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19세기 『儒胥必知』 編刊의 특징과 의의

        전경(Chon Kyong-mok)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장서각 Vol.0 No.15

        『유서필지』는 조선후기에 널리 사용되던 公 · 私文書의 서식들을 예시한 책일 뿐만 아니라 최초로 이들 문서의 체계를 세우려고 했다는 점에서 고문서학적으로 한층 큰 의미 있는 책이다. 이 책의 편찬자와 편찬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은데 편찬자는 서리 출신의 한 명 또는 여러 명일 것이며 편찬 시기는 아무리 빨라야 정조 9년(1785) 이후이며 아무리 늦어도 헌종 10년(1844) 이전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 책은 4차례 편찬 과정과 한 두 차례의 교정 과정을 거친 후 헌종 10년에 처음으로 서울무교동에서 간행되었으며 그 이후 전주 등 지방 각지에서 여러 차례 인쇄되어 민간에 널리 유포되었다. 이 책은 <목록>, <범례>, <본문> 및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록>과 <범례>에는 이 책에 어떤 종류의 문서가 수록되어 있는지를 일목요연하게 살펴볼 수 있도록 작성되었으며 <범례>에는 각 문서의 작성 원칙 등이 밝혀져 있다. <본문>에는 총 7종 45건의 사문서 서식이 자세히 소개되어 있다. <부록>에는 244항목의 이두와 6종의 공문서 서식이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의 편찬 특정은 첫째 단순히 문서식을 예시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문서의 작성과 처분 등 소송의 전 과정 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편찬되어 있다. 둘째, 문 서식을 쉽게 터득하고 이를 이용해서 곧바로 문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간행의 의의는 이전에 소량으로 필사 유포되던 사례집과는 달리 다량으로 인쇄되어 널리 보급되었기 때문에 당시 사회와 문화에 커다란 영향력을 끼쳤다는 점이다. 이 책의 가치는 단순히 조선후기에 널리 알려진 문서의 서식을 보여주는 책에 머물지 않고 조선후기 출판사와 문화사의 여러 면들을 동시에 보여주는 책이라는 사실에 있다. 앞으로 학계에서 이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Yuseopilji is a very important book because not only the book has rich examples of official and private documents, but also is a first product to systematize documents. We don't know of the editor and the publication's date. But I assum that the editor were one or more than petty officials(書吏) and the publication',s date was between King Jeong-jo 9th year(1785) and King Heon-jong 10th year(1844). This book was publicatied firstly in Mukyo-dong of Seoul at King Heon-jong 10th year after having four times editings and one or two times correctings processes. And then Yuseopilji was publicated in Jeonju and other local cities and spreaded out. Yuseopilji consisted of 'A table of contents', 'Explanatory notes', 'Text' and 'Supplement'. We can obtain detailed informations about kinds of documents through 'A table of contents' and the principles of making out documnets through 'Explanatory notes'. And in 'Text' there were 45 private documents' formates that were divided by 7 catagories. In addition, there were 244 Idu-writings and 6 official documents' formats in 'Supplement'. The characteristics of Yuseopilji's public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book was edited not for just showing examples of making out documents but for showing ligal proceedings. Second, the book aimed to understand making out documents easily. The meaning of Yuseopilji's publication was to effect to the society and culture by a large amount printings different from former times. Yuseopilji is not a book only to show various examples for making out documents. The book has a meaning for studying a history of publication and culture in the late Joseon period. I expect the studies activated.

      • KCI등재

        사회사 연구와 고문서

        전경(Chon Kyong-Mok) 한국사학회 2006 史學硏究 Vol.- No.81

        이 글은 그 동안 학계에서 고문서를 이용하여 어떻게 사회사 연구를 해왔으며 또 앞으로 어떠한 점들이 보완되었으면 좋겠는가를 살펴보기 위하여 작성된 것이다. 그런데 사회사 전반에 대한 기존의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연구 방향을 전망하는 연구는 이미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몇차례 이루어진 바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최근에 이루어진 사회사 연구 그것도 주로 고문서를 활용한 연구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아울러 앞으로 고문서를 이용한 사회사 연구에서 보완되어야 하는 점들에 대해 언급하는 것으로 글을 마치겠다.<br/> 최근에 미야지마 히로시는 그의 논문에서 조선에 신분이 존재했던 이유는 시장 경제가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진단하였다. 정만조와 오영교 등은 경기와 강원 지역의 동족마을을 조사하여 이 지역 사족들이 삼남 지역의 사족과는 달리 향촌 사회에 대해서 거의 관심이 없었고 오로지 중앙정계에 관심이 있었다고 주장하였다. 문숙자는 분재기를 분석하여 조선시대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으며 문옥표 등은 경상도 안동의 의성김씨 고문서를 분석하여 의성김씨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새롭게 조명하였다. 김건태와 손병규 등은 호적을 이용해서 다양한 연구를 시도하였으며 차명수 등은 족보를 이용해서 18세기-20세기에 이르는 인구의 추이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들의 연구는 호적과 족보를 이용하고 다양한 시각과 분석 방법 등을 동원하였다는 면에서 주목받을 만한 것들이었다. 김현영은 일본과 중국 등과의 비교 연구를 통하여 고문서의 수집과 보존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br/> 끝으로 고문서를 이용한 사회사 연구에서 보완되었으면 하는 사항에 대해 간단히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왕이나 왕족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왕과 왕족은 조선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엄연한 존재이며 더군다나 정치, 사회, 문화적으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였기 때문에 이에 대해 결코 소홀히 취급할 수 없다. 둘째, 조선시대 여성에 관한 연구도 사회사 분야에서 중요하게 취급되어야 할 과제 중의 하나이다. 여성은 사회의 절반을 차지하는 한 구성원이었기 때문에 마땅히 사회사 분야에서 대상으로 삼지 않을 수 없다. 셋째, 도시사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도시는 근대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을 뿐 아니라 오늘 날에는 그 영향력이 가히 절대적이라고까지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넷째, 사회사에 관한 각종 이론이나 방법론에 대해서도 끊임없이 관심을 가져야 한다. 역사학 연구자들이 이론이나 방법론에 무지한 채 사회사를 연구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다섯째, 사회사 연구자들이 고문서에 대한 환상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최근 생활사나 문화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마치 고문서가 과거의 모든 것을 알려줄 수 있는 보물지도처럼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고문서는 단편적인 사실을 제공하고 있는 하나의 자료에 불과할 뿐이다. 따라서 잃어버린 역사를 복원하려면 고문서 이외의 다른 자료에서 더 많은 사실들을 찾아내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overview the historical manuscripts(古文書) in perspective of social history(社會史), and what methodology will be applicable in theresearch of social history. This paper intend to concentrate on recent trend of social historical studies which is using historical manuscripts. In addition to this I have corborated several suggestions for social historical studies, which is by and large using historical manuscripts.<br/> Miyazima Hiroshi has focused through recent work that the Joseon dynasty's staus system was maintained because of lack of market economy development during that period. Jeong Man-Jo, Oh Yeong-Gyo and others scholarly work also suggests that the aristocrats(士族) of Kyeonggi and Kangwon province have not been concerned in their local society, and just they were indulged in government politicis. Another scholar, Moon Sook-Ja has asserted that the changing phase was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property's documents(分財記) during the Joseon dynasty. Mun Ok-Pyo and others research work is focusing on the Eu-Seong(義城) Kim family's history and culture through their historical manuscripts. Kim Geon-Tae, Son Byoeng-Gyu and other scholars has also attempted to focus the work by using census registers(戶籍), and Cha Myeong-Su's study on population which is based on genealogical books(族譜). Kim Hyeon-Yeong has tried to highlight the comparative study of China and Japan through the collection of historical manuscripts, and its preservation.<br/> Finally, I would like to suggest some historical tenets that will be helpful for complemation of social historical studies using historical manuscripts. First, the study of King and royal family must be highlighted because they were also social members of Joseon dynasty, and they have influenced greatly in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aspects during that period. Second, women's study will be applicable to purge their position in Joseon period. Third, the study of city of history can be provided valuable facts regarding the activities of social groups. Forth, It needs to mention that the social historians must be concerned about their theories and methodologies. Fifth, the new scholars and researchers have to get rid of their fantasy because the historical manuscripts are just a material that provide us a historical fragment and valubale sources. Therefore, we need to find other materials for demobilizing the history.

      • KCI등재

        조선후기 지방유생들의 修學과 과거 응시

        전경(Chon Kyong-Mok) 한국사학회 2007 史學硏究 Vol.- No.88

        『청대일기』는 숙종에서 영조 연간에 활약했던 학자이자 정치가인 권상일(1679∼1759)이 작성한 일기이다. 이 일기는 그가 관직생활을 하던 서울과 울산, 그리고 관직에서 물러나 고향인 상주로 돌아와 살면서 실제로 보고 듣고 겪은 것들을 기록한 것이기 때문에 조선후기의 사회상이나 조선후기인들의 생활상 등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그가 수학한 후 과거에 응시하던 과정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어서 이를 통하여 당시 유생들이 어떻게 공부하고 어떠한 절차를 거쳐 과거에 응시하였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은 기존의 교육제도나 과거제도 연구에서 전혀 밝혀져 있지 않은 것들인데 본고에서는 이에 대해 상세히 밝히고자 한다. 유생들의 수학과정은 家塾, 講會, 居接 등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조선후기의 유생들은 가숙이나 서당에서 『천자문』 등을 통하여 한자를 익히고 『논어』와 『맹자』와 같은 유교 경전을 강독하였다. 강회는 유생들이 향교나 서원 등지에 모여 儒敎의 經典 등을 읽고 해석하는 모임을 말하며, 거접은 산사 등지에서 동료나 선후배들끼리 모여 함께 숙식하며 詩와 賦 등을 짓고 평가하는 모임을 일컫는다. 강회와 거접을 통하여 수학과정을 살펴보는 이유는 당시의 교육제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오늘날의 학생들은 정해진 학교에서 일정한 기간 동안 수학하도록 되어 있으나 조선시대에는 정해진 기관은 있어도 일정한 수학기간이 없었다. 그 기간은 개인의 능력에 따라 신축적이었다. 또 경제적 여건 등에 따라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강회와 거접은 일시적이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면 강회와 거접은 매우 효율적으로 운영된 수학 과정이었다. 백일장은 유생들이 모여 그동안 쌓은 실력을 겨루는 하는 일종의 경시대회인데 이를 통하여 수학을 장려하기도 하지만 오히려 과거 시험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또 유생들은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실시되는 각종 과거 시험에 응시하였는데, 먼저 자기가 살고 있던 고을에서 실시하는 鄕試를 거친 후 한양에서 실시되는 會試를 응시해야 했으며 국왕의 주관 하에 궁중에서 실시되는 殿試에 최종적으로 합격해야 관리로 임명되었다. 조선후기에는 빈번하게 가뭄과 기근이 들었기 때문에 과거에 응시하기 위해 다른 고을로 이동하고 숙박하는데 드는 비용이 적지 않게 부담이 되었으며, 돌림병이 널리 유행하였기 때문에 공부를 하다가 이에 전염되어 사망에 이를 위험성도 만만치 않았으나 권상일을 비롯한 그의 동료 유생들은 과거 시험에 응시하기 위해 고향 근처의 산사나 서원 등지에서 자주 거접을 하고 또 자기 고을과 인근 고을에서 실시되는 백일장을 비롯하여 향시에 빼어놓지 않고 응시하였다. 이와 같이 조선후기에 지방 유생들은 오랫동안 지속되는 기근과 돌림병에도 불구하고 과거시험을 치르기 위해 매진하였는데 어쩌면 그것이 그들에게는 살아가는데 유일한 방법이며 동시에 생명줄 그 자체이었기 때문이었다. 'Cheongdaeilgi (Journal of Cheongdae)' is the journal of Gweon Sang-il (1679 ~ 1759), a scholar and politician during the period of rule by King Sukjong and King Yeongjo in Joseon dynasty. Although it is being estimated that Gweon had kept journals throughout this life, the copies remained to this date are those written after 1702, in which Gweon became the age of 24. However, for some reason, significant parts of the ones written after 1702 are missing. The title, ‘Cheongdaeilgi’, was given after Gweon's pen name. It was also introduced as 'Daily Records of Cheongdae' in the academic circle. This journal includes the records of what Gweon actually observed, heard and experienced during his life in government posts in Seoul and Ulsan and after withdrawing himself from government posts to live in his hometown of Sangju. Therefore, it is being evaluated as a good reference material to look into the lives of people or social aspects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this journal depicts in detail how he studied and applied for state examination in order to become a government officer. This record extensively shows what kind of subjects Confucian scholars of the time studied and which procedures they underwent to apply for state examination. Such elements have not been clarified in previous studies on state examination system of the pas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make clarification on these aspects in detail.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urses of study of Confucian scholars in detail, such as of Ganghoe, Geojeop and literary contest. Ganghoe refers to the study group to read and interpret scriptures of Confucianism and Geojeop refers to the training camp of Confucian scholars to compose poetry and to evaluate their compositions. The reason the courses of study are examined through Ganghoe and Geojeop is because they are closely related to educational system of the time. Students of the present times receive education for a fixed period of time in specified educational institutes. However, while there were specified institutes, there was no specified term of study during the era of Joseon dynasty. The term of study was flexible according to individual abilities of the scholars. Also, some scholars underwent the system of Ganghoe and Geojeop only temporarily due to their financial conditions, etc. However, from various perspectives, Ganghoe and Geojeop were very effectively maintained courses of learning. Literary contest is where Confucian scholars competed with each other on their literary abilities built over the years.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d the subject in relations to the literary contest, as it was used to encourage academic pursuit of Confucian scholars at the time. Confucian scholars applied for various examinations regularly or irregularly administered. They had to pass Hyangshi organized in the district of their residence before applying for Hoeshi in the capital city of Hanyang. To become appointed as a government officer, they had to pass the final examination of Jeonshi to take place in the Royal Court under supervision by the king. There were frequent droughts and famine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and Confucian scholars had to bear substantial level of expenses for board, lodge and travel to sit for examinations. Also, the epidemics of the time caused significant danger for possible death. However, Gweon Sang-il and his fellow scholars frequently applied for Hyangshi to take place in nearby areas of their hometown. As such, this study discussed in detail what kind of courses local Confucian scholars went through for learning and what were the procedures of their applying for state examination and becoming government officers by examining 'Cheongdaeilgi' of Gweon Sang-il. Local Confucian scholars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despite the continued famine and epidemics, exerted effort to pass state examination. In a way, it was because passing th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二十功臣會盟軸〉의 특징과 가치

        全炅穆(Chon Kyong-mok),朴用萬(Park Yong-man)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장서각 Vol.0 No.22

        2007년 4월 각각 보물 제1512호와 보물 제1513호로 지정된 인조조와 숙종조 <二十功臣會盟軸> 2본이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이 회맹축 2본은 길이가 각각 24m가 넘는 규모로, 生?에 朱墨으로 邊欄을 치고 楷書로 썼다. 변아와 회장, 옥축 등으로 꾸며 나무궤에 넣어 봉모당에 봉안했던 것이다. 인조조 회맹축은 1644년 沈器遠의 역모를 적발하여 평정한 공으로 녹훈된 寧國功臣의 녹훈을 계기로 제작하였다. 開國功臣 이하 二十功臣이 1646년에 會盟하였을 때의 기록으로 錄勳都監에서 제작하였다. 숙종조 회맹축은 1680년 庚申換局 이후 保社功臣을 녹훈하고 공신회맹제를 지내며 제작한 것이다. 끝에는 정치적 변동과 관련되어 삭훈되었던 보사공신을 1694년 복훈하며 종묘의 各室에 고한 祭文이 함께 수록되었다. 이 2본의 회맹축과 영조조 <二十一功臣會盟軸> 등 3본은 珍藏閣에 보관되다 정조조에 奉謨堂으로 옮겨 봉안되었다. 그러나 1910년까지 봉모당에 봉안되고 있던 것이 확실한 영조조 회맹축은 현재 그 소장처를 확인할 수 없다. 이 자료들은 조선시대 왕실문화의 우수성을 확인시켜주는 동시에 17세기 조선의 정치적 변동 사정을 알려준 다는 점에서 대단히 중요한 자료이다. 아울러 영조조 회맹축을 찾으려는 노력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wo Yisipgongsin-hoimaeng-chuk(二十功臣會盟軸) of King Injo and King Sukjong appointed as Treasure No. 1512 and Treasure No. 1513 in April, 2007 were stored in Jangseo-gak(藏書閣). The length of the two Hoimaeng-chuk is respectively more than 24m. They were written in Haeseo(楷書), making Byeonlan(邊欄) on Saengcho(生?) with Jumuk(朱墨). They were stored in Bongmo-dang(奉謨堂), decorated by Byeona(邊兒), Hoijang(回粧) and Okchuk(玉軸) and put in a wooden box. King Injo Hoimaeng-chuk was manufactured to appoint people who swept the conspiracy of Sim Gi­Won(沈器遠) in 1644 to be a meritorious retainer. It is a record when 20 meritorious retainer groups including a meritorious retainer group at the founding of Joseon pledged in 1646. It was manufactured in Nokhun-dogam(錄勳都監). King Sukjong Hoimaeng-chuk appointed Bosagongsin(保社功臣) after Gyeongsinhwanguk(庚申換局) in 1680 and was manufactured by Gongsinhoimaengje(功臣會盟祭). Bosa-gongsin, who was eliminated in the relation with political change, was appointed again in 1694 and Jemun(祭文) informed to Gaksil(各室) of Jongmyo(宗廟) was recorded together. Two Hoimaeng-chuk and King Youngjo Yisipilgongsin-hoimaeng-chuk(二十一功臣會盟軸) were stored in Jinjang-gak(珍藏閣) before and transferred to Bongmo-dang. However, King Youngjo Hoimaeng-chuk stored in Bongmo-dang by 1910 is not checked where it is stored. These data is very important data since they show us superiority of Royal Family culture in the Joseon Dynasty and inform us of political change in the Joseon Dynasty in the 17th centur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find King Youngjo Hoimaeng-chuk.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조선말기 어느 饒戶富民家의 身分上昇을 위한 노력 : 全羅道 求禮縣의 '절골김씨' 고문서를 중심으로

        전경 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 2002 호남학 Vol.31 No.-

        In the paper researched into a strategy for upward mobility of a Kimnyoung Kim clan(金寧金氏), a rich commoner family having resided at the Jeolgol(절골) of Gurye-hyeon(求禮縣), Jeolla-do(全羅道) at the end of the Josun(朝鮮) Dynasty. For this purpose I analysed the old historical documents of their family, such as family registers and writs of appointment.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 concluded that the facts as below are clear. For upward mobility of the clan, they forged the names and birth dates of their family members frequently in order to enjoy the benefits of preferential treatment of the government for old persons. Using these tricks they could pass the old state examinations and took up some government posts easily. They also obtained a few official posts by money, and to elevate family's prestige they often altered their ancestors from humble to noble ones. Not only trying hard to enter a yangban(兩班) class, they also endeavored to live a dignified life as a yangban family. For an example, they moved their residence from noisy and overpopulated center to quiet and scenic outskirts of the town, and tried to make the place their own clan's village. They also made constant efforts to create new and noble family tradition such as filial conduct, and finally succeeded to obtain a filial prizes from the gover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