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탈지작업 근로자의 트리클로로에틸렌 폭로에 관한 조사

        박두용,김형아,김창엽,백남원,조정진,김양호,이광묵 가톨릭대학 산업의학 쎈타 산업의학연구소 1989 韓國의 産業醫學 Vol.28 No.4

        Trichloroethylene(TCE) is a widely used organic solvent, especially in degreasing process of metal manufacturing, however few data concerning its exposure and poisoning were obt-ainable. This survey was performed for more information of TCE exposure in this country. Urine sanmples were collected from 144 TCE handling workers and 46 non-TCE-exposed workers. TCE concentrations of four workshops in working environment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CE exposed workers were 48 male and 96 female employees. Average total duration of employment of these workers was 39.0 months, average duration of works per day was 10.7 hours, and average duation of TCE handling was 469.7 minutes. 2.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urine total trichloro-compounds was 156.32㎎/ g crea-tinine, and that of trichloroacetic acid was 69.2㎎/g creatinine. Of those workers, 78 workers had the concentrations of urine trichloroacetic acid over 75㎎/g, which is the biological exposure index (BEI) of urine trichloroaxetic acid in Korea. Duration of work per day and duration of TCE- related work were significantly longer in the group of workers whose urine trichloroacetic acid concentration was over the criteria level of BEI. 3. TCE concentrations of three workshops were over the level of ACGIH TLV(threshold limit value), 50ppm in TWA (time -weighted average). In remaining one workshop, duration of TCE related works was only one hour per day.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TCE in working environment and the proportion of workers in a workshop whose urinary trichloroacetic acid concentration was over the criteria level of BEI. 4. Responses to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ere not meaningful for differentiation of psychoneurologica symptoms due to chronic TCE exposure from othres.

      • 템플스테이 외부환경 연구 -수덕사(修德寺)와 월정사(月精寺)를 중심으로-

        ( Yeop Nam ),( Sang Hyun Heo ),( Kwang Pyo Hong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2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10 No.-

        본 연구는 템플스테이 체험자 중에서 외부환경을 사찰환경, 프로그램, 편의시설, 사찰탐방 조건 등으로 구분하여 만족도를 설문조사하고 분석해 보았다. 템플스테이 외부환경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대상자들의 만족도를 분석하고 선호도를 파악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사찰외부환경에 관한 분석은 사찰환경 중 가장 마음에 드는 질문에 주변의 숲(85.7%)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주변의 숲을 적극 활용한 명상이나 힐링 프로그램의 도입이 요구된다, 둘째, 사찰의 조경요소 중 가장 마음에 드는 곳에 관한 설문분석은 집입로변 가로수의 만족도(48.7%)가 높게 나타났다. 일주분에서 대웅전까지 가는 길에 주변의 숲과 상이한 가로수를 열식하여 보행자에게 편의 및 경관적 특징을 줄 필요가 있다. 셋째, 일주문에서 대웅전 가는 길은 어떻게 조성되어야 하는지에 관한 설문분석 결과는 자연지형에 맞 추어 조성해야 한다는 답변(57.2%)이 높았고, 마당의 포장은 마사토흙포장(73.3%)이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식재 수종에 관한 설문분석은 전통적인 나무(70.8%)가 높았고, 도입 물의 종류는 연을 심을 수 있는 연지나 석연지(63%)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템플스테이 이용 후 만족도 분석은 프로그램에 관한 만족도는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나, 다양도면에서는 조금 더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며, 시설의 만족은 숙박시설이 빈도가 높은 편이며, 주변 편의시설의 수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사찰탐방 조건에 대한 만족도 분석은 대상지가 전통사찰로 주변 자연환경이 수려함으로 주변경관과의 조화가 높게 평가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emple stayers` satisfaction with their experience of the temple-stay and thereupon, suggest some alternatives to help improve the external settings for the temple stay programs. For this purpose, the external settings were categorized into temple environment, temple stay program, amenities and other elements (roadside trees, access conditions,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temple environment, temple stayers were most(85.7%) satisfied with the surrounding forest, which suggests that the forest should be made most use of for meditation or healing programs during temple stay. Second, in terms of landscape elements, temple stayers were highly (48.7%) satisfied with the trees lining the access road. Hence, it is deemed necessary to have the access road (from the gate or Iljumun to the main building or Daeungjeon) lined with the trees different from those in the surrounding forest. Third, it was found that 57.2% of the temple stayers favored the access road made in harmony with its natural topography, and that 73.3% of them liked to see the temple courtyard paved with Masato (polished sand mixed with natural soil). On the other hand, 70.8% of the temple stayers preferred the indigenous trees lining the access road, while 63.0% of them liked to see a natural or artificial pond with the lotus flowers. Fourth, temple stayers were satisfied or more with the temple-stay programs. However, many of them wanted more diversified programs. In terms of amenities, they were much satisfied with the boarding facilities, while being less satisfied with other amenities. On the other hand, temple stayers were most satisfied with the harmony struck between the temple and its surrounding environment.

      • KCI등재

        사회과에서 인공지능교육의 유형화와 현장 적용 탐색

        남호엽 ( Nam Ho Yeop ),조현기 ( Cho Hyun Gi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특별호

        이 연구는 사회과에서 인공지능교육의 유형화를 시도하고 현장 적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사회과에서 인공지능교육은 학습자의 인공지능사회 소양 증진에 주안점을 두는 경우와 수업 내실화 과정 속에서 인공지능기술을 활용하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는 4차 산업혁명 시기 시민교육의 관점에서 미래연구와 STS 교육의 접근을 통해 교육과정 실제의 구체화가 가능하다. 인공지능은 기계 지능이라고 달리 말할 수 있으며, 인간으로 하여금 존재론적 성찰을 행하도록 하면서 인공지능사회 소양교육의 필요성을 부각시킨다. 인공지능사회 소양교육의 기본 아이디어는 인공지능기술이 사회 전체에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학습자로 하여금 인식하도록 하는데 있다. 아울러, 인공지능 사회인식 교육과정의 범위와 계열을 학년 수준으로 체계화하여 단원 구성이 가능할 정도로 교육과정 아이디어를 상세화하는 것이 요청된다. 사회과수업에서 인공지능의 활용은 학습자의 생성적 의미 구성을 지원하고 학습자의 처지를 고려하면서 맞춤형 수업이 가능하다는 점에 주목한다. 인공지능 활용은 사회과 학습자에게 동기 부여를 통하여 수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도록 하며 동시에 교사로 하여금 학습자 정보의 누적적인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인공지능기술은 학습에 참여하는 구성원들을 연결하여 학습공동체의 확대를 가져오며, 동시에 문제해결형 과제를 매개로 하여 교육내용의 융합화를 촉진한다.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이 인공지능기술을 활용하면서 지역사회의 미세먼지 문제를 발견하고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학습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사회과에서 인공지능교육은 유형화 시도를 통해 향후 교육과정 실행의 체계성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사회과 인공지능교육의 유형화는 더욱 세부적으로 시도되어 유형간 관계 설정도 가능할 것이다. 아울러 유형별 수업실천의 효과에 관해서 후속적인 사례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categorie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deas for teaching practice. AISSED(artificial intelligence in social studies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the case of focusing on the learner’s understanding of AI scociety and the case of using AI technology in instructional activities. Education on social dimensions of AI is citizenship education which is based on future studies and STS approach in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goal of AIED(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as citizenship education is to enable learners to recognize the relation between AI technology and our society. This curriculum can provide the idea of unit plan through systematization of scope and sequence. The principle of using AI in social studies instruction is that learners can create meaning based on adaptive learning. AI technology enables learn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social studies instruction and allows teachers to make cumulative use of learners' information. In addition, AI technology can connect members who participate in learning and expand learning communities. AI technology also promotes convergence of educational content through problem-solving as teaching method. Categories of AISSED(artificial intelligence in social studies education) will prevent confusion in educational practice and contribute to maximizing instructional effects.

      • KCI등재

        이민자를 위한 <한국사회의 이해> 강좌 운영 실행 연구

        남호엽(Nam, Ho Yeop)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09 글로벌교육연구 Vol.1 No.1

        이 논문은 이민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사회의 이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실행 연구의 결과물이다. <한국사회의 이해> 프로그램은 동화주의 발상에서 벗어나 문화교육의 논리를 표방하고 있다. 이민자들의 생활세계를 고려하면서 일상적이고도 가시적인 문화 요소들을 중심으로 교육내용을 선정하였다. 또한 비교 문화의 관점에서 출신국의 문화와 한국 문화를 사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했다. 그리하여 이민자들은 출신국과 한국 사이 문화 중개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하도록 했다. 한편, 이민자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서 한국 문화를 상대화시킬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한국문화가 이민자들의 문화와 관계를 맺고 교섭하는 상황을 가지다 보니 그 상대적인 위치가 발견될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이민자 교육 프로그램은 출신국 문화와 한국 문화 사이 비교 활동이 가장 중심적이다. 수강생들의 출신국이 다양하면 다양할수록 이러한 활동은 글로벌 교육의 양상이다. 즉, 여러 지역의 문화들이 한 자리에 모여서 서로 대화를 나누는 국면이면서 상호이해와 공존의 길을 모색하기 때문이다. This paper is the result of an action research about the development and practice of educational program,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for Immigrants. The logic of this program is not model of assimilation but viewpoint of cultural education. Educational contents are composed of the cultural elements which are situated at immigrants' everyday life. Also, in a view of cross-cultural approach, immigrants could examine relations between their origin culture and Korean culture. Through this activity, the learners discover the location of Korean culture in relative visions. First of all, they participate at these cross-cultural activities in learning communities and experience the process of mutual understanding in a global society.

      • KCI등재후보

        초등 사회과에서 글로벌 단원의 성립과 전개

        남호엽(Nam, Ho Yeop)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4 글로벌교육연구 Vol.6 No.1

        우리나라 글로벌교육 현황 파악을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시도하였다. 상호의존 개념을 중심으로 글로벌 단원의 성립과 전개 과정을 추적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건대, 글로벌 단원의 성립 전야와 태동기, 그리고 성장기로 시기 구분이 가능하였다. 성립 전야는 5차 교육과정 시기까지로 ‘국제화’의 시각에서 상호의존의 교육내용이 서술되었다. 태동기의 경우, 6차 교육과정 시기이며, 상호의존의 ‘지구촌 사회’를 다루고 있었다. 성장기는 7차 및 개정 7차 교육과정 시기이며, 글로벌 상호의존의 체계적인 인식을 도모하였다. 상호의존의 의미 세계가 정치, 경제, 환경, 문화와 일상생활 등 다양한 차원에서 다루어졌다. 요컨대, 초등학교 사회과교과서는 정치와 경제의 국제 협력을 파악하는 수준에서 글로벌리티의 복합성을 인식하는 문제설정으로 나아가는 변화의 궤적을 보이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units for global learning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to understand the trend of global education in Korea. As a result of analysis, I discovered that there are the eve period of formation, the quickening period and the growth period of global education in Korean elementary social studies. First period is to the fifth curriculum age and its characteristic showed international viewpoint. The birth period is the sixth curriculum age and represent 'global society' of interdependence. Namely, in the second period, the idea of 'global village' initially appeared. The growth period is the 7th & the revised 7th curriculum age and propose systematic approach of global interdependence. The meaning of global interdependence is revealed by the multidimensional context such as politics, economy, environment, culture and everyday life. To sum up,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the historical trace of unit development for global learning showed the transition of paradigm from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model in political and economical field to trials to understand the complexity of globality.

      • KCI등재

        교육과정의 지역화와 의미 경합의 지리

        남호엽(Nam Ho Yeop)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2 사회과교육 Vol.51 No.3

        이 연구는 의미 경합의 지리 현상으로 교육과정의 지역화 관행을 검토하였다. 먼저, 지역화의 지향을 둘러싼 의미 경합이 있었다. 5차 및 6차 교육과정 시기의 경우, 향토교육의 옹호를 추구하였다. 7차 및 개정 7차교육과정 시기에 와서는 글로벌 관점의 수용과 지역정체성의 확립을 도모하였다. 2010년 발행 교사용 지도서에서 지역화의 정신으로 ‘내용’으로서의 지역화를 폄하하고 있는 대목이 발견되었는데,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의 입장과 괴리가 있다. 다음으로 지역의 얼굴 찾기를 둘러싼 의미 경합이 있었다. 서울 지역 교과서를 사례로 하여, 교육과정 시기별로 지역 경관이 표지로 선정되는 양상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시기별로 지역의 대표 경관이 서로 달랐다. 5차 교육과정 시기는 서울 올림픽을 배경으로 하여 88 고속도로와 잠실경기장과 같은 경관에 주목하였다. 6차와 개정 7차의 경우, 전통과 현대의 조화라는 관점에서 남대문 및 종묘와 도심 빌딩과 같은 경관에 주목하였다. 한편, 7차의 경우, 한강 및 북한산 등 자연경관이 중심이 되면서 도심 빌딩이 부차적인 형태로 경관의 선정과 배치가 이루어졌다. 교육과정의 지역화 관행은 의미 경합의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으며, 이것은 재현의 페다고지 사례로 간주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gionalization of curriculum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First, there was a meaning contestation about the educational aim of regionalization of curriculum. In the 5th and 6th curriculum period, the direction of regional curriculum was Heimatkunde. In the 7th and revised 7th curriculum period, it was mode of acceptance of global perspective and establishment of regional identities. In the direction of regionalization of curriculum, there are modes of difference. Namely, this direction are two dimension: regionalization of curriculum as ‘content’ and ‘method’. Of the two dimensions, the former is a approach which emphasizes the cultivation of regional identities as educational aims in the practice of regionalization of curriculum. The latter is a logic which only focuses on regional realities in the process of child centered curriculum implementation. By the way, the logic of former is presented in the curriculum document and regional textbooks as curriculum material, but this approach is devalued in the teaching guide book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lso, symbolic landscapes of region differ from regional textbooks in a case region, Seoul. Therefore, in the present times, the regionalization of curriculum as institutionalized practices is pedagogy of representation. Namely, it is a situation of curriculum decision making and a field of conflict over the meaning.

      • KCI등재

        일본 사회과 지역학습의 실천 동향 - 도쿄지역 사례연구 -

        남호엽 ( Nam Ho Yeop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6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4 No.4

        이 연구는 일본의 사회과 지역학습 실천 동향을 도쿄지역을 사례로 하여 검토하였다. 최근 일본에서 지역학습의 시각은 지역의 사회기능에 대한 이해와 지역의 문제해결에 초점을 두는 경우, 그리고 향토학습 등이 대표적이다. 사례 연구 학교에서 실천된 지역학습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지역학습 사례는 지형적 요소와 역사 경관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지역의 고유성 이해에 초점이 있었다. 중학교 사례 수업은 향토지리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여 국토 생활사의 이해로 나아가고 있었다. 양 자의 공통점은 지역학습의 추구 과정에서 경관을 중심으로 한 지리적 요소의 활용이었다. 이것은 지역학습에서 해당 지역의 대표경관을 주요 학습대상으로 포섭하고 있는 양상이며, 향토학습의 효과를 낳고 있다. 요컨대, 일본의 지역학습 사례에서 학습자의 생활세계에 위치한 가시적인 경관의 교재화 방식을 확인하고 그 의의를 추론할 수 있었다. The focus of this paper is to analyse cases of regional learning in Japan and to discuss meanings in the view of geography teaching. There are three positions about regional learning in Japanese social studies as follows; to understand social functions of region, to focus on problem solving of region and Heimatkunde. In the case study of Tokyo area, I discovered that the goal of elementary school regional learning was to pursue understanding of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focus of middle school case was to understand national life history based on local and regional narratives. Two cases have one thing in common with the utilizing process of regional landscape as teaching contents and the pedagogical approach as Heimatkunde.

      • KCI등재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여성 이미지의 재현과 의미 구성의 전략 : 사회과 교과서를 사례로

        남호엽(Nam Ho-Yeop)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0 사회과교육 Vol.49 No.1

        이 연구는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의 재현 방식을 다루고 있다. 1차 교육과정에서 7차 교육과정까지 사회과 교과서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사회과 교과서에서 여성 이미지화의 장소를 찾고, 그 장소에서 나타나고 있는 성 역할 및 주위 환경과의 관계 설정 방식을 추적하였다. 분석결과를 보건대,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상은 일터에서 생계를 위하여 노동하는 주체로서 여성이 등장하는 경우이다. 그러나 여성이 일하는 장소는 점차적으로 다양해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반복적인 경우로 가사노동의 주체로서 여성이 부각되는 상황인데, 최근으로 오면 올수록 이 가사노동이 가족 모두의 공동과업으로 이미지화된다. 한편 최근 교육과정 시기의 경우, 여성의 사회진출, 여성 불평등의 문제가 교재화되면서 페미니즘의 시각이 반영되는 양상이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way of representing women’s images in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I discovered the place of women’s images and examined ways of representing gender role and its relation to social environment.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is that the phenomena of repeating representation is women’s images as labour subject at the workplace. But the workplace of women is varied gradually. Also, the repeating case is that women’s images are represented as a responsible person for housework. But recently, the duty of housework is for all of family members. Meanwhile, I can find feminist perspectives in the today’s curriculum. Namely, the textbooks are showed social advances of women and the problem of women’s inequality.

      • KCI등재

        지역교과서에 나타난 지도(地圖)의 스케일 재현 방법

        남호엽 ( Nam Ho-yeop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3 사회과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지역교과서에 나타난 지도(地圖)의 스케일 재현 방법을 분석하고 있다. 지역교과서는 지역의 고유성을 다양한 자료를 통해서 드러내고 있는데, 지도는 그 중 하나이다. 지도는 정체의 상징 혹은 영역의 재현이기에 지역적인 것의 의미관계가 나타난다. 특정 지역은 그 내부가 외부와 관계 맺는 양상으로 지역의 고유성이 확보된다. 아울러 지역 내부에서도 특정한 지점들의 상황이 헤게모니 행사의 차원으로 부상하고 그것이 지역의 내용이 된다. 이러한 지역화의 양상은 영역화의 과정, 공간스케일의 비계설정이라고 볼 수 있으며, 영역의 재현물로서 지도에서 그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연구에서 분석의 대상은 서울 지역의 교과서이며, 5차 교육과정에서부터 7차 교육과정 시기에 발행된 것이다. 분석 방법은 내용 분석법이며, 이것은 내용 요소를 범주화하고 그것이 발생하는 빈도를 재는 양적인 접근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별로 지역을 나타내는 지도가 등장하는 빈도를 확인하고, 교과서 사이 그 관계를 비교하여 의미를 논의하였다. 이때 지도는 그 내용이 스케일적으로 재현되는 방식에 따라 하위범주로 나누었다. 하위범주는 국지적 스케일에서부터 지역적/민족적 스케일까지 모두 5가지이다. 분석결과를 보건대, 지역의 지도가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양적인 빈도수는 큰 차이가 없었고, 교육과정이 개편될 때마다 다소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지역 지도에서 스케일의 재현방식에서 차이가 있었는데, 5차 교육과정 시기에서 스케일적 재현이 가장 잘 이루어졌다. 분석결과를 통해 시사받을 수 있는 점은 다음과 같다. 지역교과서에서 지도는 단지 외관상으로 나타나는 양적인 사용빈도만 보는 것이 아니라 지도들이 스케일적으로 어떤 관계 국면을 재현하고 있는지를 검토해야 한다. 그래야만 지역교과서의 내재적 목적인 지역정체성의 재현이 충실히 이루어졌는가에 대한 반성이 가능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representation method of map scale in regional textbooks. Regional textbook reveals a regional originality through various materials and a map is one of them. A map is the symbol of polity or representation of territory and so it shows the relationship of meaning of the regional. The originality of a certain region presents by relation between its inside and outside. And a specific site in the region is to be its symbolic content. We call the process of this regionalization as territorialization or the scaffolding of space scale and can identify in the map of regional textbooks. The object of analysis are regional textbooks in Seoul and they published during the 5th - 7th curriculum. The method of analysis is content analysis which is a quantitative approach concerned with categorizing and countering occurrences of elements of content. This study counter occurrences of regional map in the textbooks and argue for meaning of relation among them. The map divide into sub-category according to the representation method of space scale. The sub-categories are local scale, local/regional scale, regional scale, regional/sub-national scale, regional/national scale. 1As a result of analysis, textbooks have no difference in occurrences of regional map. But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representation method of regional map and the textbook in the 5th curriculum shows the best of representing the scale of regionalization. Lessons from the result of analysis are as follows. We should consider not only external occurrences of map but also the relational phase of scale, and can reflect on representing the regional identity in regional textbo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