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글본 연행록에 나타난 중국 여성

        문려화 한국고전연구학회 2020 한국고전연구 Vol.0 No.51

        Yeonhaengrok is a travel journal written by envoys who travelled to China during the Joseon dynasty. It records the natural scenery, culture, and daily life experienced during the visit. It is a valuable cultural heritage document that shows the history, politics, social culture, and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Korea. It can be divided into Chinese and Hangul; most relate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Chinese version.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Chinese women and in the way Joseon envoys view women in the earliest of the 14 types of the original Hangul that have been unearthed so far, including Jo- cheonilrseng(朝天日乘), Yeonhaengilrki(연일긔), Eul-Byeong-Yeonhaengrok (을병연녹), Muo-yeon-hangrok(무오연녹), Bukyeongihaeng(븍연긔), and Yeonhaeng-rok(연녹). Given that the author were familiar with Chinese ideology and the patriarchal system, their view of Chinese women will be an indicator reflecting change among the Joseon literati and in the official consciousness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he Chinese female images in Yeonsailrok reflect the specific images and existing ideas in the authors’ eyes. They had a special interest in Chinese women’s clothing and attire, separating Chinese women into two categories, namely the “woman of Han(漢女)” and the “woman of Hu(胡女)” and generally expressing affirmation toward them. This shows that the authors took pride in inheriting the tradition of the Ming dynasty and expressed a sense of Sojunghwa(小中華). The main readers of Hangul Yeonhaengrok are Korean women, and they build knowledge on China and form images of Chinese women. Thus, the images of the “woman of Han” and the “woman of Hu” in Hangul can be seen as a device to attract female readers and strengthen women’s virtues. 연행록은 조선 사신들이 중국에서 체험한 문물제도, 일상문화 등에 대한 보고서이고 중국과 한국의 정치와 외교 관계를 보여주는 문화유산이다. 연행록은 한문본과 한글본으로 나뉘는데 다수의 연구가 한문본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왔다. 본고는 한글본 14종 중 가장 이른 시기의 <조천일승(朝天日乘)>부터 <연일긔>, <을병연녹>, <무오연녹>, <븍연긔>, <연녹>을 중심으로 조선 사신이 포착한 중국 여성의 모습을 살펴봄으로써 중국 여성의 변화 양상과 저자들이 여성을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를 고찰하고자 한다. 중화사상과 가부장제에 익숙한 저자들이 중국 여성을 어떻게 바라보는가는 명나라와 청나라 조정에 대한 조선 사대부들의 의식 변화를 반영하는 지표가 될 것이다. 연행록에 나타난 중국 여성의 형상은 저자들이 확인한 구체적인 모습과 기존의 관념이 함께 작동하며 만들어진 것이다. 저자들은 중국 여성의 복식과 단장에 각별한 관심을 보였으며, 중국 여성을 ‘한녀(漢女)’와 ‘호녀(胡女)’로 구분하고 대체로 전자를 긍정하는 태도를 드러냈다. 이것은 조선이 한족 중심의 명나라 전통을 계승하고 있음에 대한 자부감이나 ‘소중화(小中華)’ 의식을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읽힌다. 이러한 인식은 후기로 오면서 변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저자들이 주목한 한녀와 호녀의 모습은 조선 여성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내용이며, 여성의 덕목을 강화하기 위한 장치로 기능했다고 볼 수 있다. 한글본의 주 독자층이 조선 여성이고 그들은 한글 연행록을 통해 중국에 대한 지식을 쌓고 중국 여성에 대한 이미지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조선족문학과 고려인문학 발전단계 연구

        文麗花,오상순 한국문학연구학회 2014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2

        . 본고에서는 중국 조선족문학과 구소련 고려인문학의 발전단계에 초점을 맞추어 조선족문학과 고려인문학의 동질성과 이질성 및 그 원인을 밝혀보고 이들 문학의 특성과 의의를 조명하고자 한다. 세계 한민족문학에서 특별히 이 두 지역에 초점을 둔 원인은 조선족과 고려인이 이주지로 선택한 원인 및 거주지의 생활환경이 비슷하다는 점, 중국과 구소련은 모두 사회주의 국가라는 동일한 체제의 나라이고 사회주의 건설과정에서도 유사한 정치체제와 경제발전 패턴을 보였다는 점, 문예사상과 문예정책면에서 중국문학은 구소련문학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고려인문학과 조선족문학도 그 영향 속에서 발전했다는 점, 조선족과 고려인은 이민으로부터 지금까지 한글 창작을 견지해 왔다는 점 등에서 공통성을 보이기 때문이다. 우선, 본고는 조선족문학과 고려인문학 발전단계를 크게 형성기, 발전기, 성숙기로 나누었다. 조선족문학의 경우, 이주로부터 1945년 광복까지를 형성기로 볼수 있는데 형성기는 다시 1930년을 전후하여 망명문학기와 이민문학기로 나눈다. 고려인문학의 경우, 『선봉』의 창간으로부터 폐간까지(1923~1937)를 형성기, 1938년 『레닌기치』창간으로부터 1953년 스탈린 사망까지를 저조기로 볼 수 있다. 발전기는 조선족문학의 경우, 1945년 광복 후부터 1954년까지를 재건기로, 1957년부터 1978년까지를 저조기로 나눌 수 있고 고려인문학의 경우, 『레닌기치』가 카자흐스탄 소비에트 사회주의공화국 신문으로 승격된 1954년부터 니키타 흐루쇼프(1894-1971), 레오니드 브레즈네프(1906-1982)의 집권 시기를 거친 1969년까지로 볼 수 있다. 조선족문학의 성숙기는 1980년대 이후부터로 볼 수 있고 고려인문학의 경우, 카자흐스탄 작가동맹 산하에 조선작가 분과가 정식으로 설치된 1970년부터 소련이 해체되기 전인 1990년까지를 성숙기로, 1991년 소련의 해체로부터 현재까지를 고려인 한글문단의 쇠퇴기 또는 재정립기로 볼 수 있다. 마지막에서는 조선족문학과 고려인문학이 발전단계에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논술하였다. 공통점으로 첫째, 1920년대~1990년의 구소련 고려인문학과 1945~1980년대 조선족문학의 발전 모습이 일맥상통하다는 점, 둘째, 사회주의 리얼리즘은 구소련 문학 70여 년, 중국문학 30여 년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 이론 명제였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차이점으로는 조선족문학의 경우, ‘8.15’ 광복이 조선족문단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지만 고려인 사회나 문단에 별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 한중번역에서 등가이론의 적용에 대하여 - 잡지 『코리아나』 번역 실천을 중심으로

        문려화 천진사범대학교 한국문화연구중심 2018 중한언어문화연구 Vol.14 No.-

        摘要:本論文以雜志≪高麗亞那≫飜譯實踐爲例, 探討了韓中飜譯中奈達的對等原則的運用。奈達的對等原則不僅强調語義層面上的對等而且注重飜譯中的語用和交際, 强調兩種語言讀者的感受應産生對等效果。本文主要包括三個方面的內容。首先是通過漢字詞、專有名詞、文化因素詞等的正確飜譯考察了語義上的對等效果。第二, 因韓國語和漢語在語法和語序、結構等方面存在諸多差異, 通過調整句子成分、語序、句子結構等考察了符合漢語的語法規則、習慣的對等效果。第三, 通過韓國語中包含的情感、感情等的飜譯考察了兩種語言讀者的感受上的對等效果。通過以上論述探討了韓中飜譯中存在問題以及今后的努力方向。

      • KCI등재

        기계번역을 통한 한중 소설 번역의 양상과 전망 - 윤대녕의 소설 ‘누가 고양이를 죽였나’를 중심으로 -

        문려화 이화어문학회 2023 이화어문논집 Vol.60 No.-

        본고에서는 한국 정부가 후원하고 국제교류재단이 발행하는 잡지 『코리아나』중국어판에 소개된 중국어 번역본 소설 윤대녕의 「누가 고양이를 죽였나」를 대상으로 하여 기계번역(MT)에 나타나는 표현과 문맥상의 오류 를 고찰하고 인간 번역(HT)과의 비교를 통해 기계번역과 문학번역의 전망 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2017년 이후 인공지능(AI), 심층학습(deep learning), 빅 데이터(Big Data), 클라우딩(clouding)을 활용하는 인공신경망기계번역이 발전 해왔다. 기계번역은 신속성, 정확성, 생산성이라는 장점을 갖고 있고 비문 학 분야의 번역에 기여하는 바가 크지만, 문학번역에서는 오류가 많이 발 견된다. 표현적 측면에서는 한국문화를 반영하는 고유명사나 전문용어에 대한 번역이 취약했고, 문맥적 측면에서는 인물 간의 관계 및 심층 의미와 정감에 대한 파악 등에서 오류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아직까지 문학번역에서 기계번역이 인간번역을 대체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하지만 AI기술의 발전과 함께 기계번역이 끊임없는 학습을 통해 단점을 보완할 수 있으며 번역의 품질도 점점 높아질 것은 분명하다. 따라서 앞으로는 기 계번역의 장점을 적극 활용하면서, 기계번역과 인간번역의 융합과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특히 대학에서는 번역 인재를 양성하는 데 인문학과 과학 기술의 융합, 번역가와 번역학 연구자, 기계번역 프로그램 개발자 등 다방 면의 협력을 이끌어 기계번역과 인간번역이 경쟁의 관계가 아닌 상호 보 완하고 협력하고 공존하는 관계로 나아가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명말 청초 세정소설 「空空幻」의 여성 인물 형상화 양상과 의미― 「九雲夢」과의 비교를 더하여 ―

        문려화 중앙어문학회 2023 語文論集 Vol.95 No.-

        Similar to Guwunmong, Gonggongwhan is a novel written between the late Ming Dynasty to the early Qing Dynasty, and it deals with the male protagonist’s affair with several women depicted within the structure of a dream. However, it differs from Guwunmong in that 1) the female characters are mostly from Zhejiang and Jiangsu provinces; 2) their social status is mostly the Yangban class (upper class); 3) their desires for a romantic partner materialize during the affair; 4) the pace of the physical affair is fast; 5) and the ending is tragic. The female figures in Gonggongwhan belong to the social atmosphere in which many outstanding women emerged, the ideological movement to reform the social culture of recognizing desire came to the forefront, and commercial novel publishing in the Zhejiang and Jiangsu provinces became prevalent. In particular, commercial fiction publication has created a narrative style of “commercial normativity” that emphasizes the morality of righteousness through a tragic ending, although the work depicts secular desire in its content. The lack of research on Gonggongwhan is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literary achievement and value of this work are not appreciated. In addition, the superficial similarities and the deeper differences between Guwunmong and Gonggongwhan suggest that Gonggongwhan has the potential to strengthen the comparative study of Chinese and Korean novels.

      • KCI등재

        직무발명보상금 산정을 위한 발명자 공헌도(dedication rate) 산정

        文麗花,정차호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19 성균관법학 Vol.31 No.4

        This paper analyzed inventors’ dedication rate, which is what all joint inventors as a whole dedicated to create an employee invention. For the analysis, we authors thoroughly examined Japan’s court decisions and commentators’ voices as well as Korea’s corresponding decisions and voices. Through the examination, this paper has found the followings. Having collected and analyzed 39 Korean court decisions, which calculated dedication rate, we authors could differentiate 24 decisions, which considered only before-inventions facts and 15 other decisions, which also considered after-inventions facts. Accordingly, it is evaluated that Korean courts have not established consistent one concept on inventors’ dedication rate. This paper defines inventors’ “dedication rate” as rate of what inventors dedicated and what an employer company dedicated “until” an invention is created. This definition is in compliance with text of section 15(6) of the Invention Promotion Act (“degree of what an employer and an employee dedicated for creation of an invention”). Therefore, in calculating dedication rate, after-invention facts should not be considered. In Japan, before 2004, there were two school of court decisions, one of which considered only before-invention facts and the other of which considered also after-invention facts. However, through 2004 Patent Act amendment, Japan made it clear that after-invention facts could be considered (Japanese Patent Act section 35(5)). This paper proclaims that the amendment was a big mistake under the following reasons. Firstly, because some after-invention facts, such as commercialization efforts, revenue investment, were already reflected in the concept of “royalty rate”, therefore should not be double reflected. Secondly,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differentiate some facts, which could be considered in dedication rate, and other facts, which could not be considered in dedication rate among all after-invention facts. Thirdly, if all after-invention facts were considered in dedication rate, it should be extremely low. Fouthly, in Germany, who is the origin country of employee invention system, only before-invention facts are considered in dedication rate. Therefore, Korean courts, from now on, should be consistent and consider only before-invention facts in dedication rate. 이 글은 직무발명의 창출을 위하여 발명자가 공헌한 정도, 즉, 발명자 ‘공헌도(貢獻度)’를 산정하는 법리를 연구하였다. 그 연구를 위하여, 필자는 우리나라의 판례 및 학설과 나아가 일본의 판례 및 학설을 두루 살펴보았다. 그래서, 다음이 파악되었다. 우리나라에서 공헌도를 산정한 39개 판결을 입수하여 분석한 결과, 공헌도 산정을 위하여 발명창출까지의 사정만 고려한 24개 판결과 발명창출 후의 사정까지도 고려한 15개 판결을 구분할 수 있었다. 그에 따르면, 우리 법원이 발명자 공헌도에 관한 개념을 일의적(一義的)으로 정립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 글은 발명자 공헌도는 발명창출까지 회사가 공헌한 바와 대비되는 발명자가 공헌한 바의 비율이라고 정의한다. 그 정의가 현행 발명진흥법 제15조 제6항의 문언(“발명의 완성에 사용자등과 종업원등이 공헌한 정도”)과 어울린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공헌도 산정에서 발명창출 후의 사정은 고려되지 않아야 한다. 일본에서는 2004년까지는 공헌도 산정에 있어서 발명창출 후의 사정을 고려한 판결과 고려하지 않은 판결로 나누어졌었다. 그러나, 2004년 특허법 개정을 통하여 발명창출 후의 사정도 고려할 수 있음이 명확해졌다(일본 특허법 제35조 제5항). 이 글은 일본의 그 법개정이 다음과 같은 이유로 큰 실수라고 주장한다. 첫째, 발명창출 후의 사정 중 상업화노력, 자금투여 등의 사정은 ‘실시료율’에서 이미 반영이 되었으므로 이중으로 반영되지 않아야 한다. 둘째, 발명창출 후의 여러 사정 중 공헌도 산정에서 고려될 수 있는 사정과 고려될 수 없는 사정을 구분하는 것이 극히 어렵다. 셋째, 발명창출 후의 모든 사정을 공헌도 산정에서 고려하게 되면 공헌도는 매우 낮은 것이 되어야 한다. 넷째, 직무발명제도의 원산지인 독일에서는 공헌도를 산정함에 있어서 발명창출까지의 사정만을 고려한다. 그러므로, 우리 법원은 지금부터라도 발명자 공헌도를 산정함에 있어서 발명창출까지의 사정만을 고려하여야 한다. 공헌도를 산정한 우리나라의 39개 판결에서의 공헌도 중앙값은 20%이었고, 일본의 32개 판결에서의 공헌도 평균값은 약 14%이었다. 이 글은 그 중앙값 20%를 기준치로 삼는 산정방법을 제안한다. 주어진 사건에서 공헌도를 상향하는 사정 및 하향하는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준치보다 더 높은 또는 더 낮은 최종 공헌도를 산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사정에는 기술분야의 차이, 기업의 규모 등의 사정이 포함될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제약분야에서는 발명자의 공헌도가 낮은 편이고, (개인의 역량이 중요한) 소프트웨어분야에서는 발명자의 공헌도가 높은 편이다. 중소기업에서는 회사의 조직적 능력보다는 개인의 역량이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므로, 중소기업 직무발명에서의 발명자의 공헌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을 것이다. 공헌도를 산정하면서 연구개발비를 고려하는 사례가 많은데, 연구개발비는 이익률에서 반영되는 것이므로 공헌도 산정에서는 별도로 고려되지 않아야 한다. 다만, 대규모 투자, 위험한 투자 등은 비용의 문제가 아니라 위험(risk)감수의 문제로서 공헌도 산정에서 고려될 수 있다.

      • 중급 한국어능력시험에 출현된 한자어 분석 연구

        문려화 천진사범대학교 한국문화연구중심 2015 중한언어문화연구 Vol.9 No.-

        As a generally recognized examination with national standard,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plays a significant role in indicating the directions of Korean learners’ study and deciding the teaching goals of education agencies, mainly in terms of the evaluation criterion and the questions and format which have already appeared in TOPIK tests. This research is aimed to investigate in the situations when Sino-Korean words, which are viewed as the advantage of Chinese Korean learners, appear in TOPIK tests. The objects of this research are Sino-Korean words appeared from the 11th intermediate TOPIK test to the 24th intermediate TOPIK test(14 tests in all). In this research, a sample of 3188 Sino-Korean words appeared in intermediate TOPIK tests will be analyzed with quantitative methods. The second part of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analysis of comparing the result of first part of the research with the Sino-Korean words in the Contents of Basic Korean Vocabulary for Study(2003) made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Sino-Korean words in the Contents of TOPIK Vocabulary made depending o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In addition, an analysis will be conducted by comparing the result of the first phase of the research with the Sino-Korean words appeared in a plenty of teaching materials(10 sets and 40 books) compiled in China which are at the beginner and intermediate level. Through the analysis, it is obvious that nouns play a dominant role among the Sino-Korean words appeared in intermediate TOPIK tests an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of nouns should be particularly valued in the future. Besides, in this research, the difference and problems between the Sino-Korean words appeared in TOPIK tests and those in the Contents of Basic Korean Vocabulary for Study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in the Contents of TOPIK Vocabulary of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and in the teaching materials have been found out and thus it will be helpful for teaching Sino-Korean words in the education and evaluation system for Korean study and useful to compiling the teaching materials in the future.

      • KCI등재

        한국 근대 계몽기 소설 「몽견제석(夢見帝釋)」에 나타난 도교적 화소의 양상과 의미

        문려화 이화어문학회 2020 이화어문논집 Vol.52 No.-

        본 논문에서는 한국 근대 계몽기 소설 「몽견제석(夢見帝釋)」에 나타난 도교적 화소를 분석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몽견제석」은 최근에 발 굴된 신자료로, 김수연의 연구가 유일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 작품의 도교 적 화소에 집중하여, 도교의 인물화소인 신선과 공간화소인 선경, 그리고 도교 문학적 화소를 고찰했다. 도교 인물을 대표하는 악전과 안기생은 채 약사로서 치병과 관련되며, 도교적 공간인 십주, 곤륜산, 봉래 등 선경은 신선 세계이자 평화롭고 자유로운 대안세계이다. 도교 문학을 대표하는 이하와 「백옥루」 고사는 초현실적인 상상력으로 현실에서 불우한 지식인 들의 운명을 통해 당시 시대상황에 대한 위로를 보여주었으며, 도연명의 「귀거래사」를 차용함으로써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추구하는 사상과 평화로 나아갈 길에 대한 모색을 보여 주었다. 애국계몽시기 몽유록계 소 설인 「몽견제석」에서 도교적 화소와 사상 등의 차용은 조선 후기 주자성 리학의 균열과 함께 지식인들이 새로운 사상적 이념으로 도교 사상의 수 용했던 정황을 보여주었으며 조선 말기 현실 사회의 해결방안, 아울러 앞 으로 나아갈 길에 대한 고민과 지향을 보여 주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Taoist elements in the Korean enlightenment novel Monggyunjesuk. Monggyunjesuk was recently discovered, and has so far only been studied by Kim Soo-yeon. In this paper, I mainly analyzed the Taoist elements including supernatural beings, fairylands and the Taoist literature of the text. Among them, Taoist supernatural beings Wo quan and Ahn Ki-saeng are herbalists who cure diseases, and the Taoist fairylands such as Shizhou, Kunlun Mountains, and Penglai Mountain are peaceful and free alternative worlds. These Taoist elements demonstrate the immortality of Taoism and orientation toward an ideal and stable world. In this sense, they show the consolation for the times through the fate of intellectuals less fortunate in reality by borrowing supernatural images from Taoist poet Li He’s White Jade and also reflects the quest for seeking harmony between humans and nature by borrowing Tao Yuanming’s Kuei-Chu-Lai-Tzu. The Taoism of Monggyunjesuk, a Mongyurok in the patriotic enlightenment period, reveals the cracks in Zhu Xi‘s Neo-Confucian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situation in which intellectuals embraced Taoism as a new ideology. Monggyunjesuk reflected the intellectuals suggestions of solutions for the real society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long with their concerns for the future through Taoism.

      • KCI등재

        공동발명자 사이에 (객관적 기여 외에) 주관적 의사소통이 반드시 필요한지 여부에 관한 연구

        文麗花,정차호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22 성균관법학 Vol.34 No.1

        With regard to the jurisprudence to decide joint inventors, the majority opinion demands not only objective dedication requirement (whether there is substantial dedication on distinct element of an invention) but also subjective collaboration requirement (whether there is subjective communication among joint inventors). This paper proclaims that (1) such rigid jurisprudence does not reflect various research situations, (2) subjective collaboration requirement be also complied with when there is one-way knowledge, (3) in a case where joint inventorship is being determined after an invention was derived and modified, if the modifier knew existence of the original inventor and/or invention, one-way knowledge shall be admitted. In order to establish such jurisprudence, this paper further proclaims that (1) we settle such jurisprudence under which inventor names written in a patent application shall be presumed as correct, (2) we make a new provision which defines joint inventorship, and (3) the new provision clarify that not only direct collaboration but also indirect collaboration may establish joint inventorship. 공동발명자를 판단하는 법리와 관련하여, 기존의 다수설은 청구항으로 특정되는 발명의 특징적 구성요소에 실질적 기여가 필요하다는 ‘객관적 기여’의 요건 외에 공동발명자 사이에 주관적 의사소통이 필요하다는 ‘주관적 협력’의 요건을 요구한다. 이 글은 ① 그 경직된 법리가 다종다양한 연구개발의 행태가 존재하는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나아가 ② 쌍방(two-way) 인지(認知)가 존재하지 않아도 일방(one-way) 인지만 존재하여도 주관적 협력의 요건이 충족되어야 한다는 점, ③ 모인된 후 변경된 발명에서 공동발명자를 판단하는 경우, 모인자가 피모인자의 또는 적어도 피모인발명의 존재를 인지한 경우, 모인자와 피모인자의 연결, 상호작용 또는 일방 인지를 인정해야 한다는 점을 주장한다. 이 글은 이러한 법리의 정립을 위하여 추가적으로 다음을 주장한다: ① 출원서, 직무발명신고서 등에 기재된 발명자 기재가 바른 것으로 추정하는 법리를 정립해야 한다는 점, ② 공동발명자를 정의하는 규정을 특허법에 신설해야 한다는 점, ③ 그 규정이 직접적 협력관계 외에 간접적 협력관계에 의해서도 공동발명자 관계가 형성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해야 하는 점.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