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종 인플루엔자 대유행에 관한 의료인의 인식도

        박영실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신종 인플루엔자 대유행의 우려가 높아지는 가운데 우리나라 의료인의 인구사회학적특성 요인과 진료특성 요인이 신종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에 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신종 인플루엔자 대유행에 관한 의료인의 전반적인 인식을 확인함으로써 정부의 신종 인플루엔자 대유행 관리 계획 수립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시도되었다.연구대상은 국내 개원의원, 보건(지)소?의료원, 종합전문병원에서 근무하는 의료인 771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 중 부실한 응답을 제외한 242부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진료특성을 독립변수로 설문내용을 종속변수로 하여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을 통해 각 변수간의 응답율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단계적 후진 선택법에 의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각 설문의 응답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분석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12.0 for Windows를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1로 하였다.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신종 인플루엔자 대유행시 진료지속 의향에 대한 분석에서 개인의원을 준거범주로 보건(지)소?의료원의 의료인의 OR이 0.365로 나타났으며 필요물자 부족시 진료지속 의향은 개인의원을 준거범주로 보건(지)소?의료원, 종합전문병원의 OR이 각 각 0.415, 0.435로 나타났다.근무지역의 신종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 필요물자 비축수준은 서울지역을 준거범주로 기타 지역의 OR이 0.272로 나타났다.정부의 신종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 수준에 대해 ‘부정적응답’이 93.4%로 나타났으며, 정부의 지원 중 가장 원하는 분야는 ‘개인보호장비 등 물자 지원’으로 나타났다.본 연구의 결과 신종 인플루엔자 대유행에 대한 인지도는 보건(지)소?의료원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기타 지역은 대유행 대비를 위한 비축물자 준비도 충분하지 못하였다. 또한 의료인들은 정부의 대비 수준에 대해서 매우 부정적으로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 및 홍보와 필요물자 지원 방안 등 정부의 정책 대안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a preliminary data for the pandemic influenza control plan of government, by analyzing the factor tha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linic type of healthcare worker affect perception for pandemic preparedness and by identifying general perceived level of preparedness amongst healthcare workers for pandemic influenza.Data was collected from 771 general practitioners, public health workers, healthcare workers in medical centers and general hospitals. They did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 received 247 out of 771, and 5 of 247 were excluded because of poor answers. Data analysis were performed by comparing the difference of answer rate between each variable through analyzing frequency and crosstabulation about independent variable with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linic type and dependent variable with questionnaire contents. A variable affects to answer for each question was analyzed by logistic regression of stepwise backward elimination method. Data was analyzed by SSPS 12.0 for windows with 0.1 of significant level.For the analysis of acceptance of consultation during pandemic influenza, OR for healthcare worker in public health center and medical center based on personal hospital is 0.365. For the analysis of acceptance of consultation during the shortage of materials, OR for healthcare worker in public health center and medical center based on personal hospital is 0.415. OR for general hospital is 0.435.For the level of material stockpiling for pandemic influenza in workplace, OR for the other area based on Seoul area is 0.272.For the level of preparedness for pandemic influenza of the government, 'Negative answer' was 93.4%. 'Support of materials such as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was the most wanted part of government support.The perceived level of risk for pandemic influenza was low at public health centers and medical centers in this study, and the preparedness of stockpiling materials in the other area was insufficient. In addition, healthcare workers generally perceived on the level of pandemic preparedness of the government. Government policies such as systematic training, public information and supporting necessary materials are measures that should be taken to help alleviate such problems.

      • 생활체육 활동이 참여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 운동중독에 미치는 영향

        박영실 전남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체육 활동이 참여자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 운동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G광역시에 거주하고 생활체육 활동에 6개월 이상 규칙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20세 이상 성인 남·녀 240명을 무선 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program을 이용하여 처리하였고, 인구 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통계적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T-test와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05수준에서 해석하여 분석한 결과를 통해 얻은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체육 활동이 참여자의 성별에 따라 미치는 영향은 운동중독 요인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고, 심리적 행복감과 생활만족은 여자가 남자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생활체육 활동이 참여자의 연령별에 따라 미치는 영향은 연령이 많을수록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 운동중독 요인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고, 생활만족(F=1.186), 운동중독(F= 4.167) 요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생활체육 활동이 참여자의 직업별에 따라 미치는 영향은 심리적 행복감과 생활만족 요인에서는 주부(3.73±.71)가, 운동중독 요인은 자영업자(4.11±.55)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심리적 행복감(F=2.145)과 운동중독(F=2.373) 요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생활체육 활동이 참여자의 경력별에 따라 미치는 영향은 심리적 행복감은 참여 경력이 적을수록 높게 나타났고, 생활만족은 ‘2년-3년 미만’ 참여 집단이, 그리고 운동중독 요인은 참여 경력이 많을수록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생활체육 활동이 참여자의 참여 종목별에 따라 미치는 영향은 심리적 행복감은 배드민턴, 배구, 에어로빅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생활만족과 운동중독은 배드민턴과 게이트볼이 높았으며, 심리적 행복감(F=5.925), 생활만족(F=3.397), 운동중독(F=6.488)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여섯째, 생활체육 활동이 참여자의 주당 운동 참여 빈도별에 따라 미치는 영향은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 운동중독은 5-6회(3.79±.60) 이상 참여한 사람이 가장 높았고, 심리적 행복감(F=2.763) 요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곱째, 생활체육 활동이 참여자의 1일 운동 참여 시간별에 따라 미치는 영향은 심리적 행복감과 생활만족은 1일 ‘3-4시간’ 정도 참여하고 있는 집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운동중독 요인에서는 1일 운동 참여시간이 많은 집단일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적 행복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n a psychological euphoria, life satisfaction and exercise addition of the participants in life sports it was conducted by using a random sampling to achieve the purpose for an adult men and women of 240 over 20years old who have lived in Kawang-ju and regularly take part in life sports over 6months A collected data was disposed of using spss 12.0 program, T-test and the analysis of dispersion to analyze the statiscal difference on population statistic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is gained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in level .05 are as follows First, the sex of the participants. it shows that the men are higher than the women in exercise addition. In contrast, the women are higher than men in psychological euphoria and life satisfaction. Statistically, those figures are similar Second, the age of participants. It proves that the more the members are old, the more those stats are high in three aspects. Statistically, the number of life satisfacition is similar to exercise addition. Third, the occupation of participants. It indicates that a housewife in psychological euphoria and life satisfaction and self-management's men in exercise addition are the highest. Statistically, the figure of psychological euophoria is similar to exercise addition. Fourth, the Influence of life sports participants' psychological euphoria, and life satisfaction, exercise addiction to participating degree of life sports is higher as the period of exercising is longer, frequency and intensity are higher. Fifth, among life sports events, it shows that badminton's figure is higher than volleyball and aerobic's in psychological euphoria. And, in life satisfaction and exercise addition, badminton and gate ball's numbers are the highest. However, statistically, three aspects' figures are similar. Sixth, the frequency of exercise participations a week. It demonstrates that the people that participate sports 5~6times a week is the highest in psychological euphoria and life satisfaction. Statiscally, the numbers of psychological happiness are similar. Seventh, the time of exercise participation a day. It shows that the group that have taken part in sports for 3~4 hours a day is the highest in psychological euphoria and life satisfaciton. The more the group spends a lot of time of exercise a day, the more the figures are high in exercise addition. Statistically, Two groups' figures are much like in psychological euphoria.

      • 거문고 합주곡 <미리내>의 분석

        박영실 용인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1839

        본 고는 1999년 6월 25일 국립국악원에서 주최한 ‘거문고 역사축제’의 국립국악원 위촉곡인 정대석 작곡의 거문고 합주곡 <미리내>의 전체적인 음악구조를 분석함으로써, 정대석 작품중에서 독주곡과 중주곡에서 보여지지 않았던 합주곡의 특징을 살펴보고, 또한 작곡자의 독특한 작곡기법이 거문고 창작음악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은 <미리내>에서 사용된 조현법과 음계를 분석하고, 각 악장별로 나누어 형식, 선율, 리듬, 연주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현법은 기존의 전통음악과 정대석 작품의 거문고 독주곡과 중주곡에서 사용된 조현법과는 다른 독특한 조현법 즉, 기존안족의 1/3크기로 축소 제작된 보조안족을 현침과 기존 안족사이에 얹어 현 하나에 2-3개의 음을 얻음으로써 새롭고 다양한 음색 및 연주법의 개발을 가져왔다. 둘째, 음계는 제1악장과 제2악장 모두 F(□)음을 중심음으로 하는 F(□□) - G(□□) - A^b(□□) - B^b(□□) - C(□□) - e^b(黃)의 6음음계이다. 셋째, 형식을 보면 제1악장「개밥바라기」는 도입부 + A(a+b+a') + B(연결구① + c + 연결구② + d + 연결구③ + e) + A'(a) + Coda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2악장「미리내」는 도입부 + A(a+a'+b) + B(연결구 + c + d + e) + A'(a+a'+b) + Coda로 구성되어 있는 A - B - A'의 3부분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넷째, 선율은 대부분 4마디를 기본으로 하는 여러개의 규칙적인 phrase(악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phrase안에서 거문고I-II가 주선율로 진행하고 있으며, III-IV가 주선율의 보조적인 선율로 진행하며, V-VI이 특수 효과적인 선율로 각기 짝을 이루어 다른 역할로 진행하고 있지만, 거문고 6파트 모두가 상호 유기적인 관계에 의해서 진행하고 있다. 또한, 모방기법이 주를 이루며 반복진행·동형진행·순차진행·옥타브 진행등을 볼 수 있다. 다섯째, 리듬형태는 제1악장은 11개의 동기(a, b, c, d, e, f, g, h, i, e', d')가, 제2악장은 5개의 동기(a, b, c, d, e)가, phrase 안에서 확대 및 변형으로 다양한 리듬형을 제시하고 있다. 여섯째, 연주법은 기존의 전통음악과 창작음악에 사용되어왔던 연주법이 사용되었으며, 또한 작곡자의 독특한 작곡 기법을 통하여 다양하고 현대적인 연주법(현에 술대를 붙여서 내는주법, 술대로 현을 두드려서내는 주법,양손 트레몰로 주법, 술대로 현을 문지르거나 비비는 주법)이 사용되었다. 이와 같이 정대석 작곡의 거문고 합주곡<미리내>는 거문고I-II(주선율), III-IV(보조선율), V-VI(특수 효과)이 짝을 이루어 서로 상호 유기적인 관계에 의해서 각기 다른 진행을 하며, 독특한 조현법과 현대적인 연주법을 통하여 풍부한 음량과 다양한 음악적인 표현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has a purpos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Jeong Dae-suk's ensemble, which are not found in his solo or duo pieces, and the influence of the composer's unque technique on creative music of Keomungo by generally analysing the musical structure of Jeong Dae-suk's Keomungo ensemble Mirinae, which was invited to 'Keomun History Festival' hosted by the National Classical Musical Institute on June 25, 1999. As a study method, this paper analyzes the way of composing strings and the scale by dividing each movement with a form, melody, rhythm and performance, an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irst, unlike the existing traditional music and other methods of composing strings used in his Keomungo solo and duo pieces, Jeong Dae-Suk's unigue way of composing strings has brought various new musical tones and performance technique by obtaining 2-3 motes per string from 1/3 size extra set laid between the existing two sets. Second, the scale is composed of 6 notes based on F(伏)-G(고)-A^b(중)-B^b(임)-C(남)-e^b(黃) in the first and the second movement. Third, the structure consists of A-B-A', that is, the first movement(Kebapbaragi)of the intro+A(a+b+a')+B(link ①+c+link ②+d+link③+e)+A'(a)+Coda and the second movement(Mirinae)of the intro A(a+a'+b)+B(link+c+d+e)+A'(a+a'+b)+Coda. Fourth, melody is composed of several regular phrases based on four phrases, and Keomungo I-II appears as main in these phrases. III-IV support these main phrases, and all six parts of Keomungo proceeds in interacting relationship while V-VI play different roles in paris. Also, imitating technique while V-VI play different roles in paris. Also, imitating technique mainly shows up and repetition, the same forms, proceeding in order and octave proceeding are also found. Fifth, rhythm suggest various forms by extension and transformation with the first movement of five motives(a, b, c, d, e). Sixth, for performing technique, those that have been used in traditional music and creative music, and various modern techniques through the composer's unique composing skills(technique by attaching a plectrum to strings. beating strings with a plectrum, tremolo for both hands, rubbing strings with a plectrum). As written above, Jeong Dae-suk's Keomungo ensemble<Mirinae>plays in mutually organic relationship in Keomungo I-II(main), III-IV(back up melody), V-VI(special effect), and it shows rich tones and various musical expressions through original ways of stringing and modern performance.

      • 서비스교육훈련이 직원만족도 및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영실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1839

        Competition is intense in the service industry of the 21st century. It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o employ and nurture talented individuals with excellent service capabilities as competitiveness depends on this role, which is played by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ough many companies should be exerting more effort into implementing a variety of strategic service training programs, they invest little into and have low awareness of the need for such measur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and substantiate the effects of service training on employee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Three main topics wer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ervice training on service quality, the effects of service training on employee satisfaction, and the effects of employee satisfaction on service quality. A survey was conducted on employees at companies in Seoul who have participated in service training programs at least once during the past 12 months. The survey instrument consisted of three measures: service training, employee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Data was collected by distributing 400 copies of the survey over 19 days from October 11 to 30, 2010. 343 copi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and the percentage of valid data was 85.75%. SPSS 18.0 and AMO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First, a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Seco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alculated for responses to key variables. Thir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a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o check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urvey items. Fourth, Pearson correlations were calculated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significant relationships exist among the key latent variables and whether they are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zed directions. Fifth, AMOS was used to perform a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ixth,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raining participation frequency on employee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Seventh, a multiple group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model results by business catego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training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in enhancing employee satisfaction, β = 0.321, t = 4.498, p < 0.05. This suggested that of service training factors, satisfaction with the training environment has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employee satisfaction enhancement. The instruct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in enhancing service quality, β = 0.327, t = 4.452, p < 0.05. This indicated that of service training factors, satisfaction with the instructor has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service quality enhancement. Training conten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enhancing employee satisfaction, β = 0.076, t = 0.799, p > 0.05. This showed that satisfaction with training content does not significantly contribute to employee satisfaction enhancement. The sim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raining content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ee satisfaction for all training participation frequencies (p < 0.05). The standardized coefficient (β) increased with training participation frequency, which suggested that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raining content satisfaction and employee satisfaction becomes stronger with more frequent participation. The training manager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in enhancing service quality, β = 0.130, t = 2.472, p < 0.05. In other words, satisfaction with the training manager contributes significantly toward service quality enhancement. Employee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in enhancing service quality, β = 0.288, t = 3.938, p < 0.05. This indicated that employee satisfaction contributes significantly toward service quality enhancem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ployee satisfaction among business categorie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p < 0.05)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service industry (p > 0.05). This suggested that employee satisfaction is affected to a greater degree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an in the service industry. The effect of the training manager on service quality varied significantly among business categories in the service industry (p < 0.05)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p > 0.05). This suggested that service quality enhancement is affected to a greater degree in the service industry than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e effect of employee satisfaction on service quality varied among business categories in both the service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p < 0.05). In other words, increases in employee satisfaction contribute significantly toward service quality enhancement.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made from this study. First, of the service training factors mentioned in this study, training environment has the greatest effect on employee satisfaction, followed by the trainee, instructor, training content and training manager. Second, the instructor i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terms of the effects of service training on service quality, followed by the trainee, training manager, training environment and the training content. Third, the training manager and training content have relatively weak relationships with employee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compared to the other factors, namely the instructor, trainee and training environment. This suggest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structor and trainees is more important than the training content itself. Employee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increased with service training participation frequency. In conclusion, service training is a meaningful training program which directly affects employee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In particular, this study showed that while training content is important, the people who deliver and receive the content should be the focus, and also that service training is most effective when resources and time are invested continuously. Future research should examine custo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and compare the opinions of employees and customers. Training managers or department heads in charge of service training should also be studied to analyze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of influential variables. By highlighting such differences, businesses will become one step closer toward qualitative enhancements of service training programs. In summary, the key poi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a reminder that for successful service training which enhances employee satisfaction, top management willingness and material and time investments are essential. Second, the training manager and training content have a relatively weak relationship with and influence on employee satisfaction compared to the other factors which are the instructor, trainee and training environment. Training content and training environment have a relatively weak relationship with and influence on service quality compared to the other factors. This indicates that satisfactio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structor and trainee in terms of human resources and satisfaction with the training environment lead to increases in actual performance. This ultimately re-emphasizes that although training content is important, the focus should be on the actual people who deliver and receive the content. Third, this study is a reminder that service training has greater influence on employee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when it is implemented continuously rather than on a one-time basis. Fourth,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between the service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to suggest possible directions for separate service training programs in different business categories. 무한 서비스경쟁시대인 21세기에는 우수한 서비스역량을 갖춘 인재의 확보와 육성이 중요하고, 이 역할을 하는 인적자원개발에 따라 우위를 점할 수 있는 경쟁력이 확보된다. 수많은 기업들이 다양한 전략적 서비스교육훈련을 위해 노력을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투자는 물론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도 아직까지 많이 낮고 부족한 현실이다. 특히 서비스교육훈련의 효과성은 그동안 연구자들로부터 관심을 받지 못했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교육훈련이 직원만족도 및 서비스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교육훈련이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서비스교육훈련이 직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직원만족도가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서울시내 기업에 소속되어 있으면서 지난 12개월 동안 서비스교육훈련을 1회 이상 참여한 경험이 있는 직원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는 크게 서비스교육훈련 척도, 직원만족 척도, 서비스품질 척도 세 가지로 구성된 질문지가 사용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0년 10월 11일부터 10월 30일까지 19일간에 걸쳐 총 400부가 배포되었고, 최종분석에는 343부가 사용되었으며, 유효 자료율은 85.75%였다. 본 연구에서 획득된 데이터는 SPSS 18.0(ver.)과 AMOS 프로그램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주요 변인에 대한 응답수준을 파악하기 위해서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요인을 구성하는 문항들의 타당성 및 신뢰도를 파악하기 위해서 탐색적 요인분석(EF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및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본 연구의 주요 잠재변인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여 가설적 방향과 일치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AMOS를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ive Factor Analysis) 및 구조방정식모델분석을 실시하였다. 여섯째, 교육참여횟수에 따른 직원만족 및 서비스품질에 대한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단일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일곱째, 업종별 모형결과를 파악하기 위해서 다중집단분석(Multiple Group Analysis)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교육환경은 직원만족도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분석한 결과 =0.321, t-value=4.498로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p<0.05). 즉 서비스교육훈련 요인 중 교육환경에 대한 만족은 직원만족도 향상에 가장 의미 있는 기여를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교수자는 서비스품질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분석한 결과 =0.327, t-value=4.452로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p<0.05). 즉 서비스교육훈련 요인 중 교수자에 대한 만족은 서비스품질 향상에 가장 의미 있는 기여를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교육내용은 직원만족도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분석한 결과 =0.076, t-value=0.799로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p>0.05). 서비스교육훈련 요인 중 교육내용에 대한 만족은 직원만족도 향상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육참여횟수에 따른 교육내용만족이 직원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1회 이하, 2~3회, 4회 이상 모두 교육내용이 직원만족에 미치는 단일회귀분석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교육참여횟수가 높을수록 표준화계수()가 높아지고 있어, 이는 곧 교육참여를 많이 한 참가자들일수록 교육내용에 만족하면 직원만족이 향상되는 영향관계가 더욱 밀접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교육담당자는 서비스품질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분석한 결과 =0.130, t-value=2.472로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p<0.05). 즉 서비스교육훈련 요인 중 교육담당자에 대한 만족은 서비스품질 향상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여섯째, '직원만족도는 서비스품질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분석한 결과 =0.288, t-value=3.938로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p<0.05). 즉 직원만족도는 서비스품질 향상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일곱째, '학습자가 직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업종에 따라 다를 것이다.'의 경우 제조업은 유의한 영향관계로 나타난 반면(p<0.05), 서비스업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p>0.05), 제조업이 학습자가 직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서비스업에 비해서 더 의미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여덟째, '교육담당자가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업종에 따라 다를 것이다.'의 경우 제조업은 유의하지 않은 영향관계로 나타난 반면(p>0.05), 서비스업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즉 서비스업이 교육담당자가 서비스품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이 제조업에 비해서 더 의미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아홉째, '직원만족도가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업종에 따라 다를 것이다.'를 분석한 결과, 제조업과 서비스업 모두 유의한 영향관계로 나타났다(p<0.05). 즉 직원만족도가 높을수록 서비스품질 향상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상정한 서비스교육훈련 요인 가운데 교육환경이 직원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그 다음으로 학습자, 교수자, 교육내용, 교육담당자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교육훈련이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교수자가 가장 중요한 변수이며 그 다음으로 학습자, 그리고 교육담당자 및 교육환경, 마지막으로 교육내용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비스교육훈련 요인 중 교육담당자와 교육내용은 다른 요인인 교수자, 학습자, 교육환경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직원만족, 서비스품질과 상관 및 영향관계가 낮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교육내용자체보다는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적 자원의 상호관계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넷째, 서비스교육훈련 참여횟수가 높을수록 직원만족과 서비스품질에 실제 성과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서비스교육훈련은 직원만족도 및 서비스품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의미 있는 교육방법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교육내용도 중요하지만, 내용자체를 전달하고 받아들이는 사람이 중심이라는 것, 그리고 서비스교육훈련은 일회성보다는 지속적인 물적, 시간적 투자가 이루어질 때 효과가 나타난다는 결과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사실이 분석되었다. 추후 연구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입장에서 느끼는 서비스품질을 포함해 직원과 고객 양자의 의견을 비교분석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서비스교육훈련을 담당하는 교육담당자나 사업부서의 책임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 영향 변인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서비스교육훈련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업의 기대에 한 발 더 가까워질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원만족도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인 서비스교육훈련을 기대한다면 최고경영자의 의지와 물적, 시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재인식 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실제 교육담당자와 교육내용은 다른 요인인 교수자, 학습자, 교육환경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직원만족과의 상관 및 영향관계가 낮고, 교육내용과 교육환경은 다른 요인에 비해서 서비스품질과 상관 및 영향관계가 낮게 나타나고 있다. 즉 교육내용자체보다는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적 자원의 상호관계, 그리고 교육환경의 측면에서 만족이 실제 성과를 높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교육내용도 중요하지만, 내용자체를 전달하고 받아들이는 사람이 중심이라는 결과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사실을 재인식 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셋째, 서비스교육훈련은 일회성보다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때 직원만족도 및 서비스품질에 영향관계가 높아진다는 사실을 재인식 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넷째, 서비스업종과 제조업 간의 차이를 재조명해 봄으로써 향 후 업종별로 차별화 된 서비스교육훈련의 방향을 제시했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공유 리더십이 고객지향성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긍정심리자본과 지식공유의 매개효과

        박영실 창원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hared leadership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knowledge sharing, and mediating role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knowledge sharing and the customer orientation on the business performance. For the analysis, 257 corporate workers’ response data were collected and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hypothesis were verified by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There are several significant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path coefficient of shared leadership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s 0.711 (p <.000). Second, the path coefficient of shared leadership on knowledge sharing is 0.712 (p <.000). Third, the path coefficient of shared leadership on customer orientation is s0.375 (p <.000). Fourth, the path coefficien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knowledge sharing on the customer orientation are 0.262 (p <.000) and 0.202 (p = .006). Lastly, the path coefficient of customer orientation on business performance is 0.643 (p <.000). The implications of the shared leadership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