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친 것들을 구원해 줄 수 있는 자연(自然) : 기형도 시 세계

        진영미 반교어문학회 2003 泮橋語文硏究 Vol.15 No.-

        우리 인간들은 자연의 운행 질서를 거역하는 것이야말로 자신들의 위대성을 실현하는 것인 양 착각하며 살아왔다. 기형도 역시 그의 <시작메모>에서 ‘한동안 무책임한 자연의 비유를 경계하느라 거리에서 시를 만들었다’고 하였다. 여기서 ‘만들었다’는 것은 인간의 힘이 작용한 위(爲)요 작(作)을 말한다. 무위(無爲)와 무작위(無作爲)인 자연의 상대개념이다. 기형도가 애써 거리에서 시를 만든 것은 참담한 삶에 비해 담담하기만 한 자연이 너무나 무책임하게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자연에 반기라도 들고 싶은 심정으로 애써 ‘거리에서 시를 만들었’고, 비록 그 ‘거리의 상상력은 고통이었’지만 그는 ‘그 고통을 사랑하였다.’ 그러나 인간은 자연 앞에 얼마나 나약한 존재인가. ‘그해 여름 땅바닥은 책과 검은 잎들을 질질 끌고 다녔다’.(<입 속의 검은 잎>) 여름과 대지(大地)라는 대자연의 위력 앞에 인간과 그들의 작품이 전혀 맥못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무리 고통을 사랑하였던 그였건만 결국 온갖 출렁거림 속에서도 도도히 흘러가는 물줄기와 같은 ‘그렇게 하지 않으려고 해도 절로 그렇게 되는’[莫之然而然] 자연의 도 앞에 고개를 숙이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자연의 이법적 질서 안에서 보면 빛과 어둠, 그리고 그 언저리에 놓여 있는 모든 것들은 자체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변화는 곧 생명력이다. 이 생명력은 희망이든, 절망이든, 아니면 희망과 절망이 뒤섞인 상태이든, 그 어떠한 것에도 깃들여 있기 마련이다. 아무리 빛과 어둠, 희망과 절망, 삶과 죽음의 관계가 한 치도 양보할 수 없는, 응집을 위한 구심력과 해체를 위한 원심력 사이의 팽팽한 줄다리기와 같은 긴장관계일지라도 그것들은 공존할 수밖에 없다. 서로의 관계는 절대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칠 수 없는, 그리하여 대립 충돌 속에서도 상보할 수밖에 없는 자연의 운행 질서이기 때문이다. 기형도가 인간의 잣대가 아닌 자연의 잣대로 인간의 삶을 진단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인간은, 아무리 대낮의 빛을 차단하고 어둠을 마음대로 지배함으로써 꽝꽝 빛나는 불빛으로 인해 스스로 황홀해하거나 곤두박질칠지라도 기본적으로 인간 역시 나뭇잎과 같은 존재이기에 끝내는 공중에 날리던 눈이 땅속에 스며들 듯 자연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 이것은 그 동안 숱하게 저질러온 인간의 과오들이 자연의 품안에서는 어느 정도 화해의 가능성이 있음을 암유(暗喩)한 것이기도 하다. 기형도 시가 빛과 어둠의 부조화로 인한 비정상적이고 뒤틀린 세상을 조형해낸 것으로 그쳤다면, 그의 시는 암울하기만 했을 뿐 독자들에게 그다지 큰 감동을 주지 못했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빛과 어둠의 세계를 예리하게 그리고 냉엄하게 진단함으로써 그것들의 내밀한 의미를 찾는 동시에 인간의 작위(作爲)로 인해 초래된 온전치 못한 세상을 치유하고자 하였다. 기형도는 인간을 자연물과 동일시함으로써 빛과 어둠, 절망과 희망, 삶과 죽음의 문제를 인간 중심적 차원이 아닌 우주론적 차원으로 끌어올리고 있다. 기형도가 가장 위대한 잠언이 자연 속에 있다고 하였듯, 기형도 시의 생명력과 위대성 역시 자연 속에 있음을 알 수 있다. 人類一直把對自然秩序的違逆當作偉大的自我實現而生活至今. 奇亨度亦在其 小序 中說道:“爲了警척一段時間以來對自然不負責任的比喩, 我在路上作了這首詩.”這里‘作詩’的行爲是一種利用人類力量的‘作’和‘爲’. 而‘無爲’和‘無作爲’則是自然的相對槪念. 在大自然的二元對立秩序中, 光明和黑暗, 以及置于他們周圍的一切物體本身都在不斷的變化. 變化就是生命力. 不管這生命力是希望, 是絶望,還是希望和絶望錯綜的狀態, 他們都必然蘊涵于萬事萬物之中. 雖然光明和黑暗, 生和死之間一寸也不能互相讓步, 雖然這種指向凝聚的向心力和指向解體的離心力之間維持着如拔河一樣 緊的狀態, 但他們却又不得不共存一處. 因爲自然的秩序就是這樣, 兩者不肯向任何一方傾斜,同時却又在相互?突中互補. 奇亨度不以人類的判斷標準, 而以自然的判斷標準來診斷人生的原因正在于此. 不管人類是如何的遮斷白天的陽光, 如何隨心的支配黑暗, 如何因耀眼的火光獨自恍惚或眩暉, 他們從根本上說都只是如樹葉般的存在而已,最終都只能像飛向空中的雪花重新潛入大地一樣又回到自然. 這也是一種暗喩, 暗示着人類在其間所犯的錯誤終究有可能在大自然的懷抱中得 到某種程度的和解. 如果奇亨度的詩僅僅停留在對由于光明和黑暗的不和解而引起的非正常的뉴曲的世界的描寫的話, 他的詩便只會充滿陰暗, 而不會給讀者帶來深深地感動, 然而他對光明和黑暗進行了敏銳, 冷靜地分析, 再?到他們表現出來的意義的同時, 幷試圖治愈由于人的所作所爲而導致的不健全的世界. 奇亨度認爲人和自然萬物同時存在, 所以把光明和黑暗, 希望和絶望,生和死的問題題升到了宇宙觀論的層面, 而不是停留在人本主義的層次.奇亨度曾說最偉大的箴言就在自然之中, 而奇亨度詩作的生命力和偉大性亦蘊含在自然之中.

      • Network externality, 기술 확산과 소셜 네트워크

        진영미 한국통신학회 2012 정보와 통신 Vol.29 No.7

        새로운 정보나 기술 확산에 대한 연구가 소셜네트워크의 발전과 함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정보와 기술 확산에는정보/기술의 품질과 함께 얼마나 많은 사람이 정보/기술을 선택했는 지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동일한 정보/기술을 선택한 사람들 수를 network exteranlity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의사결정을 할때에는 본인의 가족,친구등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사회적 관계도 또한 network externality는 단순히 동일한 선택을 한 사람수가 아닌 사회적인 관계가 있은 사람들 안에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동일한 선택을 하는지가 중요하게 된다. 이러한 사회적 관계는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다. 사회적 관계에 의한 영향들은 사람과 사람들간의 local interaction에 의해 결정된다. 본 고에서는 network 상에서 정보/기술이 확산 연구의 전반적인 주제들을 network externality 관점에서 살펴보고, 현재 활발하게 진행중인 연구 주제들을 알아본다.

      • KCI등재
      • KCI등재

        회전 경로 보폭 조절 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하지 근 활성도 및 보행에 미치는 효과

        진영미,SONGBRIAN BYUNG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7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0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urved path gait training and general gait training on the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and gait ability for stroke patients. Method: Twenty-Seven with stroke were randomly assigned in two groups. Experiment group(n=13) performed the curved path stride gait training. Control group(n=14) performed the general gait training. In the Experiment group, the curved path stride gait training was performed 30 minutes 5 times a week for 8 weeks. Control group also performed general straight time gait training 30 minutes 5 times a week for 8 weeks. Surface EMG was used to measure the changes in lower limb muscle activity. The gaiting ability was assessed by Dynamic Gait Index(DGI), Time Up and Go Test(TUG), 10m walking test, Figure of 8 walk Test(F8WT). Results: First,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mproved in the leg muscle activity test after the gait training.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re-and post-training change comparing with control groups(p<.05).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Dynamic Gait Index, Time Up and Go Test, 10m walking test in the gait ability test after the gait training i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p<.05).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control group with the Figure of 8 walk Test(p>.05).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urved path stride gait training was effective for the activation of the leg muscle and improvement of the gaiting of the stroke patients. 연구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하지 근 활성화 및 보행 개선에 회전 경로 보폭 조절 보행 훈련과 일반 보행 훈련의 효과가 다른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뇌졸중으로 진단 후 6개월 이상의 뇌졸중 환자 27명을 대상으로 선정 하여 회전 경로 보폭 조절 보행 훈련을 한 연구군 13명, 일반 보행 훈련을 이용한 대조군 14명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군에는 회전 경로 보폭 조절 보행 훈련을 적용 하였고, 대조군에는 일반 보행 훈련을 각각 주 5회, 1일 30분, 8주 동안 실시하였다. 훈련 후 평가는 하지 근 활성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서 표면근전도(Telemyo 2400 G2 Telemetry EMG system, Noraxon, U.S.A. 2007)를 사용하여 집단 간의 하지 근 활성도 차이를 보았고, 동적보행 지수(DGI), 일어나 걸어가기(TUG), 10m 보행 검사, 8자 곡선 보행 검사(F8WT)를 통해 집단 간에 보행 개선의 차이를 비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군과 대조군 모두 보행 훈련 후 하지 근 활성도 검사에서 향상되었고(p<.05), 두 집단 간 훈련 전, 후 변화량에서는 연구군이 대조군 보다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둘째, 회전 경로 보폭 조절 보행 훈련을 한 연구군과 일반 보행 훈련을 한 대조군 모두 보행 훈련 후 보행 능력 검사에서는 동적 보행 지수, 일어나 걸어가기, 10m 보행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p<.05). 그러나 대조군은 8자 곡선 보행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 효과가 없었다(p>.05). 두 집단 간 훈련 전, 후의 변화 차이에서는 연구군이 대조군에 비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 이 연구 결과를 통해서 회전 경로 보폭 조절 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하지 근활성화 및 보행 개선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조선과 일본 문헌에서의 통신사행원 명단 비교 고찰 - 『통신사등록』과 『조선통신총록』을 중심으로 -

        진영미 열상고전연구회 2016 열상고전연구 Vol.49 No.-

        조선 후기 통신사행 때, 적게는 300여명, 많게는 500여명의 사행원이 일본에 다녀왔다. 그런데 조선 측 문헌과 일본 측 문헌에 기록되어 있는 사행원의 명단을 비교 고찰해보면, 동일인물임에도 불구하고 성명이 각각 달리 소개되어 있는 경우를 적지 않게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 점에 초점을 맞추어 조선 측 문헌 『통신사등록(通信使謄錄)』과 일본 측 문헌 『조선통신총록(朝鮮通信總錄)』을 기본 텍스트로 선정하여, 각각 어떤 문헌인지 서지적 검토를 한 뒤 이어 동일인물로 추정되는데 양국 문헌에 달리 소개되어 있는 통신사행원들을 중심으로 이들의 성명이 어떻게 달리 표기되어 있는지 그리고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났는지 등을 고구해보았다. 그 결과, 한편으로는 유사한 한자로 인한 오기(誤記), 동음(同音)으로 인한 오기, 탈자와 뒤바뀜으로 인한 오기 등이 발견되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름 대신 자호(字號)와 관직명으로 기록한 경우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부분 조선 측 문헌인 『통신사등록』에는 오기가 적은 반면, 일본 측 문헌인 『조선통신총록』의 기록에 오기가 많았다. 일본 측 문헌에 오기가 많은 이유는 조선에 비해 정확한 정보를 얻기가 쉽지 않고, 또한 필사본을 보고 다시 필사를 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고유명사란, 어느 특정한 사람이나 사물을 다른 것과 구별하기 위하여 고유의 기호를 붙인 이름인데, 이처럼 사행원 명단에 적지 않은 오기가 발견된다는 것은 문제가 아닐 수 없어, 다양한 방증자료를 통해 명단의 오기를 바로잡는 데에도 역점을 두었다. In late Chosun dynasty, between 300~500 Korean correspondents went to Japan. By the way, based on a comparison study of Chosun literature and Japan literature, we can considerably discover that many correnspondents’ names were written differently in each literature, even if they are the same person. In this paper, Chosun’s literature (Tongshinsadeungrok) and Japan’s literature (Chosuntongshinchongrok) will be reviewed and studied bibliographically to find out why this phenomenon happened and how correspondents’ names were written differently. As a result, we have discovered some differences such as misspelling due to similar Chinese character, same pronunciation words, an omitted words, and a reversed words. On the other hand, person’s name was written in one’s literature where person’s job position or Nichname was written in other literature. There were much fewer errors found in Chosun’s literature (Tongshinsadeungrok) compared to Japan’s literature (Chosun- tongshinchongrok). The main reason why there are more errors in Japan’s literature is because it was not easy for Japan to collect accurate information of Chosun, and they often transcribe the manuscript which can lead to errors. Ultimatel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rrect the errors of one significant correspondent’s name which listed differently in two different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