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現行의 關係 法令과 規定에서 본 大學(校)에서의 學生指導의 現況 分析

        尹八重 서울敎育大學校 學生生活硏究所 1974 學生生活硏究 Vol.3 No.-

        이 論究의 展開에서 活用되는 重要한 用語들의 槪念을 限定하였다. 그 用語들은「現行」,「關係」,「法」,「令」,「規定」,「大學(校)」, 그리고「學生指導」등이었다. 오늘날 極度로 分化된 學問領域들 가운데의 한 下位分野를 專攻하는 大學生들의 學生生活은 均衡을 잃고 메마르기가 쉽다. 그리하여 大學生들로 하여금 敎科活動 以外의 活動을 正當하게 評價하고 그에 積極的으로 參與하면서 그 活動 自體를 계속적으로 改善發展시킬 수 있도록 大學 當局이 配慮해야 할 必要性이 臺頭되는 것이다. 이 論究는 이런 必要性에 副應하여 現行의 관계 法令과 規定에서 보는 大學(校)에서의 生活指導의 現況을 事實 그대로 把握認識하여 그 結果에 따른 論議를 試圖하고자 함이 그 目的이었다. 이를 項目化 하면 다음과 같다. 1. 大學에서의 學生指導問題와 관련되는 現行의 法令과 規定을 檢討하고 이를 全般的 또는 下位分類的으로 學生指導와 관련되는 現況을 分析하는 일. 2. 發見(發見될지도 모르는)되는 問題의 解決을 위한 論議를 要約하는 한편, 그 問題의 해결을 위한 大學에서의 適用上의 留意點을 探索하는 일이다. 이 論究를 위한 方法으로서는 文獻을 精査하는 것이다. 이 때의 문헌이란 大學에서의 學生指導와 관련되는 法令과 規定들이었다. 이 論究는 다음과 같은 몇가지의 制約點을 지니고 있다. 1. 筆者가 法律에 素養이 없다는 점. 2. 參考 또는 引用한 文獻(法令과 規定)이 制限되었다는 점. 3. 관련되는 先行硏究의 結果를 蒐集參考하지 못했다는 점 그리고 4. 參考 또는 引用한 文獻資料가 約半年前의 것이었다는 점등이 그것이었다. 大學 學生指導의 主體者로서의 指導者인 敎授의 資格, 缺格事由, 任用, 그리고 服務에 관한 諸 規定을 살펴보았다. 要約하면 敎育法 第79條 弟3項과 敎授資格認定令의 規定들이 그것이다. 缺格事由는 別定職公務員 人事規定 第3條에 의한 國家公務員法 第33條 第1項 第1號 내지 第7號가 規定하고 있다. 敎授의 任用은 大學人事委員會의 同意를 얻어 總學長의 提請으로 大統領 또는 文敎部長官이 任命하거나 總長이 任命한다. 그리고 敎授의 服務에 관한 여러 가지의 內容은 別定職 公務員 人事規定 第6條에 의한 國家公務員法 第7章에 規定되어 있다. 다음으로 指導對象으로서의 大學生은 當該 大學에의 入學으로 그 身分을 獲得하고 入學後의 여러 事情으로 그 신분이 變動되는 바, 이에 관하여는 各大學의 學則들이 規定하고 있다. 大學生 身分의 獲得 또는 그 變動에 관한 條件은 모두 비슷하다. 다음으로 大學에서의 學生指導 活動과 관련되는 管理事務의 大部分은 學生處(課)에서 管掌하지만 學生指導硏究所의 庶務와 會計등의 職務는 硏究所內의 庶務室에서 맡기도 하고 있다. 大學의 學生指導를 擔當하는 包括的인 機構는 물론 大學이다. 그리고 敎授, 特別히 指導敎授와 敎授會는 具體的으로 學生(生活)을 指導한다. 또한 學生(生活)指導 委員會도 學生指導에 관한 重要한 事項을 決定하는 次元에서 大學生의 生活指導에 參與하고 있다. 學生處(課)는 學生行政 一般을 管理하는 가운데에서 實際로 學生 指導 職能을 遂行하고 있다. 學生(生活)指導 硏究所는 學生指導에 관한 硏究와 그에 따른 專門的인 指導를 하는 機構로서 가장 中核的인 機能을 發揮한다. 大學에서의 學生指導의 內容을 類目化하기는 困難하다 그러나 몇가지 代表的인 것을 들면 다음과 같다. 1. 學生 各者가 보다 더 正確하게 自身의 正體를 理解 ·確認하여 그에 대한 健實한 自我槪念을 形成하는 일을 돕고 自身과 環境과의 關係를 正當하게 評價하여 그에 適應하도록 돕는 일. 2. 學生들의 敎科外의 活動, 즉 學生會活動과 써클활동 및 그 밖의 學生集團活動을 善導하는 일, 구체적으로는 集團過程의 體驗, 能率的인 會議進行法의 訓練, 指導性과 協同性의 訓練등, 3. 學生生活을 보다 圓滿하게 營爲할 수 있도록 그의 物質的인 與件을 改善하고 精神的인 姿勢를 갖추도록 可能한 方法으로 支援하는 일. 4. 學生生活을 가장 效率的으로 영위하는 데에 必要로 되는 正確한 情報를 蒐集 ·整理 ·解釋하여 提供하는일. 5. 其他 追隨指導, 價値觀(態度 ·宗敎)에 관한 助言, 人間關係의 指導등이 그것들이다. 人員面에서의 議議點으로 指導敎授制의 效率的인 運用, 敎授의 對學生 接觸機會의 擴充, 敎授의 講議賦擔의 輕減등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그리고 學生指導에 관여하는 여러 機構에서 일하는 人員들 사이의 協力的인 관계의 形成과 維持도 한 重要한 要因임이 認識되어야 한다. 그리고 機構와 관련하여서는 學生指導硏究所의 機能을 强化하는 일, 그리고 그밖의 모든 學生指導 기구들이 그것들의 固有한 機能과, 共通機能 및 協力機能을 分揀하여 서로가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강력한 協力體制를 수립하는 일 등이다. 마지막으로 內容面에서는 時代의 變轉에 따른 學生指導에의 要求는 수시로 바뀔수 있지마는 學生指導의 本來的인 機能을 놓치지 말고, 그에 實充할 수 있는 姿勢와 實行力을 堅持하는 일 등이 論議되었다. 그 밖에 韓國카운슬러 協會와 大學에서 카운슬링을 擔當하는 敎授와의 관계 그리고 韓國敎育學會 敎育心理硏究會 會員(카운슬링 專攻의)들의 役割 등이 論議되었다. Ⅰ. Foreword Such principal terms frequently used in the article, as「acting」,「concerned」,「law」,「ordinance」,「college」or「university」, and「guidance」, were defined. The article was designed to grasp the present situation of college student guidance and counseling in Korea by analyzing the acting laws, ordinances and regulations concered. And it attempted to summarize its problem and probable solution for it. Ⅱ. Personnel, Institute and Activity A. personnel Professor (fulltime instructor, assistant professor, associate professor and full professor) stands for the key member performing the student personnel service in higher educational institutes in Korea. Qualification, appointment and duty of the professor were analyzed. The basic law of education and the ordinance for approval of college faculty member control the qualification, law of teacher the appointment, and law of government official the duty. And student is the counterpart of professor in performing counseling and other guidance activities. School regulation of every college demand for certain capacities and conditions to be a student of the school. Status as a student is modified veriously by violating the regulation at will. Administrator of the office work on student guidance contributes to effect the guidance activity or ease the problem arising from the management of the business. Regulation of school or of student guidance center rules the administrator's work. B. Institute Professor, faculty meeting, guidance committee, student bureau and guidance center take charge of student personnel works of the school separately or cooperatively. The organization, function and others are written in verious regulation of the school. C. Activity Helping, students aprehend themselves as they are more easily, guiding student's extra activities, supporting students on finance and offering students usable informations are the main activities the personnels and institutes concerned accomplish. The outlines or areas of the activities of each institute are seen in regulations of each institute.

      • 韓國에서의 敎育課程 硏究 : 韓國에서 發刊된 著(譯·編)書의 分析

        尹八重 서울 敎育大學校 1975 論文集 Vol.8 No.-

        光復以來 30年동안, 敎育의 普遍性만을 지나치게 信賴한 탓으로 雜多한 外來의 思潮와 方法에 시달려온 韓國의 敎育을 反省하고 韓國人의 敎育을 韓國化한다는 面으로 特定化하고자 하는 努力이 一部에서 試圖되고 있는 此際에, 敎育의 한 中核的인 側面인 敎育課程에 관한 硏究가 어느만큼, 그리고 어떻게 遂行되어오고 있는가를 確認하여, 現時點에서의 敎育的 狀況을 綿密히 理解하고 앞으로의 方向과 展望을 곁들인 精密한 洞??을 획득함으로써 그것에 더하여 韓國의 敎育硏究와 實際를 照明하고자 함이 이 論文의 目的이었다. 이 目的을 달성하기 위한 作業으로서 動員된 方法은 文獻을 精査하는 것이었고 이 精査에 쓰인 資料는 韓國에서 韓國人에 衣하여 執筆·發刊된 49卷의 「敎育課程」類의 文獻이었다. 그러나 이 作業의 結果가 韓國에서 遂行되어 온 敎育課程硏究를 完全히 記述한 것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49卷의 著書, 譯書, 그리고 編書를 分析함에 있어서, 먼저 그 一般事項으로 著(譯·編)者, 書名, 出刊地, 出版社(機關), 出刊年度, 面數, 그리고 版型을 分析하고 나서, 이 모든 事項들의 時間系列上의 推移를 알아보았다. 그 結果 著書, 譯書, 그리고 編書를 執筆 또는 編纂한 사람과 機關은 徐義敦과 鄭範模등 모두 70人, 6個 機關임을 확인하였으며, 書名은 대부분이 비슷하지만 「學敎의 敎育課程」은 異彩로운 것이었다. 다음으로 出版地는 서울이 壓倒的으로 많으며 出版社 혹은 出版機關은 一般의 出版社(敎育出版社와 載東文化社 등)가 거의 모두이었다. 出刊年度에 있어서는 1950年代에 5권, 1960년대에 17권, 그리고 1970年代의 前半(1970~1974)에 벌써 27권이 출간되어 急增하고 있는 現狀이었다. 이 論文에서 分析의 對象으로 잡은 모든 文獻中 그 面數는 88~562面에 걸쳤으며 그 版型은 菊版이 절대다수이었다. 이상의 모든 사항에서의 推移를 잡아내기는 어려우나 집필자의 수, 저서수가 급증했고, 출간지가 점차로 分散되었으며, 따라서 출판사의 수도 늘었고, 출간연도는 最近年度로 오면서 급격히 많아졌다. 面數에 관한 한 무어라 말하기 힘들며, 版型은 여전히 국판이 제일 많았다. 둘째번으로는 저(역·편)자가 밝히는 저(역·편)술의 目的을 보면, 그것을 明確히 밝히고 있지 않은 것이 많기는 하지만, 敎育課程에 관한 思考의 轉換,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에의 示唆時代에 대한 要求의 充足, 一線敎師들의 問題點 解決, 敎育課程 再編成에의 寄與, 그리고 교육과정에 관한 이론적 근거의 제시 및 교육현장개선에의 시사 등의 表現들을 쓰고 있었다. 셋째로는 (저·역)편자가 기대하는 讀者層에 관한 것을 分析하였는 바, 그것은(大)學生, (敎育)學徒, 그리고(敎職)準備生이 읽어주기를 바라는 것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一線) 敎師 혹은 (現職)敎師가, 또 그다음은 (敎育)行政家, 奬學士 및 校長이 읽어주기를 바라는 것들이었다. 넷째로는 文獻의 內容 그 自體를 알아보기 위하여 그 目次(범위, 빈도 및 지면 포함)의 敎育課程의 定義를 分析하였다. 먼저 目次에서 본 취급범위는 대단히 廣範하여 敎育의 過程의 全般 모두를 다루고 있는 것이 상당히 많았으며, 자주 다루어지는 題目은 敎育課程의 構成, 교육과정의 基礎, 單元의 學習, 교육과정의 槪念, 學習指導, 교유과정의 類型,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敎育評價, 그리고 現代 교육과정의 特徵등이었다. 마지막으로 가장 많은 紙面을 드려서 記述하고 있는 것이 어느 部面인가를 확인하였는바, 構成, 基礎, 學習指導, 類型, 敎育評價, 單元, 槪念,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改善, 그리고 현대교육과정의 특징의 순이었다. 다른 한편으로 敎育課程의 定義는, 初期(1956)부터 1970年까지의 著書들에서는 , 大體로 經驗(中心)敎育課程에 가까운 것들이었으며, 그 뒤 1971年 以後의 著書에는 學問(中心)敎育課程이 紹介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도 그것에 대하여 냉담한 것들이 상당수 있었다. 마지막 다섯째로 조사한 것은, 分析의 對象이 되었던 文獻들에 參考 혹은 引用한 文獻(국명, 제시양식, 고빈도문헌, 혹은 고빈도 내용 등 포함)이었다. 먼저 참고문헌의 경우, 그 국명을 보면, (구)미의 것이 55%, 한국의 것이 31%, 그리고 일본의 것이 14%이었으며, 그 제시양식은 卷末에 제시한 것이 제일 많았다. 高頻度 文獻중에는 스미스, 스탠리와 쇼오스의 것, 캐스웰과 켐벨의 것, 타일러의 것, 앨버티의 것, 케이건의 것, 리와 리의 것, 세일러의 것, 앤더슨의 것, 크루그의 것, 보비트의 것, 그 위인의 것과 李圭煥의 것(1961~), 鄭範模의 것, 金容基의 것, 함종규의 것과, 그리고 하지자와의 것, 히로우까의 것, 사이또의 것등이었다. 다른 한편으로, 引用文獻의 경우에 있어서는 그 國名의 경우, 참고문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구)미의 것이 가장 많고 그다음이 한국의 것, 그리고 또 그 다음이 일본의 것이었다. 제시양식은 各 章別의 一連番號에 의하여 그 引用한 面의 下段에 脚註를 단 것이 가장 많았다. 다시 高頻度 引用文獻은, 역시 참고문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스미스, 스탠리와 쇼오스의 것이 가장 빈번히 인용되었고 그 다음은(반드시 고빈도 순은 아니지만) (미)교육학회의 것(年報), 버-톤의 것, 앨버티의 것, 정범모의 것, 쎄일러의 것, 문교부제정 국민학교와 중학교 「敎育課程」, 그 위인의 것, 캐스웰과 캠벨의 것, 梨大師大敎育學科의 「교육연구(16호)」, 앨버티와 앨버티의 것, 슈와브의 깃, 나이그리와 에반스의 것, 브루너의 것, 그리고 듀이의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가장 빈번히 인용된 內容은, 먼저 스미스, 스탠리와 쇼오스의 것에서는 「가치제제의 의미와 기능에 관한 것」, 「가치규범」, 「태도」에 관한 것등이었으며, 앨버티의 것에서는 「학습에 있어서 체제는 밖의 것이요, 죽은 물건이다. 」라고 말한것등이며, 캐스웰과 캠벨의 것에서는 單元의 性格을 풀이한 것, 주제법과 목표법과 흥미중심법의 例를 든것이며, 앨버티와 앨버티의 것에서는 경험형 교육과정의 장범을 열거한 것, 靑少年欲求法에서의 문제 영역의 설정의 例를 보인 것 등이었다. 그리고 브루너의 것에서는 「지적활동은 그 분야의 첨단에서나, 국민학교 3학년 교실에서나 어디서난 같은 것이다」라고 말한 部分이었다. Ⅰ. Introduction A. Purpose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are; 1. analyzing all the books on "curriculum" written, translated, and editted by Koreans since the Liberation(1945). 2. finding out the definitions in the books in order to comprehend the viewpoints of Koreans past and present on curriculum. 3. and identify the referenced and quoted books influenced on publication of the "curriculum" B. Method and Datum Present study was approached by the investigation method of written materials concermed, and the data or writtern materials were 49 volumes of "curriculum" in Korean and some others in English or in Japanese. Ⅱ. Analysis A. General items 70 persons and 6 committees published 49 volumes of book titled "curriculum"; 32 written by 64 persons, 6 translated by 4 persons, and 11 deitted by a person and 6 committes(or institutions(. Almost all of the books have names such as "curriculum" or "on curriculum". And most of all books were published by publishing commpanies in Seoul. Volumes of books have been increased sharply during the period. The most voluminous was 566pages and the least 88. And 40 books were in size of medium octavo. B. The Aim of the Books Most of the books were published as text-book of (college) students, and the authors, translators and editors expected their book be read by (college) studentt, teachers and supervisors or principals. C. Contents and Definitions The "curriculum" had their scope of very broad from general concept of education to community comprehensive school, to programmed learning and to mastery learning. "Organization (or construction)" was most frequent and most voluminous topic. The most popular "definition of curriculum" was experience centered curriculum-oriented one. but Dr. Woong-sun Hong introduced to Korea the basic idea about the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for the first in books on "curriculum" published in Korea. D. Referenced quoted-Book 25 books on curriculum analysed in present article had 1,776 reference books; 973 in English, 548 in Korea, and 255 in Japanese. And almost of them were listed on some back pages. Some of the most frequently listed reference books (by Westerner's only) were Smith, B.O., Stanley, W.O. and Schores, J.H., Fundamental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New York; World book, 1950; Alberty, H., Reorganizing High School Curriculum, New York; The McMillan Co., 1947~.; and Ragan, W.B., Modern Elementary Curriculum, New York; Henry Holt and Co., 1953. And the quoted books were foot-noted most. Jerome S. Bruner's proposition;"...intellectual activity anywhere is the same, whether at the frontier of knowledge or in a third-grade classroom..." was quoted 4 times in a same single book.

      • 브르너 敎授理論 體系에서의 認知的 成長의 세가지 表現樣式과 그 批判的 考察

        尹八重 서울 敎育大學校 1977 論文集 Vol.10 No.-

        이 글은, Bruer의 敎授理論 體系를 紹介하는 가운데에 그 理論體系 안에 드는 「構造와 知識의 形態」와 관련되는 認知的 成長의 세 가지 表現樣式들을 더욱 자세히 檢討하여 그것들의 妥當性 혹은 그것들 사이의 辨別的 特性의 獨自性 與否에 관하여 批判的으로 論議하고자 함이었다. 이와 같은 目的을 成就하기 위하여 Bruner의 著書인 「Toward a Theory of Instruction」과 Bruner와 그밖의 여러 사람의 共同作業의 所産인 「Studies in Cognitive Growth」에 실린 Bruner의 글들인 「On Cognitive Growth : I」과 「On Cognitive Growth : II」및 그밖의 글들을 찬찬히 檢討하고 引用하고 批判하였다. Bruner는, 敎授理論의 特性은 處方的, 規範的인 一般理論이어야 한다면서, 교수이론은 첫째 學習者에게 學習에의 傾向性을 가장 效果的으로 심어주는 經驗이 무엇인가를 밝혀내야 하고 둘째, 學習者에 의하여 知識의 體系가 가장 容易하게 把握될 수 있도록 構造化될 方式을 말하여야 하며, 셋째, 學習할 資料를 提示하기 위한 가장 效果的인 系列을 提示해야 하고, 마지막 넷째, 敎授-學習의 過程에서의 賞과 罰의 特性과 그 調整方式을 ?明해야 한다고 主張하고 있다. 따라서 Bruner의 敎授理論 體系는 위의 네 가지에 관한 즉 頃向性, 知識의 構造, 系列, 그리고 賞과 罰에 관한 理論들로 構成된다. 이 네 가지는 Bruner敎授理論의 重要한 構成要素들이기도 하다. 위의 네 가지 구성요소들 가운데의 「知識의 構造는 다시 表現 樣式, 節約性, 그리고 生成力이라는 下位要因들에 따라 영향받으며, 다시 이 세 가지 하위요인들 가운데의 「表現 樣式」에는 行動的 表現, 映像的 表現, 그리고 象徵的 表現으로 分類되는 바, 어떠한 敎科도 이 세가지의 표현양식들로 「번역」되어 표현될 수가 있으며 이 표현 양식들이 學習者의 認知發達 段階中의 該當 知覺類型, 또는 認知類型과 對應되면 어떤 發達段階에 있는 어떤 어린이에게도 그 知識의 本質을 效果的으로 가르칠 수 있다는 것이다. Ⅰ. Preface This study investigates into the system of Jerome S. Bruner's instructional theory, especially into the three modes of representation in cognitive growth as a factor of structure and the form of knowledge, and criticizes some aspects of the theory. Ⅱ. System of the Theory A. The Nature of the Theory Jerome S. Bruner asserts that a theory of instruction is prescriptive in the sense that it sets forth rules concering the most effective way of achieving knowledge or skill, and that a theory of instruction is a normative theory in the sense that it sets up criteria and states the conditions for meeting them. Bruner thinks a theory of instruction has four major features; a theory of instruction should specify the experiences which most effectively implant in the individual a pre-disposition toward learning, must specify the ways in which a body of knowledge should be structured so that it can be most readily grasped by the learner, should specify the most effective sequences in which to present the materials to be learned, and should specify the nature and pacing of rewards and punishments in the process of learning and teaching. B. The System of the Theory The system of instructional theory of Bruner consists of the four major features: predisposition, structure and the form of knowledge, sequence and it's uses, the form and pacing of reinforcement. The structure and the form of knowledge has modes of representation, economy, and power. Jeroms S. Bruner, The Process of Education,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1960. Ⅲ. Three Modes of Representation in Cognitive Growth Bruner writes that any domain of knowledge (or any problem within that domain of knowledge) can be represented in three ways: by a set of actions appropriate for achieving a certain result (enactive representation): by a set of summary images or graphics that stand for a concept without defining it fully (inconic representation); and by a a set of symbolic or logical propositions drawn from a symbolic system that is governed by rules or laws for forming and transforming propositions (symbolic representation). Ⅳ. Some problems (conclusion) A. The theory explains more cleary the cognitive aspect of instructional process than the other aspects. And the theory does not cover the whole things and phenomena of instructional process. B. Bruner's hypothesis is not tested fully so far, and seems to be falsifiable. The main hypothesis is that any subject can be taught effectively in some intellectually honest form to any child at any stage of development. C. There sems to be some logical discrepancy. Bruner says the symbolic representation in cognitive growth is the highest and the best one, and says that the enactive representation, iconic representation and the symbolic representation are independent.

      • 人間中心 敎育課程 理論에 準據한 現行의 韓國 國民學校 敎育課程의 分析

        尹八重 서울 敎育大學校 1976 論文集 Vol.9 No.-

        韓國에서의의 敎育課程 硏究와 國民 學敎의 敎育課程의 實際가 先進된 外國의 그것들에 比較하여 時間的인 間隙이 있음을 發見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1. 敎育課程 硏究 또는 實際의 最近의 狀況을 確認하고, 2. 韓國 國民學校 의 實定 敎育課程을, 最近의 傾向인 人本的 敎育課程 理論에 비추어, 즉 總論은 Bruce Joyce의 理論에 準據하여, 그리고 各論은 Duane Manning의 理論에 準據하여 分析하여, 3 韓國에서의 敎育課程 硏究의 觀點을 擴大 또는 前近시키고 한국 학교의 敎育課程 改善을 위한 노력에 한 感覺源을 提供하기 위한 것이 論究의 目的이다. 그러나 여러가지 制約 때문에 1. 敎育課程의 展開面, 2. 국어과, 사회과, 산수과, 그리고 자연과 이외의 敎科를 分析하지 못하였음며, 3, 그것도 주로 「목표」만을 對象으로 하였다. 먼저 「인간중심」교육과정의 本質을 확인하기 위하여 「학문 중심」교육과정의 批判點을 點檢하고 나서, 인간중심 교육과정의 모습을 露出시켰다. 인간중심 교육과정」은 모든 교육과정 설계.구성.전개는 個個 學生을 깊이 고려한다는 것, 교육과정을 운영하는데에 관여되는 모든 機關. 機構.考案物이나 着想을 융통성 있게 한다는 것, 敎師의 敎授 能力을 個人的 集團으로 最大로 活用할 수 있는 모든 方式을 강구한다는 것, 敎育이 이루어지는 具體的인 內容을 부단히 검토하여 한 人間으로서의 學生 한 사람 한 사람에의 意味라는 方向에서 改善한다는 것, 兒童學生 集團의 篇成을 固定시키지 않고 융통성 있게 多元的으로 한다는것, 秀才兒를 위한 特殊方式을 강구한다는것, 그리고 특별히 創意性이 最大限으로 펴나가도록 留意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특성을 지닌 人間中心 敎育課性이 운영되는 具體的인 樣式은, 1. 인공두뇌체제 양식 2. 개별지도 양식 3. 집단적 탐구양식 등이다. 다음으로는 各 敎科에 스며들어야 하는 인간중심 교육과정의 정신을 네개의 교과에서 확인하였다. 첫째, 사회과(社會生活科)는 (1) 교실을 社會生活 學習의 실험실로 운영한다. (2) 인류의 理想과 社會的으로 公認된 여러 價値를 발전시킨다. (3) 중요한 知識 精報를 抽出하여 그것을 中心으로 하여 中核化한다. (4) 비판적 思考 能力을 기른다. (5) 學習프로그램 사이의 均衡을 重視한다. 그리고 (6) 自己 評價 方法을 活用한다는 등의 특징을 지닌다. 둘째, 자연과(科學科)는 (1) 科學的 思考 能力의 學習에 焦點을 둔다. (2) 深究過程을 통한 學習方法을 活用한다. (3) 비단 科學 敎科에서만이 아니라 기타의 學習 生活(活動)에서도 연결되어 과학적 탐구 방법이 기능적으로 확산된다. (4) 科學 敎師는 그의 學的 背景과 人性 面에서 모두「科學的」이어야 한다. (5) 科學的 탐구방식이 性格形成 등에로도 넓은 뜻의 轉移가 可能하다. (6) 保健 科學에 특별히 重點을 둔다 그리고 (7) 評價에서는 知識量의 增加에 보다는 科學的 深究方法의 세련 정도 등을 對象으로 한다는 등의 특징을 지닌다. 셋째, 산수과(數學科)는 (1) 學習內容의 「意味」라는 側面을 강조한다. (2)重要한 槪念의 형성과 具體的인 操作을 위한 여러 기구오 장치를 活用한다. (3) 기는적 학습을 조장한다. (4) 문제핸결 능력을 신장한다. 그리고 (5) 놀이 삼아 재미있게 학습한다 등의 특성을 갖는다. 넷째, 言語 敎科는 (1) 語법에 있어서는 적절한 事態에서 현실적인 目標를 겨누어 行爲를 수반하는 방식으로 학습한다. (2) 言語生活을 위한 道具라는 面에서는 기본 單語오 정확한 ?字法을 중시한다. (3) 읽기는 先行 經驗의 터전 위에서 일찍부터 個人別의 指道 方法으로 학습한다는 등의 모습을 지니다. 위에서와 같은「人本的 敎育課程」그 自體의 本質에 따라서, 다음으로는 현행의 韓國의 국민학교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앞에서 밝혀진 諸敎科(국어, 社會科, 數敎科, 그리고 科學科)의 여러 「목표」들과, 각급 학교 공통 부분의 총론과 국민학교의 총론을 분서하였다. 총론(공통 부분)에서는 人本的 인 表現이 상당히 많이 확인되었다. 즉, 三大 基本方針中의 하나가 「인간 교육의 강화」이며 이에 딸린 여러 항목가운데에서도 「비인간화 경향의 극복」이라는 또렷한 표현이 있다. 여기에 들어있는 「인간의 존엄성」, 「개인의 독자성」, 그리고 「연대의식」등의 「자아실현」이 특별히 깊이 관련된다. 이 가운데의 「자아의식」, 「탐구적 태도」, 「창의적으로」,「스스로의」, 그리고「독자성」등의 표현은 그 구체적인 표현들이다. 다음으로는 국민학교의 교육과정의 총론 部分, 즉「구성 방침」과 「운영 지침」에도 여러가지 表現들로 위에서 본 「기본 방침」과 「일반 목표」에 담겨진 人本的인 精神이 具體化되어 分散的으로 나타나 있다. 다음으로는 「각론」중의 「국어과」「사회과」「산수과」그리고 「자연과」의 「일반목표」와 각 「학년목표」를 분서하였다. 본 論究의 本論 部分에 자세히 밝혀져 있다. 여기에서는 국민학교의 각 敎科의 「일반목표」의 陳述文中의 代表的인 項目 하나씩만을 추려 보면 아래와 같다. 1. 「국어과」의 경우, 「일반목표」에서는 「일상생활에 필요한 국어의 경험을 넓히고 정확하게 이해하며 적절하게 표현하는 기능을 길러서 언어생활을 원활히 할 수 있게 한다」등 2개 항목 2. 「사회과」의 경우, 「사회 생활에 대하여 올바른 이해를 가지게 하고 가정, 사회, 국가에 대한 애정을 길러 국가발전과 국민적 과제 해결에 적극 참여하는 국민으로서의 자질을 기른다」등의 3개항목 3. 산수과의 경우, 「일상생활의 여러가지 사물의 현상을 수리적으로 사고하는 경험을 통하여 수학의 기초적인 개념, 원리, 법칙을 이해시킨다.」는 항목. 4. 자연과의 경우, 「과학적 탐구 방법을 체득시켜 자연의 규칙성을 발견하는 능력과 태도를 기른다.」등 3개 항목등이 있다. B. 結 論 以上에서의 確認과 分析의 結果를 土台로 하여, 本 論究의 目的에 비춘 結論을 要約하면 아래와 같은 몇가지 事項들이 된다. 첫째, 先進 外國의 경우에는 學問中心 敎育課만으로는 滿足하지 않고 이 類型의 敎育課程이 지니고 있는 短點을 克服하기 위하여 여러가지의 硏究를 推鎭하고 있는 가운데 人本的 또는 人間中心 敎育課程에의 接近도 그런 硏究들중의 하나로써 相當한 程度로 理論化되어 왔다. 韓國에서의 敎育課程 硏究도 우선은 學的 關心이라는 次元에서부터 이런 面에로 注意를 기울여야겠다. 둘째, 現行의 韓國 國民學敎 敎育課程에는, 本質面에서 보아, 人本的인 表現인것으로 여겨지는 陳述된 目標들이 相當히 많이 있다. 그러나 그것이 具體的으로 敎育 事態에서 實踐되어 本來의 目的이 成就되게 하기 위하여는 그 展開 方法에 관한 보다 祥細하고 指針的인 後續 ??가 뒷따라야 되겠다. 셋째, 「교육과정령」상의 目標와 敎授 目標 및 그 結果 사이의 간격을 좁히기 위하여 敎師의 敎育課程運營의 次元을 높여야 되겠다. 아무리 훌륭하게 진술된 교육 목표도 그것이 敎師들에 의하여 그 根本 精神아 展開되지 못하면 소용이 없으므로 敎師의 準備 敎育課程에서는 물론, 現織 敎育 課程에서도 이 面이 特別이 강조되어야 되겠다. 넷째, 現行의 敎育課程(1973년에 개정된 것)은 얼마간 그대로 施行되어야 하며 적절한 時期에 있을 改正에서도 「敎育課程令」의 改正. 公布. 施行이 바로 韓國 敎育實際의 改善에 어떻게 波及되어 나아가는가가 보다 더 綿密히 調査. 硏究되어야 되겠다. 즉 「교육과정개정」이 文書上의 改正에서 머물지 말고 그 「교실 사태에서의 전개의 개선」에 까지 이르러야만 되겠다. 마지마 다섯째, 學問型 敎育課程에서 强調하는 深究過程 등이 人本的인 敎育課程의 入場에서 Ⅰ. Preface A. Purposes Present study takes as its purpose the following : 1. identifying the latest trends of curriculum research all over the world, especially in America. 2. analyzing the 「School Curriculum」of Korea with reference to the criteria of humanistic curricular theories. 3. and widening and advancing the frontiers of curriculum research in Korea, and giving a sense or direction for the forthcoming revision of the 「School Curriculum」. B. Limitations The study limits its range to curriculum organization and to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of Korea. Ⅱ. Theory of Humanistic Curriculum A. Some Criticisms on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Some theorists of curriculum research attack on discipliue-centered curriculum on its having the following negative features. 1. It is more appropriate to the pupils of middle or of higher mentality. 2. It does not continue its research program further. 3. It separates disciplines into so many branches of narrow areas of them. 4. It takes as its premises the school year system. 5. And it does not give attention to evaluation devices. B. Humanistic Curriculum Humanistic curriculum is strong in its taking some merits as its unique characteristics. The merits are person-oriented design, organiaxtional flexibility, faculty utilization, internal organization and management, improving contents, multidimen sional grouping, approaches to giftedness, nurturing creativity, personalizing social studies, adjusting the focus in science, making mathematics sensible and "childrenizing" the language arts etc. And the humanistic curriculum has three modes; they are the cybernetic systems mode, the tutorial mode and the group inquiry curricular mode. Ⅲ. Analysis of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of Korea A. The study approaches to the analysis of the 「School Curriculum」in two ways. First, the「general remarks」is analyzed with reference to the Bruce Joyce's criterion. Sencond, the 「special treatice」is analyzed with reference to the Duane Manning's criterion. B. Items Analized There are many expressions in full of humanistic factor in 「basic poicy」and in 「general objective」in 「general remarks」. Some examples of the them are 「emphasis on humanistic education」, 「self-realization」etc. The humanistic statements of educational objectives are well exemplified in detail in 「organizational policy」and in 「developmental guide」of the 「School Curriculum」And 「language arts」,「social studies」,「mathematics」, and 「science」have large number of statements in colour of humanistic curriculum. Ⅳ. Conclusions Present study produces following conclusions. A. There are wide prevailing trends of curriculupm research on the humanistic aspects in acdademically advanced countries. B.「Elementary School Curriculum」of; Korea has rather many humanistic descriptions in thei stated objectives of subject-matters. C. Well trained teacher has the key to the accomplishment of the humanistic educationa objectives in the classroom level. And so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preparatory and in in-service courses have their sound justification to take emphasis most on "curriculum development". D. Curriculum revision should be exercised in the ordinance revision, as well in the improvement of teaching-learning situation througnout the nation. E. Discipinary curriclum and humanistic curriculum share wide common factors. We need not to be over-attentive to the "new word-humanistic curriculum. It is wise to take master-and-take-next policy.

      • 敎授-學習過程의 分析과 그 評價方案 : 大學에서의 敎授-學習過程 評定尺度의 構成

        尹八重 서울 敎育大學校 1971 論文集 Vol.4 No.-

        Ⅰ. Problem. Teaching-learing activity in educational programs is the most essential one among others. And it is the Korean practice that the role-paying of professors as instructor is no less important than anyothers as those as researcher or as guidance personnel because of their heavy load in teaching, but professors are not properly evaluated in terms of thachoing efficiency but are valuated in terms of the results of ressarch in general. In order to improve the above-mentioned unfavorable circumstances, it is much valuable that professors themselves must find out the appropriate ideas or means for improving their own teaching efficiency and that, accordingly, there must be an instrument for the evaluation of their practice on teaching.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nstruct a rating scale for the use of Korean college instructors. Ⅱ. Method. The items of the rating scale are from the reformation of those seen in the book titled as Student Evalu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Illustrutive Items for Teacher Self-evaluative Instruments writt-en by Ray H. Simpson and Jerome M. Seidman. The orighinal scale contains 11 areas and 88 items constructed in rating method. The reformations are of 19 crosses-out,13 crosses-out and additions, 10 additions, 4 replacements and 16 corrections. Ⅲ. Outline of the scale. The scale consists of 11 areas and 80 items which have 3-6 sentences to be responsed to, respectively. There must be taken in mind some considrations in interpreting reliably the responses by students. The whole items and the detils of the scale are seen on the appendix.

      • 近代 韓國敎育의 內容 : 韓國敎育課程發達史(Ⅱ)

        尹八重 서울 敎育大學校 1973 論文集 Vol.6 No.-

        Ⅰ. Curriculum of Modernized Education in 1876-1906 A.D. A. Process of Educational Modernization The insistence upon seclusionism of Lee dynasty was collapsed by the conclusion of a treaty of peace and amity signed by Korea and Japan in 1876. Thereafter Korea signed many treaties of such kind with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That paved the way for being introduced to Korea Jadanese and Chinese modernized things through comings and goings of Korean diplomacts, inspectors and students. At the sametime, American protestant missionaries played very important roles in modernizing Korea by missionary work, medical treatment and educational activity. B. New Subject-matter of Modernized Educational Institute The government authorities established Government School for interpreter training in 1883, and kept pace with the sudden increase increase in demand of the interpreter in several foreign languages. And Royal English School established in 1886 instructed such a newly introduced subject-matters as geography, mathematics and others for the first time in the nation's history of education. Also the American missionaries founded many schools such as Kwanghyewon (in 1885), Ewha (in 1886), Baejae (in 1886), Kyongshin (in 1886), and Cheongshin (in 1886). The schools instructed new subject-matters, too. C. Enactment of New Laws of Education and the Curriculum The Kap-O Reform of 1894 made new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and the Government of King Kohjong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new education in modernizing the nation, and then Kohjong enacted regulation on Hahnsung Normal School and on other schools. The primary schools of that time gave lessons in moral sciences; reading, composition and writing native language; mathematics; gymastics; georgraphy and history of Korea; drawing; foreign language and sewing. Middle school, normal school, school of foreign language, medical school, comercialindustrial scholl, judicial officer training institute, postman training institute and electric engineer training institute instructed new subject-matters suitable to the realization of their purposes. The goverment started to compile new textbooks in 1895, and published "Kohngbuphoetong", and introducation to public law, and others. Oh the other side, Young Whan Min and other non-official civilians established schools for new education. Ⅱ. Curriculum Under Japanese Resident General to Korea (1906-10) A. Revision of Educational System and Curriculum' Japanese officers in Korean government controlled Korean Education substantially thereafter the Korea-Japan Pact of 1904. They reformed the regulation on normal school (in 1906) and those on others to control or to arrange the educational system. The reformed educational laws made primary school in Korea start to give lessons in Japanese language, and high schools had to teach the students subject-matters on business and foreign language. Girl s schools for secondary education were forced to teach the students subjectmatters on house-keeping, sewing, handicraft and others. Normal school taught the students subject-matter on education 3 classes a week. Agricultural-forestal school, commercial school, industrial school came into being then. Schools of foreign language of Japanese, English, Chinese, French and German were established then, too. B. Policy on Text-book Japanese officers employed in Korean government editted many new text-books for the purpose to substitute for the text-books written by non-official civilians. They said that was an intention to erase the damages caused by the "coarse" books, but they tried to direct education in Korea toward their colonial policy on deucation. It was clarified in not deitting the text-books of Korean history and geography on purpose. Finally they enacted text-book screeing regulation in 1908. The regulation controlled educational contents by governing the articles in text-books. Ⅲ. Curriculum in Period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to Korea A. Curriculum in Propulsion Period of Japanese Colonial Policy on Education in Korea (1910-19) An attempt to assimilate Koreans with Japanese people was the fundamental policy on education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to Korea. The policy was practiced in legislating the fu ndamental law of deucation in 1911, and the law took provisions for diffusing Japanese language and for practising elementary vocational education for the purposes to erase the national traditions of Korea and to prepare for necessary man power in colonization in all schools throughout the nation. The private schools were controlled so severely as to not be permitted to teach Bible, history and geography of Korea by Japanese colonizers. Anyway Janpanese officers in education bureau strived for asimilating Koreans to Japanese people through all the subject-matters taught in all schools of all levels in Korea. B. Curriculum in Period of Realization in Full-scale of Japanese Colonial Education in Korea (1919-38) Educatonal policy seemed to be modified with culture-oriented form as consequence of Koreans' fierce resistance against Japanese policy in the 3.1 Movement in 1919 and in other rebellions. But it did not bring any change in fact. They stressed more strongly the deucation for assimilation, and revised radically the fundamental law of education in 1922. While the class hours of Korean language were cut down drastically, those of Japanese language were increased. Even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of the nation were forced to learn Japanese history and geography, and other subject-matters on vocational education. C. Curriculum in Period of Colonial Education For Subjects of Japanese Emperor (1948-45) Japanese Government General to Korea had been striving to mold Korean people into subjects of Japanese Emperor in the war time (1938-45) by strengthening the colonial policy on education-clarification of national polity, identification of Korea and Japan, and hard discipline in mind and body. The fundamental law of education was revised again in 1938 toward inspiring all the students with patriotism which, they thought, would serve to win in wars against China, Russia, America and Britain. At the finall phase of the period, education was enforced to stop its fuction in fact, and students had to be employed in every work for the wars. Schooling years were shortened. Moral science, Japanese language, Japanese history, Japanese geography, physical exercises were stressed especially. Finally, Japanese Emperor, Hirohito, yield to the Allied Forces on August 15th, 1945. And Korea got out of the severe Japanese reign of 36 yea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