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무(東武) 이제마(李濟馬)와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의 만남

        박성식,Seong-Sik Park 사상체질의학회 2024 사상체질의학회지 Vol.36 No.1

        Purpose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Nosa Ki Jung-jin on the developmen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by Dongmu Lee Je-ma. Objectives and Methods To establish the correlation between Nosa and Dongmu through an analysis of 『Nosajip(蘆沙集)』 and 『Nosaseonsaengyeonwonrok(盧沙先生淵源錄)』. Conclusion 1. While it is not definitive to assert that Lee Mupyeong, referenced in the 'SongLeemupyeongBukgwiseo(送李務平北歸序)' of 『Nosajip』, is Dongmu, there exists a strong probability that he is indeed Dongmu. 2. Dongmu Lee Je-ma's name does not appear among the disciples listed in 『Nosaseonsaengyeonwonrok』, and the 'SongLeemupyeongBukgwiseo' is only found in the third edition of 『Nosajip』. 3. It is challenging to attribute Dongmu's developmen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solely to his exposure to Nosa's teachings during his youth.

      • KCI등재
      • KCI우수등재

        듀얼 포인터 네트워크를 사용한 다중 개체 간의 관계 추출

        박성식,김학수 한국정보과학회 2019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6 No.11

        Information Extraction is the process of automatically extracting structured information from unstructured machine-readable texts. The rapid increase in large-scale unstructured texts in recent years has led to many studies investigating information extraction. Information extraction consists of two sub-tasks: an entity linking task and a relation extraction task. Most previous studies examining relation extraction have assumed that a single sentence contains a single entity pair mention. They have also focused on extracting a single entity pair (i.e., Subject-Relation-Object triple) per sentence. However, sentences can also contain multiple entity pairs.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Dual-pointer network model that can entirely extract all possible entity pairs from a given text. In relation extraction experiments with two kinds of representative English datasets, NYT and ACE-2005, the proposed model achieved state-of-the-art performances with an F1-score of 0.8050 in ACE-2005 and an F1-score of 0.7834 in NYT. 정보 추출은 비정형 텍스트로부터 정형 데이터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기술이다. 최근 대용량의 비정형 텍스트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정보 추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정보 추출은 크게 개체 연결과 관계 추출 두 가지 기술로 구성되며 관계 추출은 정보 추출에 있어 가장 핵심이 되는 기술이다. 최근까지 대부분의 관계 추출 연구는 문장에 한 쌍의 개체만 존재한다고 가정하며 단일 개체 쌍 간의 관계를 추출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러나 실제로 문장에는 한 쌍 이상의 개체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주어진 문장에서 가능한 모든 개체 쌍 간의 관계를 추출할 수 있는 듀얼 포인터 네트워크 기반 관계 추출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관계 추출에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영문 데이터 셋인 ACE-2005 데이터 셋과 NYT 데이터 셋으로 실험을 진행했으며, ACE-2005에서 F1 점수 0.8050, NYT 데이터 셋에서 F1 점수 0.7834로 가장 높은 성능을 보였다.

      • KCI등재후보

        공압식 심실보조기의 실험을 위한 돼지에서의 심부전 모델의 개발

        박성식,서필원,이상훈,강봉진,문상호,김삼현 대한흉부외과학회 2003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6 No.3

        Establishment of the Heart Failure Model in Swine for the Experiment of the Pneumatic Ventricular Assist DeviceSeongsik Park, M.D.*, Pil Won Seo, M.D.*, Sang Hoon Lee, Ph.D.**, Bong Jin Kang, M.D.***Sang Ho Moon, M.D.*, Sam Hyun Kim, M.D.* 배경: 공압식 심실보조기의 실험을 위한 심부전 모델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사람의 심장구조와 유사하고 저렴하며 일관되게 반복적으로 급성심부전을 유발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본 연구진은 사람의 심장구조와 가장 유사하며 저렴한 돼지를 사용하여 관상동맥의 좌전하행지를 결찰하는 방법으로 급성심부전을 유발시키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성인의 몸무게에 해당하는 5마리의 돼지를 사용하여 전신마취 후 좌측개흉술을 통하여 심장을 노출시키고 관상동맥의 좌전하행지의 원위부에서 시작하여 근위부로 올라오면서 결찰, 재관류, 결찰의 방법으로 심부전을 유발시켰다. 각 과정의 전,후에 좌심실확장기말기압력, 동맥압, 심박출계수를 측정하였고, 심외막 심에코도를 통하여 좌심실확장기내경, 좌심실수축기내경, 분획단축, 심구혈률을 측정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좌전하행지의 원위부부터 근위부까지 충분한 심부전이 달성될 때까지 반복하였으며 목표달성 후 심실보조기를 장착하여 구동시켰다. 결과: 5마리 중 3마리에서 안정적인 심부전을 달성할 수 있었으며 3마리 모두에서 심외막 심에코도상 심구혈률을 기준으로 관상동맥 결찰 전에 비하여 50% 정도의 심기능 저하를 유지할 수 있었다. 또한 결찰, 재관류, 결찰의 방법을 통하여 심근에 대해 허혈성 전처치를 시행한 후 완전 결찰을 시행하였을 때 대동물의 관상동맥 결찰 시 흔히 발생하는 심실성 부정맥이나 심근기절에 의한 심정지도 관찰되지 않았으며 병리조직학적 소견상 심근허혈을 유발시킨 좌, 우심실의 심첨부에서 중간부위까지 광범위한 허혈성 손상을 입은 심근세포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허혈성 전처치의 개념을 관상동맥 결찰을 통한 심부전 모델에 적용하여 좌전하행지의 원위부에서부터 근위부 까지 순차적으로 결찰, 재관류, 결찰을 시도한 결과 안정적이고 반복 가능한 급성 심부전 모델을 얻을 수 있었다.

      • KCI우수등재

        건조스트레스에 따른 옥상녹화 식물의 생리적 반응

        박성식,최재혁,박봉주,Park, Seong-Sik,Choi, Jaehyuck,Park, Bong-Ju 한국조경학회 2017 韓國造景學會誌 Vol.45 No.2

        본 연구는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를 위해 맥문동, 울릉국화, 비비추, 돌나물, 잔디의 내건성을 평가하였다. 옥상녹화 식물의 내건성 평가를 위해 용적수분함량, 엽과 토양의 수분포텐셜, 엽록소 a와 b함량, 엽록소형광, 광합성율, 기공전도도, 증산속도, 항산화물질을 측정하였다. 옥상녹화 식물의 내건성 측정결과, 무관수 일수가 경과하면서 용적수분함량 부족에 따라 식물은 점차 고사하는 경향을 보였다. 울릉국화가 가장 먼저 고사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잔디, 비비추, 맥문동 순이었으며, 돌나물은 고사하지 않았다. 비비추, 맥문동, 돌나물은 3주 이상 생존하여 내건성이 높은 식물로 판단되었다. 엽록소 a와 b는 두 가지 유형이 나타났는데, 초기부터 중기까지 일정한 함량을 유지 후, 급격히 감소하는 I유형에는 비비추, 잔디와 초기에는 낮은 함량을 보이다가 중기 때 급격히 증가 후, 감소하는 II유형에는 울릉국화, 맥문동, 돌나물로 구분되었다. 용적수분함량과 증발산량은 모든 식물 종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엽록소형광 측정결과, 내건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돌나물이 가장 늦게 감소하였고, 잔디와 돌나물은 급격한 감소가 나타난 후 고사하였다. 광합성, 기공전도도, 증산속도는 초기에 높은 활성도가 나타났으나, 용적수분함량의 감소로 인하여 식물체가 기공을 닫아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항산화물질 측정결과, 건조스트레스가 증가하면 항산화물질의 양 또한 증가하나, 높은 스트레스가 유지되면 이러한 화합물이 지속적으로 소비되므로, 항산화물질의 증감은 내건성 평가 지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valuated the drought tolerance of Liriope platyphylla F.T.Wang & T.Tang, Dendranthema zawadskii var. lucidum (Nakai) J.H.Park, Hosta longipes (Franch. & Sav.) Matsum., Sedum sarmentosum Bunge and Zoysia japonica Steud. for an extensive green roof. In order to assess drought tolerance of green roof plants, several criteria were measured such as volumetric water content, leaf and soil moisture potential, chlorophyll a and b, chlorophyll fluorescence, photosynthesis, stomatal conductance, transpiration rate and antioxidants. The results of the drought tolerance measurement of green roof plants focused on the gradually withering of plants from lack of volumetric water content. D. zawadskii was the first to show an initial wilting point, followed by Z. japonica, H. longipes and L. platyphylla in order while S. sarmentosum showed no withering. It was concluded that H. longipes, L. platyphylla and S. sarmentosum were highly drought tolerant plants able to survive over three weeks. Furthermore, chlorophyll a and b were divided into two types: Type I, which kept regular content from the beginning to the middle of the period and suddenly declined, like H. longipes and Z. japonica; and Type II, which showed low content at the beginning, sharply increased at the middle stage and decreased, like D. zawadskii, L. platyphylla and S. sarmentosum. Volumetric water content and the amount of evapotranspiration consistently declined in all plant species. The analysis of chlorophyll fluorescence results that S. sarmentosum, which had relatively high drought tolerance, was the last to decline, while Z. japonica and S. sarmentosum withered after rapid reduction. At first, photosynthesis, stomatal conductance and transpiration rate showed high activity, but they lowered as the plant body closed stomata owing to the decrease in volumetric water content. Measuring antioxidants showed that when drought stress increased, the amount of antioxidants grew as well. However, when high moisture stress was maintained, this compound was continuously consumed. Therefore, the variation of antioxidants was considered possible for use as one of the indicators of drought tolerance eval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