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DN에서의 UNET의 설치에 관한 연구

        정성권,차의영,홍봉희,김명철 한국정보과학회 198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0 No.1

        이 논문에서는 System Development Network에 UNET을 설치하는 방법과 이때 발생하는 문제점과 해결책, 그리고 UNET의 사용법을 설명한다. We present the installation of UNET in System Development Network and describe the problems and solutions of UNET installation. And also this paper explains the usage of UNET in SDN.

      • KCI등재

        高麗 太祖 王建을 보는 또 다른 시각 – 미술사와 고고학을 통하여–

        정성권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5 東洋學 Vol.61 No.-

        Taejo(太祖) Wanggeon(王建) is a one of the famous king in Koryo(高麗) dynasty. Many scholars have been studied about Taejo Wanggeon. Most studies about him researched based on Koryosa (高麗史) which is a historical book written in early Choson(朝鮮) dynasty. Although Koryosa is a important book to study about Koryo dynasty, Koryosa has paltry record about early Koryo dynasty. Because of that studying about early Koryo is very difficult. This article was written to solve this kind of problem. To study Taejo Wanggeon period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was progressed in this paper. Taejo Wanggeon seized power in a military coup in 918. The former part of Taejo wanggeon period was a state of war with Hubaekje(後百濟). In this period, he built many buildings and temples. For example, Annyangsa, Gyosandong geonmulji, Bongeopsa, Sobaeksansa. Those site excavated recently. This paper show that most of these building constructions related with the strategy for aggression against Hubaekje. In this paper, the latter part of Taejo Wanggeon period was explained by Gaetaesa statues of the Buddha. Gaetaesa was a temple which was built by the order of Taejo Wanggeon. Gaetaesa stone Buddha triad image was built in the historical and symbolic site that Wnaggeon finally achived the unification of the Later Three Kingdoms. At the end of this paper studied 11th Tapbi(塔碑) which is kind of memorial stone of Buddhist monk. When famous Buddhist monk died, usually his disciples wanted to build their teacher’s Tapbi. To make Tapbi, they need king’s approval. After 937, Most of Tapbi was made by Taejo Wanggeon. It means that Taejo Wanggeon is a new king of the advent of th new Unifed Dynasty of Koryo. 이 글에서는 발굴조사나 기존의 기록 등을 통해 태조 왕건집권기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는 고고미술자료를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기존 문헌사에서 파악하였던 고려건국기의 역사적 상황을 보다 다양한 시각에서 해석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근래 들어 발굴조사의 증가에 따라 태조 왕건대 조성된 것이 확실한 유적 여러 곳이학계에 소개되었다. 기존의 발굴성과는 조사된 단일유적의 고고학적 결과를 발굴보고서를 통해 자세히 밝히고있다. 고고학적 연구 성과뿐만 아니라 석불이나 탑비 등 미술사 분야의 연구 성과도 근래 들어 축적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발굴 성과와 연구는 단일한 유적과 유물의 연구 성과만을 소개하고 있어 이를 종합적으로 연계하여 고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문에서는 태조 왕건집권기 조성된 안양사지, 교산동 건물지, 봉업사지, 소백산사 등의 유적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태조 왕건이 고려 건국 이후 후백제와 대결을 벌이기 위한 준비과정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본문에서는 발굴성과 이외에 석조미술자료도 고찰하였다. 연구 대상은 후백제의 항복을 받은 후 태조의 명으로 조성된 개태사 석조삼존불상과 태조 왕건 시기 건립되거나 비문이 쓰여진 탑비이다. 태조 왕건은 개태사석조삼존불상과 탑비의 조성 등을 통해 새로운 통일왕조 고려의 시대가 도래했음을 효과적으로 선전한 것으로추정된다. 탑비의 경우 태조 왕건의 조성 의도와 상관없이 후대에 정치적 목적으로 조성된 사례도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표적인 경우가 현휘와 절중, 형미의 탑비를 들 수 있다.

      • KCI등재

        천안 봉선홍경사(奉先弘慶寺)의 건립 배경

        정성권 한국중세사학회 2022 한국중세사연구 Vol.- No.68

        Bongseon Honggyeongsa Temple was built on the plain between Anseongcheon and Seonghwan. In this article, the background of the construction of Bongseon Honggyeongsa was examined. It can be seen that Bongseon Honggyeongsa Temple is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 process of the traffic route. This is the border between Baekje and Silla after the late 6th century. During this period, frequent battles took place between Baekje and Silla. For this reason, it was difficult to establish a major transportation route in the Honggyeongsaji area.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main transportation routes were Gyeryyeong-ro and Jukryeong-ro. The Anseong Bongeopsaji site was also an important transportation route during the Unified Silla era. Except for the Bongeopsaji area, Gyeonggi-do was the outskirts of Silla. The Honggyeongsaji area, which is connected to the southern part of Gyeonggi-do, also did not have the conditions for major transportation routes to occur. In the later Three Kingdoms era, Cheonanbu was established and transportation routes in the Cheonan area became important. However, at that time, the transportation route connecting Anseong and Cheonan was mainly used.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Bongseon Honggyeongsa Temple can be said to be a part of the national management strategy of King Hyeonjong of Goryeo. King Hyeonjong adjusted the tax system to strengthen the centralized system and reorganized major transportation routes. Hyeonjong, who was even threatened with death before ascending to the throne, felt the need to strengthen his power and sought to expand the forces that supported him. Kim Eun-bu was one of the people who could respond to the policy necessity of Hyeonjong. Kim Eun-bu and his wife are from present-day western Gyeonggi-do and Incheon. After the middle of the 10th century, the pottery industry began to develop in their hometown, and the economy began to revitalize. The foundation of Bongseon Honggyeongsa Temple can be thought of as a result of the harmony between King Hyeonjong’s national management strategy and the interests of the powers in the western part of Gyeonggi Province. 봉선홍경사는 안성천과 성환역 사이의 벌판에 건립된 사원이다. 봉선홍경사는 봉선홍경사갈기비의 기록을 통해 조성시기, 조성주체, 건립과정 등을 자세히 알 수 있는 사원이다. 기존의 연구는 이 기록에 주목하여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고려 현종이 왜 현재의 자리에 객관을 구비한 사찰을 창건했는지 그 이유는 밝히지 못하였다. 본 글에서는 현종이 봉선홍경사를 창건한 조성배경에 대해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홍경사의 건립은 교통로의 변천과정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홍경사지의 위치는 6세기 후반 이후 백제와 신라의 국경선에 해당된다. 이 시기 백제와 신라 사이에는 빈번한 전투가 벌어졌으며 홍경사지가 위치한 사산성 부근도 예외가 아니었다. 이러한 이유로 삼국시대에는 홍경사지 일대에 주요 교통로가 조성되기 어려웠다. 통일신라시대 주요교통로는 중부지역 동쪽 일대의 경우 계립령로와 죽령로가 주로 이용되었다. 중부지역 서쪽 일대는 안성 봉업사지 일대가 교통의 결절지 역할을 하였다. 봉업사지 일대를 제외한다면 삼국시대 산성이 밀집해 있었던 한강유역을 비롯한 경기도 일원은 신라의 변방으로 변해갔다. 경기도 남부지역과 연계된 홍경사지 일대 역시 신라의 변방으로 변해간 경기남부지역의 상황에 따라 주요 교통로가 발생할 수 있는 여건이 되지 않았다. 후삼국시대 들어와 천안부가 성립되며 천안지역의 교통로가 중요시되었으나 삼국시대 이래 중요 교통로였던 봉업사지 – 안성 – 천안으로 연결된 교통로가 고려 건국 초기까지 주로 활용되었다. 홍경사가 건립된 배경은 현종의 국가운영전략의 일환이라 할 수 있다. 현종은 중앙집권체제를 강화하기 위해 수취체제를 조정하였으며 주요 교통로를 정비하였다. 이러한 결과 12조창제가 실시되었으며 천흥사와 법천사를 비롯한 많은 사찰이 중창되거나 창건되었다. 왕위에 오르기 전 살해위협까지 당했던 현종은 왕권강화의 필요성을 느꼈으며 자신을 지지하는 세력의 확장을 꾀하였다. 이러한 현종의 정책정 필요성에 부응할 수 있는 인물이 김은부였다. 김은부와 그의 부인은 현재의 경기 서부와 인천 출신이다. 이들의 출신지역은 통일신라이래 고려초기까지 변방지역이었으나 10세기 중반이후 요업이 발달하기 시작하며 경제가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던 곳이다. 봉선홍경사의 창건은 이들의 경제활동이 크게 비약할 수 있는 기반이 된 것으로 보인다. 결국 봉선홍경사의 창건은 현종의 국가경영전략과 경기 서부 및 인천 지역 세력의 이해관계가 합치되어 건립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국가가 사찰과 더불어 객관을 함께 건립한 것은 물류와 사람의 원활한 소통을 보장하겠다는 국가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현종이 봉선홍경사를 건립한 경험은 이후 현종말년 12조창제를 실시하고 흥원창 부근의 법천사를 대대적으로 중창하여 12조창제를 원활하게 운영할 수 있는 물적 토대를 만드는데 큰 영감을 주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점에서 천안 봉선홍경사의 건립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홍천 물걸리사지 불교조각의 복원과 조성의의

        정성권 동악미술사학회 2018 東岳美術史學 Vol.0 No.23

        홍천 물걸리사지에는 현재 1기의 삼층석탑과 4기의 석조대좌, 2기의 석조광배, 2구의 석불좌상이 있다. 물걸리사지 삼층석탑은 보물 제545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2층 기단을 구비한 평면 방향의 일반형 석탑이다. 보물 541·542호로 지정된 석조여래좌상과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은 대좌와 석불로 구성되어 있다. 보물 제533·544호는 각각 석불대좌 및 광배로 구성되어 있다. 물걸리사지에는 9세기 후반 경 석조비로자나불좌상(보물 제542호)이 건립된 이후 9세기 말에 이르러 다시 석조불상 두 구(보물 제541호, 제543호)가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9세기 말에 물걸리사지에 조성된 석조불상과 유사한 불상은 인제 한계사지에도 거의 동시기에 조성되었다. 이는 대좌 하대석의 가릉빈가와 광배가 유사한 점을 통해 알 수 있다. 홍천 물걸리사지에 조성된 석조대좌 2기는 한계사지 석조대좌와 매우 유사하다. 두 사찰의 불상이 동시기에 조성되었으며 그 형태가 유사한 이유는 9세기 말기의 사회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보물 제544호의 조성시기는 9세기 말에 조성된 대좌를 모방하고 있는 점을 들어 고려초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보물 제544호가 고려 초 제작된 다른 근거로는 고려초 강원지역에 유행하였던 육각건물지와 금강산 정양사 약사전 불상대좌를 비교하여 근거를 제시 하였다. 보물 제542호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이 앉아 있는 대좌 상대석은 광배가 올라갈 수 없는 크기로 인하여 별도의 불상 대좌 상대석으로 추정하였다. 이를 고려한다면 물걸리사지에는 현재 보호각 안에 봉안된 4기의 대좌 이외에 별도의 대좌 1기가 더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물걸리사지에는 석조비로자나불좌상과 대좌 한 짝이 가장 먼저 조성되었음을 밝혔다. 이후 보물 제541호 대좌와 불상 및 보물 제544호 광배를 한 짝으로 한 석조 불상이 조성되었다. 이와 동시에 비슷한 형태의 보물 제543호 대좌가 조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보물 제543호 대좌 상면에는 보물 제541호 불상과 유사한 석조불좌상이 봉안되었을 것이다. 물걸리사지에는 2개체의 철불편이 출토되었다. 보물 제544호 대좌는 출토된 철불편 중 크기가 작은 철불의 대좌일 가능성이 있다. 보물 제542호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의 대좌는 현재 파악된 불상의 개체수를 고려한다면 출토된 철불편 중 크기가 큰 철불좌상의 대좌 상대석으로 추정 할 수 있다물걸리사지에 9세기 후반부터 고려초까지 다양한 불교조각과 석조미술이 조성된 배경은 교통로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언급하였다. 물걸리사지는 명주지역의 주요 사찰인 한계사지, 선림원지와 원주지역을 연결시켜주는 징검다리 같은 장소라는 점을 본문에서 언급하였다. 결론적으로 물걸리사지는 통일신라시대뿐만 아니라 고려왕조의 성립 이후에도 교통로의 안전한 확보를 통해 중앙정부의 지방통제를 원활하게 수행 할 수 있게 하였던 중요한 사찰이라 할 수 있다. This was the site of Hongyangsa(洪陽寺) Temple. Some segments of iron Buddhist images, porcelain debris, convex end-tiles, concave end-tiles, concave tiles, pieces of celadon porcelain, pieces of earthenware, pieces of Joseon ceramics, and a Unified Shilla period gold-plated bronze standing Buddha were found in April, 1967. These items suggest that the temple was maintained during the unified Shilla Kingdom and Joseon Dynasty periods. Five treasures are stored within this site. A sitting Buddha made of stone(Treasure No. 541). A seated figure of vairocana made of stone(Treasure No. 542). A Buddhist pedestal(Treasure No. 543). A Buddhist pedestal. A mandorla(Treasure No. 544). A three storied stone pagoda(Treasure No. 545). No other site in Gangwon Province holds more treasures, so a new building was constructed in 1982 to store them. The four great Buddhist images held within these temple grounds indicate that it was a very important and large religious site. This 4 meter high pagoda possesses the characteristics and style of the shilla Kingdom period. It has a podium made of two layers of stones, and prop and corner pillars are carved on the face stone. The roof stone props of the first and second story have five steps each and those on the third story have four this enabled the builders to use less porp stones. The eaves of the roof stones are slightly uplifted at the ends. The body stone on the first story is a little higher than those on the second and third stories, but the overall feel remains one of harmony. Remains of Buddhist Saints are enshrined in sarira holes, and such a cavit can been seen in the body stone of the third floor. This article studied about four treasures(Treasur No. 541~544). Each treasure is composed many stone parts. Some of them are mixed. This study showed that correct composition of each treasure. Also this article studied about importance of Temple stie’s location.

      • KCI등재

        영월 무릉리 마애여래좌상과 청석탑의 조성시기와 배경

        정성권 동악미술사학회 2017 東岳美術史學 Vol.0 No.21

        영월 무릉리 마애여래좌상은 흥녕선원 초입에 위치한 마애불이다. 이 마애불이 위치한 곳에는 20세기 초 건립된 요선정이 있으며 요선정 앞에는 고려시대 청석탑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마애불 과 청석탑의 조성시기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마애불의 조성배경도 유추하였다. 무릉리 마애여래좌상의 조성시기를 파악하기 위해 먼저 흥녕선원 발굴성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흥녕선원은 10세기 중·후반경에 중창되었으며 이후 11세기 후반경과 12세기경에 사찰의 중 창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통일신라시기에도 사찰은 존속하였으나 발굴조사 분석결과 사세는 크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무릉리 마애여래좌상의 조성시기를 파악하기 위해 인접한 흥녕선원 의 발굴조사결과와 더불어 마애불의 형식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마애불의 형식적 특징은 두광, 발 바닥이 정면을 향한 결가부좌 모양, 마애불의 상호 비례, 보개 착용 방법, 착의 법 등을 분석하였 다. 마애불 두광의 경우 흥녕선원에서 10세기 중·후반 경 사용한 막새와 화판의 모양이 유사하였 다. 마애불의 독특한 발 모양은 985년에 조성된 고령 개포동 마애보살좌상의 발과 닮았다. 마애불 의 상호는 코를 중심으로 발제선과 턱의 길이 비율이 1:1이었다. 이러한 상호 분할 비율은 10세기 강원도 불상의 상호에서 유행한 형태이다. 마애불의 머리 윗부분을 다듬어 보개를 올리는 형식은 981년 제작된 이천 태평흥국명 마애보살좌상에서도 찾을 수 있다. 무릉리 마애여래좌상의 착의법 은 10세기경 원주를 중심으로 강원도 지역에서 유행한 형식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무릉리 마애여래좌상 옆에 세워져 있는 청석탑의 경우 본문에서는 14세기경 조성된 탑으로 추 정하였다. 그 근거로는 청석탑의 화강암 기단부가 고려 후기 영월지역에 조성된 무릉리 삼층석탑, 주천리 삼층석탑과 유사한 점을 들었다. 이와 함께 석탑 탑신부 표면에 원문을 만들고 범어문자를 새겨놓은 점 역시 시대 하강의 요인으로 파악하였다. 최근에 실시된 무릉리 마애여래좌상 지역 발 굴조사 결과를 통해서도 입증되었다. 무릉리 마애여래좌상의 미술사적 의의는 태봉시기와 고려 초기에 중앙정부에 소속되어 활동하 였던 명주출신 석장들의 활약상을 유추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통일신라 전통을 계 승한 무릉리 마애여래좌상은 흥녕선원의 중창과 더불어 사세가 확장되면서 흥녕선원 입구, 절경의 자리에 사찰의 지원을 받아 10세기 후반 경 건립된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sitting Buddha is 3.5m high. It is engraved in high relief of the rock wall. The round face has big eyes, short nose. The clothes of the carving are thick. The lap of the Buddha is wide when compared whit the upper part of the body and the torso is disproportionately long. The hands are in an unusual position with the right hand raised up to the breast exposing the back of the hand, and the left hand also raised up the breast but exposing the palm of the hand. The pedestal is in proportion to the width of the lap. This statue is brimming with energy but it is not at all proportioned and the folds of clothes and each part of the body are formalized. Local artisans probably made it during late 10th century in Goryeo Dynasty period. Although the stonemasons were local artisans, they had worked for central government. When the Goryo Dynasty founded by Wanggun in 918, most of the stonemasons who worked for the government originated form east side of Gangwon Province. Because of that, the Sitting Buddha image has various style of the Buddha image which had been fashioned all around Goryeo for the 10th century. Images engraved on rock walls are very rare in Gangwon Province, so this Buddha statue is highly valued. This article also studied that the Blue-stone stupa which located in front of the sitting Buddha image in Mureungri was made around 14th century.

      • KCI등재
      • KCI등재

        여래형 복식착용 보살상의 등장과 전개 - 청담사지 자씨각 보살상을 중심으로 -

        정성권 동악미술사학회 2017 東岳美術史學 Vol.0 No.22

        불상은 크게 여래상과 보살상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여래상은 착용하고 있는 복식 이외에보관이나 장신구 등을 갖추지 않는다. 이에 반해 보살상은 화려한 보관과 천의, 영락을 비롯한 각종장신구로 신체를 치장한다. 불교미술에서 보관과 장신구를 착용한 여래상이 존재하나 우리나라에서는 크게 유행하지 않았다. 그런데 나말여초이후 여래형 복식을 착용한 보살상이 등장하고 있어 주목된다. 여래형 복식착용 보살상에 대해서는 일부 작품을 제외한 경우 구체적인 조성시기와 조성배경등이 알려지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고려 초 등장하는 여래형 복식착용 보살상의 제작시기와 배경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래형 복식착용 보살상은 크게 머리에 방형의 보개를 착용한 보살상과 그렇지 않은 보살상으로나누어진다. 본고에서는 여래형 복식을 착용 보살상을 면류관형 보개착용 석조보살상과 여래형 대의착용 석조보살상으로 분류해 고찰하였다. 면류관형 보개착용 보살상으로는 안성 매산리 석조보살입상, 논산 관촉사 석조보살입상, 부여 대조사 석조보살입상, 포천 구읍리 석조보살입상, 당진 안국사지 석조보살입상 등이 있다. 여래형 대의착용 석조보살상은 원주 매지리 석조보살입상, 우리 옛돌박물관 석조보살입상, 원주 봉산동 신선암 석조보살입상, 서울 광진구 상부암 석조보살입상, 황해도 금천군 영파리 석조보살입상, 서울 은평구 청담사지 자씨각 석조보살입상 등이 있다. 면류관형 보개착용 보살상은 고려 광종대 처음 등장한 불상이다. 이러한 형태의 보살상에 대한연구는 비교적 많이 축적되어 있다. 본문에서는 면류관형 보개착용 보살상의 조성시기와 조성배경등을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여래형 대의착용 보살상의 조성시기를 유추하였다. 960년 경 조성된 안성 매산리 석조보살입상이 여래형 복식착용 보살상 중 가장 먼저 등장하는 불상이다. 본문에서는 원주 매지리 석조보살입상과 옛돌 박물관 석조보살입상의 조성시기 역시 이와 비슷한 때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원주 봉산동 신선암 석조보살입상과 광진구 상부암 석조보살입상은 조성시기를 추정할 수 있는 청양 석조삼존불입상과의 비교를 통해 10세기 후반 경에 건립된 것으로 보았다. 영파리 석조보살입상과 자씨각 석조보살입상은 서로 매우 닮은 모습이다. 이 두 불상의 조성시기는 11세기 전반기로 추정하였다. 자씨각 석조보살입상의 조성시기를 파악하는데 있어 황해도 금천군 영파리 석조보살입상의 존재가 주목되었다. 두 불상이 서 있는 장소는 개성에 진입하는 개성 북쪽과 남쪽의 교통로가 수도 진입 직전 모두 모이는 장소에 건립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 보살상과면류관형 보개착용 보살상 등을 통해 여래형 복식착용 보살상은 중앙정부의 관심 하에 조성된 불상으로 파악하였다. 면류관형 보개착용 보살상은 10세기 중·후반 경에 유행하다 11세기 들어와 거의제작되지 않았다. 반면 여래형 대의 착용 보살상은 11세기경부터 주로 건립되었는데 그 이유는 요와의 외교관계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Buddha is the religious teacher and founder of Buddhism. Buddha statue usually wear Buddha costume which doesn't have any ornament. On the contrary, Bodhisattva statue have many ornateness. This article studied about Bodhisattva which wear Buddha costume in early Goryo dynasty. This kind of Bodhisattva divided into two type. One is the Bodhisattva that wear square holy hat. The other is the Bodhisattva which wear Buddha costume without square holy hat. The first type Bodhisattva are Ansung maesanri standing stone Bodhisattva, Nonsan Kwonchoksa standing stone Bodhisattva, Buyeo Daejosa standing stone Bodhisattva and Pocheon gueumni standing stone Bodhisattva. All of them wear Buddha costume and square hat. The second type bodhisattva are Wonju maejiri standing stone Bodhisattva, Wori stone museum standing stone Bodhisattva, Wonju bongsandong standing stone Bodhisattva. Kwangjingu Sangbuam standing stone Bodhisattva, Hwanghaedo geumcheongun yeongpari standing stone Bodhisattva and Eunpyonggu Cheongdamsaji standing stone Bodhisattva. Those two type standing stone Bodhisattva wear Buddha costume and located near important traffic routes. It means that When those Bodhisattva made, the central government support the making of Bodhisattva. Around late 10th century the first type Bodhisattva were made, after 11th century the second type Bodhisattva were made. This article studied that why wearing square hat Bodhisattva didn’t made after 11th century. This study presumed the reason. It had diplomatic relations with Liao Dynasty.

      • KCI등재

        수원 봉녕사 석조삼존불상의 편년과 의의

        정성권 동악미술사학회 2015 東岳美術史學 Vol.0 No.17

        한국 불교조각사에 있어서 고려시대는 불상의 재질에 따라 고려전기와 고려후기가 명확히 구분 될 수 있을 정도로 불상 소재가 편중되어 있다. 고려전기 불교조각사에서는 석조불상과 철제불상이 주요 연구대상이다. 고려후기는 목조불상과 금동불상이 조각사 연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고려후기는 전기와 비교했을 때 불교에 대한 신봉과 불상 제작 전통이 뒤떨어 지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기에 크게 유행하였던 석불 조성의 전통은 잘 보이지 않는 다. 본 논문은 고려후기 석불조성의 전통이 전기와 다르게 크게 유행하지 않은 이유를 확인하 고자 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고려후기 석조불상 조성 전통이 줄어든 이유를 확인하기 위해 본문에서는 구체적인 불상을 선정한 후 불상의 조성시기를 파악하고 미술사적 의의를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 이 된 불상은 수원 봉녕사 석조삼존불상이다. 이 불상은 그동안 고려시대 조성된 것으로 알려 져 있었다. 전체적으로 괴체적인 모습과 선명하지 못한 조각 수법 등으로 인해 크게 주목받지 는 못하였던 불상이다. 본문에서는 봉녕사 석조삼존불상의 현상과 양식을 분석하였다. 이 불 상은 협시상들의 성격이 불상인지 보살상인지 또는 제자상인 명확하지 않은 특징을 보여주며 머리에는 판석형의 방형 보개를 착용하였을 가능성이 높은 불상임을 확인하였다. 봉녕사 석조삼존불상의 조성시기는 제작시기 추정이 가능한 다른 삼존불상과 비교를 통해 파악하였다. 비교대상이 되는 불상은 강화여고 출토 금동삼존불상, 함안 대산리 석조삼존불 상, 안성 국사암 석조삼존불상을 선정하였다. 함안 대산리 석조삼존불상의 경우 1313년 조성 된 민천사 삼천불의 영향이 남아있는 불상으로 파악하였다. 국사암 석조삼존불입상은 여말선 초기 불상의 조각적 특징이 잔존해 있는 불상임을 알 수 있었다. 조성시기를 추정할 수 있는 불상과의 비교를 통해 봉녕사 석조삼존불입상은 14세기 조성된 불상으로 추정하였다. 14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한 봉녕사 석조삼존불상의 조성시기를 좀 더 구체적으로 파 악하기 위해 봉녕사 석조삼존불상의 세부적인 형식적 특징을 다른 작품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봉녕사 석조삼존불상 대좌에 나타난 하트 문양의 연판이 1344년작 금강산 내강리 출토 금동불좌상의 대좌 연판과 매우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석조삼존불상의 본존불 대좌는 1355년 경 조성된 각진국사 자운탑 기단과 흡사함을 파악하였다. 자운탑과의 비교 결과 봉녕 사 석조삼존불상의 조성시기 상한선은 1355년경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봉녕사 석조삼존불상 의 조성 하한 시기는 인근 사찰인 수원 창성사에 진각국사 탑비가 조성되는 1382년경으로 추정하였다. 그 이유는 창성사 진각국사 탑비의 경우 귀부가 조성되지 않고 방형의 대석에 비를 올리는 양식으로 비가 건립되었기 때문이다. 봉녕사 석조삼존불입상은 각진국사 탑비의 귀부에서 보이는 미숙한 조각솜씨지만 전통을 계승하려고 시도하는 특징이 남아있다. 반면에 창성사 진각국사 탑비는 새로운 형식으로 탑비를 조성하고 있어 봉녕사 석조삼존불상에서 보이는 복고적인 조각 의도가 보이지 않기에 조성시기 하한선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봉녕사 석조삼존불상의 미술사적 의의는 그동안 거의 연구되지 않았던 고려 후기 석조 불 교조각의 흐름을 살펴볼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불상이라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몽골침략 기 동안 단절된 석조미술의 전통을 계승하고자 시도한 불상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Thus far, this paper has examined the carving times of the stone Buddha Triad of Bongnyeong temple in Suwon city. To reveal the carving times, this paper analyzed the style characteristics of the stone Buddha Triad of Bongnyeong templ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stone Buddha Triad can be found the Buddha shaped person who stood next main Buddha statue. When Buddha Triad was made usually Bodhisattva was seated on main Buddha’s left and right. In case of the stone Buddha Triad of Bongnyeong temple it is hard to say who are they next the main Buddha. It seems like they are monk, bodhisattva and even Buddha. This is a kind of style characteristics of the stone Buddha Triad of Bongnyeong temple. This style Buddha statues were made after 13th century. The bronze Buddha Triad which was excavated from Ganghwa girl’s high school can be a proof. Another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stone Buddha Triad is that they had a holly hat. The stone Buddha statues that were made at late Goryeo dynasty and early Joseon dynasty wear thick and round stone hat. The stone Buddha Triad of Bongnyeong temple wore square hat. Square hat which wear Bodhisattva was made for the first time at 960. This year King Kwangjong became a emperor and wear emperor’s square hat. Form this time Stone Buddha statue used to wear square hat. This kind of Buddha’s hat was made until end of Goryeo dynasty. The pedestal can be a important proof that show the carving times of the stone Buddha Triad of Bongnyeong temple. The bottom of the pedestal of the main Buddha, there are lotus design. The lotus design seems like a heart shape. The bronze bodhisattva that was found in Geumgangsan Naegang-ri also have heart shape pedestal. This bronze bodhisattva was made in 1344. The lotus design that was carved in the pedestal of the stone Buddha Triad in Bongnyeong temple shows some kind of mannerism. It means that the carving times of the stone Buddha Triad is later than the bronze bodhisattva. The pedestal of the stone Buddha Triad can compare with the pedestal of Gakjinguksa stone stele that was made in 1355. These stone works are very similar. In 1386, the Jingakguksa stone stele was made. It shows that new style stone stele. This kind of reasons, I think that the stone Buddha Triad of Bongnyeong temple was made late Goryeo dynasty. Especially, It was made between 1355 to 1386.

      • KCI등재

        괴산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의 조성 배경

        정성권 국립문화재연구원 2020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3 No.3

        The rock-cut relief of two Buddhas seated side–by-side in Wonpungri is a large Buddha sculpture in relief onthe side of a cliff in Wonpung-ri, Goesan. This Buddha sculpture is from the Buddhist scripture Sutra of the Lotus. <法華經> Two seated Buddhas statues were prevalent in the Balhae Kingdom, but this was not popular in Silla andGoryeo. In the main text, the time that the two seated Buddhas in Wonpung-ri was created is identified as beingduring the 10th century. King Gwangjong created a Buddha statue for political purposes. The relief of two seated Buddha image carved on a cliff is located on an important traffic route over the SobaekMountain Range. After King Gwangjong took the throne, he paid close attention to the reigning powers of Jincheon andCheongju because the people of Jincheon and Cheongju were engaged in a power struggle against Gwangjong. The huge relief of two seated Buddhas statue shows the authority of King Gwangjong. In particular, the people ofJincheon and Cheongju had to see this Buddha statue when crossing the Sobaek Mountain Range. The image contained in the relief of the two seated Buddhas features many characteristics of the sculpture styleof the Balhae Kingdom. After the fall of Balhae, many of the Balhae people settled in Mungyeong. Balhae peoplefrom Mungyeong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of the relief of the two seated Buddhas. Through the relief of thetwo seated Buddhas, King Gwangjong wanted to show the people of Jincheon and Cheongju that the Balhae peoplewere supporting him. The relief of two seated Buddhas reflects the historical situation of the King Gwangjong era in the late 10thcentury and the style of sculp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