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과 성인의 단일 근섬유 아형에 따른 수축 특성과 형태의 비교

        최승준,임재영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2 운동과학 Vol.21 No.3

        최승준, 임재영. 노인과 성인의 단일 근섬유 아형에 따른 수축 특성과 형태의 비교. 운동과학, 제21권 제3호. 309-318, 2012. 일반적으로 노화로 인한 근기능의 저하는 근육량 감소와 더불어 근신경계의 기능부전 등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단일 근섬유의 본질적 수축력에 대한 노화의 효과는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노화로 인한 단일 근섬유의 질적 변화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노인의 골격근을 단일 근섬유로 분리한 뒤, 수축 특성과 횡단면적을 MHC의 발현 유형에 따라 일반 성인의 골격근과 비교하였다. 근생검법을 이용하여 성인 10명(25±2세)과 노인 8명(78±2세)의 외측 광근으로부터 근육표본을 추출한 뒤, 이완 용액에서 손상되지 않게 종단면으로 분리한 후, 분리용액에서 24시간 배양(4 °C)하였다. 배양 후 근막구조가 제거된 근다발로부터 단일 근섬유를 분리하여 실험 장치(등척성 근력 측정기와 고속 모터)에 고정하고 일정한 근절길이(2.6 um)를 유지하여, 근섬유 길이와 횡단면적을 측정하였다. 활성용액(pCa4.5)을 사용하여 근섬유를 최대 수축시킨 후 slack검사를 통하여 최대 수축력과 최대 수축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이 완료된 단일 근섬유 절편은 SDS-PAGE를 이용하여 MHC의 아형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노인의 type I 근섬유는 일반 성인의 동일아형 근섬유와 비교하였을 때 횡단면적과 최대 수축력(mN)에서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p< .05). 하지만 횡단면적으로 표준화된 수축력(kN/m2)에서 이러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Type IIa 그리고 type IIa/IIx 근섬유에서는 연령에 따른 횡단면적과 최대수축력(mN), 그리고 표준화된 수축력(kN/m2)에서 연령 간 통계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섬유의 횡단면적과 근력생성능력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선형회귀분석 결과에서도, 두 연령 그룹 모두 유의한 선형관계를 나타내었고(p< .001),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흥분-수축 결합을 배제한 단일 세포 수준에서의 수축력은, type I 근섬유의 형태학적 보상효과와 더불어 노화와 관계없이 유지됨을 증명한다. 따라서 노화에 따른 근기능 저하는 근육 세포의 질적 퇴화보다는, 주로 근육 세포수 감소와 같은 양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Choi, S. J., Lim, J. Y. Age-related changes in contractile properties and morphology on chemically skinned single fibers from young and old human skeletal muscles. Exercise Science. 21(3): 309-318, 2012. Studies using human model reported inconsistent results on the intrinsic contractile properties of single muscle fiber. To extensively test aging effect on the innate myofilament characteristics and morphology, functional assay of chemically skinned vastus lateralis muscle fiber(15 °C) were investigated from young(25±2 yrs) and old(78±2 yrs) healthy human subjects(N=10 and 8 for young, and old respectively). Fiber cross sectional area (CSA) was measured by 3 dimensional microscopy, peak Ca2+-activated force and maximal shortening velocity (Vo) were measured by slack test procedure. Fiber myosin heavy chain (MHC) isoform was determined by gel electrophoresis and silver staining. Single muscle fiber assays showed fiber CSA and maximal Ca2+-activated force(mN) in old adults type I fiber were 15 % bigger and 18 % greater compared to the corresponding MHC isoform fibers from young adults(p< .05). However, specific force (maximal Ca2+-activated force normalized by fiber CSA, kN/m2) of type I fiber was identical between age group, which suggested that the greater Ca2+-activated force (mN) of type I fiber is resulted from the bigger fiber CSA. Otherwise, type IIa and IIa/IIx fibers showed no difference on fiber CSA and Po between age groups. There is no difference on shortening velocity in type I and IIa fibers between young and old, type IIa/IIx fiber in old adults showed substantially slower Vo than young adults type IIa/IIx fibers (33 %, p< .05), Linear regression modeling to identify relationship between fiber CSA and force generating ability showed strong direct relationship (p< .001) with no aging effect. Therefore, our result indicated maintained contractile properties of myofilament lattice regardless of age. Collectively, the declines of the muscular strength with aging appeared to be due to the quantitative reduction rather than qualitative impairment of single muscle fiber.

      • KCI등재

        Nanoemulsions as delivery systems for lipophilic nutraceuticals: strategies for improving their formulation, stability, functionality and bioavailability

        최승준,David Julian McClements 한국식품과학회 2020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29 No.2

        The food and beverage industry often need to encapsulate hydrophobic functional ingredients in their products, including colors, flavors, lipids, nutraceuticals preservatives, and vitamins. Encapsulation can improve the handling, water-dispersibility, chemically stability, and efficacy of these functional ingredients. In this review article, we focus on the design of nanoemulsion-based delivery systems to encapsulate, protect, and deliver nonpolar bioactive agents, such as vitamin A, D and E, bcarotene, lycopene, lutein, curcumin, resveratrol, and coenzyme Q10. Initially, the challenges associated with incorporating these different bioactives into foods are highlighted. The relative merits and drawbacks of different nanoemulsion fabrication methods are then discussed. Finally, examples of the application of nanoemulsions for improving the stability and bioavailability of various kinds of hydrophobic vitamins and nutraceuticals are provided.

      • KCI등재

        VMO23 투여 용량에 따른 Ducheen형 근이영양증 생쥐의 Dystrophin 발현과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최승준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3 운동과학 Vol.22 No.4

        근이영양증은 유전자 결함에 의해 디스트로핀 단백질의 부재로 발생하는 심각한 근육퇴행성 질병이다. 근이영양증의 잠재적 치료법은 모르폴린 올리고머(steric-block Morpholine oligomers)를 이용하여, 결함이 나타난 엑손(Exon)을 건너뛰게 하여전사해독틀을 회복시키고, 디스트로핀 단백질을 재합성하게 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Morpholinos는 세포막을 뚫고 세포내로 들어가기 매우 어려워, Morpholinos가 세포 내로의 진입을 가능하게 하는 합성폴리머(dendrimer scaffold)와 결합한 새로운 합성폴리머를 개발하였고, 이것을 Vivo-morpholinos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VMO23(Vivo-Morpholino targeting dystrophin exon 23)의 투여용량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투여 프로토콜(5, 10, 15, 20, 30 mg/kg)에 따른 디스트로핀 단백질의 발현과 근육의 수축력, 그리고 유독성 여부를 검증하였다. 15 mg/kg의 VMO23를 처치했을 때, 장지신근에서 약 50 %의 exon 23 삭제 효과가 나타났고, 횡격막과 심장 근에서는 약 50 %의 exon skipping을 달성하기 위해 각각 20 mg/kg과 30 mg/kg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적인 exon skipping의 효과를 위해서는 1주일에 1회의 30 mg/kg의 Vivo-Morpholinos 투여가 골격 및 심장 근육에서 지속적인 효과를 유지하였으며, VMO23 처치된 mdx 생쥐의 장지신근, 횡경막, 심장 근에서 증가된 디스트로핀 단백질 발현이 나타났다. 또한 VMO23올리고머를 처치한 mdx 생쥐의 장지신근의 최대수축력(kN/㎡)의 유의한 증가를 발견하였으며(p<0.05), 이는 정상 생쥐(C57BL)와 유사한 수준으로 근기능이 정상적인 수준으로 회복되었음을 보여주었다. 횡격막 근육의 최대수축력은 VMO23 처치군에서 대조군(STD)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지만(p<0.05), 정상 수준으로 완전히 회복되지는 않았다. 결론적으로, mdx 생쥐에게 VMO23의 반복처치를 한 결과, 독성 없이 디스트로핀의 발현과 근육의 수축력을 유의하게 개선시켰다. Duchenne muscular dystrophy(DMD) is a severe degenerative muscle disease caused by defects in the dystrophin gene. Steric-block Morpholino antisense oligomers have been shown to induce exon skipping and partially restored Dystrophin function in the skeletal muscles of DMD animal models, particularly in mdx mice. However, Morpholinos-mediated exon skipping in the heart has been only marginal due to inadequate delivery of Morpholinos into the cardiac muscles. In this paper we demonstrated that a Vivo Morpholino oligo(VMO23), a new type of delivery-enhanced Morpholino antisense oligomer, effectively induced exon-skipping in the cardiac and skeletal muscles and rejuvenated the muscle function as supported by demonstration of restored Dystrophin protein production in the heart, diaphragm and limb muscles in mdx mice. The exon skipping effect is dose-dependent and persists for more than 13 weeks after a single injection. Repeated VMO23 treatment in mdx mice restored muscle function to near normal levels as measured by increased force production of limb and respiratory muscles and reduced serum creatine kinase level, indicative of leakiness of cell membrane. No detectable toxicity at the effective dose regime was observed. Thus, delivery-enhanced Vivo-Morpholinos represent a possible treatment for DMD patients.

      • KCI등재
      • KCI등재

        CT를 이용한 역행적 총대퇴동맥 천자에 관한 연구

        최승준,김정호,변성수,정유미,황희영,김형식 대한영상의학회 2010 대한영상의학회지 Vol.63 No.4

        Purpose: To determine the optimal skin site for retrograde common femoral arterial puncture based on the inguinal skin crease.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CT arteriographic images of right groins in 200 patients. We measured the relative distances of the common femoral artery bifurcation and inguinal ligament from the inguinal skin crease, respectively. We calculated the rates of common femoral artery puncture at 1 mm intervals, above or below the inguinal skin crease. Results: The range in skin site where the rates of common femoral artery puncture were greater than 60%, 70%, and 80% were situated between 3 mm below to 27 mm above, 1 mm to 23 mm above, and 5 mm to 15 mm above the inguinal skin crease, respectively. The skin site of the highest puncture rate was 10 mm above inguinal skin crease (85.2%). Conclusion: The optimal skin site for retrograde common femoral artery puncture was above the inguinal skin crease, most optimally at 10 mm above the inguinal skin crease. 목적: 본 연구는 CT를 이용하여 총대퇴동맥과 서혜부 피부 주름선의 해부학적 위치관계를 평가하여 적절한 역행적 총대퇴동맥 천자 부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총 20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우측 서혜부의 3차원 CT 영상을 이용하여 총대퇴동맥을 천자하기에 적절한 피부천자 위치를 정하였다. 구해진 피부천자 위치를 서혜부 피부 주름선을 중심으로 상대적 거리를 계산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서혜부 피부 주름선을 중심으로 상하방 1 mm 간격으로 천자하였을 때 총대퇴동맥의 천자율을 구하였다결과: 총대퇴동맥 천자율이 60%, 70%, 80% 이상인 피부천자 부위는 각각 서혜부 피부 주름선의 하방 3 mm에서 상방 27 mm, 상방 1 mm 에서 23 mm, 상방 5 mm에서 15 mm였다. 특히 서혜부 피부 주름선의 상방 10 mm에서 천자를 할 경우 총대퇴동맥 천자율이 가장 높았다(85.2%). 결론: 역행적 총대퇴동맥 천자는 서혜부 피부 주름선 하방보다는 상방에서 시행되었을 때 성공율이 높았다. 특히, 상방 10 mm 위치에서 피부 천자를 할 경우 총대퇴동맥을 천자할 확률이 가장 높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