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정일의 선군영도체계 구축에 따른 선군정치의 기능 분석: 『로동신문』의 담론을 중심으로

        윤황 한국동북아학회 2010 한국동북아논총 Vol.15 No.4

        This article is design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litary-First Politics" by analysing its function which was formulated in Kim Jung-il regime.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contents of Military-First Politics are composed of its concept, ideological base, fundamental rule, principle, basic way, and Military-First way. The essential points of these contents include Kim Jung-il's creation of Military-First Politics, the basis of Juche Ideology and Military-First Ideology, the Gun-First Philosophy, the reinforcement of revolutionary army, the guidance of Military-First Revolution, the total integration of 'Leader=military=Communist Party= The State=People', the completion of general achievement of socialism, and the totalization of all society through Military-First. Secondly, the functions of Military-First Politics are enumerated as follows; strengthening the ability of survival and maintenance of 'Our Way of socialist system', justifying and rationalizing Father-Son inheritance, preventing people's desertion and strengthening control on state and society, maximizing mobilization of labor, people, and revolutionary strategy towards foreign countries and the South. Thirdly, in conclusion, Military-First Politics is characterized as a way of 'military autocracy'. The Communist Party cannot command its leading role. The military are standing in main front of politics in the way of Military-First Leader System.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김정일(金正日) 정권에 들어와 새롭게 구축된 북한의 선군영도체계 하에서 선군정치가 어떤 기능을 실행하고 있는가를 분석하여 선군정치에 관한 특징을 규명하는 데에 두고 있다. 이의 연구목적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선군정치의 내용체계는 개념, 사상적 기초, 원칙, 원리, 기본방식, 선군정치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런 내용체계의 요지는 김정일의 선군정치 창시, 주체사상과 선군사상의 기초, 총대철학(총관), 군사제일주의(군사선행·군사중시), 혁명군대의 강화, 선군혁명영도, ‘수령=군대=당=국가=인민’의 선군혼연일체화, 전반적 사회주의위업 추동, 온 사회의 선군일색화 등을 담고 있다. 둘째, 선군정치의 기능은 ‘우리식(북한식) 사회주의체제’의 생존·유지기능, 부자권력세습체제의 정당화·합리화기능, 북한주민의 이탈방지와 국가·사회의 통제 강화기능, 노력동원과 군중동원의 극대화기능, 대외·대남적 혁명전략으로서의 기능을 갖고 실행된다고 분석하였다. 이런 기능은 김정일의 독재권력을 유지ㆍ확대하기 위하여 군대를 앞세워 국가의 모든 영역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ㆍ확대하고, 군대의 힘으로 대내외적 위기관리를 이끌어 나가고, 군대를 이용해 자신의 권력을 유지ㆍ확대시키는 역할을 가진 것이라고 종합적으로 평가되었다. 셋째,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선군정치는 ‘군사독재정치방식’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재 북한체제는 당의 지도체계가 제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군이 정치의 전면에 나서는 선군영도체계로 작동되고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

      • KCI등재후보

        김정일 정권의 변화요인과 북한의 미래전망

        윤황 한국통일전략학회 2009 통일전략 Vol.9 No.1

        The research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major factors in causing Kim Jong-il's regime to change, and based on such analysis, to forecast what the change of North Korea in connection with possible state of great anxiety and confusion will be in the future. In North Korea, Kim Jong-Il is not merely Chairman or a leader. His father, Kim Il-sung, managed to rule for such a long period of time- almost 49 years (from 1945 to 1994), few during 5,000 years of Korean history, or perhaps world history. That successor was Kim Jong-il. After Kim Il Sung's death in 1994, nowadays Kim Jong-Il is, no doubt, the only hereditary ruler of Kim Il-Sung' eldest son and the Great Leader or the Great General in absolute leader of North Korea. In a related matter, this paper are currently analyzing the political, economic, social-cultural, and external factors of change in Kim Jong-il regime. As a result, Kim Jong-il's regime now is in a deadly situation and the ability of Kim Jong-il's regime is not sufficient to address the problems. Especially today North Korea becoming increasingly unable to withstand domestic deficiencies of food and energy. So, it could happen the situation of sudden change in USSR, YUGO, and CZECHO, too. However according to compare with historical duration time of USSR, YUGO, CZECHO, CHINA, and CUBA, this paper saw little chance of the North collapsing abruptly at least by 2017. This paper say there is no imminent threat of a regime collapse or a leadership change for the time being in North Korea, with its well-trained military and prolonged indoctrination of the people.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김정일(金正日) 정권의 변화요인을 분석하여 북한의 급변사태 가능성과 관련하여 북한의 미래전망을 검토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치적 요인들로는 당·정·군 등 국가기관 간에 격심한 갈등과 경쟁의 발생, 김정일의 건강문제와 후계문제 불확실성, 김정일의 권위에 도전하는 사례의 증가, 관료들의 부정부패 심각성, 주체사상에 대한 주민들의 이반 증대 등이 규명되었다. 둘째, 경제적 요인들로는 총체적 경제난(특히 식량난)의 장기화․누적화․지속화, 경제정책과 경제운영방식의 실패와 미성과, 사경제의 확산 등이 분석되었다. 셋째, 사회․문화적 요인들로는 사회통제의 약화, 개인주의와 금전․물질만능주의의 확산, 탈북자수의 증가(특히 고위층 탈북자의 지속), 주체문화의 변질, 반사회주의적․자본주의적 생활문화풍조의 만연 등이 규명되었다. 넷째, 대외적 요인들로는 국제질서의 탈냉전 미적응, 국제사회로부터 정상국가화의 압력 가중, 대외경제의 단절위기 함몰, 외부세계의 다양한 루트의 정보와 문화 유입 차단에 대한 비효과 등이 분석되었다. 다섯째, 김정일 정권의 급변사태 가능성과 관련된 북한의 미래전망에서는 2003년 이후 시점부터는 붕괴위험이 높아지게 될 것이지만, 2003년에 김정일 정권이 몰락하지 않았기 때문에 쿠바처럼 단기적으로 김정일 정권의 급변사태도 쉽사리 도래하기 힘들 것이고, 결과적으로 북한의 미래변화 가능성은 ‘2017년, 2022년, 2024년’의 붕괴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장기적 관점에서 연구․추적해야 할 것이라고 결론내렸다.

      • KCI등재후보

        김정일 정권의 주요 군부인물 변화 -특징과 의미-

        윤황 한국통일전략학회 2009 통일전략 Vol.9 No.3

        The main goal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features and the implications of the changes against the Kim Jong-il regime's key figures in North Korean militarists from the start of the Kim's regime since Kim Il-sung`s death in 1994 to the present day. North Korea is controlled by Kim Jong-il in communism`s first hereditary power successor, who assumed the leadership in 1994 when Kim Il-sung died of heart failure at 82. Kim Jong-il abolished the Juseok(the head of state) and reinforced the National Defense Commission Chairman(and National Defense Commission) with a revision of the North Korean constitution in 1998 after Kim Il-sung's death. Under this fundamental awareness its analysis results were substantially as follows. Firstly, the Kim Jong-il regime's key figures between September 5, 1998 and September 2, 2003 are Jo Myong-rok(first vice chairman), Kim Il-cheol(vice chairman), Lee Yong-mu(vice chairman), Kim Yong-chun(member), Paek Hak-rim(member) of the National Defense Commission(NDC). Second, the Kim Jong-il regime's key figures between September 3, 2003 and April 8, 2009 are Jo Myong-rok(first vice chairman), Lee Yong-mu(vice chairman), Kim Yong-chun(member), Chon Pyong-ho(member) of the National Defense Commission. In the eyes of the Kim Jong-il regime's Juseokdan(the VIP seating area and VIP stage), the key figure of the militarists are Jo Myong-rok(director of the Korean People's Army), Kim Yong-chun(minister of the Peoples’ Armed Force), Kim Il-cheol(the first deputy director of MPAF/Minister of the Peoples' Armed Force), Lee Yong-mu(chief of the general political bureau of the People's Army), Kim Gyuk-Shik(the chairman of the general staff of MPAF). Third, the Kim Jong-il regime's key figures between April 9, 2009 and as of December 2009 are Lee Ul-sol(marshal, director of the guard command), Jo Myong-rok(chief of the general political bureau, first vice chairman of the National Defense Commission/NDC), Lee Yong-mu(vice chairman of NDC), Kim Yong-chun(vice chairman of NDC), Oh Keuk-ryul(vice chairman of NDC, the director general of operations bureau of KWP/Korean Workers Party), Kim Il-cheol(member of NDC), Li Ha-il(vice marshal), Ju Sang-seong(general, member of NDC), Kim Jong-gak(general, member of NDC), Lee Young-ho(general, chairman of central staff of MPAF), Kim Chol-man(general). In conclusion, this research analyzed the Kim's regime brought the key figure of the militarists, mostly to consolidating the military`s loyalty to leader Kim Jong-il, into the country`s National Defense Committee, the North Korea`s Rodong(Workers`) Party, and the Cabinet. This is entirely derived from the military dictatorship for safety of a hereditary father-son(‘Kim Il-sung’ - ‘Kim Jong-il’ - ‘Kim Jong-un') power succession. For this, Kim Jong-il rules the country as chairman of the National Defense Commission, and Kim's regime signaled his focus on military-oriented politics. In short, the Kim's regime promotes the military-first politics, called ‘songun politics’, as its national management system. But the military dictatorship of Kim`s absolute power and the top-down system of the military-first politics are occupying continuously to the economic crisis.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제1기-제3기 현재까지 김정일(金正日) 정권의 주요 군부인물들에 대한 변화를 추적하여 그 특징과 의미를 규명해 보고자 하는 데에 두고 있다. 이의 연구목적에 따라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1기 김정일 정권의 주요 군부인물들은 국방위원회의 조명록, 김일철, 리용무, 김영춘, 백학림이었고, ‘차수’ 계급이 제1기 김정일 정권의 군부핵심계급층이었다. 그리고 1998년 9월 제1기 김정일 정권의 출범 직후인 ‘정권수립 50주년기념 열병식’과 2000년 '당창건 55돌 경축 열병식'의 주석단 서열에서는 군부인물들이 그 서열 30위권에 각각 10명과 11명이나 포진하였다. 이로써 군부의 인물들이 제1기 김정일 정권의 출범과 동시에 주요 권력세력으로 급부상하였다고 분석하였다. 둘째, 제1기 김정일 정권에 이어 제2기 정권의 국방위원회에 제1부위원장 조명록, 부위원장 리용무, 위원 김영춘․전병호가 그대로 임명되었다는 것은 이들이 제1기와 제2기의 김정일 정권에서 주요 핵심 군부인물들이라고 분석되었다. 그리고 제2기 김정일 정권의 출범 직후 최초의 2003년 ‘정권수립 55돌 열병식’ 주석단 서열에서 조명록, 김영춘, 김일철, 리용무, 김격식이 10위권의 군부인물들로 들어갔다는 것은 이들이 제2기 정권의 핵심 군부인물이라고 분석하였다. 셋째, 제3기 김정일 정권의 국방위원회와 주석단 서열로 본 군부인물들에 토대해 보면, 제3기 정권의 핵심적인 주요 군부인물들은 리을설, 조명록, 김영춘, 리용무, 김일철, 리하일, 오극렬, 주상성, 김정각, 리영호, 김철만 등이 가장 대표적이다. 그 중에 제1기와 제2기에 이어 제1부위원장에 조명록, 부위원장에 리용무, 위원에 김영춘, 전병호가 그대로 임명되었다는 점에서 이들 4인방이 제1기-제3기 김정일 정권의 주요 최고 핵심 군부인물들로서 사실상 김정일의 최측근들이다.넷째, 제1기-제3기 김정일 정권에서 떠오른 군부의 주요 인물은 김기선, 김명국, 김상익, 김성규, 김원홍, 김윤심, 김정각, 김형룡, 박기서, 박재경, 신일남, 여춘석, 오극렬, 우동측, 유용철, 리명수, 리영호, 정명도, 주상성, 지영춘, 한동근, 현철해라고 분석되었다. 이들 중에 특히, 제3기 김정일 정권에서 가장 떠오르고 주목해야 할 군부인물들은 김명국, 김원홍, 김정각, 박재경, 오극렬, 우동측, 리명수, 리영호이다. 이와 관련하여 김정일의 최측근 군부인물은 김영춘, 리영호, 김정각, 김명국 김원홍, 현철해, 리명수, 한동근이고 이들 중에 김영춘․리영호․김정각․현철해․리명수가 제3기 김정일 정권의 ‘5인방 군부핵심인물’이라고 분석되었다.

      • KCI등재

        ‘세계디아스포라연맹’ 창설의 제안: 필요성과 방향

        윤황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6 디아스포라 연구 Vol.10 No.2

        This article is designed to study the necessity of the establishment of 'Global Diaspora's Coalition'(GDC) and to present the desirable direction of its founding. The followings are the main points of this proposal. Firstly, the numbers of dispora and international NGOs have been increasing. Many countries have founded governmental institutions dealing with diapora and the state of network type are being appeared. Secondly, the GDC would be founded on the cooperation of organizations, groups, and collectivities of the different countries. The objectives of GDC is to guarantee the rights and interests of diaspora and to resolve problems concerning diaspora. This article proposes the strategy of three steps to take concrete shape of GDC. The first step is to found international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which is the stage of networking based on Association of Global Diaspra Studies, The second one is to organize the GDC as a coalition body of international non-governmental institutions. The third step is that this GDC would be recognized as one of the UN specialized agencies with the integration of UNHCR. In conclusion, the founding of GDC is quite necessary in this period of global diasporas and it is very timely to have a such kind of international institu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세계디아스포라연맹’의 창설에 관한 필요성을 규명하고, ‘세계디아스포라연맹’의 창설을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디아스포라연맹’의 창설 필요성은 1) 세계디아스포라의 수 증대, 2) 국제비정부기구의 수 급증, 3) 디아스포라 관련 정부기구 및 전담기구를 설립하는 국가 증가, 4) 네트워크 형태의 국가가 만들어지고 있다는점이다. 둘째, ‘세계디아스포라연맹’의 창설방향은 각국의 기관, 단체, 집단등을 중심으로 추진주체가 만들어져야 하고, 세계디아스포라의 권익보장과행복추구를 확보하는 목표와 디아스포라의 보호, 디아스포라문제의 해결과관련된 제반업무 수행의 설립목적이 명확하게 설정되어야 한다. 명칭문제의정립과 관련해서는 ‘세계디아스포라연맹’의 영문 명칭을 ‘Global Diaspora's Coalition’(GDC), 한자어 명칭을 ‘世界離散同胞聯盟’이라고 표기해야 한다. 단계별 전략은 ‘3단계 추진전략’으로써, 제1단계 국제비정부기구조직화, 세계디아스포라학회 중심 네트워크화 → 제2단계 국제비정부기구 간 연대연합 활동화 → 제3단계 UN 전문기구화, 유엔난민기구(UNHCR)와통합화 발전단계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기구의 제도화 준비에도나서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