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경부 환경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및 개선 방향에 대한 연구

        성채(Sungchae Moon),남상덕(Sang-Deok Nam),손연아(Yeon-A Son),맹희주(Hee-Ju Maeng) 한국환경교육학회 2014 環境 敎育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atisfaction levels of student and adult participants with regard to the 7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 First, satisfaction levels of adult participants were overall high. Particularly, since the Purumi moving class program gained the highest satisfaction levels among the 7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it is considered that participants preferred hands-on activities with educational materials. Second, satisfaction levels of Program certification program was the highest in student participants. Third, student satisfaction levels on Program certification program were significantly high. However there is a need to increase satisfaction of students, because satisfaction levels of student participants were lower than those of adult participants in most programs. Fourth,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in the levels of satisfaction on the 7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However, satisfaction levels of male participants were greater than those of female participants significantly in Educational tool box programs, but the opposite result was observed in satisfaction levels on Purumi moving class programs. Fifth, adults participants suggested the continuity of contents and management of the 7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especially in promoting students motivation and interests in environmental education. In addition, students participants suggested more opportunities participating in activities such as observations, hands-on activities and gam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each of the 7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by expanding quantitatively as well as customizing qualitatively.

      • KCI등재

        ‘환경과 황새복원’에 관한 환경 교원연수 프로그램 개발

        성채(Moon Sungchae),은연아(Eun Yeon A),남영숙(Nam Young 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이 연구의 목적은 황새 콘텐츠와 환경놀이를 활용한 환경 교원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ADDIE 모형을 수정하여 실행과 평가를 2020년 7월부터 8월까지 2회 실시하여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설문조사, 면담, 참여관찰을 실시하였고, 통계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 교원연수 ‘환경과 황새복원’은 3차시로 구성된 단기 연수용 프로그램으로 연수 목적은 교사의 환경 교육 역량 함양이며, 목표는 멸종위기종 황새복원과 환경에 대한 지식을 이해하고 환경 태도를 기르는 것이다. 둘째, 1차시 강의는 황새복원과 생태계 복원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2차시 체험 및 강의는 황새사육장을 방문하여 황새를 직접 관찰하고 사육사와 대화를 통해 황새복원을 이해하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넷째, 3차시 환경놀이 체험 및 강의는 환경기념일관 및 멸종위기동물관 체험, 황새 박제 전시관 관람으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이 연구의 후속 연구로 중등 교원에 적용한 실행연구와 심화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nvironmental teacher training program using stork contents and environmental play.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program was completed by revising the ADDIE model and conducting execution and evaluation twice from July to August 2020. During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ss, surveys,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were conducted, and the SPSS 22.0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nvironmental teacher training Environment and Stork Restoration is a short-term training program composed of three sessions. The purpose of the training is to increase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apacity of teachers. Second, the first lecture consisted of contents on stork restoration and ecosystem restoration. Third, the contents of experience and lecture in the second class were organized to visit the stork breeding ground to observe the stork directly and to understand the stork restoration through dialogue with the breeder. Fourth, the environment play experience and lecture in the third class consisted of environmental memorial and endangered species experience, and a stork stuffed exhibition hall. As a follow-up study of this study, it is proposed to implement this program to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to develop an advanced program.

      • KCI등재
      • KCI등재

        패널토론을 적용한 대학생의 생명윤리 의사결정에 나타난 의사결정 변화 양상과 내용 분석

        성채 ( Sungchae Moo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5 윤리교육연구 Vol.0 No.38

        본 연구는 생명윤리 교육에서 패널토론을 적용하고 의사결정 변화를 살펴보고자, 대학교양 생명 윤리 교육에서 패널토론을 2회 실시하고 대학생 28명의 패널토론 전과 후 의사결정 양상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패널토론 전과 후 의사결정에서 의사를 고수한 청중은 배아줄기세포연구와 적극적 안락사는 85.7%, 소극적 안락사는 82.2%로 나타났다. 토론 후 청중이 의사결정을 고수한 이유는 패널의 정보에 의해 결정한 의사에 대한 논거가 더욱 견고해졌기 때문이었다. 둘째, 패널토론 후 의사결정 변화는 배아줄기세포연구와 적극적 안락사는 14.3%, 소극적 안락사는 17.8%로 낮게 났지만, 패널의 정보를 통해 청중들의 논거는 더 다양하게 나타났다. 배아 줄기세포연구의 대안으로 성체줄기세포연구가 제기되었으며, 소극적 안락사에서 환자의 사전 의사 결정의 중요성과 의료복지 차별화 가능성에 대한 논거가 새롭게 추가되었다. 셋째, 패널토론에 의한 윤리적 의사결정 그룹 간 차를 유형별로 비교한 결과, 배아줄기세포연구와 소극적 안락사에서 유형1은 그룹1이 높게 나타났으며, 유형4는 그룹2가 높게 나타나, 그룹 간 윤리적 의사결정 차를 보였다. 유형2와 유형3의 그룹 차는 배아줄기세포연구와 적극적 안락사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소극적 안락사는 그룹2에서 21.4% 증가했다. 그룹2가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의사를 변경한 이유는 가족의 공리를 더 우선적으로 고려했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제적 이유로 인한 안락사는 사회적으로 의료복지 차별화에 따른 불가피한 선택으로 이어질 수 있기에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윤리적 의사결정을 목적으로 하는 생명윤리 교육에서 패널토론 적용은 패널이 제시한 다양한 논거에 덧붙여 이러한 가치가 개인과 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부연 설명이 필요하다. This research was aimed to examine decision-making through a panel discussion. 28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in bioethics education and decision-making before and after a panel discussion. The result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panel discussions, the percent of the audience who did not change their decisions was 85.7% in both embryonic stem cell research(ES) and active euthanasia(AE), and 82.2% in passive euthanasia(PE). The reason was that audiences reinforce their arguments by the panels`` opinions. Second, after the panel discussions, the percent of audience who changed their decisions was only 14.3% in ES and AE, and 17.8% in PE. Even though the difference of decision-making was not significant, arguments were more diverse with information from panels. Especially, new arguments appeared as alternatives, such as adult stem cell in ES, pre-determination of a patient and a possibility of health and welfare differentiation in AE. Third, in ES and PE, group1 was higher in type1 but group2 was higher in type2 due to group ethical decision-making. In regards to group differences of type2 and type3, no difference was found in ES and AE, but group2 was increased to 21.4% in type2 of PE. The reason for this decision change of group2 in PE was due to consideration of family utilitarianism. However, euthanasia due to economic reasons should be thought about carefully, because it may lead to an inevitable selection due to differentiation of medical and social welfare care. In conclusion, panels provided various arguments to audience in panel discussion, and these arguments had worth for decision-making in bioethics educa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xplain how worth affects individuals and society.

      • KCI등재

        과학적 소양을 바탕으로 해석한 환경소양 요소에 의한 중학교 ‘환경과 녹색성장’ 교과서 분석

        성채(Sungchae Moon),이영희(Young Hee Lee),손연아(Yeon-A Son) 한국환경교육학회 2015 環境 敎育 Vol.28 No.1

        최근의 환경교육은 지속가능발전에 근거한 환경과 사회 그리고 경제와의 관계 속에서 새로운 환경교육의 접근을 추구하고 있다(NSTA, 2003). 따라서 우리나라의 환경교육 역시 현재 “환경과 녹색성장”이라는 제목 아래 ‘환경, 사회, 경제의 통합적 접근’으로 비판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갖춘 환경 소양인의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학교 2009개정 교육과정의 환경교과서인 ‘환경과 녹색성장’에서 나타나는 환경소양 요소를 관찰하기 위하여 과학적 소양 요소를 바탕으로 구안한 4가지 영역의 환경소양 요소 -I. 환경에 대한 과학적 이해 및 생태적 지식, II. 탐구를 통한 환경 문제 해결력 배양, III. 환경 감수성과 자연 친화적 사고, IV. 환경에 대한 통합적 이해와 행동- 를 분석 도구로 하여, 중학교 환경교과서 3종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로는 우리나라 중학교 환경교과서들은 모두 4가지 영역의 환경소양 요소 중 첫 번째 영역인 ‘I. 환경에 대한 과학적 이해 및 생태적 지식 요소’를 가장 강조하고 있으며, 반면 세 번째 영역인 ‘III. 환경 감수성과 자연 친화적 사고 요소’를 제일 미흡하게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소양의 배양이 지식의 습득이나 단순한 기술적 능력의 함양이 아닌, 환경감수성을 바탕으로 자연 친화적인 사고와 태도를 위해 자발적 동기화를 위한 정서적 공감이 필수적인 것을 고려했을 때, 교과서와 같은 교육과정에서 환경지식뿐 아니라 다양한 측면의 환경 소양 요소의 포함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Currently, the goals of environmental education have been changed from the practical approach to the perspectives of sustainable development with other areas. Therefore, the objectiv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re to cultivate the environmental literacy in order for students to possess the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In terms of this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 of middle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textbooks using the four themes of environmental literacy. The four themes of environmental literacy were come up with based on the four themes of scientific literacy due to the similarities of educational goals and objectives between science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four themes of environmental literacy are: 1) understanding about the ecology and environment, 2) problem solving abilities through the scientific inquiry, 3) environmental susceptibility, and 4) integrative understanding and action towards environment. Findings show that while all the middle school environment textbooks analyzed have emphasized on the understanding about the ecology and environment, which is the first theme of environmental literacy, most of the environment textbooks of middle schools have little focus on the environmental susceptibility which is the third theme of environmental literacy. This is shortcoming because understanding of a variety of views of environmental literacy is essential in order for students to be an environmental literate person.

      • KCI등재

        2015 환경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 황새복원의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 요소 분석

        성채,김수경,남영숙 한국환경교육학회 2019 環境 敎育 Vol.3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2015 curriculum and textbooks on the environment for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ESD elements for restoring Oriental Stork’.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criteria of analysis are composed four large domains, eleven middle domains, and thirty one small domains, and each small region is defined by five researchers. The 2015 curriculum and textbooks on the environment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nvironmental domain of ‘ESD elements for restoring Oriental Stork’ shows up most frequently but the cultural domain less frequent in the 2015 curriculum and textbooks of secondary school. Second, ‘Organization of governance’ of the middle domains of ‘ESD for restoring Oriental Stork’ appears more in the environmental textbooks of middle school than in that of high school. Other middle domains are shown in similar frequencies in the environmental textbook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hird, the small domains of ‘ESD for restoring Oriental Stork’ appears, on average, 2.6 times in each chapter of the environmental textbooks of high school, and three times in that of middle school. In conclusion, ‘ESD elements for restoring Oriental Stork’ are able to used for topics on ESD lessons in the environmental curriculum because ‘ESD elements for restoring Oriental Stork’ related contents are included in all chapters of the environmental textbooks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ESD programs using ‘ESD elements for restoring Oriental Stork’ should be developed as a follow-up study.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환경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 ‘황새 복원의 ESD 요소’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참여자 5인의 협의를 거쳐 분석기준을 4개 대영역, 11개 중영역, 31개 소영역으로 구성하고, 각 소영역을 정의하였으며, 분석기준에 따라 2015 환경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중등학교 환경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 ‘황새복원의 ESD 대영역’은 환경이 가장 많았으며, 문화가 가장 적었다. 둘째, ‘황새복원의 ESD 중영역’ 중 거버넌스 구축은 고등학교보다 중학교 환경 교과서에 많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그 외 중영역은 중학교와 고등학교 환경에서 유사한 빈도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 교과서 각 소단원 내 ‘황새복원의 ESD 소영역’ 내용 평균 빈도는 중학교 3회, 고등학교 2.6회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중등학교 환경 전체 소단원에 ‘황새복원의 ESD 요소’ 관련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황새복원의 ESD 요소’를 환경 수업에서 ESD 주제로 활용하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의 후속 연구로 ‘황새복원의 ESD 요소’를 활용한 환경 교육과정 연계 ESD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ESD 중등교사 기초과정 연수를 통해 나타난 교사들의 ESD에 대한 인식과 교육실천의 변화

        성채(Sungchae Moon),손연아(Yeon-A Son),최소영(Soyoung Choi),맹희주(Hee-Ju Maeng) 한국환경교육학회 2014 環境 敎育 Vol.27 No.3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s in secondary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of ESD over the course of an ESD in-service training. The in-service training, which was fu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osted by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and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as a basic level ESD course and offered to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from Kyeonggi and Seoul area. 56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varied in their disciplinary majors. To capture the teachers experiences, reactions and reflections throughout the training, this study employed participation observation, reflective journals of both the researcher and teachers, and pre- and post- open-ended questionnaire. Over the training, it was found that more teachers i) integrated environment, society, and economy into their concepts of ESD, ii) valued ESD, and iii) showed interest and confidence in implementing ESD. This study followed up for two months and explored the teachers practice of ESD at schools and their plans for future ESD practice. Implications for ESD professional development regarding how to design and manage in-service training are discussed.

      • KCI등재

        지속가능한 농업 측면에서 유전자변형 농작물에 대한 대학생 인식과 평가

        성채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2015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18 No.4

        이 연구는 대학 환경 관련 교양 수강생 41명이 유전자변형농작물(GMO)에 대한 다큐멘터리 시청과 패널토론 후, 지속가능한 농업 측면에서 GMO를 각각 평가하고 비교했다. 그 결과, GMO는 경제적 지속가능성 측면 평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p<0.05)가 있었으나, 사회적 지속가능성과 환경적 지속가능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GMO의 경제적 지속가능성에서 다큐멘터리 시청과 패널토론 간 평가 차는 패널토론에서 이공계열(그룹3)과 인문계열(그룹1)/사회계열(그룹2) 간 차에 기인한 것으로,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p<0.01). 다큐멘터리 시청 후 GMO가 경제적 지속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한 이공계열 학생 중 43%가 패널토론 후에는 경제적 지속가능성이 없다고 평가한 이유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GMO로 식량 생산량은 증가했으나 여전히 식량 부족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식량 생산 이익이 다국적기업 이익에만 치중되어 있다. 셋째, 농작물 독과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향후 GMO 기술이 경제·사회·환경과의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지속가능한 농업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함의한다. In this study, 41 college students taking an environmental-related class evaluated genetically modified crops(GMO) in terms of sustainable agriculture after watching a documentary and after having a panel discussion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ir opinions were then compared. The result of students' evaluations of GMO in economic sustainabilit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sustainability and natural sustainability. The cause of this difference in economic sustainability between a documentary and a panel discussion was the difference of a GMO evaluation between Group 3 and Group 1/Group 2 after a panel discussion; this group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 43% of Group 3 students evaluated GMO as a type of economic sustainable technology after watching a documentary, but they did not evaluate it as an economic sustainable technology after having a panel discussion. The reasons for the difference their evaluation after having a panel discussion were as follows. First, GMO increased crop production but could not solve the problem of food shortage. Second, the economical benefit of GMO concentrated on multinational enterprises. Third, a problem of oligopoly of GMO could possible arise. These results imply the direction of GMO technology, which should proceed to support a sustainable agriculture in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economy, society, and n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