을 갖추어 나갔다. 하지만 아직 다양한 악곡으로 분화되는 단계는 아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중대엽의 악곡 분화는 17세기 후반부터 확인된다. 17세기 후반 4개 악조×3악곡=12악곡으로 구성되는 중대엽 악곡의 틀이 확립된다. 18세기 초에는 중대엽 각 악곡을 대표할 수 있는 노래말이 고정된다. 악곡의 분화가 완료되고 노랫말이 고정되면서 이 시기에 중대엽 한바탕이 확립된다. 이런 점에서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는 중대엽의 전성기라고 볼 수 있다. 그동안 우리는 18세기 초중반에 간행된 가집들을 통해 이 시기 중대엽이 초삭대엽과 함께 거의 가창되지 않은 결과로 인식했었다. 하지만 금보나 시조 한역 자료 등을 통해 중대엽이 18세기 중반 무렵까지도 활발하게 연창된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고는 중대엽 한바탕의 존재를 한바탕을 마무리하는 노래인 '臺'를 통해 구명하였다. 중대엽 한바탕은 악조와 악곡을 고려할 때 연행 상황에 따라 최대 12곡의 노래로 구성할 수 있고 한바탕을 마무리하는 대받침이 존재하고 있었다는 사실도 파악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history of Sijo suggesting the potential of Joongdaeyeop (midium tempo) Hanbatang in the singsing method through examining the musical pieces of Joongdaeyeop and lyrics of those songs. The findings show evidences of the Joongdaeyeop forming it's fundamental structures during 17-18th centuries, which is better established structure than today's common understanding. In the early and middle of the 17th century, Joongdaeyeop was subdivided into four musical tones. However, it was yet to be subdivided into various musical pieces. The subdivided music pieces of Joongdaeyeop started to appear in the late 17th century. In the late 17 century, the structure of Joongdaeyeop which consisted of 4 tones × 3 pieces to make 12 pieces was established. In the early 18C, the words to represent each piece of Joongdaeyeop is fixed. After the division of pieces and fixation of the words, the Joongdaeyeop Hanbatang is established. In this line, the time between the late 17 century and the early 18C can be seen as the peak time for Joongdaeyeop. It has been believed through song books published in the middle of 18 century that Joongdaeyeop along with Mandaeyeop(slow tempo) were not sang during those times. However, reviewing resources of Sijo interpreted into Korean and of musical notes for traditional Korean stringed instruments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Joongdaeyeop was sang in many occasion upto the middle of 18th century. This study found the existence of Joongdaeyeop Hanbatang through the song 'Dae(臺)' which is closing song of the Hanbatang. It is also found that, given the musical tones and pieces in it, Joongdaeyeop Hanbatang can consist of 12 pieces of song at maximum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that there was Dae support song to close Hanbatang.

      • KCI등재

        필사본 『流行雜歌』의 특성과 활자본 잡가집의 생성 경로

        권순회 우리어문학회 2023 우리어문연구 Vol.75 No.-

        본고에서는 새로 발굴한 필사본 『流行雜歌』의 특성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활자본 잡가집의 생성 경로를 파악하였다. 2장에서는 필사본 『유행잡가』의 서지와 편제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필사본 『유행잡가』의 필사 시기는 1910년으로 활자본 잡가집에 선행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수록 작품은 총 25편으로 잡가, 단가, 시조, 가사 등으로 당대에 널리 불리던 노래들이다. 이 가운데 잡가가 15편이나 수록되어 이 가집이 잡가 위주로 편집된 사실을 말해준다. 3장에서는 필사본 『유행잡가』와 활자본 『新舊流行雜歌』의 관계에 대해 고찰했다. 논의 결과 필사본 『유행잡가』와 활자본 『신구유행잡가』는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필사본 『유행잡가』에 수록된 작품들이 모두 활자본 『신구유행잡가』에 수록되었을 뿐만 아니라 작품의 수록 순서가 완전히 일치한다. 이것은 『신구유행잡가』가 필사본 『유행잡가』를 그대로 수용한 바탕 위에 당시에 인기를 끌던 새로운 노래들을 추가해서 편집했다는 것을 말해준다. 4장에서는 1914년 이후 등장한 활자본 잡가집의 생성 경로에 대한 논의를 전개했다. 활자본 잡가집의 저자들은 대부분 출판업자들로 이들은 필사본 잡가집을 저본으로 삼고 여기에다 당대에 인기를 끌던 레퍼토리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활자본 잡가집을 간행했다. 본고에서 살펴본 필사본 『유행잡가』와 활자본 『신구유행잡가』가 바로 그러한 경우이다. 이러한 편집 과정을 거쳐 마련된 초기의 활자본 잡가집은 이후에는 이들을 복제하거나 새로 인기를 얻은 레퍼토리를 추가해서 수정․증보하는 방식으로 확대․재생산된 사실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미국 클레어몬트대학도서관 맥코믹 컬렉션 소장 『잡가(雜歌)』의 성격

        권순회 ( Kwon¸ Soon-hoi ) 우리어문학회 2022 우리어문연구 Vol.72 No.-

        본고에서는 미국 클레어몬트대학도서관 맥코믹 컬렉션에 소장된 가집 『靑邱樂章』 소재 『雜歌』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 성격과 유형을 파악하였다. 『잡가』(클레어몬트대학본)는 “靑邱樂章”이라는 제명의 표지에 성격이 다른 가집 2종과 합철되어 있다. 2장에서는 『잡가』(클레어몬트대학본)의 서지적 특성에 대해 살폈다. 『잡가』(클레어몬트대학본)는 총 52장 104면 분량이다. 글씨는 행초체(行草體)로 면당 12행씩 줄글 형태로 필사되어 있다. 필체가 처음부터 끝까지 단일하다. 1면에서 72면까지는 시조 400수를 수록하였는데 3수가 중복 된다. 이 가운데 173수가 시조창 형식과 같이 종장 말음보가 생략되어 있다. 신출 작품은 총 10수이다. 이외에 악곡이나 작가 등 부가 정보를 일체 수록하지 않았다. 73면에서 104면까지 장가 16편이 수록되어 있다. 3장에서는 『잡가』(클레어몬트대학본)의 편집 층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시조 400수는 편집 층위가 다양한 것으로 밝혀졌다. ‘시조창 → 여창 가곡 한바탕 → 남창 가곡 한바탕 → 이삭대엽 유명씨/무명씨 → 시조창’ 순으로 노랫말을 배열한 사실이 드러났다. 장가 16편도 갈래 구분 없이 가사와 잡가 작품이 혼재되어 있는데 이것은 가사와 잡가에 대한 당대의 시각이 반영된 결과로 파악했다. 4장에서는 3장의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잡가』(클레어몬트대학본)가 어떤 성격의 가집인지에 대한 논의를 전개했다. 『잡가』(클레어몬트대학본)를 가곡과 시조, 가사, 잡가의 노랫말을 망라한 종합 가집으로 규정하고 1910년대 집중적으로 간행된 이른바 활자본 잡가집의 선행 형태로 파악했다. 시조창 가집으로 널리 알려진 『남훈태평가』도 이러한 유형의 가집으로 보았다. 그 동안 조선 후기 가집 연구가 가곡과 시조창의 구도로 진행되면서 이러한 유형의 가집이 설 자리가 마땅치 않았다. 하지만 시조, 가사, 잡가가 부상하는 19세기 후반 이후 연행 상황을 고려해 보면 『잡가』(클레어몬트대학본)와 같은 형태의 가집이 연행의 실상을 보다 폭넓게 반영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러한 형태의 가집을 별도의 유형으로 설정하고 그 개념으로 ‘잡가집(雜歌集)’을 제안하였다. 여기서 ‘잡가’는 특정 갈래나 가치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유형의 성악곡을 모아 놓은 총류의 개념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a songbook 『Japga』 possessed by the McCormick Collection of the Claremont University Library in the United States, and identified its characteristics and types. 『Japga』(Claremont College edition) is combined with two different kinds of songbooks on the cover of the title “Cheongguakjang(靑邱樂章)”. Chapter 2 examines the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Japga』(Claremont College edition). 『Japga』(Claremont College edition) is a total of 52 sheets and 104 pages. The text is transcribed in the form of lines, 12 lines per page. The handwriting is single from start to finish. From page 1 to page 72, 400 Sijo numbers are recorded, and 3 numbers are duplicated. Among them, 173numbers omitted the last line foot like the Sijo-Chang format. There are a total of 10 new works. In addition, no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music or author was recorded. From pages 73 to 104, 16 long songs are included. In Chapter 3, the editing layer of 『Japga』(Claremont College edition)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400th number of Sijo had a variety of editing levels. It was revealed that the lyrics were arranged in the order of ‘Sijo-chang → Female singer set in Gagok → Male singer set in Gagok → Isaacdaeyeop arranged by writer → Sijo-chang’. In 16 long songs, the works of Gasa and Japga were mixed without any division, and this was understood as a result of reflecting the contemporary view of Gasa and Japga. In Chapter 4,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in Chapter 3, we developed a discussio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Japga』(Claremont College edition). 『Japga』(Claremont College edition) was defined as a comprehensive collection of lyrics that included the lyrics of Gagok, Sijo, Gasa, and Japga, and was identified as a predecessor to the so-called printed songbook of Gapga, which was intensively published in the 1910s. The well-known Sijo-chang songbook, 『Namhoontaepyeongga(南薰太平歌)』, was also considered as this type of songbook. In the meantime, as the study of songbooks in the late Joseon Dynasty progressed in the composition of Gagoks and Sijo-changs, there was no proper place for this type of songbooks. However, considering the performance situation since the late 19th century, when Sijo, Gasa, and Japga emerged, it is judged that a songbook in the form of 『Japga』(Claremont College edition) reflects the reality of performance more broadly. Therefore, in this paper, this type of songbook was set as a separate type and ‘Japgajip(雜歌集)’ was proposed as the concept. Here, 『Japga』(Claremont College edition) does not refer to a specific genre or value, but is a concept of a collection of various types of vocal mus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