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 이론에 대한 비판 및 재구성 - 발리바르의 `자유-평등` 명제의 관점에서 -

        강경 ( Kyong-deock Ka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56 No.3

        알튀세르는 이데올로기를 사회의 보편적인 요소이자 그 자체의 물질적 메커니즘을 지닌 것으로 이론화한다. 이 이론은 개인들이 호명을 통해 무의식적으로 이데올로기에 종속되는 과정을 이론화하면서 고전적 마르크스주의가 설명하지 못하는 부분을 다룰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다. 특히 민족, 인종의 문제를 계급 정체성의 문제와 접합할 수 있는 이론적 가능성을 내포한다. 하지만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 이론은 재생산과정에 집중하면서 이데올로기의 해체와 재구성의 문제를 적합하게 설명하지 못한다. 이 논문에서는 르세르클의 반호명 이론과 발리바르의 이상적 보편성 개념에 기대어 이러한 이론적 약점을 보완할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특히 이상적 보편성을 매개로 이데올로기의 갈등적 구성을 설명하는 발리바르의 이론에 주목하면서 알튀세르의 논의의 한계를 극복할 방법을 탐구해 보고자 한다. Althusser constitutes a decisive modification of the problem of ideology by conceptualizing it as a universal element of society operating on its own materiality, which allows us to better understand the reproductive processes where individuals unknowingly submit to ideology through interpellation, and the formation of mass ideologies and identities irreducible to class identity. However, such a conceptualization exhibits its weaknesses in accounting for the emergence of a new subject. In particular, the explanation of counter-interpellation in terms of its inner mechanism lacks in Althusser`s account of ideolog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some ways to elaborate this mechanism through Lecercle`s theory of language and Balibar`s conceptualization of ideal universality, and to find continuity/discontinuity between Althusser and Balibar particularly in terms of ideology. Lecercle investigates the transformation of ideology by making reference to Derridian dissemination: the interpellative process is also the process of de-interpellation in that language slides from the speaker`s intention in the same process of its reproduction. Balibar theorizes possibility of ideological transformation by utilizing the idea that ideologies could not be dominant without universal elements, e.g. equal-liberty. This paper utilizes these theories to complement what remains underdeveloped in Althusser`s theory of ideology, giving critical account of them.

      • KCI등재
      • KCI등재

        노동가치이론의 근본 전제에 대한 고찰-자동화와 노동가치이론

        강경 ( Kang¸ Kyong Deock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21 철학연구 Vol.- No.64

        기술발전과 함께 생산과정의 자동화와 디지털 경제가 심화되었고, 이러한 경향은 인간의 노동을 가치의 근원이자 기준으로 정립하는 마르크스(K. Marx)의 잉여가치론의 이론적 유효성을 부정하는 계기로 작용하는 것처럼 보인다. 기계가 인간의 노동을 대체하는 상황에서 인간의 노동이 가치를 생산한다는 주장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실제로 자동화와 디지털 경제가 노동력을 대체하면서 노동가치론의 이론적 전제를 무너뜨리고 있는지 경험적으로 검증할 것이다. 나아가 이 논문은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 노동을 측정 가능한 단위이자 가치의 기준으로 만드는 조건이 무엇인지 묻고, 자동화와 디지털 경제가 그 조건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살펴볼 것이다. 궁극적으로 이 글은 현재의 자동화나 디지털 경제가 자본주의적 생산관계의 중력장 안에서 노동가치론의 근본 전제인 ‘노동의 현실 추상화’를 유지하거나 강화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일 것이다. 그 과정에서 노동가치이론이 온라인 노동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노동/작업 방식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지 논할 것이다. The development of automation and digital economy seems to deny the theoretical validity of Marx’s labor theory of value, which posits labor as the standard of value. So,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automatized machines really replace labor and thereby invalidate the labor theory of value by encroaching upon its conditions. It also asks, on a more fundamental level, under what conditions labor (or labor time) becomes a measurable quantity, and whether/how the current economic changes influence these conditions. In conclusion, it argues that automation and digital economy serve to maintain or rather intensify the real abstraction of labor, which is the core mechanism/condition of the labor theory of value, and thereby they still gravitate around the capitalist relation of production.

      • 水平으로 位置한 은단풍(Acer saccharinim L.) 幼植物의 第1節間에 있어서 反應組織의 分化

        姜京德,蘇雄永 全北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94 基礎科學 Vol.16 No.-

        본 연구는 중력자극에 대하여 식물체의 一期生長으로부터 이어지는 二期生長 중에 일어나는 생장 반응과 관련지어 維管束組織의 발생상의 변화를 규명하기 위하여, 은단풍 幼植物의 第 1節間이 수평 위치에서 생장하는 동안에 일어나는 反應組織의 發生過程을 연구하였다. 수평 위치에서 생장한 은단풍 幼植物의 第 1節間에서 張力材(??質織維)의 發生過程은 漸進的인 과정으로 나타났다. 수평으로 위치한 第 1節間의 上部에서 장력재의 발생과정은 基部에서 頂端部를 향해 求頂的으로 일어났다. 장력재의 해부학적 특성 중 일부는 一期管束에서도 나타나기 시작하여, 二期生長 중에 전형적인 張力材가 나타나게 되므로 전형성층도 유관속형성층과 마찬가지로 중력에 대하여 반응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런점으로 보아 전형성층은 유관속형성층과 동일 분열조직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導管要素의 길이는 上部에서 길게 나타났고, 導管의 측벽무늬에 있어서는 상부와 하부에서 모두 互生으로 차이가 없었다 放射組織의 幅은 二列射組織을 이루는 上部가 單列放射組織을 이루는 하부에 비하여 넓고, 높이도 上部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In order to elucidate the formation of reaction tissues during the transition from primary to secondary growth, the developmental anatomy was conducted in the first internode of Acer saccharinum seeding in horizontal position. During the transition from primary to secondary growth, tension wood(gelatinous fiber) was gradually developed on the upper side only. And the tension wood formation in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first internode proceeds acropetally from base to apical portion. Some of the anatomical features of tension wood start to be in the primary vascular tissue and a typical tension wood show during the secondary growth. Therefore, the procambium seems to respond to the gravity as well as vascular cambium. For this reason, both procambium and vascular cambium has to regard as the same meristem. On the other hand, the upper side vessels were longer than those of the lower side in the horizontal first internode. The lateral-wall pitting of vessel elements, however, showed no differences between upper and lower sides which have alternate type. The width and height of ray on the upper side of horizontal first internode was larger as compared with the lower side.

      • 은행나무 幼植物에 있어서 反應組織의 分化에 대한 解剖學的 硏究

        姜京德,蘇雄永 全北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91 基礎科學 Vol.14 No.2

        본 연구는 중력자극에 대하여 식물체의 1期生長으로부터 이어지는 2期生長 중에 일어나는 생장 반응과 관련지어 維管束組織의 發生上의 變化를 구명하기 위하여 은행나무 幼植物의 第1節間의 수평생장 중에 일어나는 反應組織의 발생과정을 연구하였다. 수평생장한 은행나무 幼植物의 第1節間에서 壓縮材의 발생과정은 점진적인 과정으로 나타났다. 수평생장한 第1節間의 下部에서 壓縮材의 발생과정은 기부에서 정단부를 향해 구정적으로 일어났다. 反應材의 解剖學的 特性들이 1期 維管束에서도 나타나기 시작되어, 2期生長 중에 나타나게 된다. 假導管의 길이와 측벽무늬의 미세구조를 비교 관찰한 결과, 第1節間의 下部에서 假導管의 길이가 다소 길게 나타났고, 放射組織의 높이는 下部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In order to elucidate the formation of reaction tissues during the transition from primary to secondary growth, the developmental anatomy was conducted in the first internode of Ginkgo biloba seedling in horizontal position. The righting of the horizontal first internode took place at the middle portion and gradually proceeded to the base during the primary growth. Reaction tissues wer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righting movement in the horizontal first internode. During the transition from primary to secondary growth, compression wood was gradually developed on the lower side only. The anatomical features of compression wood also extended longitudinally to the lower side of vertical portion where it coincided with the lower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Thus, compression wood formation in the lower side of the horizontal first internode occurs acropetally from basal to apical portion. Eventually, some of the anatomical features of compression wood occurred at the primary growth. And the typical compression wood is gradually established during the secondary growth. On the other hand, the lower side tracheid and ray were longer and higher than those of the upper side in the horizontal first internode. However, difference in the width of ray was not observed between the lower and upper sides.

      • KCI등재

        알튀세르와 버틀러, 발리바르-주체화 양식의 논점과 일반화

        강경 ( Kyong Deock Kang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6 철학연구 Vol.0 No.53

        버틀러는 알튀세르의 호명이론이 ``죄의식의 주체`` 또는 ``법을 향한 주체``를 가정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그녀는 나아가 알튀세 르의 호명 테제의 핵심이 종교적 주체화 양식이라고 주장한다. 이 논문 은 이러한 버틀러의 비판에 답하면서 알튀세르의 이론을 버틀러의 해 석과는 다른 방식으로 이해할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특히 호명 테제에 제시된 돌아섬이라는 은유를 근본적 수동성의 관점에서 재해석 하고, 호명 이론 안에 공존하는 다양한 기표들의 이론(언어 및 행동·제스처 모델)의 이론적 가능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또한 발 리바르의 주체화양식과 알튀세르 이데올로기 이론의 비교를 통해 알튀 세르 이데올로기 이론의 약점과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 비교를 통해 이 논문은 알튀세르 이데올로기 이론의 핵심적인 문제는 종교적 주체성의 유무 여부가 아니라 유적·집합적 정체성들의 형성 및 공존 을 적합하게 설명하지 못한다는 데 있다는 것을 보이고, 알튀세르 호명이론에 내재하는 다양한 기표들의 이론으로 유적·집합적 정체성 및 다 양한 정체성들의 형성 및 공존을 설명할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Althusser accounts for the formation of the subject in terms of the function of ideology, and thereby posits it as the effect of the structure. The core of this project is to elaborate an underlying mechanism of ideology independently of the causality of the mode of production while admitting the materiality of ideology. The mechanism Althusser suggests is ``interpellation``: ideology interpellates individuals as subjects. Butler criticizes Althusser`s notion of subject as ``subject of guilt`` or ``subject towards the law``. She also argues that it surreptitiously presupposes a religious paradigm. In response to this criticism, this paper argues that Althusserian interpellation is not reducible to a religious model of ideology; rather it consists of various models of identification based upon different signifiers such as language, gestures, behaviors, etc., thus having the theoretical potential to think the complex articulation of different identities in the subjects. So, against Butler, this paper attempts to translate the metaphor of ``hailing and turning back`` in terms of primary passivity: the turning around of subject is the act of primary dependence, not an active religious turning. This papers also argues that the real problem of Althusser`s theory of ideology lies in its inability to account for anthropological and collective identities such as class/sexual/national identities (and their coexistence in an individual), which derives from the fact that Althusser addresses the problem of subjectivity mainly in terms of individuality/inner voice. So, this paper explores whether Althusser`s theory has the potential to deals with the formation of these identities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fact that it contains the various models of identification based upon various signifiers. In the process, this paper will compare Althusser`s theory of ideology with Balibar`s concept of subjectivation, which aims to overcome the weakness of Althusser`s interpellation.

      • KCI등재

        정치의 타자 또는 조건 -알튀세르의 인식론적 절단-

        강경 ( Kyong Deock Kang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2 철학연구 Vol.0 No.46

        알튀세르는 역사과학의 고유한 이론적 아포리아인 구조/정세, 구조/모순의 아포리아를 해결하고, 마르크스의 역사유물론을 엄격한 과학으로 정립하기 위해 과잉결정 개념과 인식론적 절단 개념을 가공한다. 과학적 마르크스주의를 방어하려는 알튀세르의 이와 같은 이론적 시도는 중심점을 철학과 문화이론으로 이동시켜 역사과학의 난제를 해결하려고 시도했던 루카치 (자본에 반한 혁명), 칼코르쉬, 프랑크푸르트 학파 등 당대의 서구 마르크스주의의 주요 흐름과 큰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알튀세르는 자기비판을 통해 초기의 인식론적 절단 개념을 수정하고 철학을 이론에서의 계급투쟁으로 재정의한다. 이전의 입장(『자본을 읽자』)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계급착취로 인한 모순과 실천을 마치 구조의 단순한 효과처럼 다루었다는 것이다. 이는 궁극적으로 역사의 사건이나 현상이 정해진 경로(인과성의 법칙)를 따라 움직이고 결국 그 안에 다른 실천적 대안이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철학과 인식론적 절단의 재정의는 이러한 이론주의적 편향을 극복하기 위한 이론적 시도이다. 하지만 알튀세르의 이러한 이론적 수정은 주의주의라는 비판을 받게 된다. 또한 많은 이론가들은 알튀세르의 자기비판에서 자기파괴의 경향을 읽어내기도 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1) 알튀세르의 자기비판을 중심으로 사회 및 역사에 대한 과학적인 담론을 구성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논점들을 확인하고, 2) 알튀세르의 자기비판에서 긍정적인 자기발전의 양상을 찾아내는 것이다. 역사과학의 유효성이 과학적 실증성 (예: 사회적 생산, 이윤율 분석)뿐만 아니라, 역사적 사건과 투쟁에 의해 이중적으로 결정된다고 주장하는 알튀세르의 자기비판은 실천의 가능성을 개방하는 동시에 역사의 객관성을 사고해야 하는 역사과학의 특수성을 사고하는데 있어 주요한 이론적 준거점을 제시한다. 즉 철학에게 정치적, 이데올로기적 실천을 표상하게 하면서, 이를 과학적 검증의 대상이 되도록 재구성하는 알튀세르의 시도는 과학과 실천을 접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개방한다. This paper provides a critical account of Louis Althusser`s (1918-1990) self-criticism. In Reading Capital, Althusser`s project commenced with the concepts of structural causality and epistemological rupture. Its main focus was to capture the originality of the conception of historical causality posited by Marx and Marxism, and to pose historical materialism as a rigorous science by providing it with an epistemological and scientific basis. Althusser then shifted his emphasis from this epistemological problem to a political task the correction of what he perceived, in self-criticism, to be a theoreticist tendency in his initial project. Most existing assessments of Althusser`s theory stress the destructive elements in his works after his self-criticism, while sharing the view that the real theoretical contribution of Althusser`s Marxism is to be found in his first mature works. In particular, Althusser`s self-criticism was accused of voluntarism in the sense that it viewed history as the clash of rival class wills rather than explaining the causes/formation of the latter. This paper argues that this interpretation loses sight of the important contributions Althusser`s self-criticism made to Marxism. Althusser`s reformulation of philosophy and historical materialism implies the double determination by the scientific positivities and historical events and struggles, which provides a reference point to articulate practice and theory in a scientific way: philosophy, which represents political and ideological practice, becomes the object of scientific proof. In short, the thesis of class struggle as the motor of history still retains the scientific view of historical causality, and distinguishes itself from Ranciere`s and Badiou`s theoretical positions, which relativize or mystify the conditions of politics.

      • KCI등재

        아서(C. Arthur)의 변증법에 대한 비판적 고찰: 신변증법의 가능성과 한계

        강경,위진철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서강인문논총 Vol.- No.66

        이미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모순을 사회구조의 동력으로 이해하는 변증법은 사회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추구했던 마르크스(K. Marx)의 이론의 중핵에 자리잡고 있다. 하지만 마르크스 이후 변증법이 사회를 목적론적으로 설명한다는 비판들이 제기되었고, 특히 포스트구조주의 이론가들은 변증법이 역사의 방향을 예정한다는 점에서 헤겔(G. W. F. Hegel)과 마르크스의 변증법을 폐기할 것을 주장했다. 하지만 이에 반해신변증법(New Dialectics)의 이론가 중 한 명인 아서(C. Arthur)는 마르크스의 자본주의분석이 지닌 과학성을 이해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여전히 변증법에 대한 이해가필수적이며, 따라서 변증법을 폐기할 것이 아니라 비목적론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이중요하다고 말한다. 변증법이 자본의 과학성의 토대인 것이다. 아서는 비목적론적인 변증법을 재구성하기 위해서는 마르크스(자본)와 헤겔(논리학)의 변증법의 (구조적) 동형성을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틀 안에서 그는마르크스와 헤겔의 변증법을 ‘체계 변증법’이라고 규정하면서 이론적 범주들의 발전순서가 현실의 발전 순서와 그대로 일치한다는 논리-역사주의(역사변증법)의 선형성・ 목적론을 비판하고, 오히려 변증법은 범주들의 ‘역행(逆行)’을 통해 (이론적) 총체성을 재구성하기 때문에 현실을 비선형적・비목적론적으로 설명하는 개념이라고 주장한다. 특히 아서는 이러한 변증법에 대한 재구성을 바탕으로 ‘사회적 필요 착취 시간’ 개념을 제시하는데, 이는 변증법과 마르크스의 과학이론 사이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드러낼 뿐만 아니라 노동가치이론이 자동화와 같은 현대 자본주의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이 글이 아서가 제시하는 가치론에 대한 변증법적 재해석의 이론적 가치를인정한다고 할지라도 아서의 입장을 그대로 수용하지는 않을 것이다. 아서의 변증법이론은 변증법을, 이론체계를 형성하는 논리적 방법으로 한정하면서 역설적으로 논리학과 존재론, 혹은 이론과 현실 직접적 일치를 가정하는 효과를 낳을 수 있다는 점에서 마르크스와 자본에 대한 관념론적인 해석을 낳을 수 있는 이론적 위험성을 지닌다. 따라서 이 글은 아서의 이론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해 고찰하면서 사회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위해 비목적론적 변증법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는 아서의 문제설정을더욱 비판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이론적 방안들을 고찰할 것이다.

      • KCI등재

        자유의 변증법? -바스카의 ‘다원적 변증법’의 가능성과 한계

        강경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人文科學 Vol.128 No.-

        In this paper, I aim to explore the theoretical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Roy Bhaskar's endeavor to reconstruct the dialectic in a non-teleological form. Bhaskar's approach involves transforming the dialectic into a theory of open totality while retaining its essence as a theory of negativity. To achieve this, he distinguishes the theory of the dialectic from that of contradictions and redefines 'negation' as 'absenting absence'. Bhaskar's concept of 'causation as absenting' is instrumental in reshaping the dialectic into a non-teleological framework. However, this perspective tends to relativize and trivialize the dialectic's theoretical significance as the theory of contradiction. Moreover, his prioritization of non-being over being ultimately leads to an exaggerated emphasis on non-being without offering a viable theoretical tool for analyzing socio-historical phenomena. On the other hand, Bhaskar's formulations of the duality of structure/agency and generative mechanisms provide valuable instruments for incorporating the efficacy of praxis into the notion of structure. This allows for the modification of an inherent structural deviation, all the while considering the effectiveness of social and political practices within the framework of scientific causality. To conclude, this paper will critically examine the theoretical potential and limitations of Bhaskar's attempt to construct a non-teleological dialectic. It will also investigate the necessary theoretical conditions for developing a dialectic that is free from teleology, building upon Bhaskar's dialectical framework. 로이 바스카(Roy Bhaskar)는 포스트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의 변증법 비판에 반해 변증법의 이론적 유효성을 복원하기 위해 다양한 개념을 가공하며 변증법을 현대적인 형태로 재구성하고자 시도한다. 이 작업의 핵심은 ‘부정(negation/ negativity)’의 이론으로서 변증법의 핵심은 유지한 채 헤겔의 변증법에 내재하는 ‘목적론’을 제거하며, 변증법을 열린 총체성의 체계로 재구성하는 것이었다. 자신이 가공한 과학적 현실주의의 핵심 개념인 발생기제(generative mechanism)의 인과성과 변증법을 접합하는 이러한 작업은 구조를 발생기제의 복합체로 파악하며, 비목적론적인 방식으로 변증법을 재구성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바스카는 또한 구조/행위자의 이중성(daulity of structure/agency) 개념을 바탕으로 구조주의에 내재하는 구조적 편향성을 수정하고 과학적 인과성의 틀 안에서 실천적 전화를 사고할 수 있는 인식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하지만 그가 변증법의 목적론적 성격을 완화하기 위해 도입하는 부재화로서 인과성(causation as absenting) 개념은 모순의 이론으로서 변증법의 이론적 지위를 모호하게 만든다. 또한 그가 전제하는 무의 존재론적 선차성은 변증법을 과장된 부정의 존재론으로 변모시킬 위험성을 지니기도 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바스카가 시도하는 변증법 개조 작업의 이론적 가능성과 한계를 검토하며 (바스카의 논의를 축으로) 변증법을 비목적론적으로 전화시킬 수 있는 이론적 조건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바스카와 유사한 이론적 시도를 수행하는 알튀세르와 아서의 논의도 살펴보며 이들 사이에서 형성되는 이론적 쟁점을 검토할 것이다. 특히 ‘부정의 부정’에 대한 입장 차이에 주목하고자 한다.

      • KCI등재

        마르크스주의적 ‘구조’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랑시에르 대 바스카 -

        강경 ( Kang Kyong-deock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학연구 Vol.59 No.3

        자크 랑시에르는 사회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추구하는 마르크스주의나 ‘관계의 존재론’에 바탕을 둔 구조주의가 대중의 정치적 실천을 억압한다고 주장한다. 나아가 그는 정치가 정치의 조건으로 환원될 수 없는 독자적인 특징을 갖는다고 주장한다. 마르크스주의의 이름으로 대중을 억압한 다수의 사례가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그의 비판은 주의 깊게 들을 필요가 있다. 또한 마르크스주의나 구조주의 이론들이 구조의 일반성을 강조하면서 대중의 실천을 상대화한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사회에 대한 과학적 이해라는 문제틀 자체가 실천을 억압한다는 그의 주장은 비판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현실에 대한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분석없이 유효한 실천을 사고할 수 있는지 반문할 필요도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랑시에르의 비판에 반해 과학과 실천의 접합을 사고할 수 있는 방법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하지만 이 글이 단순히 랑시에르에 반해 과학적 담론의 특성 및 유효성을 방어하는 데 그치지는 않을 것이다. 마르크스주의 이론이 이데올로기나 이데올로기 내부의 모순을 적합하게 이론화하지 못하는 데 반해, 랑시에르의 ‘평등’ 이론은 이러한 이론적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이론적 잠재력을 지닌다. 이는 랑시에르의 이론이 과학적 문제설정을 부정하기보다 과학적 문제설정 안에서 마르크스주의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랑시에르가 주장한 것과 달리 랑시에르의 ‘이상적 보편성’ 이론을 과학적 문제설정의 틀 속에서 이해하고 이를 마르크스주의와 접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찰할 것이다. Jacques Rancière criticizes Marxist project of a struggle of science, including Althusser's, against ideology for repressing the potential strength of mass revolt. Though admitting the relevance of his criticism that politics cannot be reduced to the simplicity of the Marxian proletariat nor to its conditions, however, it is not easy to accept his other claim that the idea of scientific understanding of society exercised a negative impact on social or popular movements as such. Thus, this paper attempts to reconsider/reconstruct the meaning of sciences and structure, without negating the social movements' effectivity, with reference to Bhaskar's critical realism. However, this paper will not simply defend the role of sciences against Rancière, but rather attempt to articulate Rancière's theory of equality with the Marxian framework of the mode of production. Rancière's theory of ideal universality has the theoretical potential to complement what lacks in the Marxist theory of ideology rather than deconstructing it, by providing a concrete theoretical too to analyze the materiality of ideology and its immanent contradi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