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항공기 보건 및 응급처치 훈련에 관한 연구

        박윤미 청주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24 경상논총 Vol.16 No.2

        최근 항공 산업은 급격한 발전을 이루어 왔으며, 이에 따라 승객의 안전과 항공기 운영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항공 여정 중 다양한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승객의 안전을 책임지는 객실승무원의 역할은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항공기 보건 및 응급처치 훈련은 객실승무원의 역량을 강화하고 비상 상황에서의 효과적인 대응을 보장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항공기 기내 보건을 총괄하는 객실승무원의 다양한 역할에 대한 심층적인 고찰을 통해, 항공사 객실승무원이 맡고 있는 다양한 교육 요구 사항과 역할에 대한 책임을 강조하고자 하며, 뿐만 아니라, 항공사에서 제공하는 객실승무원의 항공기 보건 및 응급처치 훈련 프로그램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현황을 정리하고자 한다. 또한, 이 연구는 단순히 이론적인 고찰을 넘어, 실제 응급 상황에서의 대응 능력을 평가하고 개선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하고자 하며 항공사와 객실승무원의 안전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언을 수립하고, 항공 산업의 안전성을 한 단계 더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표를 통해, 항공 여정 중 발생 가능한 다양한 응급 상황에 대비한 객실 승무원의 훈련과 역할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도출하고, 항공 산업의 안전성을 강화하는 데에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오대산 상원사 불복장 저고리에 관한 고찰

        박윤미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2 불교문예연구 Vol.- No.20

        There is a boy Manjushri statue and a Manjushri statue in Munsujeon of Sangwonsa Temple, located in Odaesan Mountain, Gangwondo. The boy Manjushri statue was made in 1466 and inside the statue were two jeoksams(unlined jacket worn for summer or undershirt) made in the style of the early Joseon jeogori(jacket). One is made from plain silk and the other from plain gauze. The artifacts found in the statue were designated as Treasure no.793 and were labled as ‘Plain Weave Jeoksam’ and ‘Silk Tabby Jeoksam’. However, the silk tabby jeoksam is made from plain gauze, and therefore needs to be renamed. A jeogori with decorative patches was found in the process of opening of the Manjushri statue in 1973, which was designated as Important Folklore Material no.219 and was named ‘Jeogori with Decorative Patches from King Sejo’s Era’ in 1987. The Manjushri statue was made in 1661, but the jeogori shows characteristics of jeogori from the early Joseon period, and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Manjushri statue was not the statue that the jeogori was originally enshrined in. According to the balweonmun(letter of vow) of the Manjushri statue written by Princess Uisuk, eight Buddha and Bodhisattva statues as well as Nahan statues were created and ensrhined in Munsusa in 1466, which also shows the possibility that the jeogori was originally enshrined in a different statue made in during that time. Therefore, the jeogori with decorative patches here needs to be renamed also. The style of the jeogori may be of the early Joseon dynasty, but it is not clear whether it is during the era of King Sejo, and therefore must be renamed as “Jeogori with Decorative Patches”. 강원도 오대산 상원사의 문수전에는 문수동자상과 문수보살상이 모셔져 있다. 문수동자상은 1466년에 조성된 불상이며 1984년에 복장유물이 발견되었는데 그 가운데 조선 초기의 저고리인 명주 적삼과 무문사 적삼이 포함되어 있다. 복장유물들은 일괄 보물 제793호로 지정되었는데 저고리의 문화재명칭은 ‘명주 적삼’과 ‘생명주 적삼’이었다. 그러나 생명주 적삼의 소재는 무문사이므로 명칭 변경이 필요하다. 1973년 문수보살상을 개금하는 과정에서 회장저고리 한 점이 발견되었으며, 이 저고리는 1987년에 ‘세조대의 회장저고리’라는 문화재 명칭으로 중요민속자료 제219호로 지정되었다. 문수보살상은 1661년에 조성되었는데 불상안에서 발견된 회장저고리는 조선 초기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어 저고리의 원복장 불상은 문수보살상이 아닌 것으로 여겨진다. 문수동자상의 의숙공주 발원문에 의하면 1466년에 8구의 불보살상(佛菩薩像)과 나한상 등을 조성하여 문수사에 봉안했다는 내용이 있어 당시 조성되었던 다른 불상의 복장물이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리고 회장저고리가 조선 초기의 저고리이기는 하나 세조와의 관계가 확실한 것은 아니므로 ‘세조대의 회장저고리’보다는 ‘회장저고리’로 변경하는 것이 합당하며 출처에 대한 보충 설명 또한 필요하다고 본다.

      • KCI등재

        국가기록원의 정부간행물 웹 서비스의 한계와 개선 방안

        박윤미,Park, Yun-Mi 한국기록학회 2014 기록학연구 Vol.0 No.39

        정부간행물은 국민과 정부 사이의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매체이자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원이다. 기술의 발달로 정부간행물의 출판형태와 서비스 양상이 급변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정부간행물 서비스는 이러한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국가기록원에서는 각 공공기관으로부터 정부간행물을 납본 받아 공공기록물의 일종으로 수집 관리 서비스 하고 있지만 간행물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어 이용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헌연구, 정보공개청구, 웹 사이트 조사, 면담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국가기록원 정부간행물 웹 서비스에 대한 전면적 검토와 서비스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정부간행물의 정의와 유형, 특성과 기능, 관련 정책과 법령을 검토하고 정리하였으며, 웹 서비스 조사의 측면을 도출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포괄성, 최신성, 원문 접근성을, 검색 용이성, 검색 체계성 등 5가지 측면의 조사 항목을 설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국가기록원의 정부간행물 웹 서비스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렇게 분석된 문제점들을 바탕으로 문제의 원인과 개선방안을 찾기 위하여 발행기관 및 국가기록원의 정부간행물 담당자 면담을 실시하였다. 특히 문제의 원인을 찾고 개선방안을 제안하려면 서비스 단계만을 분석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여 정부간행물의 생애주기 전반에 걸친 조사 분석을 시도하였다. Government publications, as the important media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public and the government, have served as informational sources to provide a variety of information. Although technological development led into sharp changes in the types and services of government publications, the Korean service of government publications has yet to respond to the changes properly. The web service of government publications is provided only in the archives-based way with no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vernment publications, so that it is considerably difficult to use the service. Therefore,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request of information disclosure, website survey, and interviews, this work overhauled the web service of government publications provided by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suggested an improvement plan of the servi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point that it suggested an improvement plan for the web service of government publications, which have been managed as a sort of archives but have been placed in the blind spot of service, through interviews with the persons in charge of government publications in relevant public organizations and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 KCI등재

        취업스트레스가 학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과 진로장벽의 매개효과 검증

        박윤미,양지인 한국취업진로학회 2019 취업진로연구 Vol.9 No.2

        경기침체에 따른 실업률 증가는 대학생 취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더욱이 학교 입학과 동시 에 취업의 방향을 명확히 설정하였지만 교육성과에 대해 가늠할 수 없는 항공서비스학 전공 학생 들은 극심한 스트레스를 겪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항공서비스 전공 관련 학과 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가 학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검증하고 자기효능감과 진로장벽에 대한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첫째, 항공서비스 관련 학과의 취업스트레스, 학과만족도, 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의 유의한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둘째, 항공서비스 관련 학과 학 생들의 취업스트레스를 통한 자기효능감과 진로장벽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 구결과 첫째, 취업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 진로장벽, 학과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이 학과만족도, 진로장벽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 째, 진로장벽이 학과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취업스트레스와 학과 만족도간 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갖게 되며, 마지막으로 취업스트레스와 학 과 만족도간 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이 유의한 이중매개효과를 갖게 됨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항공서비스 관련 학과 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한 학과만족도 제 고 방안이 마련되어져야 하며, 이에 따라 학교 차원의 제도 개선 및 학생 개인을 위한 맞춤형 프 로그램 제공 등의 노력이 수반되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추후 연구에서는 4년제 항공서비스학 전공 학생 뿐만 아니라, 2년제 항공서비스 전공 학생의 데이터를 동시에 수집하여 영향관계를 파악하 고, 비교 분석하며 하위변수를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학문적, 실무적으로 심층적인 연구 가 필요함을 제안하고 있다. The increase in the unemployment rate due to the economic recession has actually led college students to face many difficulties in employment. Furthermor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service, who have already identified their direction for employment as soon as they entered college, are suffering from severe stress.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s of job-seeking stress among thes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service on their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career barrier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termine the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job-seeking stress,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self-efficacy, and career barriers in the aviation service department, and 2)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career barriers through the job-seeking stress of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job-seeking str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career barriers, and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Second,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and career barriers. Third, career barri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Fourth, self-efficacy and career barriers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Finally, self-efficacy and career barriers had significant double mediating effects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lans to increase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in order to reduce the job-seeking stress of its students, to improve the system at the college level, and to provide customized programs for individual students accordingly.

      • KCI등재

        원당암 목조아미타불좌상 복장직물의 특성

        박윤미,강선정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9 南道文化硏究 Vol.0 No.38

        Wondangam is an old temple built alongside Haeinsa under the name of Bongseosa. Many textiles in excellent condition were found inside Wondangam’s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Statue. The weave and motif of the textile help in determining its date. Among the textiles found in the statue: the twill with supplementary wefts is made through compound weave, the ground weave is twill and the ratio of the ground weft to the supplementary weft is 1:1. The satin with supplementary weft has a ground weave of satin and the ratio of the ground weft to the supplementary weft is 3:1. The green twill with supplementary weft has a similar weave, pattern and pattern size as a textile from 1302. A satin damask with cloud and treasure motifs show clouds that have the three ruvi shapes, a pattern which came before the four ruvi shapes that was popular during the Joseon era. The patterned satin seems similar to the cover of Buddhist scriptures from Naesosa. Therefore, judging from the weave and pattern, the textiles that have determined dates seem to be from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to the early of the Joseon Dynasty. However, there are tabby and simple gauze for which dates cannot be determined, and therefore there may be some textiles that have been put into the statue again in 1694. 원당암은 802년에 봉서사라는 이름으로 해인사와 함께 창건된 고찰이다. 2017년원당암에 모셔진 목조아미타불좌상의 개금불사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복장물이발견되었는데 고려시대의 전적을 비롯하여 1694년의 중수 개금불사가 기록된 복장기문도 조사되었다. 복장유물 가운데 직물류도 상당수 포함되어 있으며 보존상태는 매우 좋다. 복장직물로는 1375년에 간행된 성불수구대다라니의 표장, 포갑 직물과 3점의 주머니, 보자기 등이 있는데 성불수구대다라니를 제외하고 나머지 유물의 납입 연대는 불분명하다. 본 연구에서는 직물류 유물의 조직, 무늬, 색채 등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고, 연대가비교적 정확한 현전 유물들과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연대를 추정해보고자 한다. 직물의연대를 구분할 때에는 직물의 조직과 무늬를 참고할 수 있다. 원당암 복장직물 가운데중조직인 직금능은 바탕조직이 능직이며 지위사와 문위사의 비율이 1:1이고, 직은단의바탕조직은 수자직이며 지위사와 문위사의 비율은 3:1이다. 이러한 조직은 조선 중기이전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직물의 무늬를 검토해보면 초록직금능의 소화문은 1302년의 직물과 조직과 문양, 그리고 단위 무늬의 크기가 거의 흡사하다. 운보문단은 구름이삼합여의 형태로 조선시대에 유행했던 사합여의 형태 이전 유형이며, 문능은 1415년의내소사 포갑과 유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직물 조직과 문양을 고려해보면 직금능주머니와 운보문단주머니, 그리고 문능보자기는 고려 말~조선 초기의 것으로 여겨진다. 복장직물의 색채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인 색채 값을 보면 노란색(Y)계열, 주황색(YR) 계열, 빨간색(R)계열이 주를 이루며 녹색(G)계열과 남색(PB)계열이 안과 겉에 분포된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복장직물의 색채값으로는 시대의 구분은 불가능하였다. 복장직물가운데 시대의 구분이 불가능한 주(紬)와 무문사 등이 있고 1694년의 복장기문이 함께발견되었으므로 아미타불좌상의 복장직물은 고려 말부터 1694년도의 것이 혼재된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Cytogenetic evaluation of a patient with ring chromosome 9 presenting failure to thrive and developmental delay

        박윤미,김숙자,안영민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8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1 No.4

        We report clinical, cytogenetic, and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studies of a patient with ring chromosome 9. She presented with failure to thrive, facial dysmorphysm and mild psychomotor development delay in the absence of major malformations. Peripheral blood karyotype of the patient was 46,XX,r(9)(p24q34). G-band analysis suggested no loss of material in the ring chromosomes. FISH analysis using the subtelomere-specific sequences on chromosome 9p and 9q, revealed 46,XX,r(9)(p24q34),ish r(9)(D9S913-,D9S325+). Failure to detect any hybridization of a probe for the subtelomeric sequences in the ring 9p terminal suggested that this ring arose from breakage in the distal short arm. The cytogenetic and FISH data in our case provided further evidence for the existence of a "complete ring" phenotype with incomplete subtelomeric sequences. (Korean J Pediatr 2008;51:426-430)

      • KCI등재후보

        HCV 헌혈유보군에서 해제 검사 결과 분석

        박윤미,박지영,강재원,권소영,오덕자,박규은 대한수혈학회 2009 大韓輸血學會誌 Vol.20 No.2

        Background: The donor deferral registry (DDR) program has been operating since 2004. The donors who registered in the DDR are prohibited from donating blood. But some of them can enter the eligible donor group if they pass a reentry test. W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reentry tests for the HCV deferred donors. Methods: A total of 587 donor samples were tested during 18 months (July. 2007∼December. 2008). Anti-HCV (ARCHITECT HCV, Abbott, Wiesbaden, Germany), RIBA (LG HCD confirm, LG Life Sciences, Daejeon, Korea), and HCV RNA (PCR with COBAS AMPLICOR HCV, Roche, Molecular Systems, Inc. Branchburg, USA) were used for detection. The donors showing negativity for all the test items were released from the DDR. Results: Among the 587 subjects, 466 (79.4%) of the donors who showed negative results on the tests were released from DDR. The donors who showed variable positive results for the tests were not released. Only 15 donors of 121 donors showed positive or indeterminate (ID) results according to the anti-HCV, RIBA and the PCR results. Conclusion: Those people with RIBA ID with negative results in anti-HCV and PCR results were unnecessarily kept on the retained in DDR unnecessarily. The algorithm of the reentry test for HCV deferred donors seems to needs to be reevaluated to for the saveing eligible donors. 배경: 2004년부터 운영되어오고 있는 헌혈유보군등록 프로그램에 등록된 자는 헌혈이 배제되고 있다. 이들 중 일부는 헌혈유보군 해제검사를 통하여 헌혈을 할 수 있게 되는데 HCV 헌혈유보군 해제가 의뢰된 검체에 대한 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7년 7월 1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18개월 동안 HCV 헌혈유보군 해제검사가 의뢰된 587검체에 대하여 검사를 실시하였다. Anti- HCV 검사는 chemiluminescent microparticle immunoassay (CMIA) 방법으로 ARCHITECT Anti- HCV (Abbott, Wiesbaden, Germany)를 사용하여 ARCHITECT i2000SR (Abbott, Wiesbaden, Germany)로 하였고, RIBA 검사는 3세대 시약인 LG HCD confirm (LG Life science, Daejeon, Korea)을 사용하여 면역블롯장비인 Profiblot T48 (Tecan Austria GmbH, Grödig, Austria)을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PCR은 COBAS AMPLICOR Hepatitis C virus Test, version 2.0 (Roche Molecular Systems, Inc. Branchburg, USA) 시약을 사용하여 COBAS AMPLICOR (Roche Diagnostics, Basel, Switzerland)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결과의 통계처리는 Chi-square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해제검사가 의뢰된 587명 중 466명(79.4%)에서 시행한 검사에서 모두 음성 결과를 보여 DDR 해제가 가능하였고, 121명(20.6%)은 해제가 불가능하였다. 해제되지 못한 121명 중 세 가지 검사에서 모두에서 양성(또는 RIBA에서 ID) 결과를 보인 경우는 15명(12.4%)에 불과하였다. 결론: HCV 헌혈유보군 해제 검사에서 anti- HCV나 PCR검사에서 음성임에도 RIBA ID로 해제되지 못하고 있는 사례들이 많다. 헌혈유보군 해제를 위한 HCV reentry test algorithm에 있어서 RIBA 검사의 유용성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수국사 불복장 섬유류에 관한 고찰

        박윤미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08 강좌미술사 Vol.31 No.-

        The Suguk temple is an old temple located in Seoul. The Amitabha statue of the Suguk temple has been recorded in 1239 to have been made around the late 13th century, and has been gold-plated again in the years 1389 and 1562. Among the artifacts found in the Amitabha statue, we know for certain that the dharani where placed there when the Amitabha statue was completed, and the rest of the remains are estimated to have been placed in the statue when during the second gold-plating in 1562. However, the costumes were found to have been mixed disregarding the age when they were excavated. Among the artifacts found in Amitabha statue, the fabric artifacts are the Jeogori, 20 sheets of Bojagi(wrapping cloths), 11 fabrics, 2 raw ramie, 1 silk skein, 2 skeins of hemp thread, etc. The weaving technique of ramie and cotton did not change much throughout the Goryo Dynasty and the Joseon Dynasty, which makes it hard to determine whether their ages of the production are during these eras. However, the ages of textiles with motif can be somewhat estimated by comparing the weaving technique and motif.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kinds of fabric artifacts and their distinctive quality, and compared their weaving technique, motif, etc. with other artifacts to estimate the age. The Jeogori found in Suguk temple is a Jeoksam made of ramie, and it has '全氏保体' written in ink. The overall look of the Jeogori showing a square-shaped collar, square-shaped sleeves and the triangle-shaped Moo exhibits the style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Most of the fabrics seem to be of the same age seeing that same fabric are cut inlittle pieces and used in Bojagi. The Bojagi with yellow flower motif twill shows similar textile construction and patterns of Bojagi in Naesosa(1415), and the black complex gauze is similar to the veil of the Papyeong Yoon(~1566). The red silk with supplementary silver weft threads is the same as the collar textile of the Pyeongsan Shin's of the late 16th century. Considering the patterns and textile characteristics, satins are estimated to have been placed in 1562. The red complex gauze with supplementary gold weft threads is the first of its' kind to have been found in Korea. Considering the climate of Korea and environment which is hard on the durability of fabrics, the fabrics found in the Amitabha statue of the Suguk temple are valuable to the study on the history of Korean costume. Also, the color of the textile is preserved and condition in which these textiles were found are excellent, which can help identify the preferred color, the dying and weaving techniques and so during that age. This shows profound academic value, with its' high historic and folk value. 수국사는 서울 은평구에 소재하는 古刹로서 대웅전에는 阿彌陀佛坐像이 봉안되어 있다. 2005년 11월에 불상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發願文과 改金記와 함께 경전, 다라니, 사리, 저고리 등 다량의 복장품이 발견되어 조사 되었다. 수국사 아미타불좌상은 1239년의 명문에 기록되어 있는 것과 같이 13세기 후반에 조성된 불상이며 1389년과 1562년 두 차례에 개금 중수되었다. 복장물 가운데 납입시기가 분명한 것은 다라니와 후령통으로 불상 조성기때에 납입된 것이고 나머지는 1562년 개금 중수 때의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조사 당시복장물들은 시대의 구분 없이 섞여있었는데 복장물의 경우 이와 같이 여러 시대의 것이 섞여 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수국사 복장유물 가운데 섬유관련 유물은 발원문, 저고리, 보자기 20점, 직물 11점, 태모시 2점, 명주실꾸리 1점, 삼베실 2점 등이다. 모시나 면의 경우에는 제직특성이 크게 변하지 않았으므로 고려와 조선시대의 것을 구분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문양이 있는 紋織物의 경우 직조기법과 문양에 의해 어느 정도 시대구분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섬유류의 종류와 특성을 조사하고, 기존에 발굴 조사되었던 직물들과 직조기법, 문양 등을 비교 검토하여 시대를 추정하였다. 수국사 불복장물 가운데 저고리는 모시적삼으로 ‘全氏保体’라는 묵서가 쓰여 있다. 목판깃과 직수의 소매, 그리고 삼각형의 무 등 전체적인 형태로 보아 조선전기 저고리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직물류에서는 동일한 직물이 직물편으로 남아있기도 하고 보자기에도 쓰인 것으로 보아 대부분의 직물류는 동일한 시기에 납입된 것으로 짐작된다. 홍색화문능겹보는 내소사의 자수보(1415년)의 바닥직물과 조직과 무늬의 조형이 비슷하며, 흑색무문라겹보는 파평윤씨(~1566)의 너울과 유사하다. 홍색직은단은 평산신씨(16세기 후반)의 회장저고리 깃의직물과 동일하다. 수국사 복장직물 중 문직물의 문양과 제직특성을 고려하면 1562년에 납입된 것으로 여겨진다. 그 가운데 홍색운문라와 같이 드문 직물도 발견되었는데 이외에도 길이 639㎝의 삼베, 목화송이, 실꾸리 등 흔치 않은 불복장물이 출현되었다.섬유류의 유물이 존속하기 어려운 우리나라의 기후․환경 조건 등을 고려한다면 수국사 복장직물류는 복식사의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직물의 색상이 온전히 남아 있으며 보존상태도 좋기 때문에 당시의 선호색상, 염색, 직조기법 등을 파악할 수 있어서 학술적인 가치뿐만 아니라 역사적, 민속적으로 귀중한 유물이다.

      • KCI등재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복장직물의 특성과 편년 고찰

        박윤미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8 南道文化硏究 Vol.0 No.35

        Sangwaonsa Temple, located in Jinbu-myeon, Pyeongchang-gun, Gangwon-do, a Wooden Seated Child Manjusri and a Wooden Seated Manjusri Bodhisattva are enshrined side by side in the temple’s Moonsu-jeon. The Wooden Seated Manjusri Bodhisattva is wearing a jeweled crown and is holding the stem of a lotus flower; an unusual form among Buddhist statues. The statue contained many Buddhist articles as well as a written record including information that the statue was built in 1661. According to the record, a court lady with the name of Byeon Myeo Ryeon has taken a major part in the offering. Other than the record, there were books and Huryeongtong articles, all have been collectively designated as treasure No. 1811. The Huryeongtong was not opened until July 9th, 2017 when textiles and grain found inside the artifact. The articles found in the Wooden Seated Manjusri Bodhisattva were textiles used for Obobyeong (five Bobyeongs), made from 11 types of textiles, one compound weave, six till weave, four satin weave pieces, all more expensive than plain woven silk. All used weaving techniques seen in textile articles produced around 1661 the order of production and was not through the weave. Therefore, patterns on the textiles were reviewed and were found consistent with patterns used in the 17th century, and thus the articles inside the Wooden Seated Manjusri Bodhisattva presumed to be the first articles inserted in a Buddhist statue during a construction. The Huryeongtong of the Wooden Seated Manjusri Bodhisattva should have also held Obobyeong in it. The Obobyeong holds the meaning of the five elements but were found to contain six. The east and west Bobyeongs were the only ones that were complete, the rest were mixed. When the Bobyeongs were rearranged according to the textile type and weave, there were six of them, and the Bobyeongs signifying North had excess pieces. We can assume that the Obobyeongs of the Huryeongtong was opened during the disassembly of the Buddhist articles stored in Buddha’s statue, and was then inaccurately rearranged reinserted. In the color analysis of the fabric,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the color measured by the naked eye and the color measured by the color difference meter. Gold thread is mainly composed of gold, and is made by mixing various materials such as carbon, silicon, aluminum, and silver.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에 위치한 상원사 문수전의 불감(佛龕) 내에는 목조문수동자상 과 목조문수보살좌상이 나란히 봉안되어 있는데 이 중 문수보살좌상은 화려한 보관을 착용하고 연꽃가지를 들고 있는 보기 드문 조형성을 지닌 불상이다. 이 불상 안에서 많은 복장물과 함께 1661년에 조성되었다는 발원문이 발견되었는데 발원문에 의하면 상궁 변묘련이 대시주로 참가하다고 한다. 발원문 외에 전적류와 후령통 등 복장유물 은 2014년에 일괄 보물 제1811호로 지정되었는데 후령통 내부는 해체되지 않은 상태 다. 이후 2017년 6월 9일 복장유물 가운데 당시까지 개봉하지 않았던 후령통을 해체 하여 그 안에 직물과 곡물 등이 납입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문수보살좌상의 복장직물은 보자기를 비롯하여 오보병으로 사용된 직물들인데 총 11종류이며 중조직 1, 능직 6, 수자직 4점으로 구성되어 있고 모두 평직의 비단보다는 값비싼 직물들이다. 복장직물들은 문수보살좌상이 조성된 1661년 전후의 복장직물에서 보이는 직물의 조직기법을 모두 사용하고 있었으므로 조직의 특징으로 편년을 구분하기 는 어려웠다. 따라서 직물에 표현된 무늬를 검토해본 결과 17세기에 사용된 직물인 것으 로 확인되었다. 문수보살좌상의 후령통 안에는 5방위를 의미하는 오보병이 안립되어야 하나 해체한 결과 6개가 들어있었으며, 동쪽과 서쪽에 해당하는 보병만 제대로 갖추고 있고 나머지는 혼재되어 있었다. 보병을 직물의 조직별, 종류별로 재구성하여 보니 6종 류로 분류되는데 북쪽에 해당하는 보병이 제대로 구성되어 있지 않았으며 3점이 추가된 상태다. 그러므로 추가된 3점을 제외하고 다른 오보병은 불상 조성 시에 최초로 납입 되었고 이후 재복장할 때에 오보병의 납입 규례에 맞지 않게 납입했던 것으로 추정되나 언제 재복장이 이루어졌는지는 확인할 수 없다. 직물의 색채분석에서는 육안으로 보이는 색과 색차계에 의해 측정한 색이 약간의 차 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직금단의 금사는 주성분은 금이고 탄소, 규소, 알루미늄, 그리고 은 등의 다양한 부재료를 혼합하여 제작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