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退溪學資料叢書 解題(第二次分) : 倦翁集

        안병걸 안동대학교 1997 退溪學 Vol.9 No.1

        『倦翁先生文集』은 柳賓(1520-1591)의 문집이다. 유빈의 본관은 豊山, 자는 美叔으로, 권옹은 그의 호이다. 그의 선대는 본래 河回에 살았으나, 그의 부친인 柳公智가 禮安의 西村里로 이사하여 그를 낳았다. 유빈은 9세 되던 해에 부친으로부터 『대학』을 배우기 시작한 이래로 經史에 걸쳐 널리 학습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순전히 家學에만 의지하였던 듯, 다른 스승에게 학문을 전수받았다는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젊어서는 과거 급제를 위한 공부에 전념하여 여러 차례 응시하였으나 합격하지 못하자, 이후 관로의 진취에는 뜻을 두지 않고 聖學에만 잠심하였다. 가산에도 크게 마음을 두지 않아 풍년이 든 해에 기한을 면치 못하더라도 편안히 여겼다고 한다.

      • 東巖 柳長源의 經學思想

        안병걸 안동대학교 1989 退溪學 Vol.1 No.1

        이상에서 동암 류장원의 학문과 그의 저술『사서찬주증보』에 관하여 살펴 보았다. 『증보』의 부록으로 『소주고의』두 권이 있는데, 이것은 주회의 학설 보다는 원, 명대 학자들 사이에 유행하였던 주회 학설을 비평을 통한 사서의 재해석들의 모음인 『사서대전』에 보이는 소주들을 검토한 것이다. 이 두 가지 저술은 특히 『증보』는 주자학적 해석에 철저한-거기에 『집주』에 보이는 문제점이 다소 제기되었다 하더라도-, 따라서 아무리 객관적이라고 엄정한 체제로 편집되었다 하더라도 류장원의 독창적인 저술이라고 볼 수 없는 한계를 갖는다. 이러한 점에서 『증보』와 유사한 저술이, 류장원과는 학문적 입장이 다소 다르나, 조선조의 대표적인 학자 한 사람에 의해 편찬된 것이 있다.

      • 退溪學團의 形成과 學問的 特性 : 退溪學團의 綜合的硏究를 위한 詩論

        안병걸 안동대학교 1993 退溪學 Vol.5 No.1

        13世紀末葉 中國으로부터 流入된 韓國性理學은 高麗後期에 새롭게 形成되는 階層인 新進士大夫들에 의해 主導되었다. 이 새로운 階層은 결국 高麗를 무너뜨리고 朝鮮王朝를 建國하는 主體勢力이 되었고, 이에 朝鮮의 朱子學은 朝鮮王朝를 이끌어가는 指導理念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支配階層의 變化와 더불어 社會를 指導하는 理念도 따라 變한 것이다. 그런데 朝鮮朝의 朱子學은 官學의 傳統에 못지 않게 在野의 私學에 의하여도 그 學脈을 이어가는 在野的傳統을 아울러 가졌다. 朝鮮 建國을 즈음하여 名分과 現實의 葛藤 結果 在野로 물러나 隱遁한 學者들이 있었는데, 麗末鮮初에 살았던 吉再(西紀 1353∼1419)같은 이들이 代表的人物이다. 吉再의 學統을 이은 人物들은 주로 嶺南地域에 자리잡고서 道學的理念에 따른 名分과 그것의 實踐에 置重하였는데, 이들의 學統을 이은 學者들이 朝鮮 中期 士林의 主流를 이루어 왔다.

      • 第四輯 解題 : 梅軒先生文集, 春塘先生文集

        안병걸 안동대학교 1992 退溪學 Vol.4 No.1

        琴輔(1521~1584년)의 詩文集. 금보의 자는 士任 본관은 奉化, 매헌은 그의 호이다. 司導寺僉正 琴元壽의 二男으로 봉화의 槐村에서 태어난 그는 퇴계의 문하에서 오랜 기간 수학하고, 평생 그 가르침을 실천하며 살다간 학자이다. 家學으로 글을 배웠는데, 특히 글씨에 뛰어나 소년시절부터 명필로 소문이 났고, 평생토록 그의 글씨를 받고자하는 사람들이 줄을 이었다고 전한다(梅巖 李叔樑 春塘 吳守盈과 함께 宣城三筆로 소문났고, 그 중에도 그의 글씨가 가장 뛰어났다고 한다. 뒷날 퇴계의 서거 후에 세운 묘전비문의 글씨와 도산서원의 여러 편액에 그의 글씨가 많이 전한다고 한다.)

      • KCI등재
      • 한ㆍ일 양어의 동사 연구 : 韓國語 「하다」と 日本語「する」動詞を 中心として 한국어 「하다」와 일본어「する」동사를 중심으로

        안병걸 남서울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센터 2000 인문사회연구 Vol.2 No.-

        일본어와 한국어가 술어를 중심으로 문장이 구성된다. 특히 「동사」는 그 기능에 있어서 격을 지배하는 등 언어 표현에 있어서 그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한국어를 모어(母語)로 하는 일본어 학습자가 일본어를 학습할 때 모어인 한국어의 간섭을 받게 되는데 동사 가운데에서도 한국어와 일본어가 공통으로 사용되고 있는 한자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그 의미나 용법상에서 혼동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한·일 양어에서 공통으로 사용되고 있는 한자들은 음성적으로도 어느 정도 규칙적으로 대응하기 때문에 한자의 조합에 의해 만들어진 한자어는 한국어를 모어로 하는 사람에게 있어서는 일본어의 학습속도를 빠르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 그래서 이번에는 한자어를 중심으로 「する/하다」가 갖고 있는 기능 전체에 주목하면서 「する/하다」의 전항요소인 명사의 성질도 검토를 병행하였다. 그 결과 「하다/する」의 기능은 전항요소인 한자어에 따라 그 기능이 각각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이러한 한자어가 가진 의미가 1. 동작성을 가진 것인지, 그렇지 않으면 상태나 변화를 나타내는지. 2. 동작성을 가지고 있다면 그것이 의지적인 동작인지 아닌지, 능동적인 행위인지 수동적인 행위인지에 따라 기능을 달리하였다. 또, 「하다/する」의 기능면에서는 1) 동작성이 없는 한자어를 동사화하고 2) 실직적 의미를 가진 다른 일반동사를 대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3) 동작성을 가진 한자어의 경우 ① 서술적 의미는 한자어에 의존하고 ② 「하다/する」는 형식적인 표면구조상의 문법적 기능(동사화 접사)밖에 가질 수 없다 라는 주요한 기능에 대하여 문제 의식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하다/する」는, 이밖에도 가능형이나 사역형, 수동형 등에 관계된 문제등 연구의 여지는 많이 남아있다. 이에 대해서는, 한국어와의 대응의차이가 큰 부분이기도 하지만 일본어교육의 면에서도 앞으로 중요한 과제 일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