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영광군의 종교지형

        윤선자(Yoon Seon-Ja)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9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1 No.-

        영광군은 백제불교 도래지, 원불교 개창지, 개신교 순교지로서는 물론 조선초부터 족적이 발견되는 유교, 신유박해 때부터 시작된 천주교와도 연계되어 종교적인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 백제불교 도래를 시작으로 유교가 조선초 이전, 천주교가 18세기 말, 개신교가 19세기 말, 원불교가 20세기 초 영광에서 역사를 시작하였다. 종교적인 측면에서 백제불교 도래지, 원불교 개창지, 개신교 순교지이기에 그러한 특성이 영광군의 개별 종교들에 영향을 미쳤으리라 여겨진다. 그러나 각 종교 활동의 중심이 되는 사찰·교회 현황을 보면 개신교가 숫자적으로 많고 불교는 상당히 적다. 이는 백제불교 도래지, 원불교 개창지라는 특성이 영광군의 종교 활동에는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그것은 “백제불교 도래지 영광”이라는 것이 영광에서는 강조되고 있지만, 한국불교 전체로는 그다지 의미를 부여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불교활동의 중심이 되는 사찰들이 산속에 위치하여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것도 이유이다. 원불교 또한 영광이 개창지이지만 1920년대 이후 전북 익산으로 원불교의 무게 중심이 옮겨가 영광은 상대적으로 관심과 비중이 낮아진 때문이다. 영광군의 종교인구는 1995년 전국ㆍ전남의 종교인구 비율보다 낮았다. 전국 대비 영광군의 인구비율보다 전국종교인구 대비 영광군의 종교인구 비율이 낮은데 그것은 1970년대부터 진행된 인구의 도시집중, 그러한 현상에 부응한 1980년대 이후 각 종교계의 도시 집중 선교ㆍ포교 활동과 관계가 깊다. 1995년 영광군의 종교인구는 개신교 신자가 가장 많고 이어 불교, 원불교, 천주교 순이었다. 영광군의 개신교 신자비율은 전국 개신교 신자비율보다 높은데 이는 ‘개신교순교지’와 관련이 많다. 2005년 전국인구는 10년 전보다 5.5% 증가하였는데 영광군 인구는 12% 감소하였다. 전국 종교인구 비율은 증가하였는데, 영광군 종교인구 비율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개신교 신자비율이 가장 높지만 1995년과 비교하여 8%나 감소하였는데 이는 원불교와 천주교 신자비율이 증가한 때문이었다. 읍면별로는 영광 종교인구의 40%가 영광읍에 거주하며, 개신교 신자는 11개 읍면 모두에 존재한다. 그러나 백제불교 초전법륜지라 주장되는 법성포가 있는 법성면에 불교 신자수는 적고 개신교 신자수는 상당히 많으며 천주교 신자수도 불교 신자수의 2배 이상 많다. 원불교 성지가 있는 백수읍의 종교인구도 원불교 신자보다 개신교 신자수가 훨씬 많다. 이러한 현상은 각 종교가 지니고 있는 특성 내지 강점이 영광군에서는 각 종교인구 증가에 그다지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런데 원불교 신자도 백수읍보다는 영광읍에, 불교신자 역시 법성면보다는 영광읍에 더 많이 거주한다는 것은 개별 종교와 연관있는 특정 지역이 그 종교에 독점되기보다는 다른 종교들과 조화를 이루어낸 것이라 긍정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1986년 홍농원자력발전소 가동과 1995년의 지방자치제는 영광군의 종교적인 특성을 개발하고 부각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백제불교 초전지설을 학술적으로 규명하고, 순교지를 개발하는 등 개신교 순교사업을 추진하고, 원불교 개창지로서 관련 사적지들을 정립하는 작업은 해당 종교와 영광군이 함께 추진하였다. 그러나 그동안은 선행되어야 할 학술 조사와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되어 아쉬운 점들도 지적된다. 또한 개별 종교 단위로만 이루어지고, 주변 문화와의 연계가 도모되지 않은 것도 한계로 지적된다. Yeonggwang-gun is not only known as a starting place of Paekje Buddhism and Won-Buddhism and a place of martyrdom of Protestantism, but also associated with Confucianism dated back to early Chosun and Catholic Church started by the time of the arrival of Paekje Buddhism, all of which suggest great significance in religious aspect. Since the arrival of Paekje Buddhism, Confucianism started its history before early Chosun, Catholic Church in late 18th century, Protestantism in late 19th century and Won-Buddhism in early 20th century in Yeonggwang. Since it is the starting place of Paekje Buddhism and Won-Buddhism and a place of martyrdom of Protestantism, these might have greatly affected religions in Yeonggwang-gun. However, regarding the number of Buddhist temples and churches where religious activities take place, there are many Protestant churches while there are relatively less number of Buddhist temples. This suggests that Yeonggwang-gun's significance as the starting place of Paekje Buddhism and Won-Buddhism does not affect religious activities in Yeonggwang-gun as one can presume. Although Yeonggwang-gun advertises its significance of "the glorious starting place of Paekje Buddhism", it does not have much significance in terms of the entire Buddhism community in Korea. In addition, most Buddhist temples are located in deep into the forest, which diminishes accessability. Yeonggwang is also the starting place of Won-Buddhism; however the center has moved from Yeonggwang to Iksan, Jeonbuk since 1920s, which relatively diminished the significance of Yeonggwang. Religious population of Yeonggwang-gun was less than that of the country and Jeonnam in 1995. Religious population ratio of Yeonggwang-gun compared to that of the country is less than population ratio of Yeonggwang-gun compared to that of the country, which is attributed to missionary activities focused on the cities since 1980s to correspond to population concentration to the cities since 1970s. Majority of religious population of Yeonggwang-gun in 1995 were Protestant, followed by Buddhists, Won-Buddhists and Catholic. Yeonggwang-gun's Protestant ratio is higher than that of the country,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significance of the 'place of martyrdom of Protestantism'. Population of Yeonggwang-gun decreased 12% while that of the country increased 5.5% in 2005 for the past decade. Religious population ratio of Yeonggwang-gun has not significantly changed while that of the country has increased. Protestant population is the biggest, though it decreased 8% compared to that of 1995, which was due to the increase of Won-Buddhist and Catholic population. In eups and myeons, 40% of religious population of Yeonggwang-gun live in Yeonggwang-eup; most Protestants live in 11 eups/myeons. However there are less Buddhists and more Protestants in Beopseong-myeon, which is allegedly known for the starting place of Paekje Buddhism; even Catholic population is twice that of Buddhist. Baeksu-eup, known as sacred ground of Won-Buddhism, has more Protestants than Won-Buddhists. It suggests that characteristics and strengths of a religion may not affect increase of religious population of certain religion. However the fact that Yeonggwang-eup has more Won-Buddhists than Baeksu-eup and more Buddhists than Beopseong-myeon can be explained that certain location associated with a religion can create harmony with other religions rather than monopoly of one religion. Starting of Hongnong nuclear power plant in 1986 and local government in 1995 gave Yeonggwang-gun an opportunity to develop and emphasize its religious characteristics. Religious groups and Yeonggwang-gun have worked together to academically define the theory of Yeonggwang-gun as the starting place as Paekje Buddhism, develop as the place of martyrdom of Protestantism, and organize historical remains that demonstrate significance of Yeonggwang as a place of development of Won-Buddhism. However it wasn't sufficient

      • KCI등재

        1920년대 초반 김경천의 항일무장투쟁

        윤선자(Yoon, Seon-ja)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5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52

        김경천은 1920년대 전반기 연해주 지역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한 독립운동가이다. 일본 육군유년학교와 일본육사를 졸업하고 일본군대에서 현역 장교로 상당 기간 복무하였던 그는 1916년 일본육사 후배들과 만든 친목모임 전의회에서 그의 장래 그리고 국망된 조국의 현실과 미래를 고민하였다. 1918년 일본에 거주하였던 가족들을 서울로 옮기고 1919년 초에는 칭병하고 휴가를 얻어 서울로 온 후 만주로 망명하였다. 그가 망명에 나선 날은 셋째 딸이 태어난 지 채 두 달도 안 된 때였다. 식민지로 전락한 조국의 현실을 외면할 수 없었던 그는 가장으로서의 의무와 위치 대신 조국을 선택하였다. 가족을 뒤로 하고, 식민통치에 협력하면 일신의 안달은 가능하였던 현실을 거부하고 가시밭길 독립운동의 길에 나선 그의 결심은 그래서 더욱 소중하다. 만주 망명 후 신흥무관학교에 잠깐 참여하였던 그는 무기 구입 문제로 러시아로 이동하였다. 이후 러시아 적군에 의해 해산명령을 받을 때까지 4년여를 무장독립운동의 방법으로 일관하였다. 일본육사 출신이었던 그에게 많은 지역과 많은 독립운동단체들이 함께 할 것을 제안하였다. 군인이었던 그는 한국의 국망 원인을 약한 무력 때문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그는 무장독립운동에 가장 관심을 기울였고, 독립운동단체들이 협력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독립운동가들과 독립운동단체들은 그들의 출신과 교육, 그리고 지역을 근거로 독립운동을 시작하고 전개하였으므로 그러한 여건들을 무시할 수 없었다. 그런데 어릴 때 일본으로 유학하여 일본육사를 졸업하고 일본군에서 복무한 그에게는 학맥도, 연고 연맥도 없었으므로 독립운동가들과 독립운동단체들의 지역성, 학맥성, 종교성 등을 이해하기 어려웠다. 그렇지만 그는 굳건한 마음으로 독립운동단체의 군사 분야에 주력하여 독립운동가들을 훈련시키고, 사관학교를 설립하여 군인을 양성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강한 독립운동단체를 만들고 그것을 토대로 한국의 독립을 이루어내고자 노력하였다. 러시아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으므로 러시아의 현실을 무시할 수 없었고, 그래서 그동안 함께 하였던 러시아 적군의 한국독립군 해산 명령은 그에게 절망이었다. 그것은 망국민으로서 너무나도 아픈 현실이었다. 그렇지만 그는 계속하여 독립운동의 길과 방법을 모색하였는데, 소련 당국은 그러한 그의 행동을 간첩혐의로 간주하여 수감하였고, 그는 감옥 안에서 목숨을 잃었다. 그는 가족과 출세를 뒤로 하고 조국 독립의 험난한 길은 선택하였다. 독립운동을 위한 그의 선택과 발걸음은 가치롭다.

      • KCI등재

        전시체제기 광주교구와 와키다 신부

        윤선자(Yoon Seon-Ja) 한국인물사연구소 2009 한국인물사연구 Vol.11 No.-

        Japanese Father Wakida was appointed the Ordinary of Gwangju in 1942. A Japanese Father's being appointed as the Ordinary of Gwangju might be understood to go hand in hand with the fact that the sovereignty of Japanese Catholic church was transfered from Western missionaries to Japanese Fathers. Since Korean Father was appointed Seoul parish, imperialist Japan had complained the decision of the Vatican and paid attention to Daegu and Gwangju Parish where the appointment of new Ordinary had not decided yet. Japanese took power in Gwangju Parish. Though superficially the sovereignty of parish was forced to transfer from Western missionaries to Japanese Fathers by imperialist Japan, in terms of the internal church, the hesitation of Western missionaries who didn't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and neglected localization and the dereliction of Korean Fathers' duty might have to take the responsible for the matter. Western missionaries arrested, deadly fear swept over Catholics and they led cowered religious life. Japanese police arrested and confined Korean Fathers and believers on account of their contact with Western missionaries following the arrest of western missionaries. The change of war situation affected church as well. Irish missionaries of Missionary Society of St. Columban lodging together in Mokpo were move to the north of Chungchung-do by force and kept in custody for fear of their being spies after Okinawa had been occupied by Allied forces. The religious influence of Gwangju Parish of which priest Wakica took charge dwindled away. Being a Japanese, Father Wakida as a Catholic Father exerted a lot of efforts for Korean Catholic church as well as Gwangju Parish in war time. However, a Japanese Father was no exception to military policy of Japan. Alter all, his being appointed as the Ordinary was his will. Thus, his attitude not resistant to irrational acts by Janpanese colonial rulers need to be apologized even if he did his best for Korean church in his own way, After Liberation of Korea, he wrote a letter of apology to the Korean people and returned to Japan. 1942년 일본인 와키다 신부가 광주교구장으로 임명되었다. 광주교구장의 일본인 성직자 임명은 일본천주교회의 통치권이 서양인 선교사들에게서 일본인 성직자들에게로 이관된 사실과의 연장선상에서 이해할 수 있다. 서울교구장에 한국인 성직자가 임명된 후 일제는 교황청의 결정을 불평하고, 신임 교구장 임명이 결정되지 않은 대구교구와 광주교구에 주목하였다. 일본인이 광주교구의 통치권을 장악하였다. 교구의 통치권이 서구인 선교사에게서 일본인 성직자에게 넘어간 것은 표면적으로는 일제의 강압에 의해서였지만, 교회 내적으로 보면 현실을 적확하게 인식하지 못하였을 뿐 아니라 현지화에 소홀하였던 서구인 선교사들의 망설임, 그리고 한국인 성직자들의 직무유기에 책임을 물어야 할 것이다. 서양인 선교사들이 체포되자 광주교구의 신자들은 심한 공포감을 느껴 대단히 위축된 신앙생활을 하게 되었다. 일본경찰은 서양인 선교사들의 체포에 이어 그들과 접촉하였다는 이유로 한국인 신부와 신자들도 체포, 감금하였다. 전황 변화는 교회에도 영향을 미쳤다. 오키나와가 연합군에 점령된 후 목포에 합숙 중인 골롬반회의 아일랜드인 선교사들은 간첩 노릇을 할 수 있다는 이유로 충청도 이북으로 이동 수용되었다. 한국어를 하지 못하는 와키다 신부가 관할하던 광주교구의 교세는 쇠락의 길로 떨어졌다. 일본인이었지만 와키다 신부는 천주교 신부로서 전시체제기 광주교구는 물론 한국천주교회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다. 그러나 일제의 군국주의정책에 일본인 성직자도 예외가 될 수는 없었다. 한국천주교회의 교구장직에 임명된 것은 결국 그의 의지였다. 따라서 나름대로 한국교회를 위해 노력했을지라도, 일제식민통치자들의 불합리한 행동에 저항하지 않았던 그의 태도는 사과를 필요로 한다. 한국이 해방되자 와키다 신부는 한국 국민들에게 사죄한다는 편지를 썼고, 일본으로 돌아갔다.

      • KCI등재

        영산강유역의 민족운동 사적지와 기념시설

        윤선자 ( Seon Ja Yoon ) 대구사학회 2009 대구사학 Vol.94 No.-

        Considering the fact that significant activities including combats of the Righteous Army, 3·1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and other movements of independence activists overseas took place in the Yeongsan River Basin, excavation of the remains from the national movement and erection of memorial facilities in area by the river are surprisingly neglected. Remains from the national movement in the river such as concentration field, old battlefield, hard-fought field, training field and weapon factory show intensity of battle in the area. The reason why the Righteous Army remains in Naju were not recognized is because the remains has not yet been excavated even though the area was an important spot for the Righteous Army. It is not just Naju but other area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as well. The same also applies to 3·1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 and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Remains from the national movement in the Yeongsan River Basin require more interest, research, excavation and thesis. Considering that the Righteous Army used mountains near military borders as theirs headquarters and combat fields, mountain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require study in terms of resistance of the Righteous Army. Also the mountains require research on connection among the Armys, link to the resistance and union of the Armys. For better understanding on the national movement, understanding on colonial government is also needed. There were many spots used for colonial government exploitation and oppression in the Yeongsan River Basin. Only former Naju police station was identified; police station, court and prison were the places to oppress and torture national activists. For clear understanding on the national movement during Japanese forceful regime, not only the places for the national movement but also the ones for oppression on the national movement should be studied, excavated and closely examined. Then history during Japanese forceful regime will be clarified. The national movement memorial facilitie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he Righteous Army activity in late Chosun, 3·1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and other movements of independence activists overseas. The Righteous Army memorial facilities are mainly for commemorating historic figures; 3·1 Independence Movement memorial facility is for commemorating 3·1 Independence Movement. 3·1 Independence Movement memorial facility is built in a location where local residents can access easily. This is for emphasizing and remembering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the movement in our daily life.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memorial facility is built in the school which was the center of the movement; it brings out a sense of presence and historic significance. In simple comparison among resistance of the Righteous Army, 3·1 Independence Movement and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degree of significance of each movement in the Yeongsan River Basin would be in this order: resistance of the Righteous Army,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and 3·1 Independence Movement. Compared to other regions, the area was the major spot for resistance of the Righteous Army; rather insignificant for 3·1 Independence Movement; and a leading center for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Yet, compared to other regions, remains and memorial facilities of resistance of the Righteous Army and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are neglected. Also, links among remains and memorial facilities are not much emphasized. The national movement was not done individually. Therefore close links among people in each area existed. However excavation of remains and erection of memorial facilities are focused on individual figures and areas, which failed to show overall view and organization. Independence Tower in Jangseong focuses only on the national movement of Jangseong and failed to bring out links among each national movement; however it is still significant that it complied and organized the history of the national movement in Jangseong during Japanese forceful regime in late Chosun. Since Japanese colonial regime and its exploitation were done through the waterway of Youngsan river, each national movement was connected within the area. Spreading process of resistance of the Righteous Army, 3·1 Independence Movement and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proves such connection. Therefore connect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erecting memorial facilities, which then could become national and cultural resources along with historic remain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해방 이후 白凡 金九의 호남 방문

        윤선자(Yoon, Seon-ja)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7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59

        백범은 환국 이후 1946년 9월에 전남의 여수·순천·보성·목포·함평·나주·광주와 전북의 김제·익산·군산·강경 등을 방문하였다. 미군정은 백범의 지방 여행을 ‘정치적 여행’, ‘연설여행(speaking tour)이라고 하였는데, 그는 사람들에게 민족통일과 자주독립을 강조하고 힘을 얻기 위해 지방을 방문하여 사람들을 만나고 강연을 하였다. 백범의 호남 방문으로 한독당 전남도당부와 전북도당부가 결성되었는데, 호남 각 지역의 지당부가 증설되거나 당원수가 크게 증가한 것 같지는 않다. 그것은 백범보다 먼저 진행된 이승만의 삼남지방 순회를 계기로 대중들이 이승만을 우익의 수장이라 확인하였고 백범 스스로 이승만 예하의 2인자로 처신한 때문이다. 백범의 소원과 달리 남과 북에 두 개의 정부가 수립된 이후 호남을 찾은 백범은 계속하여 남북 통일정부 수립을 강조하였다. 정부 수립 이후 백범은 전남의 광주와 장성, 전북의 군산·옥구·익산·전주를 방문하였다. 정부 수립 이후 그의 언행이 하나의 정당인 한독당 위원장으로서의 활동으로 축소 인식되었지만 백범은 남북통일정부 수립이라는 목표를 결코 포기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이제는 남북평화통일정부 수립을 위한 남북협상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친일민족반역자 처리와 재외한인동포 구제, 정당한 한미관계 수립을 주장함으로써 진정하고 완전한 자주독립국가 건설을 위해 그의 모든 것을 바쳤다. 환국 이후 백범의 호남 방문은 정부 수립 이전이나 이후나 마찬가지였다. 즉, 그의 최고의 목표이자 유일한 목적이었을 수도 있는 민족의 통일, 조국의 완전한 독립을 위한 민족의 역량을 모으는 것이었다. Baekboem, in September, 1946 after his return, visited Yeosu, Suncheon, Boseong, Mokpo, Hampyeong, Naju and Gwangju in Jeonnam and Gimjae, Iksan, Gunsan and Ganggyeong in Jeonbuk.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called his visits, ‘a political tour’ or ‘speaking tour’; Baekbeom gave lectures to people to emphasize and encourage the national unity and autonomous independence. Baekbeom’s visit to Honam area led to formation of Dodang Division in Jeonnam and Jeonbuk for Handok Party, which, however, did not seem to contribute to addition of branches of the party and increase of the party members. Lee Seungman toured the three southern areas before Baekbeom and people considered Lee as the head of the right wing and Baekbeom as the second to Lee. Despite Baekbeom’s wish, two different governments were formed in south and north each and Baekbeom continued to emphasize the unified government. Since the formation of the governments, Baekbeom visited Gwangju and, Jangseong in Jeonnam and Gunsan, Okgu, Iksan and Jeonju in Jeonbuk. Since the formation of the governments, his role seemed to be reduced to the chairperson of just one party, Handok Party; however he did not give up his goal to establish a unified north and south government and proposed ways for north and south negotiation to establish a unified government. He suggested how to handle pro-Japan traitors, to help Korean people living in Japan and to build a relationship with the US to build Korea as a true independent country. After his return to Korea, his visit to Honam was the same as it was before. His priority and maybe his single most important goal was the national unity, complete national independence and gathering the national capacity.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