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선후기 광주이씨 창시보와 합동계보 -경술보(1610)와 갑진보(1724)를 중심으로-

        朴洪甲 ( Park Honggab ) 한국계보연구회 2017 한국계보연구 Vol.7 No.-

        조선시대의 명문들 중에는 고려 말부터 두각을 나타낸 가문들이 많았다. 고려 말 둔촌(遁村) 이집(李集)이 벼슬길에 올라 현달한 인물이 됨으로써 오늘날 광주이씨를 있게 했다. 그리하여 이집은 광주이씨 시조로 까지 추앙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이집의 손자였던 이인손(李仁孫)과 그의 아들 5형제가 나란히 정승과 판서를 역임하면서 당대 최고의 명문으로 우뚝 섰다. 가계기록인 족보의 초간본(初刊本)인 창시보(創始譜)는 대개 현달한 계파 후손 중에서 특정 인물이 주도하여 만든다. 1610년에 간행된 광주 이씨 경술보(庚戌譜)도 영의정을 지낸 이준경(李浚慶)의 손자 이사수(李士修)의 노력으로 인쇄된 것이다. 그런데 경술보는 외손을 과감하게 제외하는 동성보(同姓譜)였다는 특징을 보인다. 종법(宗法) 제도가 정착되지 않았던 당시로는 매우 파격적인 족보 형태였다. 여기에다 둔촌 이집의 방계는 동성별보(同姓別譜)를 첨부하여 싣고 있다는 특징도 보인다. 그런 한편, 간행을 주도한 이사수 직계 선조들의 이력사항들은 분량이나 내용 면에서 매우 풍부하다. 또한 자손 등재 방식의 경우에도 선남후녀(先男後女) 방식이 아니라 출생 순이었고, 아울러 서출(庶出) 표기, 양자를 들이는 관행 등은 동 시대의 관례와 비슷한 양상을 보여준다. 따라서 조선시대 초기 족보에서 중·후기 족보로 넘어가는 과도기 상황을 잘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한 세기가 더 흘러 1724년에 간행된 갑진보(甲辰譜)는 각 파조(派祖)를 중시하는 체제로 옮겨갔다. 이는 각 지파별 공동 작업의 노력으로 결실을 맺은 합동계보였음을 의미한다. 또한 동성보에서 벗어나 외손을 2대로 한정하여 등재하는 일반적인 관례를 수용하고 있다. 갑진보의 특징은 별록(別錄)을 첨부하여, 당시 계파별 계보인식이 달라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던 문제점과 의견들을 정리해 놓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대한 내용은 지면 관계상 제외하였다. The majority of renowned families during the Joseon period became prominent in the late Goryeo period. An eminent politician in the late Goryeo period named Dunchon Lee Jip had a successful career in the government and his family as a result acquired durable fame, as well. Therefore, he now is even regarded as the founder of the Gwangju Lee family. As Lee Jip's grandson Lee Yinson and his five brothers all served as the state councilor and minister, the family became the most flourishing family of the time. The first publication of a genealogy which is called Changsibo (Ch. 創始譜) in Korean is usually led by eminent descendent of a family. The first genealogy of the Gwangju Lee family published in gyeongsul year (1610) was a work of a former chief state councilor Lee Jungyeong's grandson Lee Sasu. The Gyeongsul Genealogy can be regarded as a unique example of a genealogy from the time because it only contains patrilineal information. The patriarchal clan system was not established thoroughly at the time. And the fact that the record of Lee Jip's collateral line is contained in a separate annex is also remarkable. However, there are abundant records of the direct ancestors of Lee Sasu in the genealogy. And the names of the family members were listed according to birth order so that male names were not written before female names. The notations of bastardy and adopted sons were marked on the list agreeable to the custom of those days. These features show that The Gyeongsul Genealogy reflects the transitional change of a genealogy between the early Joseon and the mid-late Joseon periods. In the following century, another genealogy from the Gwangju Lee family was published in gapjin year (1724). The fact that The Gapjin Genealogy adopted the system of putting stress on the founder of a family sect means it was a comprehensive genealogy that was published by a collaborated work of various family sects of the Gwangju Lee family. It also contained matrilineage of two generations according to the general custom of the time. The distinguishing feature of The Gapjin Genealogy is that the book recorded various perceptions of the pedigree of each family sect in a separate annex and it gives The Gapjin Genealogy a great historical significance. Following studies on this book is anticip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