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체부자유아에 대한 사범계 대학생의 이미지 비교 연구

        박재국,안성우,손상희 한국특수아동학회 2000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특수교육과가 설치된 부산, 경남지역의 2개 대학에서 지체부자유아 교육 개론을 수강한 특수교육 전공 사범계 대학생 64명과 특수교육과가 설치되지 않고 특수교육 개론을 수강한 다른 2개 대학교의 비전공 사범계 대학생 86명을 대상으로 지체부자유아에 대한 이미지 척도(SDTP)를 통해 전공유무에 따른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대학생들에게는 16주간의 강의가 있었으며, 실습은 포함되지 않았다. 또한 강의 내용의 중복을 최대한 배제하였으며, 모든 강의가 끝난 다음 동일한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척도는 손상희, 박재국(2000)의 연구를 통해 개발된 지체부자유아에 대한 일반아동의 이미지 척도(SDTP; Scale of Semantic Differential Toward the Physical handicapped for Children)를 사용하였으며, 이 척도는 문화적인 차이는 없으며, 연령에 대한 유의차가 검증되지 않았기 때문에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척도화하였지만 대학생에게 적용하여도 무방하며, 양극적인 형용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조사 대상자들의 지식이나 이해 수준과 무관하다고 판단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수교육을 전공하는 사범계 대학생과 전공하지 않는 사범계 대학생의 지체부자유아에 대한 이미지의 형성요인, 구조, 수준 차이 및 영향요인을 검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지체부자유아에 대한 이미지를 측정하기 위해 고안된 SDTP 척도는 연령이나 문화적인 배경과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척도이다. SDTP는 SD척도로서, 여러 쌍의 형용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령이나 문화적인 배경과는 상관없이 적용이 가능하였다. 둘째, 사범계 대학생의 지체부자유아에 대한 이미지는 대체로 중립적인 수준이며, 특수교육 전공 사범계 대학생은 비전공 사범계 대학생에 비해 보다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이는 전공 사범계 대학생이 비전공 사범계 대학생에 비해 자원봉사의 경험이 많고, 효과적인 지체부자유아에 대한 지식 습득의 기회가 많기 때문이라는 할 수 있다. 셋째, 사범계 대학생의 지체부자유아에 대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접촉방법이며, 특수교육 전공 사범계 대학생에게는 이와 동시에 지식습득 방법에도 영향을 받는다. 즉, 수동적인 접촉방법을 택하는 것보다 능동적으로 지체부자유아를 만나는 경험을 많이 할수록 지체부자유아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질 수 있다고 결론 지었으며, 연구 결론에 덧붙여 몇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사범계 대학에서는 특수교육과를 증설하거나 특수교육 및 장애아 이해를 위한 강좌를 필수 전공과목으로 개설 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과정 내에는 자원봉사의 경험을 제공하거나 질높은 지식 습득의 방법을 제공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SDTP 척도를 적용하여 지체부자유아에 대한 이미지를 변화시키는 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적용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추수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SD(semantic differential)법으로 만들어진 이 척도는 적용에 대한 제한점이 거의 없으며, 문화적으로든 연령으로든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는 효과적인 척도임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셋째, 접촉방법, 접촉량, 지식 습득 방법에 대한 보다 세분화된 독립변인을 적용한 척도의 유용성과 이미지 변화요인을 밝히는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사회 심리학적인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여러 가지 독립변인에 대한 검증이 반드시 있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 the measuring scales of university student's image toward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 and to compare students' images majoring in special education with images of students whose major is general education, to review influencing factors and to provide with a method to modify their images toward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4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pecial education) and 86 students majoring in general education at university. In order to examine students' images toward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 were used Son & Park(2000)'s Scale for Semantic Differential Toward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SDTP).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1. SDTP was the usefulscale to test elementary school children's and university students' image toward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 2. It was found that students majoring in special education at university have more positive images toward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 than students majoring in general education. 3. The university students' images toward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 could be changed through the way of contact to handicapped children.

      • KCI등재

        기본교육과정 국어과 지도 및 구성체제에 관한 특수교사의 인식

        박재국,김혜리,김영미,고혜정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fundamental data for developing a concrete instructional program and future direction for Korean of basic curriculum in the special education, understanding recogni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bout operational condition, teaching strategy, and constructional system on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and seeking effective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methods of Korea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do this, 254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nationwide special schools as well as special classes were involved, conducting a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ed. First, the teachers had taught Korean of basic curriculum in the special education to 2-3 students for 5-6 hours per week and the students had difficulty to express their thoughts verbally and in writing. The teachers felt hard to teach in writing, reading, speaking, and listening respectively. They put value on interest, attention, and practical necessity rather than learning style an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Through multimedia image in listening, actual language uses in speaking, and print media in writing and reading, the students were taught one by one. In addition, teaching of listening and speaking proceeded teaching of writing and reading. The goal of their study was to present in deductive method, and the teachers had guided the contents of their studying using various stories, but mainly visual clues. Second, in terms of the differences on recognition of Korean of basic curriculum in the special educat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junior-high/high school, who have taught over 11 years, were somewhat positive. Especially, in terms of practical training experiences on Korean of basic curriculum in the special education, those who had the experiences recognized more positive than those who had no the experiences. Korean of basic curriculum in the special education may actualize learner- centered curriculum to fulfill learning style and desire of individualized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At the same time, to easily approach a system which is standardized curriculum and textbook,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nd methods in Korean of basic curriculum in the special education should be constructed and practical teaching program should be developed by theory of cognitive processing style based on subjective paradigm. Consequently, more effective teaching methods in Korean of basic curriculum in the special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and then they will make up for and improve current problems in Korean of basic curriculum in the special education. 본 연구는 기본교육과정 국어과 운영실태 및 지도전략 그리고 구성체제에 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파악하여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효율적인 국어과 지도전략과 방법을 모색함으로써 구체적인 지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향후 기본교육과정 국어과 개정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단위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 재직하고 있는 특수교사(N=254)를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통해 조사하고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교사는 주당 5~6시간씩 2~3명의 학생을 기본교육과정 국어과를 통해 지도하고 있었고 이들 학생은 본인의 생각을 말과 글로 표현하기에서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영역별 지도에 있어 쓰기, 읽기, 말하기, 듣기의 순으로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으며, 학생의 학습양식이나 참여정도보다는 관심과 흥미, 실생활 필요성에 더 중요성을 두고, 듣기 영역은 주로 멀티미디어영상매체를, 말하기는 실제언어사용현장에서, 읽기와 쓰기는 인쇄매체를 통해 주로 1대 1의 개별학습을 통해 지도하고 있었다, 또한 듣기와 말하기를 먼저 지도한 후 읽기와 쓰기를 지도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였는데, 학습 목표는 주로 연역적 방법으로 제시하고 있었으며, 다양한 이야기를 활용하여 학습과제를 지도하되 시각적인 단서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한편, 기본교육과정 국어과 구성체제에 대한 인식차이에서 교육경력 11년 이상의 중·고등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이 다소 긍정적이었으며, 국어과 관련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보다는 연수경험이 없는 교사가 기본교육과정 국어과 구성체제에 대해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비추어 볼 때, 기본교육과정 국어과는 주 대상인 중도의 지적장애를 가진 개별학생들의 장애특성, 학습양식, 욕구 등을 충족시킬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을 실현함과 동시에 표준화된 교육과정 및 교과서라는 체제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객관주의적 패러다임에 기초한 인지처리양식이론을 바탕으로 국어과 교수-학습전략 및 방법을 구상하고 실제적인 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발달장애학생들의 보다 효과적인 국어과 지도를 위한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며 현행의 기본교육과정 국어과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개선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

      • 지체부자유인의 삶의 질 척도 개발과 적용 가능성 탐색

        박재국,손상희,이미숙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2 특수교육 Vol.1 No.1

        본 연구는 지체부자유인의 삶의 질 척도를 개발하고 이 척도를 통해 지체부자유인의 삶의 질 수준을 분석함으로써 지체부자유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및 정책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B광역시에 거주하면서 장애인 등록증을 소지하고 있는 만 15세 이상의 지체부자유학교 재학생과 지체부자유인 192명으로부터 설문지에 대한 유효한 회답을 얻어 분석한 결과 얻어진 주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부자유인의 삶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물질 및 경제, 정서적 안녕, 대인관계, 지원체제, 가족관계의 5요인, 총 33문항으로 구성된 비교적 신뢰성과 타당성이 인정되는 척도(SQLPD)를 개발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구성한 SQLPD를 통해 검토한 지체부자유인의 삶의 질은 전반적으로 만족된 수준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일반적인 삶의 질 경향과는 달리 정서적 안녕, 가족관계, 대인관계, 물질 및 경제, 지원체제의 순으로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다. 셋째, 지체부자유인의 삶의 질 수준은 장애등급, 만성질환 유무, 가정수입 정도, 인터넷 사용여부, 주거 상황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We evaluated the level of life quality of the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analyz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ose persons to develop programs and policies improving the quality of their life. This study(n=192) was conducted with students over 15 years old from school of physical disabilities and with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B city on the bases of questionnair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btained from the answers on the questionnair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we developed a relatively reliable and reasonable measuring scale (SQLPD) with 33 question items on the bases of 5 factors such as finance, emotional stability, personal relationship, support structure and family relationship, in order to evaluate the level of life quality of those with physical disabilities. Second, according to SQLPD,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s unsatisfactory in general. In the satisfaction level, the emotional stability is the highest, the family relationship next, and subsequently the personal relationships, the finance and then the support structure. Third, the level of quality of life of the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as depended on the degree of disability, the existence of chronic disease, family income, use of internet and habitation. Therefore, these conditions need to be equipped in their circumstance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lives.

      • KCI등재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연계 특수학교(급)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박재국,김진희,김은라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2023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Vol.5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재활병원학교 설립에 대한 특수교사와 학부모의 요구사항 및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SPSS 26.0을 이용하여 기초 통계량 산출 및다중응답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협력이나 지원 사항에 대한 실행도 수준에서 특수교사와학부모 모두 ‘질병에 적합한 치료와 관리’에 대한 실행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수준에서는 특수교사는 ‘질병에 적합한 치료와 관리’를, 학부모는 ‘의료진의 치료 및 의료 정보공유’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 결과에 기초하여 재활병원학교 운영의 기본방향, 교육과 치료의 병행, 교육·의료·복지 간 초학문적 교수·학습지원 제공 등 재활병원학교 설립의필요조건과 해결 방안이 제시되었다.

      • 실시간 Remote Sensing 기술과 GIS 기술 융복합을 통한 도시용수 사용추세분석 모형개발 및 공급관리 효율증진에 관한 연구

        박재국,김의명,김동문,이시형,임용민,김성훈 한국정보기술융합학회 2010 한국정보기술융합학회논문지 Vol.3 No.3

        물은 모든 생명의 근원이며 인간이 생활하는데 있어서 없어서는 안될 소중한 자원이므로 항상 중요한 연구과제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시도의 일환으로 본 논문은 용수의 공급효율화 측면을 지원할 수 있는 한 가지 방안을 제시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가지고 실시간 생활용수(가정용수) 데이터를 통해 도출된 다항식모형의 추세패턴분석과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연계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적용한 청사진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실시간 원격모니터링 기술과 GIS 기술의 융□복합방식이 정제되고 현실화된다면 기존 용수 수요공급관리의 효율화가 상당히 증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ICF-CY 기반 재활능력 진단검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박재국,서보순,고혜정,김은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6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9 No.3

        연구목적: 이 연구는 ICF-CY에 기반한 재활능력 진단검사를 개발하여, 중도․중복장애학생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진단하고, 이에 맞는 다면적인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기본교육과정 재활교과의 교육과정과 ICF-CY의 기준을 기초로 진단검사 문항을 도출한 후 특수교육 전문가 20명에게 1차와 2차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여 검사도구의 적절성을 검토 받았다. 델파이 조사는 빈도분석과 기술통계치(평균, 왜도, 사분위수), 합의도, 수렴도, 내용타당도 비율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그 결과 감각운동, 자립생활, 의사소통, 심리적 안정, 행동관리 5영역 154개 문항의 ICF-CY 기반 재활능력 진단검사를 개발하였다. 이 문항들은 합의도, 수렴도, 내용타당도 비율이 양호하였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토대로 중도․중복 장애학생의 개별적인 특성과 요구에 부합하는 진단검사가 개발되었으며, 이를 기초로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추후 과제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 the scale for diagnosis on the rehabilitation competence for students with severs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order to check the correct level of rehabilitation function and provide them with individualized supports. Method: To these ends, this study followed two steps. First, items for diagnosing on rehabilitation function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rehabilitation subject of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Second, for the verification on the appropriateness of scale, 20 expertises on special education were asked to examine the extracted items using Delphi metho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mean, skewness, quartiles) and identifying a level of consensus, a level of convergence, and rate of content validity. Results: Through a series of procedures, the scale for diagnosis on the rehabilitation competence based on ICF-CY was developed. As well, 5 domains such as ‘sensory motor’, ‘independent living’, ‘communication’, ‘psychological stability’, ‘behavior management’ and 154 items included in 5 subdomains were extract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further challenges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o offer diagnosis and supports meeting the individualized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 KCI등재

        메타버스 기반 고용증진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인의 디지털정보역량과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효과

        박재국,김은라,김현지,강주현,이설희 한국발달장애학회 2023 발달장애연구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metaverse-based employment promotion education programs on the digital information capabilities and employment possibilities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in a rapidly changing employment environment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research method was implemented by designing a metaverse-based employment promotion program for a total of 20 sessions for 7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who wish to get a job.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digital information competency of the study participants increased somewha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execution, b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mployment possibility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as implement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pre-post recognition in the sub-area of 'setting job goals' also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metaverse-based programs as a new teaching-learning strategy to improve digital information capabilities and employment potential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in the future was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과 함께 빠르게 변하는 고용환경에서 메타버스 기반의 고용증진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지적장애인의 디지털정보역량과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취업을 희망하는 지적장애인 7명을 대상으로 총 20차시의 메타버스 기반 고용증진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실행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참여자의 디지털정보역량은 프로그램 실행 전-후를 기준으로 다소 수준이 증가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적장애인의 고용가능성은 프로그램 실행 전-후를 기준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구직목표 설정’의 하위영역의 사전-사후 인식 수준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지적장애인의 디지털정보역량 및 고용가능성 증진을 위한 새로운 교수-학습 전략으로써 메타버스 기반 프로그램의 가능성에 대하여 논하였다.

      • KCI등재후보

        통합교육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에 관한 교사의 인식

        박재국,김경희,김소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5 No.4

        본 연구는 통합교육의 전제조건인 물리적 장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최근 강조되고 있는 특수교육 및 재활 분야에서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특수교사 및 일반교사(N=198)를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얻어진 주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니버설 디자인의 중요성이 높게 인식되고 있는 반면, 실제로 학교편의시설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 수준은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 둘째, 전반적으로 편의시설 중요도에 대한 인식은 높은 반면에 상대적으로 편의시설 지식도에 대한 인식은 낮았다. 셋째, 편의시설의 중요도가 높은 반면, 낮은 설치율에 기인하여 평가도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이 낮았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통합교육을 위한 학교 편의시설 개선 및 교사의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지식과 인식 개선의 필요성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 지체부자유인의 삶의 질 척도 개발과 적용 가능성 탐색

        박재국,손상희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2 특수교육 Vol.1 No.1

        We evaluated the level of life quality of the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analyz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ose persons to develop programs and policies improving the quality of their life. This study(n=192) was conducted with students over 15 years old from school of physical disabilities and with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B city on the bases of questionnair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btained from the answers on the questionnair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we developed a relatively reliable and reasonable measuring scale (SQLPD) with 33 question items on the bases of 5 factors such as finance, emotional stability, personal relationship, support structure and family relationship, in order to evaluate the level of life quality of those with physical disabilities. Second, according to SQLPD,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s unsatisfactory in general. In the satisfaction level, the emotional stability is the highest. the family relationship next, and subsequently the personal relationships, the finance and then the support structure. Third, the level of quality of life of the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as depended on the degree of disability, the existence of chronic disease, family income, use of internet and habitation. Therefore, these conditions need to be equipped in their circumstance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lives. 본 연구는 지체부자유인의 삶의 질 척도를 개발하고 이 척도를 통해 지체부자유인의 삶의 질 수준을 분석함으로써 지체부자유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및 정책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B광역시에 거주하면서 장애인 등록증을 소지하고 있는 만 15세 이상의 지체부자유학교 재학생과 지체부자유인 192명으로부터 설문지에 대한 유효한 회답을 얻어 분석한 결과 얻어진 주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부자유인의 삶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물질 및 경제, 정서적 안녕, 대인관계, 지원체제, 가족관계의 5요인, 총 33문항으로 구성된 비교적 신뢰성과 타당성이 인정되는 척도(SQLPD)를 개발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구성한 SQLPD를 통해 검토한 지체부자유인의 삶의 질은 전반적으로 만족된 수준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일반적인 삶의 질 경향과는 달리 정서적 안녕, 가족관계, 대인관계, 물질 및 경제, 지원체제의 순으로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다. 셋째, 지체부자유인의 삶의 질 수준은 장애등급, 만성질환 유무, 가정수입 정도, 인터넷 사용여부, 주거 상황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