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레이저 무기의 발전추세

        안광호,An, Gwang-Ho 한국방위산업진흥회 2003 國防과 技術 Vol.- No.297

        광속의 레이저 무기가 실용화될 경우 방공 및 미사일 방어, 각종 곡사화기 공격에 대한 방어 등에 매우 획기적이라는 점을 이미 선진국에서 인지하고,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다. 특히 화생방 무기를 장착한 미사일 공격시 고고도 및 우주에서의 요격을 통해 그 효과를 상당히 무력화 시킬 수 있다는 점은 매우 매력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볼 때, 레이저 무기 개발에 대한 관점을 군이 아닌 국가적인 차원에서 접근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顧炎武의 저술에 나타나는 중국 邸報 관련 기록 분석

        安光鎬 ( An Gwang Ho ) 한국중국학회 2021 중국학보 Vol.96 No.-

        顧炎武는 淸代 考證學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다. 그의 저술인 『日知錄』과 『顧亭林文集』에는 중국 邸報에 관한 기록이 수록되어 있다. 이 기록에 따르면, 중국 역사 문헌에서 처음으로 저보의 출현을 알 수 있는 기록은 孫樵의 문집에 실려 있는 ‘讀開元雜報’라 할 수 있다. 이 ‘독개원잡보’의 雜報가 저보의 기원이 된다는 것이 고염무의 생각이었다. 그리고 고염무는 『宋史』에 나오는 ‘劉奉世’傳, ‘呂湊’傳, ‘曹輔’傳에 나오는 기사를 통하여 宋代 저보의 역사를 정리하였다. 이 중에서 ‘유봉세’전은 송대의 저보가 唐代에 비해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되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고염무의 기록에 대해, 고염무보다 조금 늦은 시기에 활동한 閻若璩는 『全唐詩話』의 내용을 통해 저보라는 용어가 唐代에도 사용되었음을 밝히었다. 또, 고염무는 그의 外甥 徐元文에게 보낸 서간문에서 역사서 편찬에 저보를 적극적으로 이용할 것을 충고하고 있다. 고염무는 서원문에게 이러한 내용으로 서간문을 보내면서 明代의 저보는 崇禎 11년 즉 1638년부터 활자화되었다고 말하였다. 실제로 청대의 實錄 안에는 저보가『明史』 편찬에 이용되고 있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으며, 『金甁梅』와 『紅樓夢』 같은 소설 속에는 京師에서 인쇄된 저보가 지방 관청과 민간에 유통되는 모습이 나타난다. Gu Yanwu is known as a founder of the bibliographical studies in Qing dynasty. His writings, Rizhilu and Gutingjiwenji contain the records of Chinese traditional new paper, Dibao. According to this records, the first record of Dibao can be refered to appear in Dukaiyuanzabao in the Suqiao literary collection. It was Gu’s idea that the Zabao in the Dukaiyuanzabao was the origin of Dibao. Gu then summarized the history of Dibao through the articles of Liu Fengshi, Lu Cou, Cao Fu in the Song Dynsty Record. In addition, Gu advised to his nephew Xu Yuanwen using Dibao to publish the Ming Dynasty Record.

      • KCI우수등재

        『世本』의 傳來와 遺失에 관한 새로운 접근

        안광호(AN, Gwang Ho) 역사학회 2021 역사학보 Vol.- No.250

        In Chinese academia, even though Shiben was not introduced in the book Chongwenzongmu in the period, it is argued that Shiben should be continually existed after Song Dynasty because it quotes Shiben in other books of Song and Ming period. However, according to Koryeosa , there is a Song emperor’s record that required Chinese books and Songzhong’s Shiben to Korea royal court. This fact tells us that even 50 years after the year of the compilation of Chongwenzongmu , the Song Dynasty was not able to find Shiben , and that Songzhong’s Shiben was evaluated as the most valuable among the various kinds of Shiben .

      • KCI등재

        南北朝 시기 河東賈氏 역사와 그들의 譜學 활동

        안광호(An, Gwang-Ho) 부산경남사학회 2021 역사와 경계 Vol.119 No.-

        본고에서는 남북조 시기에 활동한 河東賈氏와 그들의 譜學에 관해 살펴보았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남북조 시기에는 門閥을 숭상하는 풍조가 크게 발달하였고 이로 인해 각 개인이 속해 있는 가문의 門第를 따지는 보학이 크게 성하였다. 남북조 시기의 보학은 賈弼之, 賈匪之, 賈淵 3代로 이어지는 河東賈氏에 의해 처음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고, 하동가씨의 보학은 이후 賈執과 賈冠에 의해 전승되었다. 이 뿐만 아니라, 賈弼之, 賈匪之, 賈淵에 의해 이룩된 하동고씨의 보학은 王弘, 劉湛, 王儉, 王僧孺에게 이어졌다. 이 가운데 특히 왕홍과 왕검은 祖孫 간으로, 그들의 가문은 남북조 시기 제1급 문벌에 속하는 琅琊王氏였다. 이 낭야 왕씨 역시 중국 譜學史에서 큰 족적을 남긴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의 보학이 하동가씨에게서 많은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후세 사가들은 ‘王氏之學 本於賈氏’라 칭하기도 하였다.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genealogical studies for northern and southern period in China. As it is well known, during northern and southern period the trend of distinguishing the family birth was highly developed, and the genealogical studies to examine the family birth was greatly established. It is well known that genealogical studies established by Hedong Jia lineage, especially Jiabizhi, Jiafeizhi, Jiayuan three generations, was developed in this period, and their studies influenced to the figures, such as Wanghong, Liuzhan, Wangjian, Wangsengru. In particular, Wanghong and Wangjian were an uncle and nephew, and all of them was belonged to Langya Wang lineage which was the first degree family in northern and southern period. Because genealogical studies of Langya Wang lineage was influenced by Hedong Jia lineage, later historians called ‘studies of Langya Wang was based on Hedong Jia’.

      • KCI등재

        『홍루몽(紅樓夢)』에 나오는 본관(本貫)의 의미 분석

        안광호 ( An¸ Gwang Ho ) 명청사학회 2021 명청사연구 Vol.- No.55

        Many Korean scholars understand a word of Benguan in a Chinese novel Hongloumeng as the same as that of Korean lineage system. And, this view is not only limited to the study of Hongloumeng, but also the same in understanding the Chinese historiography. However, as can be seen in the case of Hongloumeng, a word of Benguan means ‘where the person was born’ or ‘where the person's household register is listed’ in Chinese society. And this meaning of Benguan in Chinese society is different from that in modern Korean society, which means the hometown of the ancestral seat who lived hundreds or thousands of years ago. The reason why the same word, Benguan, was used in different meanings in both Korean and Chinese societies is because Benguan in Korean society has changed to fit the Korean lineage system rather than the original meaning, whereas Chinese still use the word as same as original meaning. Also, many Chinese people used Yuanji, Jiguan, Xiangguan, Benji, Zuji, Jiguan as the same sense as the Benguan. All of those words means the person’s hometown, not their ancestral’s hometown. The novel, Jinpingmei, which was published in the late Ming dynasty and is known as the origins of Hongloumeng in Qing dynasty, also used Benguan, Xiangguan, Zuji, Yuanji to express the hometown of their characters. This points of Jinpingmei suggest that Benguan meant the person’s hometown in Ming society, just like that in Qing society.

      • KCI등재

        디지털 시대 중국 내 고전 DB 구축 현황과 그 전망

        안광호(AN, Gwang-ho) 한국고전번역원 2018 民族文化 Vol.51 No.-

        본고는 현재 중국 본토에서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는 주요 고전 DB의 현황을 소개하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고에서는 중국의 주요 고전 DB를 공공기관에서 구축한 것과 기업에서 구축한 것으로 구분하였다. 주요 공공 기관에서 구축한 고전 DB의 현황과 주요 기업에서 구축한 고전 DB의 현황을 통해 우리가 알 수 있는 바는 현재 중국에서는 공공 기관이 중심이 되어 중국 전역에 흩어져 있는 고전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여러 기업은 그 고전을 이용하여 다양한 DB를 만들어 전세계에 판매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노력을 바탕으로 중국의 고전 DB구축 사업은, 비록 대만이나 한국과 유사한 시기에 고전을 DB화하는 일을 시작하였지만, 지금에 와서는 대만과 한국보다도 더 발전된 상황에 이르고 있다.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status of major databases for Chinese classics in current China. It is divided in two parts. One is related with databases for classics built by public libraries and institutes, and the other is involved with databases for classics created by private companies. By researching the current state of these two types, we came to the conclusion that public institutions of China play a key role in providing systematic management of classics scattered throughout China and private companies are creating diverse databases of Chinese classics for sale throughout the world. Based on such efforts, the Chinese databases for classics are arguably much more advanced than those of Taiwan and Korea, despite having begun its work of establishing databases for classics at a comparable date to those two countries.

      • KCI등재

        中國의 郡望制度와 韓國의 本貫制度 비교

        安光鎬(An, Gwang-Ho) 부산경남사학회 2016 역사와 경계 Vol.98 No.-

        본고에서는 중국 역사상 唐나라 말기까지 존재하였다고 알려진 淸河崔氏의 역사와 한국 사회에서 전통기 시대부터 현재까지 계속해서 이어져 오고 있는 南陽洪氏의 역사를 통하여 중국의 郡望制度와 한국의 本貫制度를 비교해 보았다. 이 두 制度는 그들이 역사상 존재하였던 시기는 서로 다르지만 그들이 가지고 있는 성격은 참으로 유사하였다. 그리고 이 두 制度는 그들이 각기 기반을 두고 있는 사회에 출현한 이후 그 사회가 가지고 있는 성격에 따라 각기 다른 방향으로 변하여 갔다.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historical comparison between the Chinese choronym system (Junwangzhidu) and the Korean choronym system (Pon’gwanchedo), which respectively existed in Chinese history from ancient to T’ang times and in Korean history from the traditional period to modern times. Although the two systems existed in different time periods, there are many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And, the two systems have chang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own societies after they appeared in their society.

      • KCI등재

        송대(宋代) 『소흥십팔년동년소록(紹興十八年同年小錄)』에 나오는 본관(本貫)의 의미 -비교사(比較史)의 관점(觀點)에서 한국의 본관제도(本貫制度)를 바라보다-

        안광호 ( Gwang Ho An ) 수선사학회 2016 史林 Vol.0 No.56

        The Pon``gwan in the Roster of Civil Service Examination of the 18th Year of Shaoxing (Shaoxingshibaniantongnianxiaolu, 紹興十八年同年小錄) it is recorded ‘a certain county, a certain prefecture, a certain sub-prefecture, a certain village, and Register in someone``s Official Household Register’(‘某州ㆍ某縣ㆍ某鄕ㆍ某里 某爲戶’). In these records, ‘a certain county, a certain prefecture, a certain sub-prefecture, a certain village’ means the registered place name on the household register and ‘Register in someone``s Official Household Register’ implies the head of the official household register. Korean historians are searching for the origin of the Korean Pon``gwan system in relation to the installation of the local administration system during the late Silla and early Koryo period. But I think Pon``gwan in the Roster of Civil Service Examination of the 18th Year of Shaoxing has a close relation with the origin of the Korean Pon``gwan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