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철도와 도로의 가설교량 부반력에 관한 연구

        최승엽 우송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고속철도 교량의 기초로 적용되고 있는 대구경 단일현장타설말뚝의 적용에 대한 고찰을 수행하였으며, 대구경 단일현장타설말뚝의 고속철도 적용시 계획, 시공에서 고려하여할 사항을 제안하고자 한다.

      • 免震裝置를 利用한 多徑間 連續橋의 耐震性能 硏究

        최승엽 한양대학교 산업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839

        The seismic design and construction technology for highway bridges are continuously developed by the effort of researches during several tens of years. In recently, because the application of continuously supported and long span bridges has been increased in design practice, several researches for controlling earthquake forces on structures are widely conduct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eismic performance capacities of the seismic isolated bridge bearing systems, in order to use their basic data of seismic behaviors for analysis and design of bridges. Based on the seismic design provisions in the standard design specification for highway bridges in Korea, several types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bridge bearing systems for seismic design is evaluated. For this reason, a numerical example for two types of seismic bridge bearing systems, the pot bearing system and the lead rubber bearing(LRB) system, is presented to be applied into a twelve span continuous bridge. From the numerical result, it is concluded that the lead rubber bearing system is more efficient to reduce the seismic forces of shear and bending moment in sub-structures than the pot bearing system. 고속도로 교량은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으로 내진 설계 및 시공 기술분야에 많은 발전을 이루어 왔다. 근래에 와서 교량의 연속화 및 장대화가 이루어짐으로 지진력 처리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교량받침의 설치에 따른 내진성능을 비교․평가하여, 내진 설계시 교량받침에 따른 교량해석단계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개정된 “도로교 설계기준” 내진설계편의 해석 및 설계방법을 고찰하여, 고속도로 교량의 내진 및 면진 설계에서 많이 사용되는 교량받침에 대한 종류와 특성 및 구조적 장․단점을 파악하도록 하였다. 12경간 연속교에 대하여 포트받침을 설치한 기존교량과 납고무받침의 면진 받침을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해석 예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하부구조에 작용하는 교축 및 교축직각 방향의 전단력 및 모멘트 값에서 기존의 포트받침 보다 납고무받침을 사용할 경우 상당량 부재력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 江原地域의 舊石器文化 硏究

        崔承燁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1839

        The topic of this dissertation is ‘the paleolithic culture in Gangwon province' and the purpose of it is to investigate development of paleolithic culture in the passage of time by systematic study of information acquired from excavation and survey of paleolithic sites in Gangwon province. 48 paleolithic sites were excavated and surveyed in Gangwon province so far which include Sangmuryungri(上舞龍里) in Yanggu(楊口), Hahwageri(下花溪里) in Hongchun(洪川), Jangheungri(長興里) in Chulwon(鐵原), Geumsanri Galdoon (錦山里 葛屯) in Chunchon(春川), Gigok(基谷) in Donghae(東海), Walso in Donghae, Yundang Pinan cave(twin cave) in Yungwol, and they are important for studying paleolithic sites and recording change of paleolithic artifacts chronologically. Outcomes of research of paleolithic culture in the Gangwon province so far have been mostly on the basis of those sites. First, change of local weather in the paleolithic age was examined on the basis of data of archaeological geology, and animal and plant fossils in Gangwon province. It is understood that in MIS 5 period, the weather was warm and humid from the fact that stalagmites in Daeiri Gwaneum cave(大耳里 觀音窟)in Samchuk(三陟) grew continuously during the period of 90~70 ka BP And the result of analysis of pollen from peat deposits of river terrace in Obongri(五峰里) in Gangneung(江陵) showed that the area was surrounded by broad-leaved forest and the main genus was oak, which means it was warm climate during the period of MIS 5a (85~75 ka BP). It was presumed that in MIS 4 period, Jangheungri area was relatively cold climate and small lakes and wetlands were generated in the area because cold-water diatoms were found in a deposit of lake and marsh in Naederi(內垈里) which is closed to Jangheungri site in Chulwon. And the result of analysis of pollen from Simgokri(深谷里) site in Gangneung that the area was surround by pine forest showed that the climate of MIS 3 period was colder and drier than now. The structure of burrow in Jungdongjinri(正東津里) site in Gangeung and in Hahwageri site in Hongchun shows that the flood plain by the river was a habitat for underground animals such as rodents about 40,000~50,000 years ago. The fauna of MIS 3 period were, as shown from Yundang Pinan cave(twin cave) in Yungwol, deer, roe, wold bore, cow, raccoon, panther, wildcat, bear, tiger, fox, rabbit, and some extinct species such as cave hyena(cold climate animal) and monkey(warm climate animal), which shows the climate at that time was somewhat different from now. The result of analysis of pollen from Yungrang lake(永郞湖) in Sokcho(束草) showed that the main flora during MIS 2 period were subpolar species such as pinus pentaphylla, spruce genus, larch genus, fir tree genus, which shows that a subpolar coniferous forest was formed around Yungrang lake in the cold climate of the late Ice Age. During MIS 1 period, the flora Yungrang lake region were deciduous broad-leaf trees such as carpinus blume genus, elm tree genus, hazel tree genus and birch genus, which shows that the climate during that period was warmer and drier than the late Ice Age. Second, topographical types of paleolithic sites in Gangwon province were examined, and the result are as follows. ․ Basin : the Haean(亥安) basin in Yanggu is a special case among basin type paleolithic sites because it shows the fact that location of paleolithic sites was not limited to wide river terraces by big rivers but paleolithic people also lived at dead points at the end of a river. ․ River terrace: in Yungseo(嶺西) region, most paleolithic sites are distributed at river terraces by big rivers such as the Bookhan river(北漢江), the Namhan river(南漢江) and their branches. ․ Karst : paleolithic sites in mountainous limestone region such as Yungwol(寧越), Pyungchang(平昌), Jungsun(旌善), Taebaek(太白) are distributed in karst area. Doline in Samokri(三玉里) in Yungwol, Yundang(蓮塘里) Pinan cave(避難窟) in Yungwol which is a limestone cave and the twin cave in Gihwari(琪花里) in Pyungchang were surveyed. ․ Volcanic land: paleolithic sites are distributed in volcanic land region at the lower valley of the Hantan river(漢灘江) which were formed by basalt lava during pleistocene of the 4th cenozoic era. Jangheungri site in Chulwon is well known among them. Most paleolithic sites in the east coast region are distributed in coastal terrace, but some of them are distributed at river terraces by riverbanks closed to the sea. What draws most attention in relation to distribution of paleolithic sites in the east coast region and the conditions of location is dense distribution of paleolithic sites in the region of Gangneung~Donghae. Beyond the north of Gangneung, paleolithic sites are scarce, but they are densely distributed in the region of Gangneung~Donghae, so the region can be called the most important region for paleolithic archaeology of the east coast. Third, the entire process of using tools, from acquisition of raw material and making tools to disposal of them, was analysed, which includes analysis of composition and change of raw material, analysis of core and flake, analysis of hammer and stone anvil which are tool-making equipments, analysis of change of composition of stone tools, analysis of important tools, analysis of usewear of stone tools and analysis of refitting of stone tools. ․ Raw material : as the raw material was very limited in paleolithic period, investigation was focused on origin, period and composition of obsidian which was precious material in late paleolithic period. From the analysis of obsidian from Sangmuryungri, Hahwageri and Jangheungri, different types of obsidian were found at one site, so it was presumed that Mt Baekdoo(白頭山) was not the only source of obsidian but there were many unknown sources and routes of dissemination even to distant region. In terms of period and regions of raw material, in Yungseo(嶺西) region, various types of raw materials including obsidian were used in late paleolithic period, while in Yungdong(嶺東) region, quartz and quartzite were mostly used but other ones were little used. That is the most discernable difference between Yungseo region and Yungdong region during paleolithic period discovered so far. ․Debitage : from the analysis of length, width, thickness and weight of raw material and tools, it was found that those of earlier period were bigger than those of later period. In upper paleolithic period, small material and tools prevailed. ․Tools for making flake tools : from the analysis of size of hammer, it was found that medium-sized circle-type or oval-type hammers were mostly used. And various sizes of usewear were found on hammers and stone anvils. ․ Change of lithic assemblage: from the analysis of lithic assemblage, it was found that large tools such as chopper, polyhedron, handaxe and pick prevailed in mid paleolithic period, and small tools made of quartz prevailed in the early part of upper paleolithic period, and various microlith such as microblade, core and microblade prevailed in the late part of upper paleolithic period. With respect to region, microblade made of various material including obsidian prevailed in Yungseo region and small tools made of quartz prevailed in Yungdong region. ․ Analysis of important tools: first, it was found that 'microblade core with one face ground' from Sangmuryungri and Jangheungri site, and 'retouched obsidian microblade with one face ground' from Sangmuryungri, Hahwageri, Jangheungri site were important data for microblade industry of paleolithic period, Second, 'a wedge-shaped stone tool with two broken horizontal blades at the top and at the bottom' found at Gigok(基谷) site in Donghae was considered to be the same as the tool found in Pièce esquillée in France, and from the analysis of usewear, that tool was not made by simple bipolar technique but by some special tool. Third, 4 epi-paleolithic arrowheads found at Gigok site and Walso site in Donghae were analysed and it was understood that appearance of arrowheads had the meaning of gradual development of upper paleolithic period into neolith period. ․ Use of stone tools : method of use of burin, awl, side-scraper, end-scraper, microblade was investigated through analysis of usewear of stone tools from Jangheungri in Chulwon and Gigok in Donghae. Usewear at the edge of tools made of quartz without retouch is an evidence that sharp edges of tools were used for scratching and cutting. ․ Refitting of stone tools : tool making process was considered by classifying refitting stone tools. From horizontal and vertical distribution and distance of refitting stone tools, it was understood that Jangheungri, Geumsanri Galdoon, Hahwageri Jageunsolbat(작은솔밭), Dolteogeori(돌터거리) maintained flat tool-making places. Finally, paleolithic artifacts in Gangwon province were recorded chronologically and change of composition and aspect of stone tools in the passage of time was examined. There was no distinctive difference between Yungseo region and Yungdong region in terms of large stone tools in mid paleolithic period such as handaxe, chopper, rabot, polyhedron, and tithic assemblage with small stone tools in early paleolithic period such as scraper, notch, awl. However, discernable difference was shown between Yungseo region and Yungdong region in terms of stone tools in later paleolithic period. In Yungseo region, microblade industry that made microblade with various material including obsidian prevailed, whereas in Yungdong region, small tools made of quartz kept prevailing. With respect to use of material, various raw material including obsidian were used in Yungseo region, while in Yungdong region, quartz and quartzite were mostly used but other ones were little used. But in epi-paleolithic perios which was 10,000 years ago, small tools made of obsidian, crystal, acidic volcanic stone and shale sandstone prevailed and then neolith period came. Crystal arrowhead found at Gigok site is a relic that represents the transition from upper paleolithic period to neolithic period. Paleolithic sites in Yungdong region did not show lithic assemblage found at Sangmuryungri, Hahwageri, Jangheungri in Yungseo region such as microblade core and microblade. If that is a feature in change of lithic assemblage of Yungdong region, that means Yungdong region did not move forward and remained in the past while other parts of Korean peninsular were going into rapid change from 20,000 years ago, an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reason for that. Key Words: Gangwon Province, Paleolithic, Lithic assemblage, Chronology Raw-material, Usewear, Palaeoenvironment, Landscape 이 논문은 ‘강원지역의 구석기문화’라는 주제를 설정하고, 지금까지 강원지역의 구석기유적 발굴조사에서 얻어진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강원지역의 구석기문화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떠한 양상으로 전개되어 갔는가를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현재까지 강원지역에서 발굴조사된 유적은 모두 48군데에 이른다. 이 중에는 양구 상무룡리, 홍천 하화계리, 철원 장흥리, 춘천 금산리 갈둔, 동해 기곡, 동해 월소, 영월 연당 피난굴(쌍굴) 유적 등이 포함되어 있어 이 지역 구석기유적을 편년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구석기유물군 구성과 변화 양상을 살펴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강원지역의 구석기유적은 영서지역의 경우 북한강․홍천강․남한강, 그리고 이들 대하천으로 유입되는 크고 작은 지류로 구성되어 있는 하계망을 따라 하안단구 지형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영동지역에는 해안선을 따라 분포해 있는 해안단구 지형에 주로 구석기유적이 입지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강원지역에서 발굴조사된 유적의 지층과 유물층의 층서를 대비하여 유적마다 층위학적 맥락이 매우 뚜렷하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A층(명갈색 점토층), B-1층(암갈색 점토층), C-1층(적갈색 점토층)을 기준으로 층서를 확립하고, 그 사이에 유적마다 다양하게 나타나는 지층들(B-2층, C-2층)의 선후 관계를 정리하였다. 이렇게 정리된 층서를 바탕으로 각 지층에 해당되는 유적에서 확보한 절대연대 측정 결과를 나열하여 연대 범위를 설정하고, 문화 양상의 변화를 고려하여 중기 구석기시대 1․2․3기, 후기 구석기시대 1․2기로 시기 구분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시기 구분에 따라 고환경의 변화, 층위 양상의 변화, 돌감 및 석기 갖춤새의 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강원지역 구석기문화의 전개 양상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강원지역에서는 아직까지 10만년전 이상 올라가는 전기 구석기시대 유적의 존재는 확인되지 않았다. 두 번째 토양쐐기 구조가 발달한 적갈색 점토층(C-1층) 보다 하부 층준인 C-2층을 중기 구석기시대 1기(80~100 ka BP), 이 보다 상부 층인 C-1층을 중기 구석기시대 2기(65~80 ka BP)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지층의 선후 관계에 의한 구분이며, 석기의 구성 등 문화 양상에서는 양자간에 큰 차이가 인지되지 않는다. 중기 구석기시대 1․2기는 마지막 간빙기의 대체로 따뜻하고 습윤한 기후환경에서 형성되었다. 중기 구석기시대 1기에 해당하는 유적으로는 영서지역의 백이 1유물층, 금산리 갈둔 4유물층, 상무룡리(강원대) 최하층, 영동지역의 월소 5유물층, 월소 4-2유물층, 망상동 360-34 3유물층 등을 들 수 있다. 중기 구석기시대 2기에 해당하는 유적으로는 영서지역의 백이 2유물층, 작은솔밭 3․4유물층, 금산리 갈둔 3유물층, 거두리 2유물층, 삼옥리, 영동지역의 월소 4-1유물층, 노봉 3유물층, 기곡 3유물층, 망상동 360-34 2유물층, 발한동 하층 등을 들 수 있다. 이 시기에는 주먹도끼 및 주먹찌르개, 찍개, 여러면석기, 주먹대패 등 대형의 몸돌석기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다. 또한 비교적 대형의 몸돌과 격지들이 주로 출토되었다. 중기 구석기시대 1기 유적에서는 발굴 면적이 적었던 망상동 360-34 유적을 제외한 모든 유적에서 주먹도끼류 석기가 출토된 반면, 중기 구석기시대 2기 유적에서는 주먹도끼류 석기가 포함되지 않은 유적도 여럿 있다. 돌감은 석영 및 규암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압도적이다. 중기 구석기시대 1․2기의 따뜻했던 기후는 중기 구석기시대 3기(40~65 ka BP)로 접어들면서부터 대체로 마지막 빙하기의 춥고 건조한 기후 환경으로 변화되었다. 이 시기에 급격한 추위가 시작되면서 C-1층 상부에 두 번째 토양쐐기 구조가 발달하고 B-2층이 퇴적되었으나, 기후 조건 변화의 영향으로 이전 시기에 비해 유적의 수가 현저히 감소하고, 석기의 출토 빈도 수도 높지 않은 편이다. 이 시기에 해당하는 유적으로는 영서지역의 백이 3유물층, 연봉리 3유물층, 영동지역의 월소 3유물층, 기곡 A지구 2유물층, 심곡리 유적 등을 들 수 있다. 백이 3유물층과 월소 3유물층에서 주먹도끼류, 찍개, 여러면석기 등과 더불어 긁개, 밀개, 홈날, 찌르개 등의 소형 석기가 집중된 것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유적에서는 소량의 석기들이 산발적으로 출토되는 양상을 보인다. 한편 후기 구석기시대 1기(20~40 ka BP)는 첫 번째 토양쐐기 구조가 발달한 암갈색 점토층(B-1층)에 해당된다. 이 시기는 긴 빙하기의 중간에 해당되어 지금보다는 더 추운 기후였다고 생각된다. 후기 구석기시대 1기에 해당되는 유적으로는 영서지역의 거두리 1유물층, 금산리 갈둔 2유물층, 돌터거리, 연봉리 2유물층, 작은솔밭 2유물층, 연당리 피난굴(쌍굴), 기화리 쌍굴, 영동지역의 노봉 2유물층, 기곡 B지구 2유물층, 망상동 360-34 1유물층, 월소 2유물층, 주수리 2유물층 등을 들 수 있다. 이 시기에 해당되는 유적들에서 출토된 석기구성 비율을 분석한 결과 찍개, 여러면석기, 주먹대패, 주먹도끼류 석기의 비율은 현저히 감소한 반면, 상대적으로 소형석기에 해당하는 긁개․밀개․홈날․찌르개 등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 시기는 석영제 소형석기 중심의 유물군이 두드러진다. 돌감 중 석영 및 규암의 높은 비율은 그대로 유지되지만, 후기 구석기시대 늦은 시기에 주로 나타나는 반암, 니암 등 정질의 돌감이 적은 비율이지만 새롭게 등장하는 변화가 나타난다. 다음으로 후기 구석기시대 2기(10~20 ka BP)는 명갈색 점토층(A층)에 해당한다. 속초 영랑호의 꽃가루 분석 결과, 17~15 ka BP 시기에는 빙하기의 추운 기후하에서 전나무속, 오엽송, 가문비나무속, 이깔나무속, 사초과 식물 등이 주로 자라 아한대성 침엽수림이 형성되어 있었고, 10 ka BP 이후에는 따뜻한 곳에서 잘 자라는 이엽송, 참나무속, 버드나무속, 호두나무속, 서어나무속, 느릅나무속 등이 증가하여 기후가 더 따뜻하고 건조해졌음을 알 수 있다. 후기 구석기시대 2기에 해당하는 유적으로는 영서지역의 사둔지, 도둔, 작은솔밭 1유물층, 장흥리 1유물층, 상무룡리(경희대), 금산리 갈둔 1유물층, 연봉리 1유물층, 영동지역의 주수리 1유물층, 노봉 1유물층, 구미동, 월소 1유물층, 기곡 1유물층 등을 들 수 있다. 이 시기에 찍개, 주먹대패, 여러면석기 등 대형석기의 비율은 대부분 5%미만에 그치고, 주먹도끼류 석기는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반면에 긁개나 밀개, 새기개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다. 슴베찌르개, 화살촉, 돌날 및 좀돌날(몸돌 포함)은 오로지 이 시기에만 확인된다. 이 시기 석기구성에서 매우 주목되는 양상은 영서지역의 상무룡리, 사둔지, 작은솔밭 1유물층에서 돌날 및 좀돌날(몸돌 포함)의 비율이 현저히 높은 반면, 영동지역의 구미동, 노봉 1유물층, 주수리 1유물층, 월소 1유물층 등에서는 전혀 출토되지 않아 양 지역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난다는 점이다. 이것은 기곡 유적을 제외하고, 영동지역 유적에서는 후기 구석기시대 1기의 석영제 소형석기 중심의 유물군 전통이 후기 구석기시대 2기까지 지속되는 특성이 반영된 결과이다. 이 시기 강원지역에서 처음 확인된 주요 석기로는 갈린 좀돌날몸돌 및 좀돌날, 쐐기형 석기, 화살촉을 들 수 있다. 장흥리와 상무룡리 유적의 '한쪽 면이 갈린 좀돌날몸돌'과 더불어 장흥리․상무룡리․하화계리에서 확인된 '갈린 면을 지닌 잔손질된 흑요석 좀돌날'은 후기 구석기시대 2기의 새로운 좀돌날(몸돌) 제작 기술 공정을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흑요석 돌날을 소재로 한 몸돌의 한쪽 배면 전부 혹은 일부를 곱게 갈고, 이 갈린 배면을 타격면으로 삼아 등 방향으로 가파르게 잔손질하여 모서리를 만든 후 첫 돌날떼기를 하면 한쪽 가장자리에 갈린 면이 있는 잔손질된 좀돌날을 얻게 된다. 이것은 흑요석 돌날을 소재로 한 히로사토형 몸돌 작업 공정과 관련된다. 또한 동해 기곡 유적에서 출토된 '위․아래 모두 연속적으로 으스러진 두 개의 가로날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석기'를 프랑스의 pièce esquillée와 동일한 유형의 석기로 인식하였으며, 사용흔 분석을 통해 이 석기는 단순한 양극떼기 기법에 의한 산물이 아니라 쐐기와 같은 중간매체 도구(tool)로서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동해 기곡과 월소에서 출토된 후기구석기 최말기의 수정 혹은 석영제 화살촉 4점은 후기구석기에서 신석기로 전이되는 과정이 점진적으로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후기 구석기시대 2기에 속하는 철원 장흥리와 동해 기곡 유적에서 출토된 석기들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사용흔적들이 관찰되었다. 이 시기에 주로 출토되는 석기 중 새기개, 뚜르개, 긁개, 밀개, 좀돌날 등에서 석기의 사용 목적과 잘 일치하는 닳은 자국과 줄 자국 등이 확인되었다. 특히 잔손질이 이루어지지 않은 석영제 격지에서 나타난 사용흔은 긁거나 자르는 기능을 하는데 격지의 가장자리 날카로운 날이 유용했음을 보여주는 실증적 자료이다. 후기 구석기시대 2기 유적들에서 출토된 석기의 돌감 구성 비율을 분석한 결과, 이전 시기와 달리 석영과 규암 이외에 흑요석, 수정, 반암, 니암 등 정질의 다양한 돌감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변화가 나타났다. 특히 영서지역의 하화계리 사둔지, 작은솔밭, 장흥리, 상무룡리 유적에서는 흑요석이 다량 출토되었다. 흑요석을 분석한 결과, 하나의 유적에서 여러 종류의 흑요석이 공존하는 것으로 보아 백두산이라는 단일한 원산지에서만 기원한 것이 아니라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여러 곳의 흑요석 산지에서 채취된 원석이 돌감을 매개로 한 다양한 루트의 교류를 통해 원거리의 여러 지역으로 확산되었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영동지역에서는 기곡 유적에서만 유일하게 흑요석이 소량 출토된 것을 제외하고, 대부분 석영과 규암이 여전히 높은 비율을 차지해 양 지역의 차이가 뚜렷이 드러났다.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주변 지역과의 교류 관계에 대한 연구, 석회암 동굴 유적 발굴조사를 통한 새로운 연구 방향의 모색, 동해안과 내륙에 입지한 유적의 문화양상이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등이 이루어져 시간변화에 따른 강원지역의 구석기문화상이 확고하게 정립되길 기대한다. 주제어 : 강원지역, 석기 갖춤새, 편년, 층서 대비, 돌감, 입지 유형, 고환경, 중기 구석기시대, 후기 구석기시대, 사용흔 분석

      • 스크린 콘텐츠의 효과적인 복원을 위한 향상된 적응적 디인터레이싱 기법

        최승엽 한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현재까지도 널리 사용중인 격행주사 방식(interlaced scan format)을 스크린 콘텐츠에 적용하고 디스플레이 기기에서의 재생을 위해 순차주사 방식(progressive scan format)의 영상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과정을 거치면 영상에 포함된 글자와 경계면이 효과적으로 복원되지 않아 큰 화질 열화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스크린 콘텐츠에 대해 향상된 적응적 디인터레이싱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스크린 콘텐츠에는 통상 많은 글자가 포함되어 있는데, 빠진 라인의 손실된 정보로 인해 기존의 디인터레이싱 방법으로는 격행주사 영상의 글자를 효과적으로 순차주사 영상으로 복원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다음 두 단계 부분을 바탕으로 글자의 정확한 복원을 위한 알고리즘을 구성하게 된다: (1) 글자를 구성하고 있는 화소를 검출하기 위한 에지 탐색, (2) 찾아낸 에지 화소를 대상으로 글자 화소의 특성을 반영하여 글자 화소를 최종적으로 판단 및 복사하는 부분. 글자가 포함되어있는 영역에 대해 블록 단위의 보간 처리가 아닌 화소 단위의 복사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원본 글자 화소 정보를 최대한 이용함으로써 원본에 근접한 결과를 보인다. 제안된 방법의 영상 시퀀스에 대한 실험 결과는 HD 스크린 콘텐츠 영상에 대해서 기존의 알고리즘 대비 크게 개선된 점을 확인할 수 있다.

      • 動詞「잡다」의 語彙意味 分析

        최승엽 全北大學校 敎育大學院 1983 국내석사

        RANK : 1839

        This study is lexical meaning analysis of Korean verb 「Catch 」 . The meaning of a sentence depends upon the meaning of the word of which is composed. Because we acknowledge the meaning of a word, through the context which is expressed. I'll try to find out the semantic feature through the literature work, and divide the semantic feature according to the semantic type. I'll explain that the lexical meaning of a wordresearches through the semantic proof. I consider the following problem. 1) I explain meaning, context, form in order to research the lexical meaning in the sentence. 2) I research polysemy of Korean verb「Catch 」, which is expressed in literature work. 3) Finally I'll make a semantic type which is based on the semantic feature.

      • The Use Of Pre-Computed Models For The Guidance Of Proof Search

        최승엽 The University of Birmingham 2003 해외박사

        RANK : 1823

        자동정리증명은 수학의 정리를 자동으로 증명하는 시스템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는 인공지능의 한 분야이다. 자동정리증명에서 의미정보를 휴리스틱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관해서 많은 연구가 행해져 왔지만, 기존의 접근방법에서 의미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거나 매번 필요할 때마다 재계산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초기에 주어진 공리와 정리들로부터 의미정보를 계산한 후 정리증명 과정동안 계속해서 재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모델의 계산은 컴퓨팅 리소스를 많이 소비하는 작업이지만, 한번 계산된 모델의 특성들은 정리증명을 위한 탐색공간 전체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방법을 세가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적용하여 보여준다. 첫째로, 기계지향적 정리증명에서 미리 계산된 모델을 사용하기 위해 로버트 코발스키가 고안한 연결 그래프를 사용하여 증명기를 구현하였다. 이렇게 구현된 증명기는 기존의 다른 휴리스틱을 사용한 증명기와 비교하여 향상된 성능을 보여주었다. 둘째로, 미리 계산된 모델을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기계지향적 정리증명기를 위한 전처리기를 구현하였다. 이 전처리기는 몇몇 문제들을 단순화 하여 계산되기 쉬운 형태로 변형시켜 주지만, 몇몇 다른 문제들에 대해서는 오히려 복잡성을 증가시키기도 하는 결과를 보였다. 세째로, 인간지향적 정리증명방법인 증명계획법을 사용한 증명기에서 미리 계산된 모델을 의미정보로서 사용하는 방법을 구현하였다. 인간지향적 정리증명에서는 증명기 자체에 이미 상당한 의미정보를 가지고 있지만, 미리 계산된 모델에서 제공되는 추가적인 의미정보로 인해 탐색공간이 상당히 줄어드는 결과들을 보였다. 이상의 세가지 방법을 통해 미리 계산된 모델이 비교적 적은 컴퓨팅 리소스를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는 동시에, 매우 효율적인 휴리스틱이라는 것을 보여 준다.

      • Microfluidic Dielectrophoretic Platform for the Analyzing the Biophysical Properties of Live Cell by Determination of Cross-Over Frequency

        최승엽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823

        유전영동(dielectrophoresis)기법은 수많은 살아있는 세포들의 움직임을 물리적인 접촉없이 제어 가능하며, 비침습적인 방식으로 세포의 전기적 특성을 규명할 수 있는 단일세포분석이 가능한 도구로써 많은 주목을 받아왔다. 근래, 유전영동 교차주파수는 세포의 질병 여부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세포의 전기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사용된 독창적인 형질 바이오 마커로써 부각되었으며, 측정 원리는 세포막 표면에 돌출과 접힘이 나타나는 정도와 세포막 구성성분의 차이 때문이라고 보고되었다. 이러한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의학 진단과 예후관찰을 위한 응용연구에서 세포추적기법을 사용한 세포의 교차주파수 측정은 소규모측정데이터 획득, 약물처리 된 세포들의 유전영동 반응성에 대한 낮은 분별력, 그리고 세포의 유전영동 특성과 그 형태 특성 사이의 세부 관련성에 대한 조사의 미진함과 같은 몇 가지 극복해야할 과제가 남아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시간대 유전영동 인가신호 조절의 반복을 통하여 세포의 움직임을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병렬분석이 가능한 전극 기판위에서 단일세포실험 기반 유전영동 교차주파수 분석 플랫폼을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구현된 세포 교차주파수 측정방법은 대부분의 세포가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움직임이 정지된 상황에서 제안된다. 단일세포의 자동분석은 위와 같이 개별세포의 이동 제어가 가능한 전극배열구조위에서 보다 많은 세포에 대한 교차주파수 측정 및 분석이 가능하도록 구현되었다. 더욱이 측정한 교차주파수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수의 세포들의 움직임에 대한 조사는 유체장치내에서 동일한 환경조성을 하여 세포의 생존 능력이 유지될 때까지 반복했다. 그 결과는 통계적으로 일관성 있었으며, 이는 개발된 플랫폼이 유전영동 세포운동성의 조사에 있어서 신뢰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약물처리한 세포의 반응성을 비처리군과 비교하여 플랫폼의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개발된 플랫폼은 다양한 암세포종에서 효율적이고 견실한 유전영동 교차주파수 측정에 대한 연구에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임상진단과 예후관찰에 필요한 유용한 살아있는 세포의 바이오 표지자 개발에 기여될 수 있을 것이다. Dielectrophoresis (DEP) is a popular way of manipulating multiple cells without physically touching them and for non-invasively analyzing their electrical properties. Recently, the DEP crossover frequency has emerged as a novel phenotype biomarker that is used to understand cells’ electrical properties because they are changed depending on whether the cell is diseased or not, which is known to be attributed to the difference membrane constituents, and the expression levels of folding and protrusions in the plasma membrane. Despite such possibility, the cellular crossover measurement for the medical diagnostic and prognostic application using cell-tracking technique still remains some challenges such as low throughput on the parallel array, poor selectivity for drug-treated cells and a poor elucidation about a detail relevance between the DEP parameter and cell morphology property. In this dissertation, I developed a novel DEP crossover frequency detection platform by conducting a single-cell analysis on a parallel electrode array with DEP signal modulation replicated. Specifically, the determination method of cellular crossover frequency was considered in the specific circumstance where the most cells were trapped one by one. Automatic single-cell analysis was implemented on the parallel electrode array to increase assay throughput. Moreover, the movement of multiple cells based on the crossover frequency measurements was determined repeatedly until cell viability was unchanged in the microfluidic device.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consistent, indicating that the proposed platform could be used to reliably study DEP cellular mobility. Finally, the usability of this platform was evaluated by comparing DEP response between the drug-treated and untreated cell population. This platform will open new avenues for developing efficient and robust ways to measure DEP crossover frequency for various cancer cell lines and can be used to develop living cell biomarkers for use in clinical diagnosis and progno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