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래동화와 창작동화의 비교에서 나타난 부모 양육태도 변화에 관한 연구

        서은주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전래동화와 창작동화에 나타난 부모의 양육태도를 비교하고 분석함으로써 전통사회에서 현대사회로 오면서 변화한 그리고 변화하지 않은 부모 양육태도와 그 변화의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전통가족과 현대가족의 부모 양육태도가 담겨 있는 전래동화 41편과 창작동화 40편, 총 81편이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분석대상 동화에서 부모의 양육태도에 관련된 부분을 모두 추출한 다음 이를 범주화하였다. 범주는 부모-자녀관계, 자녀의 존재가치, 자녀에 대한 기대, 자녀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 부모역할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래동화에는 전통적 가치관이, 창작동화에는 전통적인 가치관과 현대적인 가치관이 혼재되어 나타나고 있었다. 첫째, 전래동화에서 부모자녀관계는 수직적·종속적이며 절대적인 권위복종관계가, 창작동화에는 수직·역수직·수평주의적 관계로 다양한 유형의 부모자녀관계가 나타났다. 자녀의 무조건적 순종을 바라는 것은 변화하지 않은 가치로 나타났으며, 변화한 가치로는 자녀의 의견을 존중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둘째, 자녀의 존재가치에 대하여, 남아 선호는 변화하지 않은 가치로서 전래동화와 창작동화에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창작동화에는 딸과 아들을 차별없이 대하는 부모도 나타나고 있다. 남아 선호의 이유도 전래동화에 비해 다양하게 나타났다. 또한 전래동화에서는 자녀의 경제적 가치가, 창작동화에서는 자녀의 정서적 가치가 중시되고 있었으며, 전래동화에서 집안의 한 구성원으로서만 그 가치를 인정받았던 아동은 창작동화에서 독립된 한 인격체로서 성인, 부모와 동등한 가치를 지닌 존재로 나타나고 있다. 셋째, 자녀의 사회적 성공에 대한 기대는 변화하지 않은 가치로서 전래동화와 창작동화에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래동화에서 자녀에 대한 기대는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창작동화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전래동화와 달리 창작동화에는 자녀의 사회적 성공에 대한 부모의 기대 및 가치관이 자녀의 장래희망을 결정하고 간섭하는 등의 구체적인 행동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변화한 가치로서, 창작동화의 부모는 사회적 성공이외에도 자녀의 개인적인 행복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개인적 특성에 대한 기대에 있어서, 아들의 경우 지혜롭고 똑똑하기를 바라고 딸은 예쁘고 착하기를 바라는 것은 창작동화에서도 변화하지 않은 가치로 나타나고 있다. 변화한 가치로서 창작동화에서는 자녀에게 독립적인 행동을 기대하였다. 가족관계 차원에서의 기대로 형제간의 우애나 부모에 대한 효도 등은 그 인식의 차이는 있지만, 전래동화와 마찬가지로 창작동화에서도 중요한 가치로 나타나고 있다. 넷째, 자녀교육내용에서 변화한 가치로서, 전래동화에서는 자녀의 성별에 따라 교육내용이 달라졌으나 창작동화에서는 교육내용에 있어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전래동화에서 자녀교육방법이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고 있는 것에 반해, 창작동화의 부모는 자녀의 학업뿐만 아니라 친구관계까지도 지도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자녀교육방법이 구체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다섯째, 전래동화에서 부모역할이 확연히 구분되어 있었던 반면, 창작동화에 등장하는 부모들은 양성성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향이 있어 그 역할을 뚜렷하게 구분할 수 없다. 이러한 역할의 변화와 함께 태도의 변화도 나타났다. 전래동화에는 엄부자모(嚴父慈母)라는 부모상이 지배적이었으나, 창작동화에는 이와 함께 반대의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전래동화에 등장하는 아버지는 배우자를 선정해 주는 역할, 사회전통이나 가치관·생활철학을 담당하는 역할, 그리고 교육 및 훈육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래동화에서 아버지의 역할이었던 통제 및 훈육과 교육 역할은 창작동화의 어머니에게 이전되었다. 창작동화에 등장하는 아버지는 자녀와 운동이나 놀이 등을 함께 하고 대화하는 친구 같은 아버지 역할이 주된 역할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변화된 역할과 함께 여전히 전통적인 부모역할, 즉 도구적·수단적인 아버지 역할과 정서적·표현적인 어머니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창작동화에 등장하는 부모는 양성성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전형적인 성별 고유성을 잃지 않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at has and what has not changed in parents attitude toward childrearing in the transition from traditional society to modern one. To accomplish this, this study was comparatively analyzed the parents attitude toward childrearing represented in traditional stories and contemporary ones. The stories which were analyzed in this study was 41 Korean traditional stories and 40 contemporary ones. First, some adequate contents that relate to parents attitude toward childrearing were abstracted from the stories, and then were categorized. Therefore categories for analysis were identified such as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the value of child, the parents expectation for their child, the contents and methods of child education, and the parental ro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raditional stories were traditional values while in contemporary ones were both traditional values and modern values together. First,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in traditional stories was vertical and subordinate based on absolute authority-obedience, while that in contemporary ones was vertical, reversedly vertical or horizontal. Second, as for the value of children, son preference was represented commonly in both traditional stories and contemporary ones, but some of parents treated equally without considering their gender. And the reason of son preference in contemporary ones was various compared to those in traditional ones. In addition, parents in traditional stories attached importance to the economic value of child while those in contemporary ones to their sentimental value. Third, parents expectation for their childrens social success was unchanging value represented in both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stories. However, parents expectation in traditional stories is different according to childrens gender. And parents expectation in contemporary ones were manifested by actions such as deciding and interfering with childrens future hopes. Furthermore, parents in contemporary stories represented to value not only their childrens social success but also their individual happiness significantly. Another unchanging expectation from their son or daughter was that a son grows wise and a daughter grows pretty. As for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members, both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stories valued both brotherly love among siblings and filial piety toward parent however it was different that the way of practicing the virtues. Fourth, with regard to the contents of child education, they were different according to childrens gender in traditional stories but not in contemporary ones. Finally, the roles of father and mother were clearly distinguished in traditional stories while they were obscure in contemporary ones because parents play bisexual roles. In addition, a strict father and a tender mother were ideal in traditional stories but reversed cases were represented in contemporary ones.

      • 환경행정법에 있어 환경정의의 실현방안 연구 : 특히 원고 적격확대 및 적법절차원칙의 행정법적 수용에 관하여

        서은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39

        인류의 발달사는 물질적 풍요와 효율성을 강조하며 개발이라는 미명하에 지속적으로 자연을 파괴하고 광범위한 환경오염을 초래하는 방식이었다. 그리고 자연파괴에 따른 환경피해는 불평등한 경제적·사회적 구조를 통해 그대로 상대적 약자에게 이전되었다. 또 환경파괴의 대가로 얻은 개발 이익의 분배과정 역시 그 정도가 심히 불평등하여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고민하는 것이 ‘환경정의론’이다.‘환경정의’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여러 견해가 있는데 미국 연방환경보호청(EPA)은 “환경법, 규제 및 정책의 개발 및 집행과 관련하여 인종, 피부색, 원국적과 관계없이 모든 사람들이 공정하게 대우받고 실질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것”이라고 광범위하게 정의한다. 그리고 여기서 공정한 대우(fair treatment)란 “인종, 민족, 사회경제적 집단을 포함한 어떠한 집단도 산업 운영이나 연방, 국가, 지역 그리고 정책으로부터 초래되는 환경에 대한 부정적인 결과의 불균등한 몫을 부담해서는 안 됨”을 뜻한다.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헌법과 환경정책기본법 등 개별법에 환경정의의 개념이 반영된 조문들이 있다. 환경정의 개념은 적용영역이 점차 확대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한 시대적 담론을 넘어 국가와 행정기관이 달성해야 할 정책적 목표 내지 환경행정법의 이념 및 원리로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본 논문은 환경정의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환경행정에서의 환경부정의(不正義)의 문제를 실질적으로 예방·보전할 수 있을 환경정의의 법적·제도적 실현방안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환경행정에 있어 환경정의란 무엇을 의미하는지 확인하고 우리 현행법상 환경정의가 반영된 법률들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국내·외의 관련 법, 문헌 그리고 판례 등을 살피며 환경정의의 실현을 위해 어떤 법적·제도적 노력이 필요한가를 실현가능한 범위 내에서 고민하였다.그 결과 실체적(분배적) 정의(특히 세대 간, 생태종 간, 지역 간)와 절차적 정의의 실현 방안으로 각각 원고적격의 확대와 적법절차원칙의 행정법상 일반원칙으로의 도입 및 준수를 제안할 수 있었다.

      • 지속가능경영보고서가 기업의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은주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39

        현재 글로벌 경영환경 하에서 주요 연구 분야로 부각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지속가능경영(SM : Sustainability Management)이다. 이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기대하는 산업과 기업에서 그 역할이 강조되면서 기업들에게 새롭게 요구되는 경영패러다임으로 부각되고 있다. 최근 기업들의 목표는 경영실적이 좋은 기업은 물론 존경받는 기업이 되는 것이 기업의 성과 및 수준달성을 측정하는 새로운 척도로 등장하고 있다. 따라서 기업의 역량과 자원을 외부와 공유하는 지속가능경영 활동은 현재 기업평가의 주요 요소로 자리 잡고 있는 동시에 사회 전반적으로 이에 대한 인식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연구 및 국내외 지속가능경영에 관련된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발간하는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지속가능경영보고서가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4년부터 2009년까지의 대한상공회의소 지속가능경영원에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제출한 기업 중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기업들을 표본으로 선정하고, FnGuide의 데이터베이스 자료와 보고서 상의 측정 지표인 GRI Index의 세부항목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기법을 사용한 결과 경제성과와 환경성과 측정에 관한 보고서 작성은 주가 수익률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났으며, 사회 성과에서는 작성 내용이 많을수록 주가 수익률과 음(-)의 유의성이 증명되었다. 제품 성과와 주가 수익률과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양(+)의 유의성을 나타내 가설을 지지하였다. 하지만 누적초과 수익률을 재무성과로 한 검정에서는 지속가능경영 보고서의 내용이 기업의 재무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를 발견하지 못했다.

      • 조선조후기 동물우화소설 연구

        서은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2 국내석사

        RANK : 1839

        動物寓話小說은 동물을 擬人化하고 있다는 표현기법상의 특징을 이용하여 敎訓的인 命題를 제시해 주는 단편적인 動物寓話가 小說의 형태로 발전한 것이다. 동물우화소설에 등장하는 인물은 동물로서 어디까지나 동물들의 세계로 표현은 하고 있지만 사람을 동물로 바꾸어 놓았을 뿐 그 의도하는 바는 인간사회를 寓意와 諷刺와 諧謔으로 교훈하고 있는 소설이다. 본 연구는 朝鮮朝 後期에 나타나는 동물우화소설을 중심으로 하여 문학적으로 형성되기 까지의 배경과 敍述構造上의 性格 그리고 이를 토대로 하여 작품에 나타나는 寫實主義的 성격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대한 연구방법으로는 동물우화소설에 대한 개념 및 인물, 배경, 사건을 중심으로 하는 서술 구조상의 특징을 파악하여 일반적인 성격을 추출하고자 하였으며, 문학이 시대의 산물이며 어떤 형태로든지 그 시대의 제반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여 동물우화소설이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시대적인 배경을 社會 經濟的인 측면과 思想 文化的인 측면에서 살펴 보았다. 동물우화소설에서는 이전의 古小說에서 볼 수 없었던 寫實主義的 성격이 나타나고 있는데 그것은 적극적으로 삶을 인식하고자 하는 작가의 現實志向意識과도 일맥상통하는 것이 라고 볼 수 있다. 동물우화소설들은 현실적 모순에 대한 비판적 태도를 보임으로써 시대의 부패와 부조리에 항거하고 있으며 모든 인간이 동등함에도 불구하고 엄격한 신분적 차별이 자행되는 현실에 적극적으로 저항하는 庶民들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이외에도 지배계층의 실속없는 虛僞意識과 僞善을 폭로하는 것으로서 현실적인 관심사들이 小說化되고 있다. 이와같이 동물우화소설은 諷刺를 지향하는 庶民文學으로서 당대의 시대정신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현실비판의 내용과 맥을 같이 하는 후대계승의 면모는 世態小說이라는 이름으로 이어지고 있다. 朝鮮朝 後期의 시대적 환경속에서 그 분위기를 담고 있는 동물우화소설은 世態를 비판하는 풍자와 해학이라는 전통성의 계승과 文學史에서의 연속성 문제에 대해 자체내의 발전적 소산이라는 긍정적 답변을 제시함으로써 그 文學史的 意義를 찾을 수 있다. Noble of animal fable can be defined as that of allegorical characteristics with animals as the principal character designed to teach morality. It is a more developed form of a narrative short- short story which takes animals as the vehicle to describe human follies and the extraordinary events of human society. This study is an attempt of an over- all study on the Korean novle of animal fable with their common characteristics with a spacial attention to the technique of animal personification. The hypothesis for this study is that among Korean ancient novels animalpersonifide novel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other form of ancient novels. In this study has been analyzed the Korean ancient novels of personified animals as characters. As an introductory step of the study, I have made a diachronic observation of the process in which the technique of personification was originally applied to the narration of a story, and finally came to form on established technique of the novels of animal fable. On the basis of the observation I have chosun six examplary works of Korean novel of animal fable and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form and meaning, then to reach the significance which the novels has in Korean literary history. The technique of animal personification originated from the ancient mythical idea that man and animal were abl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moreover they are reciprocally identical. This technique of animal personification was originally used to represent that and animal were sacred and later it came to funtion as a link of animal characteristics with human personalities in an allegorical story to give a secular interest and didacticism. Tuus it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animal fabel as a genre of epic. Korean animal fable was set up as a form of novel in their volume and quality in the late Chosun period with the enlightment of the lower class and the trends of the transformation of fables into novels. In terms of the meaning, the novel of animal fable can as a literature of satire, wit, and irony, for it reflected sardonically the spirit of the age that influenced the people at that time to refuse the uniformity of the confucian feudalism of the period. The theme of the novel was the conflict between the secular desire and human nature, focusing on the sorrows and joys of the lower class under the repressive authority of the ruling class. Moreover, the significance of the novel lies in the fact that they overcame the limit which fables used to confront in its presentation, and took a position as an ancient novel form in the history of novel compared with other forms of ancient novel both in its volume and quality.

      • 부산지역 초등학교 오케스트라 운영 활성화에 관한 연구

        서은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39

        부산지역 초등학교 오케스트라 운영 활성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tivating orchestra for elementary school in Busan 음악문화학과 서 은 주 지도교수 박 철 홍 오케스트라는 학생들에게 혼자 악기를 배울 때보다 다양한 예술적 체험의 기회를 갖게 하여 음악의 이해를 돕고, 음악을 즐기고 계속해서 음악활동에 참여 하도록 하는 교육적 활동이다. 이렇게 악기를 배우는 학생들에게 오케스트라 활동을 경험시키도록 하기 위해서 방과 후 학교 활동을 통해 오케스트라를 만들어 운영하는 학교들이 늘어나고 있다. 2013년 부산의 모든 초등학교가 방과 후 학교수업을 실시하고 있지만, 학교를 대표하는 오케스트라의 참여도가 높지 않다는 사실은 안타까운 일이다. 본 연구는 현재 부산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초등학교 오케스트라 현황을 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효율적인 활성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오케스트라 운영 실태를 조사한 결과 많은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이에 오케스트라를 좀 더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활성화하기 위해서 방과 후 학교를 통한 초등학교 오케스트라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꾸준히 활동이 가능한 단원이 확보되어야 한다. 학교에서 오케스트라 활동에 특기·적성 점수를 주고 교과 음악활동과도 이어질 수 있도록 만들어 준다면 보다 많은 학생들이 오케스트라 활동에 참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둘째, 지속적인 예산지원이 확보되어야 한다. 오케스트라를 운영하는 데는 악기 구입에서부터 연습실 공사 등 많은 예산이 필요하다. 학생들에게 악기 연주의 기회 제공을 통해 좋은 배움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교육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체계적인 예산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다양한 오케스트라 운영 인력이 필요하다. 오케스트라 운영의 전반적인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인력은 담당 교사이다. 학급 담임을 맡고 있거나 교내 다른 업무를 병행하고 있는 교사가 대부분이다. 과중한 업무로 인한 피로와 스트레스 때문에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다양한 인력 구성이 이루어져야한다. 넷째, 오케스트라에 열정이 있는 후임 교사가 필요하다. 현직 교사가 오케스트라를 잘 운영하고 있어도 전근을 간다거나 교직을 그만두게 되면 오케스트라를 이끌어 갈 후임 교사의 선정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오케스트라 운영에 적합한 담당 교사를 초빙하는 등 열정이 넘치는 담당 교사를 확보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오케스트라 편곡 악보의 제공이 필요하다. 다양한 악보를 제공하고 교사들끼리 자유롭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줘야 한다. 이 연구가 초등학교 오케스트라 운영 활성화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주요어: 초등학교 오케스트라, 운영 실태, 개선방안

      • 아우토겐 트레이닝이 스트레스반응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서은주 을지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아우토겐 트레이닝이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핵심질문으로 연구대상은 성인이었고, 중재는 아우토겐 트레이닝이었으며, 비교중재는 아우토겐 트레이닝을 사용하지 않은 이완 및 명상, 최면요법, 또는 실험처치를 제공하지 않은 것이었으며, 결과변수는 불안, 우울, 심박변이도, 코티졸이었다. 검색식은 [(autogenic training) or (autogen*)] and [(anxiety) or (depression) or (heart rate variability) or (cortisol)] 이었으며, 무작위 대조군 연구(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를 대상연구로 하여 2016년 6월부터 10월까지 국내외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검색하였다. 검색결과 총 950편의 문헌이 검색되었으며 이중 중복된 논문 300편, 제목과 초록 확인 후 선정기준에 맞지 않은 340편을 제외한 310편의 논문 전문을 확인하였다. 이중 국문이나 영문으로 출판되지 않았거나, 무작위 대조군 연구가 아니거나, 아우토겐 트레이닝 중재를 적용하지 않는 등 선정기준에 맞지 않는 논문은 제외한 후 총 21편의 문헌이 질적 분석에 포함되었다. 질적 분석에 포함된 연구는 불안 16편, 우울 12편, 심박변이도 4편 이었으며 코티졸은 한 편도 없었다. 자료의 양적 분석은 선택된 문헌 중 중재 방법, 결과변수, 대조군에게 처치 시행 여부 등을 고려하여 선정된 11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아우토겐 트레이닝은 불안과 우울을 감소시키고 심박변이도의 부교감신경활성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2)아우토겐 트레이닝은 대상자, 중재 횟수 및 기간, 보조요법 사용에 따라 다양하게 연구되었다. 3)아우토겐 트레이닝이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 건강한 성인에게 단기중재를 한 연구와 환자에게 장기중재를 한 연구에서 불안점수는 각각 1.37점(n=85, SMD=-1.37: 95% CI -2.07 to -0.67), 0.34점(n=384, SMD=-0.34: 95% CI -0.54 to -0.14) 감소 효과가 있었고,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효과크기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아우토겐 트레이닝이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 환자군에게 장기중재를 한 연구에서 우울점수는 0.29점(n=327, SMD=-0.29: 95% CI -0.50 to -0.07) 감소효과가 있었고,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효과크기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총 21편의 문헌 분석 결과 아우토겐 트레이닝은 성인 대상자의 불안, 우울, 심박변이도에 효과적인 중재 방법으로 밝혀졌다. 대상자의 스트레스 관리에 아우토겐 트레이닝은 효과적이며, 임상 및 지역사회에서 간호사가 대상자의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활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대상자들의 건강 유지 및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