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통일 정책 홍보의 가능성: 참여관찰 기법을 중심으로

        최종환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22 문화와 정치 Vol.9 No.3

        With the revitalization of the virtual industry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contents using the virtual world is drawing attention. The advantage of Metaverse is that realistic activities can be performed through avatars without physical restrictions.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promoting the unification policy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operated by the Ministry of Unification through the participatory observation technique.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DMZ> metaverse platform contained contents related to information, interest, connectivity, and relationship. However, it did not have the latest information updated, lacked various contents for homogeneity between the two Koreas, and failed to solve physiological problems such as motion sickness.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for technological alternatives to solve dizziness as well as to develop various services and contents based on user characteristics. 코로나19(COVID-19) 확산 이후 비대면 산업이 활성화되면서 가상세계 기반의 플랫폼이 주목받고 있다. 그중 메타버스는 아바타를 통한 실재감 있는 활동을 촉진한다는 점에서 기존 플랫폼과 차별화된다. 이에 본 연구는 통일부가 운영하고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의 정책적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분석결과, <DMZ> 메타버스 플랫폼은 정보성과 흥미성, 연결성, 관계성, 동질성과 관련한 콘텐츠가 내포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최신 정보가 업데이트 되지 않았고, 이용자에게 어떠한 ‘이익’을 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부족해 보였다. 멀미 등 생리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것도 문제로 지적된다. 본 연구는 이용자 특성에 기반한 서비스 운영은 물론 기술적 대안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 KCI등재
      • KCI등재

        인도네시아 지역 한글 시 연구

        최종환 국제한인문학회 2021 국제한인문학연구 Vol.- No.31

        연구의 목적은 이제까지 다뤄지지 않은 ‘인니 지역 한인들의 한글 시’를 읽음으로써 글로벌 한민족문학사의 외연을 확대하는 데 있다. 인도네시아 지역 한인들의 한글 시는 ‘적도’의 무구한 장소성을 수용하면서 생에 대한 성찰을 도 모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 연구는 이들의 문학이 망망하게 삶을 이어가는 도정에서 발견한 허무를 극복하려는 의지를 드러냈다는 점, 한민족의 비극적인 과거를 기억하거나 현지 삶에 적응하기 위한 열감 가득한 의지를 드러낸 부분 에 주목했다. 인도네시아 한인 문학은 정신사 면에서는 디아스포라 문학장을 넘어 한국 근현대문학의 정신과 닿고 있다. 한국문인협회 해외 지부에 소속돼 온 이들 문학은 디아스포라적 문학장을 한국현대문학 분야로까지도 연장시킨다. 때문에 이들의 한글문학은 미답 지역 연구 영역을 기다리고 있는 연구계에 ‘다 른’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초국가적 이동성을 보여준 아시아 지역 한인 디아스포라들의 문학세계를 더 깊이 조망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scope of the history of global Korean literature by reading ‘Poems in Hangeul of Koreans in Anni’, which have not been dealt with before. The Korean poetry of Koreans in Indonesia is noteworthy in that it promotes reflection on life while accommodating the pure ‘equator’ spatiality. This study took note of the fact that their literature revealed their will to overcome the emptiness found in their literature on the path of living in vain, remembering the tragic past of the Korean people and revealing the passionate will to adapt to the local life. In terms of spiritual history, Indonesian Korean literature goes beyond the diaspora literature and touches the spirit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literature. Furthermore, their literature, which have been affiliated with the overseas branches of the Korean Writers Association, extends the diaspora literature field to the field of Korean modern literature. Therefore, the Korean literature of Koreans in Indonesia can provide ‘different’ insights for the research community that is waiting for unexplored areas of research.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a more in-depth look at the literary world of Asian Korean diasporas, which have shown transnational mobility.

      • KCI등재

        일본-브라질 지역 한민족 디아스포라 문학 연구 ―‘김시종’과 ‘황운헌’의 시를 중심으로―

        최종환 우리문학회 2019 우리文學硏究 Vol.0 No.6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and the territory of the Korean diaspora‘literature by reading together the poems of Koreans produced in heterogeneous places. Thus, I focused on the space represented by Kim Si-jong in Japan and Hwang un-hun in Brazil. In reading the poems, I paid attention to the principle of “metaphor,” “double entendre,” and “disperse” in their texts. Kim Si-jong and Hwang un-hun have revealed the theme of the homeland, which is often mentioned in studies on diaspora literatureit in the existential unconscious. In addition, they have a poetical consciousness resonating with the Korean Diaspora‘s history of literature. Furthermore, they have newly constructed their own predicament to transcend the Korean peninsula ideology that surrounds them. In other words, these poems imagined a country that was not tied to the memorie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expanded the space of its own predicament using the power of the drive. To do this, Kim Si-jong renewed the predicate of his country found in the literary works of Jochongryun. He brought his country into his fantasy space and succeeded in metaphorizing his country with his own words. In this process, He used the representation of a defeatist “minikin” that did not come into the meaningful network of North Korea. I focused on the imagination of “small octopus” as an example. It was also a metaphor for the “Cho-Sun Korean” who had crossed the cold sea. And he aesthetically described the latitude of his country in the process of using this metaphor. The nihilism of this “insect” revealed in Kim Si-jong in the region of Japan appeared as anarchism in Hwang un-hun’s poem in Brazil area. The “insect” of Kim Si-jong was described by Hwang un-hun as “deer” (reduced self), “crying” (dizziness), and “fire” (madness). In the poem of Hwang un-hun, the motherland became a part of South America’s space, and this space overlapped with the medieval space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process, the country becomes an object of eternity that does not exis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orean diaspora, Hwang un-hun’s poem shares the imagination of Kim Si-jong’s “Invisible Neighborhood.” Hwang un-hun’s country is dispersed in the music of Kim Jong-sam’s Sanjo, scattered into the eternity of Christianity. In this scattered situation he sees his country, which arises vividly in the an unborn place. This is the way Hwang un-hun made his country’s latitude. 이 연구의 목적은 서로 이질적인 지역에서 생산돼 온 한인들의 시를 함께 읽음으로써 한민족 디아스포라 문학의 영역을 확장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본 지역의 김시종과 브라질 지역의 황운헌 시에 나타난 표상 공간에 주목하였다. 특히 은유, 중의, 산재라는 표상 원리에 역점을 두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두 시인은 기왕의 디아스포라 문학 연구에서 흔히 언급돼 온 조국(고향)의 주제를 매우 실존적인 무의식 속에서 드러냈다. 그 외에도 그들은 한민족 디아스포라 문학사에서 공명하는 시의식을 지니고 있다. 더 나아가 이들은 자신을 둘러싸 온 한반도 이데올로기를 넘어서기 위한 자기 서술어를 새로이 구성하였다. 다시 말해 이들의 시는 한반도의 기억에 결박되지 않은 조국을 상상하였고, 그 충동의 힘을 이용하여 그 자기 서술어의 공간을 확장해 나갔다. 이를 위해 김시종은 조총련의 문예로부터 주어진 조국의 서술어를 갱신하였다. 그는 조국을 자신의 환상 공간의 내부로 끌어들였다. 그리고 자신의 용어로 그 조국을 은유화하는 데 성공하였다. 이를 위해 그는 공화국이 건넨 조국의 의미망으로 들어오지 않는 패배주의적 '미물'의 표상을 활용하였다. 이 글은 그 한 표상인 ‘낙지’의 표상에 주목하였다. ‘낙지’는 차가운 바다를 헤쳐 갔던 조선 동포의 은유이기도 했다. 김시종은 이 은유서술어를 활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조국의 위도(緯度)를 미학적으로 묘사해냈다. 일본 지역 김시종의 시에 드러나는 이러한 미물의 니힐리즘은 브라질 지역에서 거주했던 황운헌의 시에는 ‘아나키즘’의 아우라로 나타났다. 김시종의 벌레는 황운헌에게 ‘사ᄉᆞᆷ’(축소된 자아), '울음'(현기증), '불'(광기)로 표상화됐다. 황운헌의 시에서 조국은 남미의 공간과 엮이면서 중의화(重義化)했다. 그리고 이 엮인 공간은 한반도의 중세 공간과 다시 겹쳐졌다. 이 과정에서 조국은 존재하면서 존재하지 않는 영원한 대상으로 변하게 된다. 한민족 디아스포라 시사의 전망에서 보면 황운헌의 시는 김시종의 <보이지 않는 동네>의 상상력을 공유하고 있다. 황운헌의 조국은 김종삼(金宗三)의 산조(散調) 음악 속에서 흩어지면서 기독교의 영원 속으로 산재(散在)된다. 이렇게 흩어지는 사태 속에서 황운헌은 무생(無生)의 자리에서 선명히 일어나는 조국을 본다. 그것은 황운헌이 브라질에서 자신의 조국의 위도(緯度)를 만들어갔던 방식이었다.

      • KCI등재

        한덕수 시 연구 - ‘엑서더스 제스처’를 중심으로 -

        최종환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6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2 No.-

        This study explores the poetic world of Duksu Han, the Chairman of Jochongnyeon, the pro-Pyongyang feder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This federation spread North Korea’s Suryong doctrine to Korean residents in Japan during the prevalence of the Juche Idea. This study aims to fill the research gap in this field. The nationalism espoused by Duksu Han is more republican than that of the first generation of Namgi Heo or Siwoo Nam. Duksu Han’s efforts for the salvation of the Korean residents of Japan, who were marginalized by both postwar Japan and the Republic of Korea, are inevitably linked to ‘minority literature’ ; however, problems arise from Duksu Han’s excessive dependence on Suryong Juche ideology. Unlike the poetry of many Chongryeon Korean residents in Japan, who attempted to regard the Juche Idea as a fanciful notion seeking to uplift the diaspora by depicting their minority status, Duksu Han emphasized the unity of the republic-led fatherland. In fact, he published an order issued by Ilsung Kim on the subject of Art and Literature. His poetry focused more on the idea of ‘exodus’ (escaping Japan), which he expressed to his compatriots who were in dire circumstances, to make them return to North Korea. This comprised a narrative of salvation based on a comprehensive ‘Suryong belief,’ which he embedded in his compatriots’ subconscious through the notion of suffering, highlighting their ‘lives as slaves,’ as well as the ‘narrative of escape,’ particularly ‘escape to the republic.’ Political poet Duksu Han’s narrative of salvation seems to have been produced through an analogy between the path of suffering of the Jews who entered Canaan by crossing the wilderness and the nomadic circumstances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The most brilliant aspect of his poetry is his realistic depiction of his compatriots’ suffering, as well as his highlighting of his own role as a poet. In depicting Ilsung Kim as the Messiah, he adopts for himself the role of the prophet of the Messiah, and there is repeated allusion to the narrative of faith, of a claim to lead his compatriots into paradise. Accordingly, his poetry loses its luminescence once more. Duksu Han’s occasional borrowing of Old Testament motifs evidences the fact that his poetry accepted the salvation theology of the Juche period, which was strongly redolent of the effect of fundamentalist Christianity. 이 연구는 주체사상기 북한의 수령신앙을 재일조선인들에게 파급한 조총련 초대 의장 한덕수의 시세계를 살핌으로써 이 분야 연구 공백을 메우고자 한다. 한덕수의 민족주의는 1세대 허남기나 남시우가 보여준 것 이상으로 공화국 민족주의에 경사되었다. 전후의 일본은 물론 대한민국 측으로부터도 철저히 소외당한 재일조선인들의 구원을 위한 한덕수의 노력은 ‘소수자문학’의 입장에서 보면 불가피했던 측면도 없지 않았지만, 문제는 수령 주체사상에 대한 의존도가 지나치게 컸다는 데서 발생했다. 소수자로서 디아스포라와 그들을 구원하려는 판타지로서 주체사상 간의 균형을 맞추려 노력을 시도했던 수많은 총련계 재일조선인 시인들과 달리 그는 김일성이 자신에게 하달한 지령을 노골적으로 ≪문학예술≫지면에 게재하면서 공화국이 주도하는 조국통일의 당위를 강조했다. 그의 시가 좀 더 주력했던 것은 절박한 상황에 놓인 동포들을 북한으로 귀국시키기 위해 그들에게 전시했던 ‘엑서더스’(일본 탈출) 제스처였다. 이 제스처는 철저한 ‘수령 신앙’에 입각한 구원의 서사였다. 이는 ‘노예로서의 삶’을 부각하는 수난 서사, ‘공화국으로의 탈출’을 강조하는 ‘탈출서사’ 등을 통해 동포들의 무의식에 인입되었다. 정치 시인 한덕수의 구원 서사는 광야를 건너 가나안에 들어가는 유대인들의 고난 행로를 재일조선인의 유랑의 행로에 유비하면서 구안된 것으로 보인다. 동포들의 고난에 대한 사실적인 묘사는 한덕수 시에서 가장 빛나는 부분이자 시인으로서의 그의 면모가 부각되는 부분이다. 그러나 이는 김일성을 메시아로 설정하고 자신이 그 선지자가 됨으로써 동포들을 낙원으로 인도한다는 신앙 서사를 반복적으로 구사해 나가는 과정에서 이내 빛을 다시 잃는다. 한덕수 시가 간간이 차용한 구약 성서의 모티프들은, 그의 시가 기독교 근본주의의 영향을 강하게 섭수한 주체사상기의 구원 신학을 재수용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적(敵) 을 이용한 북한의 주민 결속 메커니즘 연구: '고난의 행군' 시기를 중심으로

        최종환,엄현숙,이우영 북한연구학회 2019 北韓硏究學會報 Vol.23 No.1

        The paper analyzed how North Korea tried to bring about solidarity among its people through the media during the ‘Arduous March’ period. The study analyzed the North‘s profiganda to redefine the enemy and persuade the public by paying attention to the ‘determination’ as a mind action of the mind. The study analyzed articles in pages 1 to 3 of the 『Rodong newspaper』, which deals with North Korea's enem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North's use of its enemies during the ‘Arduous March’ period was first, when it intentionally turned its attention to outside enemies to resolve internal instability, which was closely linked to promoting stability in the regime. The North Korean government's use of its enemies during the ‘Arduous March’ period also turned out to be a form of obsession or overstatement. In order to maintain its regime, North Korea has shown that it is trying to break through the crisis by actively promoting its own identity and ideas. During the ‘Arduous March’, the propaganda using the enemy of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became a key driver to demand specific actions from the people beyond the concept of unilaterally conveying the leader's message and to enhance the cohesion of the system. 이 논문은 ‘고난의 행군’ 시기 북한이 언론을 통하여 어떻게 주민의 결속을 이끌어 내려고 하였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는 마음 작용으로서의 ‘결의’에 주목하여 적(敵)을 재 정의하고 대중을 설득하기 위한 북한의 프로파간다에 주목하였다. 연구는 북한의 적을 다룬 『로동신문』 1~3면 내 기사(article)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고난의 행군’ 시기 북한의 적을 이용한 프로파간다는 우선, 내부의 불안정성 해소를 위해 의도적으로 관심을 외부의 적에게 돌림으로써 갈등을 조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체제 안정을 도모하려는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고난의 행군’시기 북한 당국의 적을 이용한 프로파간다는 또한, 현재에 대한 집착 또는 과대평가의 형태로 나타났다. 북한은 체제 유지를 위해 자신만의 정체성과 사상을 적극 내세워 위기를 돌파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고난의 행군’ 시기 북한 당국의 적을 이용한 프로파간다는 다음으로, 지도자의 메시지를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개념을 넘어 주민들에게 특정 행동을 요구하고, 체제 결속력을 높이는 핵심 동인이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