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규범적 존재론으로서 헤겔 논리학 - 형이상학적 독해의 관점들

        ( Ralf Beuthan ) 한국헤겔학회 2018 헤겔연구 Vol.0 No.44

        이 논문은 헤겔의 논리가 어떤 점에서 형이상학으로 읽힐 수 있는지, 그리고 그의 이론의 형이상학 적 특징을 강조함으로써 헤겔을 넘어서는 어떤 이론적 관점을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를 논의한다. ‘형이상학 적 독해’에 관한 피핀의 신중한 양보와 대조적으로 헤겔 논리학의 다양한 형이상학적 측면을 드러내기 위해 형이상학에 대한 좀 더 일반적인 이해가 제안되고 유형학적으로 구별될 것이다. “논리의 학”을 거시적으로 관통하면서 헤겔에 특유한 형이상학의 다양한 양상들 사이의 개념적 연관이 해명될 것이다. 본 논문은 헤겔 논리학이 그동안 분석적으로 특징지어진 헤겔 수용에서 용인되어졌던 몇 가지 형이상학적 측면을 포함 할뿐만 아니라, 논리학이 그것을 넘어서 규범적 존재론으로서 읽혀 져야한다는 사실을 논증할 것이다. 또한 (매체)철학 연구의 관점을 위한 ‘형이상학적’ 헤겔의 이론적인 잠재력이 개괄적으로 조망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존재론과 자유 사이의 헤겔의 규범적 존재론을 위한 구성적 연관뿐만 아니라 ‘매체적 존재’ 및 보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매체성에 대한 사상에 특별한주의를 기울여야한다는 사실을 주장할 것이다. 매체성의 사상은 분석 철학의 역사적 체계적 전제들이 의미를 잃어버리고 ‘포스트 분석적’ 이론지평의 방향을 가리키는 이론적인 지평의 지연을 나타낸다. Der Beitrag diskutiert die Frage, in welcher Hinsicht Hegels Logik als eine Metaphysik gelesen werden kann und welche theoretische Perspektive sich uber Hegel hinaus gewinnen lässt, wenn man die metaphysischen Merkmale seiner Theorie betont. Dabei wird im Kontrast zu Pippins vorsichtigen Konzessionen hinsichtlich einer ‚metaphysischen Lesart‘ ein allgemeineres Verständnis von Metaphysik vorgeschlagen und typologisch differenziert, um so verschiedene metaphysische Aspekte der Hegelschen Logik erkennbar werden zu lassen. Anhand eines makroskopischen Durchgangs durch die „Wissenschaft der Logik“ wird ein fur Hegel spezifischer konzeptioneller Zusammenhang verschiedener Aspekte der Metaphysik herausgearbeitet. Es wird dafur argumentiert, dass die Hegelsche Logik nicht nur jene wenigen metaphysischen Aspekte, die inzwischen innerhalb der analytisch geprägten Hegelrezeption hoffähig geworden sind, enthält, sondern dass die ‚Logik‘ weit daruber hinaus gehend als eine normative Ontologie gelesen werden sollte. Ausblickhaft wird das theoretische Potenzial eines ‚metaphysischen‘ Hegels fur eine (medien)philosophische Forschungsperspektive skizziert. Dabei wird dafur plädiert, dass sowohl der fur Hegels normative Ontologie konstitutive Zusammenhang von Ontologie und Freiheit als auch der Gedanke eines ‚medialen Seins‘ und allgemeiner: von Medialität besondere Aufmerksamkeit verdienen. Mit dem Gedanken der Medialität zeichnet sich eine Verschiebung des theoretischen Horizontes ab, in der historisch-systematische Prämissen der analytischen Philosophie an Bedeutung verlieren und in Richtung eines ‚postanalytischen‘ Theoriehorizontes weisen.

      • KCI등재

        More human than human : A brief (cinematic) history of posthumanism

        Ralf Beuthan 새한철학회 2012 哲學論叢 Vol.67 No.1

        이 글은 소위 탈인간주의의 중심적 사고가 지닌 특성에 대해 탐구한다. 여기서 중점을두는 것은 "인간-기계-자연"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역사적으로 변화된 이해이다. 탈인간주의는 이러한 변화에 대해 진단하면서 인간의 기술적 향상에 대해 주장하는데, 오늘날 이러한 주장은 문화학, 매체학과 생물학 및 의학의 분야를 관통하여 논의되고 있다. 이 글은 그 근저에 놓인 사고의 특성을 계보학적인 관점, 보다 자세히 말하자면 이념사적이고 영화사적인 관점에서 전개하면서 비판적으로 해명할 것이다. 이때 몇몇 고전적 영화작가의 경우에 인간과 기계의 관계에서의 변화가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탈인간주의는 현대의 중요한 문제가 첨예화되는 특수한 탈형이상학적 사고의 특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 KCI등재

        오늘날 형이상학적 헤겔?

        ( Ralf Beuthan ) 한국헤겔학회 2016 헤겔연구 Vol.0 No.40

        본 논문은 `형이상학적 헤겔`, 좀 더 정확히 말하면 형이상학적 헤겔 해석이 여전히 오늘날에도 의미가 있을 수 있는가 하는 질문을 다룬다. 즉 본 논문은 피핀의 영향력 있는 헤겔 해석과 관련하여 `비형이상학적` 헤겔이라는 테제에 기초하는 해석모델과 논쟁한다. 비형이상학적 헤겔해석이 분석철학의 맥락으로부터 오늘날의 헤겔연구에서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필자는 이러한 해석에 대한 대안으로 `형이상학적 헤겔`을 다시 중심부에 놓으려는 해석모델을 제시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우선 `비형이상학적 헤겔 해석`의 장점을 강조한 다음, 형이상학 개념의 핵심요소들을 구별하여 그러한 해석에서 형이상학적인 것의 어떤 측면이 배제되고 부정되어지는지를 구별하고 평가한다. 여기서 필자는 피핀의 해석과는 반대로 헤겔에게서 형이상학의 모든 핵심 요소들이 중요하며 증명 가능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어서 필자는 `비형이상학적 헤겔`이라는 테제가 형이상학적이라고 해석하고 있는 단서들의 특징을 재구성하고 비판한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형이상학적` 헤겔 독해 내지 `형이상학적 헤겔`이라는 테제에 기초하여 새롭게 논의될 수 있는 체계적 물음들을 제시한다. Der Beitrag geht der Frage nach, ob eine `metaphysischer Hegel`, genauer: eine metaphysische Hegelinterpretation gegenwartig noch sinnvoll sein kann. Es werden im Anschluss an Robert Pippin Grundzuge der gegenwartig dominierenden nicht-metaphysischen Lesart der Hegelschen Theorie herausgearbeitet. Dabei wird fur die These argumentiert, dass eine erneute `metaphysische` Lesart dennoch moglich und sinnvoll ist. Die Argumentation soll sowohl Vorteile eines nicht-metaphysischen Ansatzes als auch theoretische Moglichkeiten eines dazu gegenlaufigen `metaphysischen` Interpretationsansatzes sichtbar machen. Zur Verdeutlichung der Unterschiede wird eine Typologie von Metaphysikauffassungen erstellt.

      • KCI우수등재

        Schiller meets “Grand Theft Auto”: Perspectives of Video Game Ethics

        Ralf Beuthan 한국철학회 2021 철학 Vol.- No.148

        ‘비디오게임 하는 것’은 어떤 윤리적 모델을 통해 새로운 방식으로 게임행위를 평가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제기하도록 만들었다. 이러한 맥락 속에서 고전적인 윤리학적 모델 (덕 윤리, 의무론, 공리주의)은 궁극적으로 오직 ‘현실적 행위’에만 적용되고, 비디오 게임의 ‘가상적 행위’에 적용되지 않는다는 논증은 “놀이 무도덕주의” (Ostritsch 2018) 테제로 귀결된다. 이는 특히 노골적인 ‘폭력의 행위’의 경우의 게임 행위가 도덕적으로 판단될 수 있고 그래야만 한다는 공적 토론의 크게 우세한 직감(直感)에 의해 반박되어 왔다. 이러한 양자의 논의 속에 프리드리히 실러 (Friedrich Schiller)의 고전적 놀이 이론에 따른 중간적 입장이 있다. 이 입장은 실러의 ‘놀이의 전-도덕성’ (pre-morality) 개념과 ‘놀이와 놀이가 아닌것’, ‘현실적인 것과 도덕적으로 평가될 수 있는 행위’를 잇는 개념적-전체적 연관짓기에서 기인한다. 이에 따라, 비록 맥락을 떠나서 도덕적 판단의 주제가 될 순 없을지라도, 다른 행위와의 연관성으로 인해, 게임 행위는 반드시 최소한의 규범적 요구사항을 충족해야만 한다는 주장이 개진될 것이다. 주요하게 논의되고 스캔들화 되는 예시인 ‘Grand Theft Auto’는 이러한 접근 방식의 범위 및 한계를 보여줄 것이다. 결론적으로, 비디오 게임 윤리학의 적절한 이론적 모델과 관련한 질문에 있어, 상황윤리에 대한 지지와 도덕률에 도입에 대한 반대가 강조될 것이다. The playing of video games has made the question of which ethical model gamic actions can be judged urgent in a new way. The argument that classic ethical models (virtue ethics, deontology and utilitarianism) ultimately only apply to ‘real actions’ but not to ‘virtual actions’ in a video game has led to the thesis of “ludic amoralism” (Ostritsch, 2018). This is countered by the largely dominant intuition in the public discussion that gamic actions, especially in cases of blatant ‘acts of violence’, can and should be judged morally. The contribution attempts to develop a mediating position following Friedrich Schiller’s classical play theory. The starting point is Schiller’s idea of a premorality of play and a conceptual-holistic connection between play and non-play, real and morally assessable actions. Following on from this, it is argued that, due to their connection with other actions (incl. directly morally assessable actions), gamic actions must meet minimal normative requirements, even if they are not allowed to become the subject of context-free moral judgments. A much discussed and often scandalized example, the video game “Grand Theft Auto”, illustrates the scope and limits of this approach. Concerning the question of an adequate theoretical model of video game ethics it is argued as a consequence of these considerations in favor of a situational ethics and therefore fundamentally against the introduction of a moral code.

      • KCI등재

        구체적으로 사유하는 자는 누구인가? “구체”와 “보편”의 차이에 대한 개념적 및 논리적 고려

        ( Ralf Beuthan ) 한국헤겔학회 2020 헤겔연구 Vol.0 No.47

        헤겔이 거의 모든 저작 전역에서 보편/구체 (Abstrakte/Konkrete) 개념 쌍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헤겔 연구에 있어 이 개념들에 대한 논의는 놀랍게도 거의 없는 실정이다. 특히 “구체적 보편”이라는 헤겔 철학에 있어 중심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개념 쌍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문은 헤겔에 있어 추상적 뿐만 아니라 구체적으로 사유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규명할 것이다. 또한, 구체 (및 보편)의 의미에 대한 엄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잘 알려진 논제인 “구체적 개념”으로부터 출발하여, 이에 관련된 논증의 맥락과 함께, 헤겔의 논리학 (개념론)을 중심으로 서술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보편/구체 개념이 대립적 (하지만 동시에 서로 간에 특수한 이행이 가능함)으로 있음을 밝힐 것이며, 더 나아가, 어떻게 ‘구체’가 중심적 의미를 차지하는지 뿐 만 아니라, 논증의 발전과정을 통해 차별화 되는지를 밝힐 것이며, 거시적 관점, 즉, “주관 논리학” 전역의 관점에서 헤겔에 있어 구체적 사유란 개별자의 사유일 뿐 만 아니라 규범적 사유여야만 함을 논증할 것이다. Obwohl Hegel nahezu durch sein ganzes Werk hindurch das Begriffspaar abstrakt/konkret (bzw. das Abstrakte/das Konkrete) verwendet, ist in der Hegelforschung erstaunlich wenig dazu zu finden. Besonders der für die Hegelsche Philosophie zentrale Gedanke eines ‚konkreten Allgemeinen‘ macht ein genaueres Verständnis dieses Begriffspaares notwendig. Der Beitrag geht deshalb der Frage nach, was es nach Hegel heißt, nicht nur ‚abstrakt‘, sondern eben auch ‚konkret zu denken‘. Dabei wird vor allem auf die Hegelsche Logik, genauer: auf die Hegelsche Begriffslogik fokussiert, um ausgehend von der bekannten These des ‚konkreten Begriffs‘ und anhand des dazugehörigen Argumentationszusammenhangs ein detaillierteres Verständnis der Bedeutung des Konkreten (bzw. Abstrakten) zu gewinnen. Es kann in diesem Zusammenhang gezeigt werden, dass die Begriffe abstrakt/konkret zwar in Opposition stehen, dass aber zugleich auch spezifische Übergänge zwischen ihnen möglich sind. Ferner kann gezeigt werden, dass und wie das Konkrete nicht nur eine Kernbedeutung hat, sondern sich auch im argumentativen Entwicklungsgang weiter ausdifferenziert. In makroskopischer Perspektive d.h. im Blick auf die ganze ‚subjektive Logik‘ wird dafür argumentiert, dass das konkrete Denken für Hegel sowohl ein Denken des Einzelnen als auch ein Denken des Normativen sein muss.

      • KCI등재

        Interkulturelle Philosophie nach Hegel

        Ralf Beuthan 한국헤겔학회 2017 헤겔연구 Vol.0 No.42

        Hegel gilt in der Diskussion der interkulturellen Philosophie als Problemfall. Die allgemeine Kritik an Hegel uberblendet die Moglichkeit, das Projekt der interkulturellen Philosophie nach Hegel, d.h. im Anschluss an Hegelsche Grundgedanken weiterzuentwickeln. Der vorliegende Beitrag zeigt eine solche Moglichkeit auf. Es geht darum, Hegel fur die aktuelle Diskussion der interkulturellen Philosophie neu zu entdecken und dabei das Projekt der interkulturellen Philosophie begrifflich zu scharfen. - Der Beitrag wird die Kritikpunkte des “Eurozentrismus“ und des “Logozentrismus“ entkraften und die Grundzuge einer interkulturellen Philosophie nach Hegel verdeutlichen. Es wird die Moglichkeit aufgezeigt, wie sich mit Hegel die These eines “maßvollen Universalismus“ formulieren und so ein diffuser Relativismus zuruckweisen lasst, ohne dabei in die “Eurozentrismus“-Falle zu geraten. 상호문화철학에 대한 논의에 있어서 헤겔은 문제 사례로 간주된다. 헤겔에 대한 일반적인 비판 가운데서 우리는 헤겔 이후의 상호문화철학의 기획을 헤겔의 근본사상과 관련하여 발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바로 그러한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한다. 본 논문은 상호문화철학에 대한 현재의 논의에 있어서 헤겔을 새롭게 발견하면서 상호문화철학의 기획을 개념적으로 명료하게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유럽중심주의’와 ‘로고스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점들을 무력화하고, 헤겔 이후의 상호문화철학의 근본적인 특징들을 명료화할 것이다. 이로써 헤겔과 함께 ‘적절한 보편주의’ 테제를 정식화하고, 그럼으로써 무질서한 상대주의를 반박하면서도 ‘유럽중심주의’의 함정에 빠지지 않을 수 있는 가능성이 드러나게 될 것이다.

      • KCI우수등재

        “Ludic Amoralism”: Philosophical Reflections on a Key Problem in Gaming Ethics

        Ralf Beuthan 한국철학회 2021 철학 Vol.- No.146

        비디오 게임은 철학적으로 논란이 많은 주제이며, 여기에는 핵심적으로 윤리적인 질문이 관계한다. 예를 들어, 놀이 행위가 도덕적으로 가치 판단될 수 있는지 아닌지, 만일 그렇다면, 어떻게 가치판단이 될 수 있는지는 소위 ‘킬러게임’에 관한 논쟁이래로 중심문제로서 대두되어왔다. 본고는 놀이행위가 도덕적으로 판단될 수 있는 영역 밖에 놓여있다고 주장하는 “놀이 무도덕주의”라 불리는 여러 입장들에 대해서 논의한다. 먼저 후이징아의 문화철학적 놀이이론이 놀이적 무도덕주의에 대한 고전적 이론으로서 정립될 것이다. 더 나아가 이에 반대되는 오스트릿슈의 놀이윤리학에 기반한 여러 놀이적 무도덕주의를 논구한다. 이에 따라 ‘가상적 행위’(디지털적으로 시뮬레이션 되는 세계에서의 행위)도 또한 도덕적 판단의 영역 밖에 놓여있다고 가정될 충분한 근거를 갖지 못한다는 주장이 개진한다. 이 주장에 대한 논증을 위해 실러의 고전적이자 미학적-인류학적 놀이 이론을 놀이 무도덕주의를 해석하는 데 있어 대안적인 이론모델로서 강조한다. 이에 따라 본고는 실러의 개념적 틀(‘도덕성/비도덕성/무도덕성’)을 ‘전(前)도덕성’ 개념까지 확장할 것이다. Video games are philosophically controversial. The focus is particularly on ethical issues. The question of whether, and if so, how game actions can be morally assessed at all, has become a key problem at least since the discussion about the so-called ‘killer games’. This article discusses different variations of the “ludic amoralism”, i.e. the view that game actions lie outside the sphere of morally assessable actions. First, Huizinger’s theory of play and cultural philosophy is reconstructed as a predecessor theory of the “ludic amoralism”. Based on this, different positions of ludic amoralism are discussed philosophically along with Ostrisch’s gaming ethics. The thesis is developed that the specific character of ‘virtual actions’ (game actions in digitally simulated environments) is not a sufficient reason to assume that game actions lie outside the dimension of moral judgments. The argumentation for this thesis emphasizes Schiller’s classical, aesthetic-anthropological theory of play as an alternative theoretical model for interpretating ludic amoralism. Following Schiller the paper will expand the conceptual framework (‘morality/immorality/amorality’) to include the concept of ‘premorality’.

      • KCI등재

        “Gattaca” and the Problem of Genetic Enhancement

        Ralf Beuthan,Hyunkyung Yang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9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Vol.8 No.2

        Andrew Niccols's movie Gattaca (1997) inspired the formulation of the “Gattaca Argument” concerning the negative outcome of biotechnology, which has since been critiqued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transhumanism and posthumanism. According this argument the development of genetic enhancement will produce a genetic discrimination and lead us to serious form of inequality. However, in particular transhumanists deny that here are reasons to worry and advocating instead the transformation of human condition in terms of genetic enhancement. Moreover, they question that genetic enhancement will necessarily lead to social inequality. In what follows, we will reexamine the Gattaca Argument and its critiques based on the movie in order to reassess the role the movie plays in the subsequent scholarly discussion. We will argue that existing critiques fall short of capturing the problem posed in the movie – the problem of the inhumane. Based on a hermeneutic approach to the movie we will both reconstruct the arguments and evaluate the transhuman counterarguments in terms of modern history of philosophical ideas.

      • KCI등재

        "Gattaca" and the Problem of Genetic Enhancement

        Beuthan, Ralf,Yang, Hyunkyung The Institute of Internet 2019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 Vol.8 No.2

        Andrew Niccols's movie Gattaca (1997) inspired the formulation of the "Gattaca Argument" concerning the negative outcome of biotechnology, which has since been critiqued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transhumanism and posthumanism. According this argument the development of genetic enhancement will produce a genetic discrimination and lead us to serious form of inequality. However, in particular transhumanists deny that here are reasons to worry and advocating instead the transformation of human condition in terms of genetic enhancement. Moreover, they question that genetic enhancement will necessarily lead to social inequality. In what follows, we will reexamine the Gattaca Argument and its critiques based on the movie in order to reassess the role the movie plays in the subsequent scholarly discussion. We will argue that existing critiques fall short of capturing the problem posed in the movie - the problem of the inhumane. Based on a hermeneutic approach to the movie we will both reconstruct the arguments and evaluate the transhuman counterarguments in terms of modern history of philosophical ideas.

      • KCI등재

        논문: 경험과 사변적 사유

        ( Ralf Beuthan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1 시대와 철학 Vol.22 No.4

        본 논문은 헤겔에게 있어서 경험과 사변적 사유의 관계에 대한 탐구이다. 본 논문은 이 문제에 관한 몇 가지 난점들과 이 난점과 결부된 해석의 단초들을 스케치한다. 본 논문의 주요 관심사는 경험과 사변적 사유의 일치라는 헤겔의 주장을 뒷받침할 가장 중요한 논의들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때 화용론적 독해방식들은 거부된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헤겔의 논증을 불충분하게 재구성할 수 있을 뿐이며 헤겔의 경험 개념의 특성을 놓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우선 철학전서(Enzyklopadie), 특히 서론에 집중할 것이다. 두 번째로 정신현상학을 다룰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정신현상학이 성숙한 체계(Enzyklopadie)에서의 논변과 그 핵심에 있어서 일치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철학전서에서는 독특한 방식으로 철학적 경험의 이념이 독자적인 경험의 이념으로서 사용되고 있다는 주장을 제시할 것이다. Der Beitrag diskutiert das Verhaltnis von Erfahrung und spekulativem Denken bei Hegel. Es sollen einige Schwierigkeiten und damit verbundene Interpretationsansatze skizziert werden. Einzentrales Anliegen ist es, die wichtigsten Argumentationslinien herauszuarbeiten, die Hegels These der Kompatibilitat von Erfahrung und spekulativem Denken stutzen. Dabei werden zugleich pragmatistische Lesarten zuruckgewiesen, da sie die Hegelsche Argumentation nur unzureichend rekonstruieren konnen und die Spezifik des Hegelschen Erfahrungsbegriffs verfehlen. -Ich konzentriere mich im ersten Schritt (A.) vor allem auf die Enzyklopadie (insbesondere auf die "Einleitung"). Im zweiten Schritt (B.) wende ich mich der Phanomenologie zu. Dabei werde ich die These vertreten, dass die Phanomenologie nicht nur im Kern der Argumentation im reifen System (=Enzyklopadie) entspricht, sondern dass hier daruber hinaus in einzigartiger Weise die Idee einer philosophischen Erfahrung als einer Erfahrung sui generis zum Tragen komm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