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五臟背兪穴 部位의 神經領域 및 穴位 特性에 대한 硏究

        安成薰,裵柱東,朴正俊,卞成熙,孫仁喆 한국전통의학연구소 1998 한국전통의학지 Vol.8 No.1

        五臟兪穴과 근접神經幹의 위치적 유사성을 토대로 내장에 대한 직접적 神經支作用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五臟兪穴은 足太陽膀胱經 背部 제 1선에 위치한 五臟의 背兪穴로,肺兪는 第 3椎下, 心兪 第 5椎下, 肝兪는 第 9椎下, 脾兪는 第 11椎下, 腎兪는 第 14椎下의 兩傍 各1寸分 部位에 있다. 2. 五臟兪穴 部位에 분포하고 있는 신경을 보면, 胸背部의 肺兪와 心兪부위에는 external branch of accessory N, N. of the rhomboids, post. branch of thoracic N가, 肝兪부위에는 subseapular N, post. branch of thoracic N, 脾兪부위에는 post. branch of thoracic N이며, 腎兪부위에는 post. branch of lumbar N.가 분포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신경이 支配하는 근육은 僧帽筋, 菱形筋, 最長筋, 廣背筋, 腸骨肋筋, 腰背筋膜이다. 3. 유기체인 인간에 있어서 대뇌가 인지하지 못하는 도중이거나 또는 자극전달과정을 차단하는 과정이라도 신경의 여러 종류 중 근접신경간 또는 신경절간의 최소거리에서 자극전달과정이 일어날 수 있다고 사료되며 특히 病理的 狀況에서 기능의 혼란성은 더욱 심화되리라고 예상된다. 따라서,五臟兪穴에 대한 刺鍼효과는 자극전달과정의 혼란성을 惹起하여 일어나는 交感神經系의 內部臟器에 대한 직접적 作用일 수 있다고 思料되며 여기에 대한 실험적 연구가 思料된다. This research was studied how muscle and nerve system were placed according to accupuncture point of B13 (肺兪), B15(心兪), B18(肝兪), B20(脾兪), B23(腎兪), OH-JANG-SUE(五臟兪). And studied it to be possibility that muscle and nerve system of this area connected to organ of human, so we acquired following results. 1. There are B13 1.5 dlon(寸) area besides under the 3rd thoracic vertebra, B15 under the 5th thoracic vertebra, B18 under the 9th thoracic vertebra, B20 under the 11th thoracic vertebra, B23 under the 14th thoracic vertebra. 2. Thee are external branch of accessory N, N. of the rhomboids, post. branch of thoracic N. in B13(肺兪) and B15(心兪), subscapular N, post. branch of thoracic N. in B18(肝兪), post. branch of thoracic N. in B20(脾兪), post. branch of lumbar N. in B23(腎兪). This nerves rule trapezius M., rhomboideus major M., longissimus M, serratus post. info M. fascia lumbodorsalis. 3. We proposed that the accupuncture effect of B13(肺兪), B15(心兪). B18(), B20(肝兪), B23(腎兪) might be confusion of nerve system.

      • KCI등재

        교도작업, 형벌인가 처우인가

        안성훈 아시아교정포럼 2010 교정담론 Vol.4 No.2

        우리나라의 자유형에는 징역, 금고, 구류가 있지만, 현행법은 원칙적으로 정역수형자에 대해서만 작업의 강제를 인정하고 있다. 이는 형법 제 67조가 정역형의 내용을 「형무소 구치」 와 「정역에 복무」 할 것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교도작업에서 부과되는 작업은 처우내용으로서의 노동이 아니라, 실제로는 정역형 수형자에 대한 형벌 가중적 성격을 가짐을 부인하기 어렵다. 그러나 교정처우의 목적이 사회복귀에 있으므로, 교도소 내에서의 작업부과가 수형자에게 노동의 가치와 의미를 일깨우고 장차 사회복귀에 필요한 기술과 생활력 내지 자금을 축적하도록 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 한, 작업의무의 부과를 고통으로 보는 것은 부적절할 것이다. 수형자의 교화개선과 사회복귀를 목적으로 하는 현대의 행형사상에 비추어 볼 때, 교도작업을 자유형의 형별내용으로부터 배제하고 교정처우의 내용으로 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도작업을 자유형의 형벌내용으로부터 분리하면, 피수용자가 작업에 종사하는 경우 노동의 제공에 대한 대가로서의 임금제를 도입시켜야 할 것인가 라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작업임금제는 이론상 및 실제상 곤란을 수반하는 것으로, 수형자의 노동권 및 임금 청구권을 전제로 하는 제도는 인정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본래 작업임금제는 범죄자의 개선갱생과 원활한 사회복귀의 관점에서 주장된 것이고, 또한 작업임금제의 실시로 인해 기대할 수 있는 형사정책적 효과는 무시할 수 없다. 그러한 이상,노동의 대가로서가 아니어도 노동의 질 내지 양에 상응하는 보수의 관념을 도입해서,갱생 및 사회복귀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도의 금전을 지급하는 조치를 강구할 필요성이 있다.

      • 神闕의 穴位 특징과 鍼灸治療에 대한 문헌 고찰

        안성훈,조명수,송재수,도진우,김종성,손인철 한국전통의학연구소 2002 한국전통의학지 Vol.12 No.1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location of Sin-Guel(CV_(8), 神闕) through literature research. We extracted the part about the location of Sin-Guel(CV_(8), 神闕) from ancient and modern oriental medical literature which were used commonly in clinic.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location of Sin-Guel(CV_(8), 神闕) were generally recorded DangJeJung. 2. Sin-Guel(CV_(8), 神闕) placed in middle of linea alba. 3. Treatment effect of moxibustion on Sin-Guel(CV_(8), 神闕) were recorded as diarrhea, dropsy, prolapse of the anus, stomachache, paralysis etc.. 4. Acupuncture therapy on Sin-Guel(CV_(8), 神闕) is dangerous because of inflammation, it is suggested that acupuncture therapy may be possible if acupuncture therapy do not induce inflammation on Sin-Guel(CV_(8), 神闕).

      • KCI등재후보

        Ethanol 投與가 運動負荷後 心搏數, 血壓, 呼吸數와 血中乳酸 및 血中 etanol 濃度에 미치는 效果

        朱永恩,李元晶,金亨鎭,黃樹寬,安成勳 啓明大學校 醫科大學 1982 계명의대학술지 Vol.1 No.1

        Ethanol이 運動에 미치는 影響을 알고자 20~22歲의 男子大學生 100名을 1) EOH 群, 2) 運動群 및 3)EOH+運動群으로 區分하였다. Ethanol 投與는 25% ethanol을 體重 ㎏ 當 2㎖ 씩을 投與하였고, 運動負荷는 rebounder에서 垂直뛰기를 1分에 約 80回로 3分間 實施하였으며, ethanol 投與로 運動負荷後 恢復期에서 心博數, 血壓, 呼吸數와 血中乳酸 및 血中 ethanol 濃度의 變化樣相을 比較 分析하여 다음과 같은 結果를 얻었다. EOH 群에서 心博數는 ethanol 投與後 20分에는 有意하게 增加하다가 次次 減少하여 180分에는 安靜狀態로 恢復하였고, 血壓은 ethanol 投與後 20分부터 減少하다가 40分 以後부터는 有意하게 減少하였으며, 呼吸數도 多少 낮은 傾向을 보였다. 運動負荷後 心博數의 恢復은 EOH+運動群이 運動群보다 더 늦었다. 恢復 1分에 EOH+運動群에서 安靜時 71.4±0.88회에서 114.7±2.85회로서 運動群의 118.0±2.81회보다 더 낮았으나, 運動群이 急速히 恢復되므로 恢復 5, 10 및 20分에서는 EOH+運動群이 有意하게 높았다. 그리고 兩群 모두 恢復 20分까지 安靜狀態보다 有意하게 높았다. 運動負荷後 血壓은 兩群 모두 대개 恢復 1分에서 5分까지 安靜狀態보다 有意하게 높다가 10分에는 安靜狀態로 恢復되었으나, 이 中 EOH+運動群의 收縮期 血壓은 恢復 20分에 112.9±2.50㎜Hg로 安靜時 119.0±0.71㎜Hg에 比해 有意하게 낮았으며, 擴張期 血壓은 恢復期에 安靜時와 비슷하거나 오히려 낮았다. EOH+運動群의 收縮期 血壓은 運動群보다 낮은 값으로 恢復되었고, 特히 擴張期 血壓과 平均 動脈壓은 恢復 20分까지 繼續 有意하게 낮은 값으로 恢復되었으며, 脈壓은 높은 값으로 恢復되었다. 運動負荷後 呼吸數는 EOH+運動群이 運動群보다 恢復 1 및 3分에서 繼續 有意하게 낮았으나, 運動群이 恢復이 빨라서 恢復 20分에는 兩群이 비슷하였다. 血中乳酸濃度는 安靜狀態에 12.81±0.87㎎/㎗에서 運動直後 EOH+運動群과 運動群은 各各 65.95±6.37㎎/㎗ 및 76.50±6.93㎎/㎗로 增加되었으며, 兩群 모두 急速히 恢復되다가 運動群은 60分에서 EOH+運動群은 120分에서 各各 安靜狀態로 恢復되었다. 血中 ethanol 濃度는 EOH+運動群 및 EOH群에 모두 60分에 63.67±3.84㎎/㎗ 및 63.43±5.09㎎/㎗로 거의 같은 값으로 增加하였다가, EOH+運動群은 120分에 37.40±2.56㎎/㎗로 急速히 恢復되는데 反해 EOH群은 63.0±5.33㎎/㎗로 恢復이 緩慢하였다. 以上의 結果를 綜合하면 ethanol의 影響으로 心博數가 增加되어 運動後 그 恢復이 늦어지고 血壓이 繼續 낮은 값으로 恢復되는 점과 血中乳酸濃度가 ethanol의 影響으로 增加되어 運動後 恢復도 늦어지고 運動負荷後 血中 ethanol 濃度가 急速히 減少한 점 等은 意義있는 結果인 것으로 注目되는 바이다. 이번 硏究에 對象으로서 積極 參與해 준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一學年 學生一同(1981학년도)에게 깊이 感謝한다. Effect of ethanol(EOH) on cardiovascular system and blood lactate levels following exercise was studied in 100 male college students (Age:20-22yr) who were divided into 3 groups: Ethanol group, Exercise group and Ethanol+Exercise group. Ethanol was administered as 25% Korean liquor (Kumbokju) in a dose of 2ml per Kg body weight. Exercise was performed on a minitrampoline(rebounder) with repeated rhythmic bouncing at a rate of 80 per min for 3 min. During 3 hrs of recovery after the exercise, the heart rate, blood pressure, respiratory rate and blood levels of ethanol and lactate were measur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heart rate following ethanol ingestion increased significantly at 20 min, and decreased gradually thereafter and returned to the resting level at 180min. Blood pressure following ethanol ingestion decreased significantly at 40 min and remained at a low value during the 3 hr experimental period. Ethanol produced a non-significant decrease in respriatory rate. Recovery of heart rate following exercise was retarded in EOH+Exercise group. Heart rate at 20min after exercis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resting level in both Exercise and EOH+Exercise groups. Blood pressure of both exercise and EOH+Exercise groups was significantly highter at 1 and 5min after exercise and returned to the resting level at 10 min. However, EOH+Exercise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systolic, diastolic and mean arterial pressure but higher pulse pressure than the Exercise group during the recovery period. The EOH+Exercise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respiratory rate at 1 and 3 min after exericse but showed no difference at 20 min. Blood lactate level was 12.81±0.87 mg/dl at rest but increased signifcantly to 76.50±6.93 mg/dl and 65.95±6.36 mg/dl immediately after exercise both in Exercise and EOH+Exercise group, respectively. Blood lactate level decreased markedly thereafter and returned to the resting level at 60min in Exercise group and at 120min in EOH+Exercise group. Blood ethanol concentrations in EOH+Exercise and Ethanol groups were 63.67±3.84 mg/dl and 63.43±5.09 mg/dl at 60 min, respectively and 37.40±2.56 mg/dl and 63.0±5.38 mg/dl at 120min, respectively.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ethanol produces an elevation of heart rate and blood lactate level and retards the recovery rate of heart rate and blood lactate after exercise. Because of ethanol's depressor effect, blood pressure follwing exercise returned to the resting level faster. Exercise seems to facilitate the metabolic rate of ethanol.

      • KCI등재

        고삼투압성 비케톤성 상태의 예후인자

        안성훈,김양원,김미란,진헌철,안지영,이상래,류석용,김홍용,김성준,이병권,김경환 대한응급의학회 2001 대한응급의학회지 Vol.12 No.2

        Background: A hyperosmolar nonketotic state has been known to have a high mortality, and even now, despite this high mortality, only a few studies of this disease have been performed. We studied the prognostic factors for the hyperosmolar nonketotic state. Methods: We retrospectively studied the cases of 40 patients who were in a hypersomolar nonketotic state when admitted to Sanggye Paik Hospital during the 6-year Period from 1995 through 2000. We divided the hyperosmolar nonketotic patients into two groups, the complete recovery group and the incomplete recovery group, and compared the clinical features, the laboratory findings, and the precipitating factors between two groups. Results: 1) A total of 40 patients were studied: 24 in the complete recovery group and 16 patients in the incomplete recovery group. The mortality rate was 32.5%. 2)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existed among the clinical features of the two groups, except for the sex(p<0.01). 3) Among the laboratory findings of both groups, analysis revealed that the effective osmolarity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those in the incomplete recovery group(p<0.01). Serum sodium concentration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among those in the incomplete recovery group(p<0.01). Serum creatinine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among those in the incomplete recovery group(p<0.05). Serum bicarbonate concentration, on the other hand, was significantly lower among those in that group(p<0.05).4) Infection was identified as the most common precipitating factor(62.5%). Among the precipitating factors of the two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pneumonia, UTI, and inappropriate glucose control. 5)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existed among the initial level of consciousness of both groups(p<0.05). 6) The only significant independent factor responsible for prognosis of nonketotic hyperosmolar state patients was the sex. Conclusion: The sex was only significant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of nonketotic hyperosmolar state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