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재학파(淵齋學派)의 형성과 전개 - 『계산연원록(溪山淵源錄)』을 중심으로-

        박학래 ( Park Hak-rae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0 儒學硏究 Vol.50 No.-

        19세기 중반 이후부터 구체화한 기호학계의 학파 분화는 이후 지속적으로 전개되어 화서학파(華西學派), 노사학파(蘆沙學派), 간재학파(艮齋學派), 연재학파(淵齋學派) 등의 문인 집단으로 구체화되었다. 이들 학파의 문인들은 유교 문화의 수호와 계승을 지속하는 한편, 서구와 일제의 침탈에 맞서 위정척사와 의병활동, 항일운동 등의 대응 양상을 보이며 20세기 중후반까지 학파적 면모를 지속하였다. 본고에서 고찰하는 연재학파는 송병선(宋秉璿, 1836~1905)과 송병순(宋秉珣, 1839~1912) 형제의 강학 활동을 바탕으로 강학지인 충청 지역을 중심으로 전국에 걸쳐 수많은 문인을 배출한 근현대 한국유학을 대표하는 문인집단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는 송병선 형제의 문하에 배출된 직전 제자에만 초점을 맞추어졌고, 이에 따라 20세기 후반까지 활동한 연재학파 문인들의 전모를 확인하는 데에는 일정한 한계를 보였다. 이러한 선행 연구의 제한점에 유의하여 본고에서는 먼저 연재학파 형성의 배경이 되는 송병선 형제의 학문 수수 및 교유 관계, 그리고 체계적인 강학 활동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송병선 형제 문하에서 배출된 1,100명의 직전 제자뿐만 아니라 이 문인들의 문하에서 배출된 2,458명의 재전 및 99명의 삼전 제자들의 지역별 연령별 분포를 정리 분석하여 20세기를 관통하며 활발한 학문 활동을 전개한 연재학파의 전체 규모를 고찰하였다. 이 연구 논문을 기반으로 향후 연재학파에 대한 보다 진전된 연구가 후속되길 기대한다. Since the mid-19th century, the school divisions in Kiho Dao Learning lineage have been continuously developed into various groups of literary groups, such as Hwaseo School (華西學派), Nosa School (蘆沙學派), Ganjae School (艮齋學派), and Yeonjae School (淵齋學派). The literati belonging to these schools continued to defend and follow the Confucian tradition. In addition, they showed various aspects of countermeasures, such as movement of Wijeongcheoksa (衛正斥邪), the righteous army movement (義兵運動) and anti-Japanese activities (抗日活動), against Western trade pressure and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hen through these activities, the school continued to be in school until the late 20th century. The Yeonjae School studied in this paper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literary groups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Confucianism that produced numerous literary figures across the country, beyond the Chungcheong area, based on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Song Byeong-Seon (宋秉璿, 1836~1905) and Song Byeong-Soon (宋秉珣, 1839~1912). However, previous studies focused only on the early disciples of the Kanjae school. Accordingly, it revealed certain limitations in identifying the entire literary circle of the Yeonjae School, which was active until the late 20th century. In this paper, paying attention to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I examined the academic completion, academic relationship, and systematic teaching activities of Song Byeong-Seon brothers' as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the Yeonjae School, paying attention to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Based on this, I summarized and analyzed the area and age distribution of 1,100 early disciples discharged through the Song Byeong-Seon brothers' education, and 2,557 next disciples who were discharged through the education of early disciples. I hope that this study will further revitalize the study of the faculties. Of course, the basic data of this study is the Gyesanyeonwonrok (溪山淵源錄) published by the literary man of the Yeonjae school. I hope this study will be the basis of the study of the Yeonjae school in earnest, and I hope that the study of modern and contemporary Confucianism in Korea will be activated.

      • KCI등재

        申海永 編述의 『倫理學敎科書』에 대한 재검토 - 도덕교육 학계의 관련 논의에 유의하여 -

        박학래(Park, Hakrae)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72

        10여 년 전에 이미 역사학계의 연구를 통해 申海永(1870~1909)이 편술한 『倫理學敎科書』(1906, 1908)가 일부 내용 수정은 있었지만, 19세기 말부터 일본의 국가주의 도덕교육을 주도한 이노우에 테쓰지로(井上哲次郞)와 다카야마 린지로(高山林次郞)가 공동 저술한 『新編 倫理敎科書』의 내용을 거의 그대로 번역하여 간행한 것임이 밝혀졌다. 하지만 지금까지 도덕교육 연구자들은 『윤리학교과서』가 『신편 윤리교과서』을 번역한 것임을 전혀 거론하지 않은 채, 이 교과서에 관한 도덕교육사적 의미와 내용 분석을 전개하였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역사학계 연구에 유의하여 신해영의 생애를 수신 교과서 편술에 주목하여 전반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윤리학교과서』의 편술 배경과 그가 편술의 저본으로 삼았던 『신편 윤리교과서』 판본 및 이에 관한 대체적인 내용을 분석적으로 정리하는 등 재검토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윤리학교과서』가 가지는 도덕 교육론적 의미와 한계를 제시하여 기존에 제시된 도덕교육 연구자들의 연구 내용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진전된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More than a decade ago, researchers in history have already reported that Ethics Textbook(倫理學敎科書) edited and published by Shin Hae-young have been partially revised, but most of the contents of Japanese New Ethics Textbook(新編倫理敎科書) have been translated and published. However, moral education researchers have overlooked that Ethics Textbook has translated the Japanese New Ethics Textbook jointly written by Inoue Tetsujiro and Takayama Linjiro, who have led the nationalist moral education in Japan since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refore, the analysis of the meaning of moral education history and the review of contents of moral education researchers on Ethics Textbook can be evaluated as revealing basic errors. In this study, based on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of history academia, the life of Shin Hae-young was summarized by focusing on translation editing of Ethics Textbook. And the background of his edited and published Ethics Textbook was examined. In particular, Japanese New Ethics Textbook, which were the subject of translation, and the alternative contents of them were analyzed. In addition to this, it suggests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Ethics Textbook in terms of moral education theory of ethics school textbooks, and suggested that critical reflection on the contents of moral education researchers" studies on moral textbooks of this period, is necessar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구봉(龜峯) 송익필(宋翼弼)에 관한 연구 현황 및 과제

        박학래 ( Park Hak-rae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儒學硏究 Vol.36 No.-

        16세기 畿湖 儒學을 대표하는 性理學者이자 문장가인 龜峯 宋翼弼(1534-1599)은 신분적 한계와 정치적 격변이라는 어려운 환경 속에서 당대 어느 누구보다도 뚜렷한 학문적 성취를 이루었다. 특히 그가 이룩한 文學과 禮學 방면에서의 성취는 그의 사후에도 그 영향이 지속적일 정도로 기호 유학의 선구적인 업적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20세기 중반 이후 본격화하는 근대적인 학문 체계 하에서 구봉의 학문 및 사상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80년대 이후 구체화되는 구봉의 학문에 대한 선도적인 연구를 통해 그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이 촉발되었으며, 이후 구체화된 80여 편의 연구 성과들을 통해 부족하나마 그의 문학과 사상이 가지고 있는 규모와 체계가 일정 정도 밝혀지고 있다. 본고는 1980년대 이후 본격화한 구봉에 관한 연구의 현황을 개괄하고, 그가 이룩한 학문적 업적에 대한 연구 성과를 분야별로 정리 분석하였다. 특히 구봉의 성리학 및 예학, 그리고 문학 방면에 대한 연구에서 드러난 주요 쟁점을 정리하고, 이를 기초로 향후 과제를 제시하여 구봉 연구의 질적 제고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구봉의 문학 및 사상에 대한 대중적 관심과 결부한 성과에도 유의하여 향후 대중화 사업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으며, 디지털 연구 환경에 부합하는 여러 과제도 제시하여 발전적인 연구 환경의 조성에 유의하였다. Gubong Song Yik-pil, a representative neo-Confucian scholar as well as a fine writer in sixteenth century, completed academic achievements more than anyone else despite of both his limitation of social ranks and political change. Especially the achievement in literature and ritual studies he did is very pioneering ones of neo-Confucianism in the Kiho region, which have had a persistent influence toward his followers after his death. However, concerns and researches on his thought have been limited Under the modern academic system since the mid twenty Century. Nevertheless, some leading researches on his scholarship, which are revealed since 1980s, make contemporary scholars to pay special attentions to him and to grasp the scale and system of his literature and thought through over 80 articles recently published. This paper will overview by sub-field current status of the researches on Gubong since 1980s and analyze the academic outcomes of his thought. Especially, I plan to improve the research qualities of Kubong studies by setting up mains issues on Gubong`s neo-Confucian philosophy, ritual studies and literature. Based upon this, I will provide with some research projects. By paying attention to outcomes linked to public concerns on Kubong`s literature and thought, furthermore, I will suggest my idea of how to popularize them in the near future. Finally, I make some comments on building up research environments with suggestions of some projects being accord with digital culture.

      • KCI등재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의 교육 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2009 개정 교육과정 중 한국의 윤리 사상을 중심으로

        박학래 ( Hak Rae Park ) 한국윤리학회 2011 倫理硏究 Vol.83 No.1

        Ethics and Thought` is the course for establishing proper ethical views on current life as well as forming ethical ways of thinking by systematically studying main social and ethical thoughts of the East and West. Due to the purpose of building up the ethical view with Korean identity, especially, it is no wonder that the part of Korean ethical thought should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course of ``Ethics and Thought``. In this paper, I shall critically examine the structure of the curriculum and the contents of each specialized part by focusing on ``Korean ethical thought`` in the curriculum of ``Ethics and Thought``, which will be applied to high schools since 2012. On the structure and requisites for the contents, first, I shall investigate the status of Korean ethical thought in the midst of East Asian thought with overall considerations for the big picture, but not highlight on Korean ethical thought. Second, I shall review the scope and suitability of the contents being applicable to Korean ethical thought among the specialized parts like Confucianism, Buddhism, Daoism and indigenous religions.

      • KCI등재
      • KCI등재

        면암(勉菴) 최익현(崔益鉉)의 문인 집단 형성과 전개 - 『채미연원록(茝薇淵源錄)』을 중심으로 -

        박학래 ( Park Hak Rae ) 한국철학사연구회 2020 한국 철학논집 Vol.0 No.64

        19세기 후반 위정척사운동과 의병 운동을 주도한 면암(勉菴) 최익현(崔益鉉, 1833~1906)은 화서학파 문인 가운데 가장 거대한 문인 집단을 형성한 인물 중 한 사람이다. 그는 40세를 전후한 시기부터 강학 활동을 전개하여 생전에 6백여 명을 상회하는 문인 집단을 형성할 정도로 활발하게 강학 활동을 전개하였다. 자신의 근거지인 경기 포천과 말년에 이거한 정산(현 충남 청양)을 중심으로 펼쳐진 강학 활동을 통해 배출된 직전 제자들은 그와 함께 의병 활동의 전면에서 활약하였을 뿐만 아니라 최익현 사후에도 지속적으로 항일운동을 전개하는 한편, 문인 양성에 몰두하여 1천5백여 명을 상회하는 재전 제자를 배출하였다. 그리고 이들을 통해 최익현의 학맥은 사전 제자에까지 2천5백여 명을 상회하는 문인 집단으로 그 외연이 확대되었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최익현의 강학 활동과 그의 문인 집단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같은 시기에 활동한 다른 학파에 대한 연구가 제한적이나마 진행된 것과 달리 최익현의 문인 집단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시피 한 것이 학계의 현실이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선행 연구의 제한점에 유의하고, 아울러 20세기에 접어들어 활동한 각 학파의 문인들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부진한 학계 상황을 고려하여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중후반까지 이어진 최익현의 문인 집단에 대해 지역별 연령별 분석을 통해 그 대체적인 모습을 정리하였다. 문인 집단 분석에 앞서 문인 집단 형성의 근본이 된 최익현의 강학 활동을 그의 행적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기본 자료는 1967년 최익현의 직전 제자 및 재전 제자가 중심이 되어 간행한 『채미연원록(茝薇淵源錄)』이며, 이 문인록에 앞서 간행된 『면암선생문인록(勉菴先生門人錄)』 등 기타 자료도 참조하였다. 『채미연원록』의 문인들에 대한 분석 결과, 최익현의 학맥은 호남 지역을 중심으로 계승되었으며, 최익현의 문인들은 일제강점기와 근현대사 전개 속에서 유학의 도를 수호하고자 하는 의식적인 노력 이외에 강한 항일 정신을 바탕으로 실천적인 면모를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최익현의 문인들은 지속적으로 내부의 결속을 강화하는 한편, 다른 화서학파 학맥과 구분되는 인식과 면모를 보여 ‘면암학파(勉菴學派)’라고 부를 수 있을 정도로 구별되는 특징을 보여주었다. SinceIn the late 19th century, Choi Ik-hyun(1833~1906), who led the movement of Wijeongcheoksa(衛正斥邪) and the righteous army movement(義兵運動), was one of the biggest literary groups among the Hwaseo school literary people. He has actively conducted his academic activities since he was around 40 years old and has formed a group of literary people who already exceeded 600 people in his lifetime. He developed his academic activities around his hometown Pocheon(抱川) area and Jeongsan(定山, currently Cheongyang; 靑陽) area, which moved to old age, and his disciples worked with him on the front of the righteous army movement. In addition, they continued to carry out anti-Japanese movement after Choi's death, and they devoted themselves to the training of their disciples in their study sites and produced more than 1,500 disciples. Through them, Choi’s academic tradition continued to the fourth stage of discipleship, and the appearance was expanded to a group of literary people exceeding 2,500. In the meantime, academia has not paid attention to Choi’s teaching activities and his literary group. Unlike the limited number of studies on other schools that were active at the same time, there is no research on Choi’s literary group. Considering the limitations of these previous studies, and considering the relatively poor interest in the literary group of various schools in the 20th century,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general aspects of Choi’s literary group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mid-to-late 20th century through the analysis of region and age. Prior to Choi’s analysis of literary group, I examined the activities of Choi’s teaching, which is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literary group. The basic data of this study is ChamiYeonwonrok(茝薇淵源錄) published by Choi’s disciples in 1967 and other literature materials such as Myeonamsunsaengmuninrok(勉菴先生門人錄) published earlier were also referr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iterary figures in Chaemi Yeonwonrok, it was confirmed that Choi’s academic tradition was inherited mainly by literary figures in Honam area, and that Choi’s successors showed practical aspects based on strong anti-Japanese spirit as well as conscious efforts to protect Confucianism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mid-20th century. In particular, Choi’s successors continued to strengthen the solidarity of the school, while showing the recognition and aspect distinguished from other Hwaseo school(華西學派) academic traditions, showing the characteristics that can be called the ‘Myeonam school’(勉菴學派).

      • KCI등재

        미호(渼湖) 김원행(金元行)의 성리설(性理說) 연구(硏究) -18세기 중반 락론(洛論)의 심성론에 유의하여

        박학래 ( Hak Rae Park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6 民族文化硏究 Vol.71 No.-

        본고는 渼湖 金元行(1702-1772)의 性理說을 湖洛論爭의 주요 쟁점에 유의하여 정리 분석한 것이다. 그동안 김원행의 성리설에 대한 학계의 관심은 그의 사상사적 위상과 영향에 비추어 미미하였다. 하지만 그는 18세기 중반 이후 낙론의 핵심적 논의를 주도하였을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강학 활동을 통해 19세기로 이어지는 기호 낙론의 학설 흐름의 중심을 이루었다. 따라서 그의 성리설에 대한 검토는 18세기 호락논쟁 및 이후 논의에 대한 계통적 이해를 위해 필요하다. 이에 본고는 먼저 그의 성리설이 가지는 사상사적 위상을 18세기 중반 낙론계 동향에 유의하여 검토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性과 心, 그리고 明德 등 호락논쟁의 핵심주제에 관한 그의 입장을 정리 분석하고, 그것의 의미와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는심과 성에 대한 리기론적 이해의 과정에서 리기의 本然性에 주목함으로써 그것의 실재성과 근원성을 확보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현실 세계에서 선의 실현 가능성을 담보하고자 하였다. 특히 그의 성리설에서 주목되는 것은 기의 본연으로서 ‘鬼神’에 주목함으로써 심의 主宰的 측면을 강화하여 인간의 도덕 실천의 원리적 가능성을 확보한 점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to analyze Miho Kim Wonhaeng’s idea of nature and principle in the light of main issues of Horak Debate. So far, most of scholars did not pay attention to his idea of nature and principle too much while his significance and influence to the history of idea are magnificent in the midst of 18th century. Since the era of setting up a regional opposition between Ho-ron and Nak-ron, however, he led fundamental discourses of Nak faction, but also formed main stream of Kiho Nak School by consistently teaching students. Thus, the review of his idea of nature and principle is necessary in order to figure out genealogical landscape of Horak controversy and its later discourses. First, I examine his idea of nature and principle in terms of the Korean history of ideas by focusing on academic trend of Nak School at the mid-18th century. Based up on this, I investigate the meaning of his idea and influence by analyzing his stance to such key issues on Horak Controversy as Nature, Heart-Mind, and Illuminous Virtue etc. Kim basically gives shape to his ideas of Heart-Mind and Nature based on li-qi in the light of obtaining possibilities of moral practices and realities of moral principles. By paying attention to naturalness of li-qi in understanding Heart-Mind and Nature in terms of the theory of li-qi, Kim tries to establish reality and naturalness of Nature and Heart-Mind. Through this, he wants to guarantee possibilities of realizing goodness. Especially, what we have to look at his idea of nature and principle is ghost(gui-shen) as naturalness of qi in the context of emphasizing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emperamental and the mental energy. This is to strengthen the presidential aspect of Heart-Mind for establishing the theoretical possibility of moral pract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